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024Y1 - Pumping vessel - Google Patents
Pumping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3024Y1 KR200423024Y1 KR2020060005537U KR20060005537U KR200423024Y1 KR 200423024 Y1 KR200423024 Y1 KR 200423024Y1 KR 2020060005537 U KR2020060005537 U KR 2020060005537U KR 20060005537 U KR20060005537 U KR 20060005537U KR 200423024 Y1 KR200423024 Y1 KR 2004230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main body
- liquid material
- sub
- pum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핑 용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umping vessel.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의 물질이 개재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조절턱이 복수 마련된 서브 바디와; 서브 바디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액상물질을 흡입하며, 일측에는 흡입된 액상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가 연장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서브 바디상의 조절턱을 통해 필요한 량을 정확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의 오목한 바닥면과 노즐상의 무게추등을 통해 미세한 량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portion that can be interposed the liquid material therein; It is provided integrally to have a relatively small diamet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ne side and the sub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ment jaw; A nozzle extending from an outer side of the sub body toward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interlocked up and down to suck the liquid material therein, and one side of the nozzle having an outlet for extending the sucked liquid material to the outside; As it is included, it can be used to accurately discharge the required amount through the adjustment jaw on the sub-body, it is possible to use all the fine amount through the concav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weight on the nozzle.
또한 걸림쇠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불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unnecessary liquid material by the user's mistake through the latch.
결과적으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merchandise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employing it.
펌핑 용기, 노즐, 메인 바디, 서브 바디, 무게추, 걸림쇠, 누름쇠 Pumping Vessel, Nozzle, Main Body, Subbody, Weight, Brace, Clamp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ump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메인 바디 110 : (오목한)바닥면100: main body 110: (concave) bottom
200 : 서브 바디 210 : 조절턱200: sub body 210: adjustment jaw
220 : 걸림쇠 300 : 노즐220: latch 300: nozzle
310 : 유출구 320 : 누름쇠310: outlet 320: pressing
330 : 무게추330 weight
본 고안은 펌핑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물질 예컨대 화장품이나 샴프 및 기타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여 이를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mping container for storing a liquid material such as cosmetics or shampoos and other liquid materials and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as necessary.
일반적으로 액상 화장품이나 샴프등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용기의 통상적인 구조를 보면, 내부에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바디를 구비하고, 바디의 상부에 노즐을 개재하여, 노즐의 상,하 연동 작용을 통해 내부의 액상 물질을 배출시킴으로써 이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In general,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using a liquid substance, such as liquid cosmetics or shampoo, has a body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liquid substance therein, and through the nozzle on the top of the body, the nozzle Through the interlocking ac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quid substances inside it to use it.
그러나 이러한 종래 펌핑 용기에 있어서는, 바디의 공간부상에 마련된 액상 화장품을 알뜰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이를 통해 환경 오염 및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umping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liquid cosmetics provided on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in a reasonable pric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nomic losses.
이와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이유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의 바닥면이 편평한 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노즐을 통해 흡입 배출할 수 있는 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This problem occurs because, as shown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is a flat surface because the amount that can be sucked out through the nozzle is limited.
즉, 넓게 퍼져 있는 액상 화장품을 모두 흡입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이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즐을 분리 시킨후, 직접 유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That is, it 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inhale all the liquid cosmetics that are widely spread, and in order to use all of them,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irectly discharge after separating the nozzle.
또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노즐을 너무 깊이 눌렀을 경우 또는 작게 눌렀을 경우에는 너무 많은 량 또는 적은 량의 액상 물질이 토출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야기된다.In addition, when the nozzle is pressed too deep or too small by a mistake of the user, too much or a small amount of the liquid material is discharged to cause a problem that is followed by inconvenience in use.
이외에도 사용자의 실수나 충격등에 의해 필요로 하지 않는 액상 물질이 토출됨으로써 이 또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of a liquid material that is not required by a user's mistake or impact, etc., also causes inconvenience in use.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상 물질을 토출시킴에 있어서, 필요한 량을 정확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세한 량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불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펌핑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n discharging a liquid materia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scharge the required amount, it is possible to use all the fine amount, unnecessary liquid due to user erro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umping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material.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물질이 개재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계단 형태의 조절턱이 복수 마련된 서브 바디와; 상기 서브 바디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의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액상물질을 흡입하며, 일측에는 흡입된 액상 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가 연장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서브 바디의 일측에는 노즐의 상,하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통구멍과 이에 결합되어 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걸림쇠가 개재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서브 바디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노즐의 상부 일측면 사이에는 일단이 서브 바디상에 결합되고, 타단이 노즐에 접촉되어 노즐에 상부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누름쇠가 개재된 것에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ump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in which a liquid substance may be interposed therein; A sub body provided integrally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have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on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stepped adjustment jaws are provided; A nozzle extending from an outer side of the sub body toward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interlocked up and down to suck the liquid material therein, and one side of the nozzle having an outlet for extending the sucked liquid material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including the.
One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ne side of the sub-body is interposed with a through hol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up and down linkage of the nozzle and a latch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nozzle.
