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23512Y1 -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512Y1
KR200423512Y1 KR2020060012005U KR20060012005U KR200423512Y1 KR 200423512 Y1 KR200423512 Y1 KR 200423512Y1 KR 2020060012005 U KR2020060012005 U KR 2020060012005U KR 20060012005 U KR20060012005 U KR 20060012005U KR 200423512 Y1 KR200423512 Y1 KR 200423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rod
hydraulic cylinder
rock drilling
r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철수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수,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철수
Priority to KR2020060012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5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 천공 장치의 본체가 굴삭기에 체결되는 브래킷 상에서 측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암반을 직접 파쇄하는 파쇄회전체가 이중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됨으로써, 암반 천공 작업시 암반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파쇄할 수 있고, 파쇄회전체의 상하 스트로크를 이중 유압실린더의 단계적인 피스톤의 승하강운동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암반 천공 작업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에 브래킷이 설치되는 브래킷설치부가 구비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착지돌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기립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삽입된 연결구를 통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압모터의 의해 회전하면서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회전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피스톤로드가 내부에 삽입설치된 보조실린더를 내부에 별도로 수용한 주실린더로 이루어진 이중 유압실린더가 고정되어 파쇄회전체의 연결구와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의 주실린더와 보조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된 유압파이프로 유출입하는 유압유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승하강하면서 파쇄회전체의 승강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가 제공된다.
굴삭기, 암반 천공 장치, 이중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A rock drilling apparatus with double oil pressure cylinder for excavator}
도 1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중 유압실린더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파쇄회전체가 하강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파쇄회전체가 상승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본체가 측방향으로의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암반천공장치가 부착된 굴착기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가이드축 3 : 파쇄회전체
4 : 유압실린더 5 : 브래킷설치부 6 : 브래킷
7 : 착지돌기 8 : 연결구 9 : 유압모터
10 : 굴착비트 11 : 주실린더 12 : 보조실린더
13 : 피스톤로드 14 : 상단 유압파이프 14' : 중단 유압파이프
14" : 하단 유압파이프 15 : 단턱 16, 16' : 돌부
17 : 유압유 유출입부 18 : 베어링 19 : 걸림단
20, 20' : 걸림턱 21 : 굴삭기 22, 22': 연결구
23: 각도조절공 24 : 각도조절대 100 : 암반천공장치
본 고안은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 천공 장치의 본체가 굴삭기에 체결되는 브래킷 상에서 측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암반을 직접 파쇄하는 파쇄회전체가 이중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됨으로써, 암반 천공 작업시 암반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파쇄할 수 있고, 파쇄회전체의 상하 스트로크를 이중 유압실린더의 단계적인 피스톤의 승하강운동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암반 천공 작업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 천공 장치는 지반의 굴착 작업시 지면이나 지하에 묻혀진 암반을 용이하게 파쇄하기 위해 굴삭기의 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기계장치로, 선단에 천공비트가 설치된 파쇄회전체가 회전을 하면서 암반을 파쇄하게 된다.
