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28826Y1 - ?-shape Barge - Google Patents

?-shape Bar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26Y1
KR200428826Y1 KR2020060020073U KR20060020073U KR200428826Y1 KR 200428826 Y1 KR200428826 Y1 KR 200428826Y1 KR 2020060020073 U KR2020060020073 U KR 2020060020073U KR 20060020073 U KR20060020073 U KR 20060020073U KR 200428826 Y1 KR200428826 Y1 KR 20042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hull
protruding
block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0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군
김병우
함철호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2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4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sideways movement of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돌출부와 밀착돌출부를 갖는 선체구조에 의해, 초중량물을 선적시에 부족한 부력을 보충할 수 있고,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력기반형구조물과의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통해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T자형 바지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hull structure having a lateral protrusion and a close protrusion, can compensate for the buoyancy lacking when loading the super-heavy goods, can realize the sea transportation while maintaining the ship safety, the shape with the gravity-based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shaped barge that can easily hold the unloading position through the enemy fitting method.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해양설비에서 초중량물에 해당하는 상부설비(topside)를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선체구조(10)를 갖되, 상기 선체구조(10)는 상기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을 구비한 기본선체부(11)와; 상기 기본선체부(11)의 일측 끝단의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스폰손(sponson)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돌출부(12, 13)의 돌출 거리(P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P2)를 갖도록 돌출되는 밀착돌출부(1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설비를 하역시킬 중량기반형구조물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shaped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ull structure 10 for loading and unloading a topside corresponding to a super-heavy weight in an offshore facility, wherein the hull structure 10 is in the course of loading or installing the upper facility. A base hull portion 11 having a submersible ballast tank and a machine room; A pair of side protruding portions 12 and 13 protruding integrally from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basic hull portion 11 to have a spunson shape; It consists of a close contact protrusion 14 protruding to have a distance (P2) relatively smaller than the protruding distance (P1) of the side projections (12, 13) in the side of the base hull, weight-based type to unload the upper facility The geometric fit can be performed in an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topographical structure of the structure.

카고, 바지선, 스폰손, 펜더구역, 중력기반형구조물 Cargo, barges, spawning, fender zones, gravity-based structures

Description

T자형 바지선{T-shape Barge} T-barges {T-shape Bar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지선 및 로드 아웃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rge and a load o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T자형 바지선의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a T-shaped b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2.

도 6은 도 2에 도시된 T자형 바지선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T-shaped barg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선체구조 11 : 기본선체부 10: hull structure 11: basic hull part

12, 13 : 측면돌출부 14 : 밀착돌출부 12, 13 side projection 14: close contact

5, 6, 7, 8 : 제1 내지 제4기둥 20, 30, 40 : 제1 내지 제3펜더구역 5, 6, 7, 8: 1st to 4th pillars 20, 30, 40: 1st to 3rd fender zones

본 고안은 육상에서 일괄 조립된 초중량물을 안정되게 실어 나르는 T자형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shaped barge that carries a bulk-assembled super-heavy goods on land stably.

일반적으로, 원유 관련 해양설비(offshore facilities)는 고정식 또는 부유식 해양 플랫폼(platforms), 석유 시추 설비(oil-drilling platforms), 시추선(drilling rig) 등을 포함한다. Generally, offshore facilities associated with crude oil include fixed 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il-drilling platforms, drilling rigs, and the like.

원유 관련 해양설비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물 밑에 잠기는 부분에 해당하는 하부 선체설비(hullside)와;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상측에 위치한 각종 드릴장비, 오일 처리장비, 숙소, 작업장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설비(topside)와; 하부 선체설비와 상부설비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설비(interface)로 구분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offshore oil-related facilities, the lower hull (hullside) corresponding to the submerged portion usually; In contrast to the concept of the upper side (topside) consisting of a variety of drill equipment, oil processing equipment, accommodation, workshop, etc. located on the upper side; It can be divided into an interface that connects the lower hull facility and the upper facility.

특히, 해양설비는 유전 또는 유정 주위에 상존할 수 있는 상상을 뛰어넘는 고속의 바다 바람, 무서운 파도, 폭풍우, 육중한 부유 빙산 등과 같은 가혹한 자연 환경에서도 안정되게 유지되고, 전복될 염려가 없는 것 중에서 중력기반형구조물(GBS : Gravity Base Structure)이 있다. In particular, marine facilities remain stable and free from overturning in harsh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high-speed sea winds, frightening waves, storms, heavy floating icebergs, and more, beyond the imagination that can exist around oil fields or oil wells. There is a Gravity Base Structure (GBS).

중력기반형구조물은 설비자체의 육중한 무게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대륙붕 등과 같은 해저에 고착된 기초부분에서 세워진 복수개의 콘크리트 기둥을 갖는다. Gravity-based structures have a plurality of concrete columns erected on the foundation fixed to the sea floor, such as continental shelf, to maintain stability at the heavy weight of the installation itself.