Another desi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ne end is coupled between the one side of the sub body 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nozzle corresponding to,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nozzle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the upper direction to the nozzle There is a push for interve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메인 바디의 바닥면은 중심부가 오목 한 경사면을 이루며, 노즐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는 무게추가 개재된 것에 있다.Another desi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forms a concave inclined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nozzle is that the weight that can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is interposed.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uch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pump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는, 크게 메인 바디(main body;100)와 서브 바디(sub body;200) 및 노즐(nozzle;300)로 대별된다.As shown therein, the pump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메인 바디(100)는 액상의 물질 즉, 샴프나 화장품 기타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액상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부가 마련된다. The
이때 도시된 것은 메인 바디(100)의 단면 형상이 원통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단면 형상을 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In this case, althoug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서브 바디(200)는, 메인 바디(100)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채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하향 경사 방향으로 계단 형상의 조절턱(210)이 마련된다. The
노즐(300)은, 펌핑 동작을 통해 메인 바디(100)상에 마련된 액상 물질을 토출시켜 사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서브 바디(200)의 외측으로부터 메인 바디(100)의 내측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며, 특히 펌핑 동작을 위하여 상,하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이 노즐(300)의 일측에는 펌핑 동작을 통해 흡입한 액상 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310)가 마련된다.One side of the
한편, 전술한 서브 바디(200)의 일측에는 노즐(300)의 상,하 연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통구멍과 이에 결합되는 걸림쇠(220)를 마련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사용자의 실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원하지 않은 액상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걸림쇠(220)가 관통구멍을 통해 노즐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That is, the
또한 서브 바디(20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노즐(300)의 상부 일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누름쇠(320)를 개재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노즐(300)의 펌핑 동작 완료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즉, 누름쇠(320)의 일단은 서브 바디(200)상에 고정되고, 타단이 노즐(300)의 상부 일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노즐(300)의 가압동작시 노즐(300)를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terpose a
That is, one end of the
한편, 전술한 메인 바디(100)의 바닥면(110)은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밀접되게 위치된 노즐(300)의 하단부에는 구 형상의 무게추(330)을 개재함이 더욱 바람직한 바, 이는 무게추(330)가 항시 메인 바디(100)의 바닥면(110) 중심부에 위치됨으로써 메인 바디(100)에 내장된 액상 물질을 알뜰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는, 메인 바디(100)의 바닥면(110)이 중심부가 오목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대응되는 위치에 무게추(330)를 통한 노즐(300)의 하단부가 항시 위치됨으로써 액상 물질을 남김없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e pump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서브 바디(200)상에 조절턱(21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량을 적정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며, 일측에 마련된 걸림쇠(220)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나 외부 충격에 의한 노즐(300)의 펌핑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원하지 않은 액상 물질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justing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make a variety of varia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펌핑 용기에 의하면, 서브 바디상의 조절턱을 통해 필요한 량을 정확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의 오목한 바닥면과 노즐상의 무게추등을 통해 미세한 량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ump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scharge the required amount through the adjustment jaw on the sub body, and to use all the fine amount through the concav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weight on the nozzle. It is possible.
또한 걸림쇠를 통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불필요한 액상 물질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unnecessary liquid material by the user's mistake through the latch.
결과적으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merchandise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employing i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537U KR200423024Y1 (en) | 2006-02-28 | 2006-02-28 | Pumping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537U KR200423024Y1 (en) | 2006-02-28 | 2006-02-28 | Pumping vess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3024Y1 true KR200423024Y1 (en) | 2006-08-02 |
Family
ID=4177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5537U Ceased KR200423024Y1 (en) | 2006-02-28 | 2006-02-28 | Pumping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3024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3942A (en) * | 2016-12-02 | 2018-06-14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KR20210134157A (en) * | 2020-04-29 | 2021-11-09 | 주식회사 더퍼플 | A case |
-
2006
- 2006-02-28 KR KR2020060005537U patent/KR200423024Y1/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3942A (en) * | 2016-12-02 | 2018-06-14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KR101950889B1 (en) * | 2016-12-02 | 2019-05-13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KR20210134157A (en) * | 2020-04-29 | 2021-11-09 | 주식회사 더퍼플 | A case |
KR102438703B1 (en) * | 2020-04-29 | 2022-09-02 | 주식회사 더퍼플 | multifunctional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78923B2 (en) | Pumping cosmetic container | |
CN104717901B (en) | Cream type cosmetics containers | |
KR200476949Y1 (en) | A cosmetic container for sotoraging and discharging two contents | |
KR101219011B1 (en) | Dispenser pump button | |
KR101817077B1 (en) | Hand-Operated Dual Spray Device | |
KR101215420B1 (en) |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 |
KR101288327B1 (en) | Pop-Up Dropper | |
KR20150022355A (en) | a container | |
KR200423024Y1 (en) | Pumping vessel | |
KR100811777B1 (en) | Pumping device with folding nozzle | |
KR20160125326A (en) | Pump type container for toothpaste | |
JP2007502755A (en) | Push type dispenser device | |
KR200462480Y1 (en) | Dispenser of cosmetic vessel | |
KR200305762Y1 (en) | A container exhausted fixed quantity | |
JP2016055171A (en) | Pump-type dentifrice container with improved nozzle arrangement structure | |
KR101101288B1 (en) | Fluid reservoir with fluid suction means | |
CN205060344U (en) | Pump type toothpaste container | |
KR200241998Y1 (en) | Receptacle For Cosmetics Having Discharge Pump | |
KR102649598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micro-ejection function | |
CN215902011U (en) | Pump container | |
KR200403884Y1 (en) | The working structure for nozzle of pump dispenser | |
KR20130000272A (en) | Liquid cosmetic containers | |
KR200339891Y1 (en) | Fixed quantity exhaust cap of fluid courage | |
JP5883666B2 (en) | Cup type container | |
KR20200000583U (en) | Pump Dispen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2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UC2102 | Extinguishment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5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