KR200435714Y1 - 천연 잔디 조립 매트 - Google Patents
천연 잔디 조립 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714Y1 KR200435714Y1 KR2020060021426U KR20060021426U KR200435714Y1 KR 200435714 Y1 KR200435714 Y1 KR 200435714Y1 KR 2020060021426 U KR2020060021426 U KR 2020060021426U KR 20060021426 U KR20060021426 U KR 20060021426U KR 200435714 Y1 KR200435714 Y1 KR 2004357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ss
- mat
- natural grass
- natural
- nonwoven fab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6—Carrier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천연 잔디는 더위에 강한 난지형잔디와 추위에 강한 한지형잔디로 구분되며, 난지형잔디는 재배 후 뗏장의 형태로 옮겨져 이식되고, 한지형잔디는 파종하거나 롤잔디 형태로 이식되는 추세다.
또한, 천연 잔디는 환경친화적인 다년생 식물이고, 푸르름에 의하여 바닥의 경관이나 조경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생물체이기 때문에 햇빛, 배수, 관수 등 생장에 필요한 기본요소를 갖추어야 하고, 이식작업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식 후 사람에 의한 답압의 피해와 재배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천연 잔디를 고사시키는 현상이 비일비재하여 천연 잔디의 수요가 제한적인 문제전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천연 잔디의 약점을 극복하고, 보도나 마당, 옥상 또는 베란다 등 필요한 곳에 천연 잔디 대용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된 인조잔디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곳이나 인공지반에서 인조잔디를 매트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인조잔디는 환경조건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항상 푸르름을 유지하며,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여 선호되고 있으나, 천연 잔디보다는 질감이 떨어지며, 시간이 오래 지나면 퇴색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크기 예로서 사방 30~50cm 크기로 배양토와 비료가 혼합된 종자층을 파종하여 생육시키기 위한 부직포기재와; 상기한 종자층을 복개하여 덮어주는 얇은 펄프재질의 부직포층 및 인조잔디와 생육공을 전면에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봉을 다수 형성하며 사방 외측연에 연결고리와 연결훅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한 합성수지재 인조잔디매트를 부직포기재층 상부에 복개하여 천연 잔디와 인공잔디가 혼용된 천연 잔디 조립매트를 구성하여, 조립매트로 분리된 천연 잔디의 운반, 조립작업을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시비 후 천연 잔디의 사후 관리가 용이한 천연 잔디 조립매트를 제공하여 골프장의 천연 잔디 보도, 건물이나 아파트 등의 가옥의 마당, 베란다 또는 옥상 등에 간편하게 천연 잔디를 깔아 간편하게 관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 면적의 비교적 두꺼운 부직포로 형성되는 부직포기재(1)와; 부직포기재(1)의 상부에 살포되는 배양토에 혼합된 종자층(2)과; 종자층(2)을 복개하는 얇은 펄프재질의 부직포층(3)과; 수직으로 뻗은 일정길이의 인조잔디(4)와 생육공(5)을 전면에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봉(6)을 다수 형성하며 사방 외측연에 연결고리(7)와 연결훅(8)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한 합성수지재 인조잔디매트(9)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부직포기재(1)는 보습 및 흡수기능이 양호한 비교적 두꺼운 부직포로 형성되며, 그 재질은 발아하는 잔디종자의 뿌리가 침투하여 활착할 수 있는 소재의 일반 섬유질로 되는 부직포가 적합하다.
또한, 종자층(2)의 상부를 복개하는 부직포층(4)는 종자층(2)을 배양토 및 비료와 일정비율로 배합된 잔디종자(대체로 3:1:1의 비율로 배합)가 발아되어 부직포층(3)을 뚫고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의 생육공(5)으로 뻗어 나올 수 있는 정도의 얇은 천연펄프상의 부직포로서 보습과 흡수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며, 종자가 발아하여 천연 잔디(G)가 생육되면 부직포층(4)는 녹아서 소멸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기재(1) 상면에 배양토와 비료 및 잔디종자가 배합된 종자층(2)을 깔고, 이 상부를 다시 얇은 부직포층(3)으로 복개한 다음,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를 복개하여 준 다음, 잔디종자를 발아시켜 생육시키면, 발아된 잔디종자의 줄기가 상부의 얇은 부직포층(3)을 뚫고 상부로 육성되고 자라나는 천연 잔디(G)는 합성수지재 인조잔디매트(9)의 무수히 형성된 생육공(5)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천연 잔디(G)의 뿌리는 부직포기재(1)와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의 하부 받침봉(6) 사이의 내부 공간 사이로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부직포기재(1) 내부의 공간으로 침투하면서 서로 인접하는 다른 천연 잔디(G)의 뿌리와 서로 엉켜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하는 형대로 생육되고, 자라나는 천연 잔디(G)는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의 생육공(6)을 통하여 상부로 자라게 되는데, 이때,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는 받침봉(6)에 의하여 부직포기재(1) 상면에 받쳐져 간극이 벌어지는 형태로 재치되어 있음으로써, 공기나 물의 공급이 원활하여 천연 잔디(G)의 생육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느 정도 자란 천연 잔디(G)를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여 이식하고자 할 때에는 천연 잔디(G)의 뿌리와 잎이 서로 엉켜 일체로 결합한 부직포기재(1)와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를 동시에 일체적으로 운반한 후, 필요한 장소의 지반(10)에 30~50cm의 크기의 부직포기재(1) 및 합성수지재 인조잔디매트(9)에 의하여 소정 크기로 블록화된 천연 잔디(G)를 지반에 깔고,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연결고리(7)와 연결훅(8)으로 연속 결합하여 천연 잔디(G)를 이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천연 잔디(G)를 이식한 후 사람이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를 밟더라도 천연 잔디(G)는 합성수지재 인공잔디매트(9)의 수직으로 된 일체형의 인조잔디(4)에 의하여 줄기와 잎을 답압 피해로부터 보호한다.