각각의 기둥 상부에는 그 기능상 유전 개발, 시추 등에 관한 모든 시설이 포함된 해상공장설비(platforms)에 해당하고 초중량물(예 : 27,000톤)인 상부설비가 설치된다. At the top of each column is an overhead plant, which is functionally equivalent to offshore plant platforms, which includes all the facilities for oilfield development, drilling, etc., with a heavy weight (eg 27,000 tonnes).

종래 기술의 바지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1자형 선체(1)를 갖는 것으로서, 화물 적재 용량 및 그에 대응한 부력 발생을 위해서, 선수 선미간 거리에 해당하는 선체 길이(L)와, 그와 수직한 방향의 선체 폭(W)을 갖는다. The barge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has a flat one-shaped hull (1), the hull length (L)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 and stern for the cargo load capacity and corresponding buoyancy generation And the hull width W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종래 기술의 바지선은, 운송하려는 화물(2)의 중량만을 고려하여 선체 길이(L)와 선체 폭(W)을 갖도록 제작될 경우, 화물의 선적 및 하역 조건과 공법[예 : 로드 아웃(load out) 공법]의 제약 때문에 사용되지 못한다. Prior art barges are constructed to have hull lengths (L) and hull widths (W), taking into account only the weight of the cargo (2) to be transported. ) Cannot be used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the

예컨대, 초중량물의 특성에 따라 로드 아웃 공법을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해야 하고, 화물을 하역시키려는 장소에 해당하는 중력기반형구조물의 기둥 사이 간격이 47.2m로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 선체 폭(W)을 약 45m 정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제약을 받는다. 여기서, 로드 아웃 공법은 화물을 밀어서 안벽(3)과 같은 육상에서 바지선과 같은 선체(1)로 옮겨 싣는 공법을 의미한다. For example, when the cargo must be loaded using the load-out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heavy weigh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s of the gravity-bas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place where the cargo is to be unloaded is set to 47.2m, the hull width (W) It is restricted to produce about 45m. Here, the load-out method means a method in which a cargo is pushed to a hull 1 such as a barge on a land such as a quay wall 3.

특히, 화물(2)이 앞서 언급한 초중량물(예 : 27,000톤)일 경우, 화물(2)을 밀어 올려 싣는 시점의 순간 중량을 상기 선체 폭(W) 약 45m만으로 감당하기 어렵고, 선체(1)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In particular, when the cargo 2 is the above-mentioned super-heavy weight (for example, 27,000 tons), it is difficult to bear the instantaneous weight at the time when the cargo 2 is pushed up to about 45 m of the hull width W, and the hull 1 ) Is difficult to maintain stability.

왜냐면, 안벽(3)에서 화물(2)을 밀어서 선체(1)에 싣는 순간, 상대적으로 큰 무게가 선체(1)의 일측 끝단 부위(1a)에 순간적으로 걸리기 때문이며, 이런 연유로, 선체(1)의 안정성 유지 불능과 함께, 안벽(3) 근처에서의 국부적인 부력 부족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없는 상황이다. This is because the moment when the cargo 2 is pushed on the hull 1 from the inner wall 3, a relatively large weight is momentarily applied to one end portion 1a of the hull 1, and for this reason, the hull 1 ), There is no way to solve the problem of local buoyancy near the quay wall (3).

또한, 종래의 바지선은 최종 목표 지점에 화물(2)을 안착시키기 위한 수많은 정위치 장치, 설치 유도 설비, 위치 고정 구조물 등과 같은 화물설치를 위한 부가 적인 장비 내지 설비(이하, '부가설비'라 칭함)를 선체(1)의 상부에 구비하여야 하나, 선체 폭(W)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화물(2) 이외의 부가설비의 적재 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단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rge is additional equipment or equipment for cargo installation, such as a number of in-position devices, installation guide equipment, position fixing structure for seating the cargo (2) to the final target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ditional equipment') ) Should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hull 1, but the hull width W is predetermined as mentioned above, so that the loading space of the additional equipment other than the cargo 2 is relatively insufficient.

