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328Y1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ush button for deflation of air and a dually sealed structure of air-hole - Google Patent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ush button for deflation of air and a dually sealed structure of air-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2328Y1 KR200422328Y1 KR2020060011992U KR20060011992U KR200422328Y1 KR 200422328 Y1 KR200422328 Y1 KR 200422328Y1 KR 2020060011992 U KR2020060011992 U KR 2020060011992U KR 20060011992 U KR20060011992 U KR 20060011992U KR 200422328 Y1 KR200422328 Y1 KR 2004223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ntainer
- air discharge
- beverage
- beverage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 내에 따뜻한 우유나 물을 담게 되는 경우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수단이 장착되고 용기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누출방지가 보장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마개부를 구비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부와 마개부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마개부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용기부와 나선 결합되고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의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는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타측에는 스트로와 같은 음용수단과 함께 용기 내 음료를 상기 음용수단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으로부터의 음료 누출을 방지하는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에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히 에어배출 누름버튼의 압압에 의해 간편하게 용기 내의 고압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증기 배출을 위한 버튼 작동의 용이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함과 동시에 음용시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에어공으로부터의 음료의 외부 누출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용기 사용에 대한 신뢰도를 더한층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topper that is equipped with an ai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when the warm milk or water is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nd has a structure that is guaranteed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To a beverage container, the stopper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onsisting of a container portion and a stopper portion, the stopper is spirally coupled with the container port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pressurized air discharge to discharge the high-pressure steam on one side of the hemispherical stopper The button and the other side, together with the drinking means such as straw, the air discharge pr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ball having a double sealed structure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beverage from the air ball for smoothly supplying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to the drinking means By providing a beverage container with a button and air ball double sealing structure By simply pressing the air discharge pushbutton, the high pressure steam in the cont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ch greatly improves the ease of operation of the button for the user's steam discharge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during drinking. In addition, the external leakage of the beverage from the air ball can be prevented in a double,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use of the container.
음료용기, 음용수단, 에어공, 에어배출 버튼, 개폐부, Beverage container, drinking means, air ball, air discharge button, opening and closing part,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의 음료용기 마개부의 주요부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고, 1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cap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결합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마개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도 5a와 도 5b는 에어배출 누름버튼의 작동 전과 작동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d during operation of an air discharge push butt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부 20 : 마개부10: container 20: stopper
30 : 개폐부 31 : 개폐부 손잡이 30: opening and closing part 31: opening and closing handle
40 : 용기부 손잡이 50 : 에어 배출공40: handle of the container 50: air discharge hole
51 : 에어배출 누름버튼 52 : 버튼헤드51: air discharge push button 52: button head
53 : 완충부재 54 : 패킹고무53
55 : 하부끼움편 60 : 음용수단55: lower fitting 60: drinking means
61 : 내부 음용수단 62 : 무게추61: internal drinking means 62: weight
70 : 에어공 71 : 단턱70: air ball 71: step
72 : 밀봉 결절부재 80 : 힌지72: sealing nodular member 80: hinge
500 : 에어 배출공 요홈 520 : 버튼헤드 요홈500: air outlet hole groove 520: button head groove
600 : 연결구 700 : 수용요홈600: connector 700: receiving groove
310 : 걸림턱 801,802 : 제1,2고정턱310: locking jaw 801,802: first and second fixed jaw
본 고안은 용기부와 마개부로 구성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료용기 내에 따뜻한 우유나 물을 담게 되는 경우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수단이 장착되고 용기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누출방지가 보장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마개부를 구비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consisting of a container portion and a stopper,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warm milk or water is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s equipped with an air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in th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topper having a structure to prevent leakage of contents.
일반적으로, 유아나 소아용 음료용기는 따뜻한 우유나 물을 수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용기 내에 따뜻한 우유나 물을 수용하면 그 증기에 의해 용기 내의 압력이 외기보다 높게 되어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용을 하기 위해 마개부의 음용수단을 개방하게 되면 이 압력 차이 때문에 음료가 갑자기 분출할 위험성이 있어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배출수단을 구비하게 된다.In general, a beverage container for infants or children is used to accommodate the warm milk or water, and when the warm milk or water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pressure in the container is higher than the outside air by the steam, so the user stops to drink in this state. When the negative drinking means is opened, there is a risk that the beverage may be suddenly ejected due to this pressure difference, and thus an air discharge means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is risk.