이러한 암반 천공 장치는 상면에 암반 천공 장치를 굴삭기에 장착시키기 위 한 브래킷이 설치된 브래킷설치부가 구비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착지돌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기립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삽입된 연결구를 통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압모터의 의해 회전하면서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회전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파쇄회전체는 주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결합되어 피스톤 작용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암반 천공 장치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일정길이만큼 하측으로 밀면서 피스톤로드와 결합되어 있는 파쇄회전체가 암반을 점진적으로 파쇄하면서 하강하도록 한 다음, 다시 상기 피스톤로드를 원래의 위치로 잡아당겨 파쇄회전체를 상승시켜 암반의 파쇄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천공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암반의 파쇄작업의 진행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유압장치의 특성상 상기 피스톤로드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킴에 따라 에너지의 낭비 및 작업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암반 천공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암반을 직접 파쇄하는 파쇄회전체가 이중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체결되어 상기 파쇄회전체의 상하 스트로크를 이중 유압실린더의 단계적인 피스톤의 승하강운동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암반 천공 작업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상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이중 유압실린더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파쇄회전체가 하강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파쇄회전체가 상승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본체가 측방향으로의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암반천공장치가 부착된 굴착기의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100)는, 상면에 브래킷(6)이 설치되는 브래킷설치부(5)가 구비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착지돌기(7)가 설치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기립설치되는 가이드축(2)과; 상기 가이드축(2)에 삽입된 연결구(8)를 통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압모터(9)의 의해 회전하면서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회전체(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면에 피스톤로드(13)가 내부에 삽입설치된 보조실린더(12)를 내부에 별도로 수용한 주실린더(11)로 이루어진 이중 유압실린더(4)가 고정되어 파쇄회전체(3)의 연결구(8)와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로드(13)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의 측면에 형성된 유압파이프(14)(14')(14")로 유출입하는 유압유에 의해 피스톤로드(13)가 승하강하면서 파쇄회전체(3)의 승강을 제어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의 브래킷설치부(5)는 힌지기능을 겸비한 연결구(22)(22')에 의해 양측이 브래킷(6)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22)(22') 중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각도조절공(2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각도조절대(24)가 설치되어 본체(1)를 측방향으로의 다양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의 하단은 각각 걸림턱(20)(20')을 이루어 내입된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의 상단은 각각 돌부(16)(16')를 이루어 주실린더(11)나 보조실린더(1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돌부(16)(1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실린더(11)나 보조실린더(12)의 내부공간이 분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주실린더(11), 보조실린더(12), 피스톤로드(13)는 길이가 서로 달리 형성되어 파쇄회전체(3)의 승강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는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과,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 베어링(18)이 설치되어 원활한 상하이동과 유압유의 외부유출방지를 도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암반천공장치(100)는 암반과 접촉하는 파쇄회전체(3)가 도 1과 도 3과 같이 이중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로드(13)와 결합되어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단계적인 피스톤 작용에 의해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진행상황에 따른 파쇄회전체(3)의 하강길이 및 상승길이의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암반천공작업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는 도 2와 같이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주실린더(11)에 보조실린더(12)가 내입되고, 상기 보조실린더(12)의 내부에 피스톤로드(13)가 삽입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실린더(11)에 내입된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가 암반천공작업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상하이동함으로써 파쇄회전체(3)의 승강을 제어하게 된다.
즉, 이중 유압실린더(4)의 외면에는 유압유가 유출입하는 일정개수의 유압파이프(14)(14')(14")가 내부와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유압파이프(14)(14')(14")의 유압유의 유출입을 제어함으로써 유압실린더(4)를 구성하는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의 상하이동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파쇄회전체(3)의 승강이 단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중 유압실린더(4)의 주실린더(11)는 내부 상단에 보조실린더(12)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단턱(15)을 형성시키고, 상기 단턱(15) 사이에 일정크기의 유압유 유출입부(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유 유출입부(17)와 연결되는 상단 유압파이프(14)가 주실린더(11)의 상부 외면에 고정설치되어 유압유가 주실린더(11)의 상측 내부로 유출입하게 된다.
상기 주실린더(11)에는 보조실린더(12)가 내입되어 있는데, 내입된 보조실린더(12)가 주실린더(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주실린더(11)의 하단은 걸림턱(20)으 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20)의 상면에 내입되는 중단 유압파이프(14')가 주실린더(11)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유압유가 주실린더(11)의 하측 내부로 유출입하게 된다.