특히 혹한기 천연 잔디(G) 휴면기에 천연 잔디(G)가 시들어 누렇게 될 때에 인조잔디(4) 고유의 푸른 색상으로 마치 천연 잔디(G)가 살아있는 것 같은 효과를 나타내 주변의 조경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 시 천연 잔디(G)를 예초하는 경우에는 인조잔디(4)의 높이를 갈음하여 더욱 높게 예초할 수 있어 예초 등의 잔디 관리작업을 누구나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도중 병충해 등으로 천연 잔디(G)가 고사해서 전체적인 녹색기반을 해칠 경우에는, 훼손된 부위만 해체하여 새로운 천연 잔디 조립 매트로 교환할 수 있음으로써 천연 잔디의 관리를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무농약 재배, 관리할 수 있는 이동식이며 환경친화적인 천연 잔디 조립 매트로서 부직포 위에서 천연 잔디를 재배할 때, 합성수지 재질의 인조잔디 매트를 결합함으로써 재배, 이동, 설치 사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천연 잔디 조립매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 비교적 두꺼운 부직포로 형성되는 부직포기재(1)와; 부직포기재(1)의 상부에 살포되는 배양토에 혼합된 종자층(2)과; 종자층(2)을 복개하는 얇은 펄프재질의 부직포층(3)과; 수직으로 뻗은 일정길이의 인조잔디(4)와 생육공(5)을 전면에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봉(6)을 다수 형성하며 사방 외측연에 연결고리(7)와 연결훅(8)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한 합성수지재 인조잔디매트(9)를 구비하여서 되는 천연 잔디 조립매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1426U KR200435714Y1 (ko) | 2006-08-10 | 2006-08-10 | 천연 잔디 조립 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1426U KR200435714Y1 (ko) | 2006-08-10 | 2006-08-10 | 천연 잔디 조립 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714Y1 true KR200435714Y1 (ko) | 2007-02-09 |
Family
ID=4508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14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5714Y1 (ko) | 2006-08-10 | 2006-08-10 | 천연 잔디 조립 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714Y1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4276B1 (ko) | 2007-12-12 | 2008-10-17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복합잔디 및 이의 생육관리방법 |
KR200451272Y1 (ko) | 2008-07-17 | 2010-12-07 | 백점숙 |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
KR20160080710A (ko) * | 2014-12-30 | 2016-07-08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인조잔디용 파일사 및 그 제조방법 |
KR101886168B1 (ko) * | 2018-03-07 | 2018-08-09 | 나눔스포텍 주식회사 | 재생 인조잔디매트를 활용한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복합체 제조방법 |
KR101912447B1 (ko) * | 2018-07-13 | 2018-10-26 |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
KR20180128137A (ko) * | 2017-05-23 | 2018-12-03 | 주식회사 한울 | 잔디 모듈 |
KR101929204B1 (ko) * | 2018-08-09 | 2018-12-14 |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 배수성이 뛰어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
KR101938792B1 (ko) * | 2018-06-29 | 2019-01-15 | 휴그린테크 주식회사 | 인조잔디의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배수판 |
KR101938795B1 (ko) * | 2018-06-29 | 2019-01-15 | 휴그린테크 주식회사 |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
KR101977180B1 (ko) * | 2018-12-31 | 2019-05-10 |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 인조잔디매트 제조과정에서 기포지 재활용을 위한 회수방법 |
KR20190058253A (ko) * | 2017-11-21 | 2019-05-29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
KR102000917B1 (ko) * | 2018-01-11 | 2019-07-17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구조체 |
KR102065876B1 (ko) * | 2019-05-21 | 2020-01-13 | 이성림 | 식생 토낭을 이용한 친환경 및 천연 잔디형 복합 잔디 구조체 |
KR102277615B1 (ko) | 2020-11-12 | 2021-07-14 | 안산도시공사 | 이동식 천연잔디 매트의 설치구조 |
-
2006
- 2006-08-10 KR KR2020060021426U patent/KR200435714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4276B1 (ko) | 2007-12-12 | 2008-10-17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복합잔디 및 이의 생육관리방법 |