또한, 용기 내 음료를 음용수단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음용하기 위해 음용수 단에 음료를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에어공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에어공을 통한 음료누출의 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drink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by using the drink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air ball so as to smoothly supply the beverage to the drinking wat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beverage leakage through the air bal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고안이 안출 제안되고 있는 바, 실용신안등록 제407247호에 의한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으로서 마개부에는 용기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빼기밸브와 스트로의 액체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에어공 등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한 사용과 용기내 음료의 원활한 공급 및 음용이 가능한 고안을 제안하고 있다.Various devis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devised by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07247 i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s, the air vent valve and straw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container in the closure portion By constructing an air ball for smoothly supplying the liquid, it is proposed a design that enables the safe use of the user and the smooth supply and drinking of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그러나,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등록고안은 에어빼기밸브를 사용하여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에어빼기밸브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즉, 한 손으로는 용기를 지지하고 다른 손으로 에어빼기밸브의 몸체 상부의 머리부분을 쥐고 에어빼기밸브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일정 거리 이상을 들어올려 주어야 용기 내의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에어 배출이 결코 용이하지 않게 되어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ure 1, the registration proposal is to lift the air bleed valve upward from below to discharge the air using the air bleed valve, that is, support the container with one hand and the air bleed valve with the other hand. Hold the head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lift the air bleed valve upwards or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op to discharge the high-pressure steam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is never easy to discharge air.
또한, 개폐캡에 의해 지지단턱 상으로 스트로의 일정 위치를 꺾어지게 절첩하여 스트로로부터의 음료누출은 방지되나 하부로 결절부를 갖는 에어공 상단은 상기 지지단턱과의 높이 차이 때문에 지지단턱에 의해 절첩되는 스트로는 에어공 상단을 이중으로 밀폐할 수 없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 에어공으로부터의 음료누출의 우려는 항시 상존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folding the opening cap to be folded to a certain position of the straw on the support step is prevented drink leakage from the straw, but the upper end of the air ball having a nodule portion is folded by the support step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support step The straw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air ball cannot be double sealed, and there is always a concern about the leakage of beverage from the air ball.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 내의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서 에어배출 누름버튼을 구비하여 한 손만을 사용하여 한 손으로 용기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상방에서 하방으로 원터치식으로 눌러주기만 하면 증기의 배출이 완료되는 마개부에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equipped with an air discharge push button as a discharge means for easily discharging the high-pressure steam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container with one hand using only one h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air discharge push button and an air ball double sealing structure at a stopper portion where steam is discharged simply by pressing one-touch typ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a fing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공으로의 음료누출의 방지를 위해 에어공의 상단의 일측부를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하여 에어공의 일측부가 단턱을 가지도록 하여 에어공의 일측부에 절첩되는 음용수단이 자연스럽게 에어공의 상단부를 밀폐시키게 되어 에어공 하단부의 밀봉 결절부재와 함께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하는 마개부에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air ball higher than the other side in order to prevent the beverage leakage into the air ball so that one side of the air ball has a step, the drinking means is folded to one side of the air ball naturally The upper end of the air ball is sealed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air discharge push button and an air ball double sealing structure at a stopper having a double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a sealing tub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air bal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부와 마개부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마개부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20)는 용기부(10)와 나선 결합되고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의 상기 마개부(20)의 일측에는 에어 배출공(50)에 삽입되고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에어배출 누름버튼(51)과 타측에는 스트로와 같은 음용수단(60)과 함께 용기 내 음료를 상기 음용수단(60)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70)으로부터의 음료 누출을 방지하는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에어공(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pper portion of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portion and a stopper portion, wherein the
상기 에어배출 누름버튼(51)은 버튼 헤드(52)와 주름형(일명 자바라형) 완충부재(53)와 패킹고무(54)와 하부 끼움편(5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상기 에어공(70)은 그 상단의 일측부를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하여 에어공(70)의 일측부가 단턱(71)을 가지도록 하여 에어공(7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절첩되는 음용수단(60)이 자연스럽게 에어공(70)의 상단부를 밀폐시키게 되어 상기 에어공(7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 결절부재(72)와 함께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의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구성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간략히 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to clar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의 음료용기 마개부의 주요부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마개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에어배출 누름버튼의 작동 전과 작동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stopper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portion, Figure 5a and 5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discharge push button.