상기 보조실린더(12)는 외경이 주실린더(11)의 내경보다 일정길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 사이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공간으로 상기 중단 유압파이프(14')로 유입되는 유압유가 충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실린더(12)의 상단은 일정두께의 돌부(16)로 형성시켜 보조실린더(12)가 주실린더(1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상기 보조실린더(12)의 돌부(16)에 의해 주실린더(11)의 상단 유압파이프(14) 및 중단 유압파이프(14')로 유출입하는 유압유는 서로 별도로 분리되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실린더(12)의 내부에 피스톤로드(13)가 삽입설치되는데, 상기 피스톤로드(13)가 보조실린더(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실린더(12)의 하단은 걸림턱(20')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20')의 상면에 내입되는 하단 유압파이프(14")가 보조실린더(12)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유압유가 보조실린더(12)의 내부로 유출입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3)는 외경이 보조실린더(12)의 내경보다 일정길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 사이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공간으로 상기 하단 유압파이프(14")로 유입되는 유압유가 충진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3)의 상단은 일정두께의 돌부(16')로 형성시켜 피스톤로드(13)가 주실린더(1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상기 피스톤로드(13)의 돌부(16')에 의해 상기 하단 유압파이프(14")로 유입되어 충진되는 유압유가 피스톤로드(13)의 상측으로는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13)는 하측에 걸림단(19)이 형성되어 보조실린더(12)의 하부 외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피스톤로드(13)의 상승시 필요이상으로 보조실린더(12)의 내부로 내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중 유압실린더(4)를 구성하는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는 유압에 의해 상하이동하게 되는데,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가 서로 밀착되는 주실린더(11)의 걸림턱(20)과, 보조실린더(12)의 돌부(16), 그리고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가 서로 밀착되는 보조실린더(12)의 걸림턱(20')과, 피스톤로드(13)의 돌부(16')에는 각각 베어링(18)이 고정설치되게 된다.
상기 베어링(18)의 상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상단/중단/하단 유압파이프(14)(14')(14")에 의해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유출입하는 유압유가 각각의 공간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기능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4)를 구성하는 주실린더(11), 보조실린더(12), 피스톤로드(13)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파쇄회전체(3)가 암반을 천공하는 작업환경의 상태에 따라 승강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 유압실린더(4)와 연결된 파쇄회전체(3)는 하강길이 및 상승길이가 조절되면서 승강하게 된다.
상기 파쇄회전체(3)가 암반을 지속적으로 파쇄하도록 파쇄회전체(3)를 하강시키는 과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압실린더(4)와 연결된 상단 유압파이프(14)로 유압유를 유입시키는데, 상기 유압유는 주실린더(11)의 유압유 유출입부(17)로 유입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보조실린더(12)의 내부공간 및 보조실린더(12) 상측의 주실린더(11) 내부공간을 충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보조실린더(12) 및 보조실린더(12) 내부의 피스톤로드(13)가 하강하면서 파쇄회전체(3)를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보조실린더(12)의 돌부(16) 하측의 주실린더(11) 내부공간 및 피스톤로드(13)의 돌부(16') 하측의 보조실린더(12) 내부공간에 별도의 유압유가 충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의 하강시 상기 유압유는 중단 유압파이프(14') 및 하단 유압파이프(1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파쇄회전체(3)의 암반천공작업이 상대적으로 깊은 위치에까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파쇄회전체(3)의 하강길이가 길어지도록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를 모두 하강시킨 것인데, 암반천공작업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보조실린더(12) 만을 하강시키거나, 피스톤로드(13) 만을 하강시켜 하강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실린더(12)만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피스톤로드(13)의 돌부(16') 하측의 보조실린더(12) 내부공간에 유압유가 충진되도록 하면서 주실린더(11)의 상단 유압파이프(14)로 유압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실린더(11)의 상측 내부 공간으로 유압유가 충진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주실린더(11)의 상측 내부 공간을 충진하는 유압유에 의해 하강하는 보조실린더(12)의 상면으로는 일정크기의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유압에 의해 피스톤로드(13)가 하강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3)의 돌부(16') 하측의 보조실린더(12) 내부공간에 충진된 유압유가 하단 유압파이프(14")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하단 유압파이프(14")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달리 