KR200451272Y1 (ko) | 2008-07-17 | 2010-12-07 | 백점숙 |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
KR20160080710A (ko) * | 2014-12-30 | 2016-07-08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인조잔디용 파일사 및 그 제조방법 |
KR101939148B1 (ko) * | 2014-12-30 | 2019-01-17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
KR20180128137A (ko) * | 2017-05-23 | 2018-12-03 | 주식회사 한울 | 잔디 모듈 |
KR101989538B1 (ko) * | 2017-05-23 | 2019-06-14 | 주식회사 한울 | 잔디 모듈 |
KR20190058253A (ko) * | 2017-11-21 | 2019-05-29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
KR101995797B1 (ko) * | 2017-11-21 | 2019-07-03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
KR102000917B1 (ko) * | 2018-01-11 | 2019-07-17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 구조체 |
KR101886168B1 (ko) * | 2018-03-07 | 2018-08-09 | 나눔스포텍 주식회사 | 재생 인조잔디매트를 활용한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복합체 제조방법 |
KR101938795B1 (ko) * | 2018-06-29 | 2019-01-15 | 휴그린테크 주식회사 | 인조잔디의 탄성패드를 이용한 배수판 |
KR101938792B1 (ko) * | 2018-06-29 | 2019-01-15 | 휴그린테크 주식회사 | 인조잔디의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배수판 |
KR101912447B1 (ko) * | 2018-07-13 | 2018-10-26 | 주식회사 앙투카에스엘 | 3중 구조로 된 인조잔디 시스템 |
KR101929204B1 (ko) * | 2018-08-09 | 2018-12-14 |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 배수성이 뛰어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
KR101977180B1 (ko) * | 2018-12-31 | 2019-05-10 |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 인조잔디매트 제조과정에서 기포지 재활용을 위한 회수방법 |
KR102065876B1 (ko) * | 2019-05-21 | 2020-01-13 | 이성림 | 식생 토낭을 이용한 친환경 및 천연 잔디형 복합 잔디 구조체 |
KR102277615B1 (ko) | 2020-11-12 | 2021-07-14 | 안산도시공사 | 이동식 천연잔디 매트의 설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5714Y1 (ko) | 천연 잔디 조립 매트 | |
CN101347080B (zh) | 新型无基质草毯的种植方法 | |
WO1996003027A1 (fr) | Structure en feuille pour la croissance des plantes, structure en feuille pour la croissance du gazon naturel, procede pour faire pousser du gazon et procede pour poser des structures en feuille portant du gazon | |
KR100876007B1 (ko) | 무토양잔디 | |
KR20080056419A (ko) |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 |
CN104737735A (zh) | 一种利用原土种植进行滨海盐碱地和/或海岸滩涂盐碱地生态绿化的方法 | |
JP6436617B2 (ja) | 芝生の施工方法 | |
KR100960977B1 (ko) | 일체형 빅롤 잔디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9156256A (zh) | 一种新建梨园立体多效种植结构及方法 | |
KR100518280B1 (ko) | 식생식물근부표면 보호피복재 | |
KR100580927B1 (ko) |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 |
CN105684704A (zh) | 一种霍山石斛立体式栽培方法 | |
KR20070034243A (ko) | 무토잔디용 생육포 | |
JP2012191879A (ja) | コケ緑化基材、コケ緑化基材ユニット及びコケ緑化用基板 | |
CN106982696A (zh) | 一种棕榈树的栽培方法 | |
JP2017012034A (ja) | 草コモ緑化シート、及び施工方法 | |
KR100630160B1 (ko) | 무토양 잔디 | |
JP2005034045A (ja) | 植物栽培装置 | |
Hathi et al. | Lawn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 |
KR200368744Y1 (ko) | 무토양 잔디 | |
KR100779502B1 (ko) | 벼의 부산물을 활용한 잔디재배방법 | |
CN110089324A (zh) | 一种锥栗、灵芝和八角金莲三位一体的种植方法 | |
KR200388494Y1 (ko) |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 | |
JP3116273U (ja) | Tk薄型植栽マット体 | |
CN108012800A (zh) | 一种石蒜与三角紫叶酢浆草观赏林下混合种植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8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7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1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2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2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