본 고안의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음료용기는, 도 2 내지 도 5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와 이에 나선 결합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마개부(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마개부(20)에는 반구형의 일측에 에어 배출공(50)에 삽입되고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에어배출 누름버튼(51)과 타측에 스트로와 같은 음용수단(60)과 함께 용기 내 음료를 상기 음용수단에 원활 하게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70)으로부터의 음료 누출을 방지하는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에어공(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20)의 상부로 상기 음용수단(60)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부(30)가 상기 마개부(20)의 양측으로 형성된 힌지(80)에 의해 힌지 결합하면서 상기 마개부(20) 상부에 결합된다.Beverage container having an air discharge push button and air ball double seal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ures 2 to 5b, the
에어 배출공(50)에 삽입되는 상기 에어배출 누름버튼(51)은 버튼 헤드(52)와 주름형(일명 자바라형) 완충부재(53)와 패킹고무(54)와 하부 끼움편(55)으로 구성되어, 용기 내의 따뜻한 음료가 발생시키는 고압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먼저 상기 버튼 헤드(52)를 손가락으로 원터치식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압압하게 되면, 상기 하부 끼움편(55) 상에 위치한 상기 패킹고무(54)가 에어 배출공(50)의 하단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용기 내부는 상기 에어 배출공(5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게 되어 용기 내의 고압의 증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버튼 헤드(52)의 압압에 의해 상기 패킹고무(54)는 상기 에어 배출공(50)의 하단부에서 이격되고 고무 재질과 같은 연질의 탄성을 가진 상기 주름형 완충부재(53)는 상기 버튼 헤드(52)의 압압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가지면서 주름지게 접히게 되면서 상기 주름형 완충부재(53)의 내외부 공간을 통해 고압의 증기는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버튼 헤드(52)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요홈(520)과 이에 대응하여 엇갈려 결합하게 되는 상기 에어 배출공(5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요홈(500)을 통해 상방 이동된 고압의 증기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5A and 5B, the
상기 버튼 헤드(52)의 원터치식 압압이 종료되어 손가락을 놓으면 상기 에어 배출 누름버튼(51)은 탄성 복원력을 가진 상기 주름형 완충부재(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자동적으로 원상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 헤드(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요홈(520)과 이에 대응하여 엇갈려 결합하게 되는 에어 배출공(5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요홈(500)은 고압 증기의 상방으로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 헤드(52)와 상기 에어 배출공(50)의 결합을 긴밀하게 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게 된다.When the one-touch pressure of the
한편, 본 고안의 반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마개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에어공(70)은, 도 4를 참조하면, 그 상단의 일측부를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하여 에어공(70)의 일측부가 단턱(71)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개폐부(30)의 폐쇄작동에 의해 에어공(7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절첩되는 음용수단(60)이 자연스럽게 에어공(70)의 상단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밀폐구조를 구비하게 되고, 그 하단은 공지의 기술인 고무와 같은 연질의 밀봉 결절부재(72)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나 용기 내 음료의 외부 누출은 방지되게 되어 상기 에어공(70)은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하여 용기 내 음료의 외부 누출을 이중으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는 음료용기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간략히 설명하자면, 상기 마개부(20) 상으로 용기 내 연결구(600)에 의해 내부 음용수단(61)의 상단과 연결되는 음용수단(60)과 상기 마개부(20)의 양측으로 형성된 힌지(8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마개부(2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음용수단(60)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부(30)와 상기 내부 음용수단(61)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용기 내에서 유동 가능한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무게추(62)를 더 포함하고 있다.And,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known component, briefly described,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힌지(80)에 의해 좌우로 회동하면서 상기 음용수단(60)을 개폐하며 그 내면 중앙부로 상기 음용수단(60)을 상기 에어공 단턱(71)에 의해 절첩 수용하여 폐쇄하기 위한 수용요홈(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요홈(300) 측단부에 걸림턱(310)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부(20)의 상부 중앙에 제1,2고정턱(801,802)을 형성하여 개폐부(30)의 상기 걸림턱(310)과 마개부(20)의 상기 제1,2고정턱(801,802)에 의해 상기 개폐부(30)는 상기 마개부(20)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개폐부(30)는 개폐 작동시에 상기 마개부(20)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미설명 부호 40은 용기부의 손잡이이며 31은 개폐부의 손잡이이다.