피스톤로드(13)만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단 유압파이프(14)로 유압유를 유입시키는 한편, 내부공간이 충진된 보조실린더(12)의 돌부(16) 하측의 주실린더(11) 내부공간과 연결된 중단 유압파이프(14')는 폐쇄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의 수직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보조실린더(12) 또는 피스톤로드(13) 중 어느 하나만을 하강시킴으로써 암반천공작업의 조건이나 상황에 따른 파쇄회전체(3)의 하강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쇄회전체(3)가 하강하면서 암반천공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파쇄된 암반조각들이 쌓이게 되는데, 이를 적절하게 제거해야 원활한 암반천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파쇄회전체(3)를 상승시키는 과정이 도 5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쇄회전체(3)를 상승시키는 것은 파쇄회전체(3)의 하측의 파쇄된 암반조각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하강되어 있는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를 모두 상승시켜 원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하단 유압파이프(14")를 통하여 피스톤로드(13)의 돌부(16') 하측의 보조실린더(12) 내부공간으로만 유압유를 유입시키고, 주실린더(11) 상측의 상단 유압파이프(14)로는 유압유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보조실린더(12)는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피스톤로드(13)만 상승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암반천공작업의 조건과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실린더(12)도 상승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중단 유압파이프(14')를 통하여 보조실린더(12)의 돌부(16) 하측의 주실린더(11) 내부공간으로도 유압유를 유입시켜 보조실린더(12)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의 단계적인 승강작업을 몇가지 조건에 한정시켜 예시하였으나, 암반천공작업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상기에서 예시한 승강작업 이외의 다양한 조건으로도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본체(1)의 브래킷설치부(5)가 힌지기능을 겸비한 연결구(22)(22')에 의해 양측이 브래킷(6)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22')의 사이에 다수개의 각도조절공(2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각도조절대(24)가 설치됨으로써 본체(1)를 측방향으로 상기 각도조절공(23)에 따른 다양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암반 천공 작업시에 굴삭기(21)와 암반과의 파쇄각도가 바르지 못할 경우 상기와 같이 본체(1)를 측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로 조절함으로써, 암반과의 파쇄각도를 이상적으로 맞출 수 있게 되어 암반 파쇄 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암반을 직접 파쇄하는 파쇄회전체(3)가 이중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로드(13)와 결합되어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단계적인 피스톤 작용에 의해 승강되게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진행상황에 따른 파쇄회전체(3)의 하강길이 및 상승길이의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브래킷설치부(5)와 브래킷(6)의 연결구조에 의해 본체(1)를 측방향으로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암반의 파쇄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암반 천공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면에 브래킷(6)이 설치되는 브래킷설치부(5)가 구비되고, 저면에 다수개의 착지돌기(7)가 설치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기립설치되는 가이드축(2)과; 상기 가이드축(2)에 삽입된 연결구(8)를 통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압모터(9)의 의해 회전하면서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회전체(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상면에 피스톤로드(13)가 내부에 삽입설치된 보조실린더(12)를 내부에 별도로 수용한 주실린더(11)로 이루어진 이중 유압실린더(4)가 고정되어 파쇄회전체(3)의 연결구(8)와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피스톤로드(13)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이중 유압실린더(4)의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의 측면에 형성된 유압파이프(14)(14')(14")로 유출입하는 유압유에 의해 피스톤로드(13)가 승하강하면서 파쇄회전체(3)의 승강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의 브래킷설치부(5)는 힌지기능을 겸비한 연결구(22)(22')에 의해 양측이 브래킷(6)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22)(22') 중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각도조절공(2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각도조절대(24)가 설치되어 본체(1)가 측방향으로의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도록 한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의 하단은 각각 걸림턱(20)(20')을 이루어 내입된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의 상단은 각각 돌부(16)(16')를 이루어 주실린더(11)나 보조실린더(1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돌부(16)(1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실린더(11)나 