또한, 종래의 바지선은 화물의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후, 바지선에 실려 있는 화물을 해상의 특정 위치에 정위치 및 설치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위치 조정을 정밀하고 세밀하게 수행하여야 겨우 정위치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rge has a disadvantage that can be precisely precisely performed in a precise position in order to accurately position and install the cargo loaded on the barge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ea after arriving at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cargo. There is this.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돌출부와 밀착돌출부를 갖는 선체구조에 의해, 초중량물을 선적시에 부족한 부력을 보충할 수 있고,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력기반형구조물과의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통해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T자형 바지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by the hull structure having a side protrusion and a close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buoyancy that is lacking in loading super-heavy goods, and to maintain the ship safe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shaped barge that can realize transportation and can easily hold the unloading position through the form-fitting method with the gravity-based structur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해양설비에서 초중량물에 해당하는 상부설비(topside)를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선체구조를 갖는 T자형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구조는, 상기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을 구비한 기본선체부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일측 끝단의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스폰손(sponson)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면돌출부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돌출부의 돌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갖도록 돌출되는 밀착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설비를 하역시킬 중량기반형구조물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에 의해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T-shaped barge having a hull structur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topside corresponding to the ultra-heavy weight in the marine facilities, the hull structure, the loading or A basic hull unit having a submersible ballast tank and a machine room during installation work; A pair of side protrusions protruding integrally from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basic hull portion to have a spunson shape; Including a close contact protrusion projecting to have a distanc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side projection portion in the side of the base hull, the shape fit 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topographic structure of the weight-based structure to unload the upper facility Achieved by a T-barge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tailoring.

또한, 제1 내지 제3펜더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내지 제6펜더블록은 상부열(上部列)과 하부열(下部列)로 선체구조의 적소에 배열 및 형성되어 있다. Further, a plurality of first to sixth fender blocks for forming the first to third fender zones are arranged and formed in place of the hull structure in an upper row and a lower row.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기본선체부(11),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 밀착돌출부(14)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선체구조(10)를 갖는다. As shown in FIG. 2, the T-shaped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ull structure 10 in which a basic hull portion 11, a pair of side protrusions 12 and 13, and a close protrusion 14 are integrally formed. .

선체구조(10)는 편평한 상면을 갖는 것으로서, 바지선 방식의 부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선박 건조 기술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The hull structure 10 has a flat top surface, and is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ship building technique so that buoyancy can be generated in a barge system.

선체구조(10)는 중력기반형구조물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에서 최소 6개의 지점 또는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촉하면서 정박 또는 계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hull structure 10 is formed to anchor or moor while contacting at least six or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and 8 corresponding to the gravity-based structure.

예컨대, 특정 유전의 상황에 맞게 중력기반형구조물이 설계되어서,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중 제2기둥(6)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지만, 사각형 배열을 이룸에 따라,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의 안쪽 공간이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gravity-based structure is designed for a specific oil field, such that the second pillar 6 of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and 8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but has a rectangular arrangement. 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8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shape.

이러한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의 지형적 또는 형상적 상황은 통상의 바지선에게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과 어려움으로 작용하나, 본 고안의 선체구조(10)에 있어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가능케 해준다. The topographical or geometrical situation of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and 8 acts on the conventional barge with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mentioned in the prior art, but in the hull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allows for a shape fit.

또한,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각각의 상단 부위는 콘(cone) 형상의 끼움돌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초중량물인 27,000톤급 상부설비(도시 안됨)를 올려놓을 때, 상부설비 하부의 콘 형상의 함몰홈과 상기 콘 형상의 끼움돌부가 상호 미끄럼대우 및 형상대우에 의해 자동으로 중심이 일치되어 정위치될 수 있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8) is formed with a cone-shaped fitting portion, respectively, on top of the 27,000 ton-class upper installation (not shown) When mounted, the cone-shaped recessed groov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equipment and the cone-shaped fitting protrusion are automatically centered by mutual sliding treatment and shape treatment so that they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기본선체부(11)는 그의 폭 거리(W1)(예 : 45m)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선수 선미간 거리(L1)를 갖는다. 기본선체부(11)는 무동력 또는 동력 타입의 선체 동력 구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고, 각종 예인선과의 연결을 위한 해당 설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base hull portion 11 has a distance L1 between bow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its width distance W1 (eg, 45m). The base hull portion 11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hull power structure of no power or power typ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rresponding facility for connection with various tugboats.

또한, 기본선체부(11)의 상면에는 상부설비를 밀어서 실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레일을 갖는다. 기본선체부(11)는 플롯트 오버(float over) 공법에 대응하여,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통상의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 등을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hull portion 11 has a plurality of rails so that the upper equipment can be loaded by pushing. The base hull portion 11 further includes a conventional ballast tank, a machine room, etc., which can be submerged during the loading or installation work of the upper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float over method.

본 고안의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는, ① 풍(風)하중에 대한 안정성(stability)을 확보하고; ② 선체구조(10)의 일측 끝단에서 부력을 보충 및 보강하고; ③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하고; ④ 중력기반형구조 물에서 형상적 교합을 수행하여 별도의 복잡한 위치 조정 없이 상부설비의 하역 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⑤ 상부설비의 설치를 위한 부가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air of side projections 12, 13 of the present invention, ① ensures the stability (stability) against wind load; ② supplement and reinforce buoyancy at one end of the hull structure (10); (3) realize sea transportation while maintaining ship safety; ④ perform geometric occlusion in gravity-based structures to easily unload or install upper installations without additional complicated position adjustments; ⑤ It can play a role to provide free space to mount additional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upper equipment.