상기에서 자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 음료용기는 한 손만을 사용하여 한 손으로 용기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손가락으로 에어배출 누름버튼을 간단하게 상방에서 하방으로 원터치식으로 눌러주기만 하면 간편하게 용기 내의 고압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증기 배출을 위한 버튼 작동의 용이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함과 동시에 음용시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에어공 하단부에 장착되는 1차 밀폐구조인 밀봉 결절부재와 함께 에어공의 상단의 일측부를 타측부보다 높게 형성하여 에어공의 일측부가 단턱을 가지도록 하여 이 단턱에 의해 에어공의 일측부에 절첩되는 음용수단이 자연스럽게 에어공의 상단부를 2차적으로 밀폐시켜 이러한 에 어공의 이중 밀폐구조에 의해 에어공으로부터의 음료의 외부 누출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용기 사용에 대한 신뢰도를 더한층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air discharge push button and an air ball double sea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container with one hand using only one hand and at the same time simply lifts the air discharge push button with a finger. One-touch pressing from the bottom to the outlet makes it easy to discharge the high-pressure steam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which greatly improves the ease of button operation for the user's steam discharge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during drinking.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air ball is form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together with the sealing nodular member, which is a primary sealing structur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air ball, so that one side of the air ball has a stepped portion. The folding drinking means naturally seals the upper end of the air ball so that the double mill Due to the clos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ouble prevent external leakage of the beverage from the air ball,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using the contain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1992U KR200422328Y1 (en) | 2006-05-04 | 2006-05-04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ush button for deflation of air and a dually sealed structure of air-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1992U KR200422328Y1 (en) | 2006-05-04 | 2006-05-04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ush button for deflation of air and a dually sealed structure of air-h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2328Y1 true KR200422328Y1 (en) | 2006-07-25 |
Family
ID=4177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1992U KR200422328Y1 (en) | 2006-05-04 | 2006-05-04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ush button for deflation of air and a dually sealed structure of air-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2328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0942B1 (en) | 2012-08-23 | 2012-12-20 | 이해정 | A wet-tissue case cover which has the air venting device |
KR101391409B1 (en) | 2013-01-31 | 2014-05-02 | (주)프띠아띠 | Baby drink container |
-
2006
- 2006-05-04 KR KR2020060011992U patent/KR200422328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0942B1 (en) | 2012-08-23 | 2012-12-20 | 이해정 | A wet-tissue case cover which has the air venting device |
KR101391409B1 (en) | 2013-01-31 | 2014-05-02 | (주)프띠아띠 | Baby drink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10041B2 (en) | Lid for bottles with foldable straw | |
JP5620143B2 (en) | Dispensing container | |
JP6014405B2 (en) | Discharge container | |
JP6059489B2 (en) | Discharge container | |
US20020179614A1 (en) | Disposable sipper cups | |
US8919595B2 (en) |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losure | |
WO2018003300A1 (en) | Discharge container | |
KR20140125346A (en) | Cap | |
JP6039984B2 (en) | Discharge container | |
KR20120030671A (en) | Straw assembly | |
KR200422328Y1 (en) |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push button for deflation of air and a dually sealed structure of air-hole | |
KR20100005468U (en) | A Structure to protect an air inflow of Tube type cosmetic bottle | |
JP6710468B2 (en) | Discharge container | |
ES2268346T3 (en) | DOSING PLUG FOR LIQUID CONTAINER. | |
KR101229152B1 (en) | A lid of a drinking bottle | |
KR20100007307U (en) | A bottle-cap assembly with snap hinge | |
KR100659600B1 (en) | Baby Drinkware | |
CN206857309U (en) | A kind of container is drunk water with pull-type to be covered | |
KR102127915B1 (en) | A food container having an interactive drinking portion | |
CN209499389U (en) | A kind of Drinking cup lid with pressure relief | |
JP6491930B2 (en) | Pouring cap | |
JP6559089B2 (en) | Double container cap | |
KR200405397Y1 (en) | Liquid Discharge Cap for Vessel | |
KR20130001110U (en) | Tube type container which has th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plug | |
KR200482626Y1 (en) | Drink container of dua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