보조실린더(12)의 내부공간이 분리 형성되도록 한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주실린더(11), 보조실린더(12), 피스톤로드(13)는 길이가 서로 달리 형성되어 파쇄회전체(3)의 승강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이중 유압실린더(4)는 주실린더(11)와 보조실린더(12)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과, 보조실린더(12)와 피스톤로드(13)가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 베어링(18)이 설치되어 원활한 상하이동과 유압유의 외부유출방지를 도모한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KR2020060012005U 2006-05-04 2006-05-04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23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05U KR200423512Y1 (ko) 2006-05-04 2006-05-04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005U KR200423512Y1 (ko) 2006-05-04 2006-05-04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512Y1 true KR200423512Y1 (ko) 2006-08-09

Family

ID=4177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00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3512Y1 (ko) 2006-05-04 2006-05-04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51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81B1 (ko) * 2008-12-18 2009-08-31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굴삭기용 암반 수평 천공 장치
KR101081032B1 (ko) * 2010-08-23 2011-11-09 박정열 천공기와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20160039320A (ko) * 2014-10-01 2016-04-11 김희영 굴삭기용 암반 천공장치
KR20210142244A (ko) * 2020-05-18 2021-11-25 이기창 수직 원형 굴착용 천공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81B1 (ko) * 2008-12-18 2009-08-31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굴삭기용 암반 수평 천공 장치
KR101081032B1 (ko) * 2010-08-23 2011-11-09 박정열 천공기와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20160039320A (ko) * 2014-10-01 2016-04-11 김희영 굴삭기용 암반 천공장치
KR101658371B1 (ko) 2014-10-01 2016-09-21 김희영 굴삭기용 암반 천공장치
KR20210142244A (ko) * 2020-05-18 2021-11-25 이기창 수직 원형 굴착용 천공 장치
KR102381812B1 (ko) 2020-05-18 2022-03-31 이기창 수직 원형 굴착용 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0991C (en) Foundation for suction in installation of conductor casing
RU2712866C2 (ru) Бурильная система с установкой для расширения ствола
RU2539062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монтажу буровых штанг для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101367359B1 (ko) 회전식 이동판을 구비한 확장용 굴착 함마
KR200423512Y1 (ko)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MX2007014765A (es) Aparato y metodo para colocar tuberia de revestimiento o tubo conductor.
CN206129240U (zh) 液压多功能刮壁工具
CN103982135B (zh) 旋挖桩机孔底注水变齿多功能穿岩钻
JP6019822B2 (ja) 地下水の排水装置及び方法
KR100636594B1 (ko) 지면에 보어홀을 뚫는 방법 및 습식보링기
US9562412B2 (en) Detachable capping device and method for an oil/gas well under blowout conditions
KR20100137340A (ko) 확장형 함마
KR20000070517A (ko) 해면에서 가이드 팁을 사용하여 보어 홀을 파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644483B (zh) 桥梁水下桩基施工装置
JP7316067B2 (ja) 管状体の回転圧入方法、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管状体の回転圧入装置
CN104389515B (zh) 一种液压钻机冲击锤
RU2151264C1 (ru) Агрегат с непрерывной колонной гибких труб для ремонта скважин, оборудованных штанговыми насосами
KR100476978B1 (ko) 암반굴착장치
ES2763384T3 (es) Perforación a percusión con taladro percutor accionado por fluido de alta frecuencia en formaciones duras
KR101280997B1 (ko) 지반 굴착기용 슬라이딩 로드
US20140008078A1 (en) Slip joint for downhole tubing
RU196644U1 (ru) Секци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крепи
GB2522063A (en) Drill String Stabiliser Assembly
RU2795402C2 (ru) Компоновка для расширения ствола шахты для буровой системы
KR102119658B1 (ko) 에어함마 굴착장치용 블라인드식 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5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5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203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31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