이런 역할들을 실현하기 위해서, 측면돌출부(12, 13)는 기본선체부(11)의 일측 끝단 양측면에서 각각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realize these roles, the side protrusions 12 and 13 are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from both side surfaces of one end of the base hull 11.

이때, 측면돌출부(12, 13)는 기본선체부(11)의 일측 끝단에서 돌출되어 영문 T자 형상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side protrusions 12 and 13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base hull portion 11 to have an English T-shape.

이렇게 T자 형상을 갖는 본 고안의 바지선은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를 조선소에서 탑재하여 설치 해역까지 운항하는 중에 풍(風)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에서 운반하려는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는 건물 30층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The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shape as described above ensures stability against wind loads while the superstructure, which is super heavy, is mounted at the shipyard. For reference, the super heavy equipment to be transpo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ight of about 30 stories.

한편, 밀착돌출부(14)는 기본선체부(11)의 측면으로부터 측면돌출부(12, 13)의 돌출 거리(P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P2)를 갖도록 돌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14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hull portion 11 to have a distance P2 relatively smaller than the projecting distance P1 of the side protrusions 12 and 13.

밀착돌출부(14)는 타측의 측면돌출부(13)의 측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선수 선미간 방향으로 유한한 연장 거리만큼 연장된다. The close contact portion 14 extends by a finite extension distance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bow and stern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other side projection 13 as a starting point.

이때 밀착돌출부(14)의 유한한 연장 거리는 제2기둥(6)과 제3기둥(7)의 중심간 사이 간격을 고려하여 정한 것으로서, 밀착돌출부(14)의 끝점이 제2기둥(6)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finite extension distance of the contact protrusion 14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second pillar (6) and the third pillar (7), the end point of the contact protrusion (14) to the second pillar (6) It means the distance not to touch.

밀착돌출부(14)의 끝점 부위는 웨지(wedge)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기둥(7)과 제4기둥(8) 사이로 본 고안의 바지선이 진입할 때, 혹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분산시켜줄 수 있고, 본 고안의 바지선의 중심을 제3기둥(7)과 제4기둥(8) 사이의 중심으로 일치시켜 줄 수 있으며, 매끄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end point portion of the contact protrusion 14 is preferably formed in a wedge shape. This can disperse any shocks that may occur when the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between the third column (7) and the fourth column (8), and the center of the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rd column (7) It can be matched to the center between the fourth pillar (8), and serves to induce a smooth entry.

한편, 일측의 측면돌출부(12)와 기본선체부(11)가 직각으로 만나는 곳 주위에서는 제1코너공간(15)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rner space 15 is formed around the side where the side projection portion 12 and the base hull portion 11 of the side meet at a right angle.

또한, 타측의 측면돌출부(13)와 밀착돌출부(14)가 직각으로 만나는 곳 주위에서는 제2코너공간(1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second corner space 16 is formed around the side where the side protruding portion 13 and the close protruding portion 14 meet at right angles.

본 고안의 선체구조(10)는 로드 아웃 공법에 따라 상부설비를 싣는 순간에 부족한 부력을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에 의해 보충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제2코너공간(15, 16)에서 제3기둥(7) 또는 제4기둥(8)당 2지점에서 각각 접촉하고, 제1기둥(5) 또는 제2기둥(6)의 1지점에서 각각 접촉함에 따라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실현하여,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The hull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ensate for the buoyancy insufficient by the pair of side protrusions 12 and 13 at the moment of loading the upper equipment according to the load-out method, and the first and second corner spaces ( 15 and 16, respectively, contact each other at two points per third pillar 7 or fourth pillar 8, and shapely fit as they contact each other at one point of first pillar 5 or second pillar 6, respectively. By realizing the customized method, the unloading position can be easily set.

본 고안의 선체구조(10)는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과 각각 접촉하는 곳에 일종의 방현재(防舷材)인 제1, 제2, 제3펜더구역(20, 30, 40)(fender zone)을 갖고 있다. The hull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econd, and third fender zone 20, which is a kind of fender, in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and 8, respectively. , 30, 40) (fender zon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제2, 제3펜더구역(20, 30, 40) 별로 사용될 6종류, 즉 제1 내지 제6펜더블록(21, 23, 31, 33, 41, 43)을 갖는다. 6 types to be used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ender zones 20, 30, and 40 shown in FIGS. 3 to 5, that is, the first to sixth fender blocks 21, 23, 31, 33, 41, and 43. Has

제1 내지 제6펜더블록(21, 23, 31, 33, 41, 43)은 바람, 파도, 파랑, 조류와 같은 자연조건과 선체구조(10)의 운동량을 고려하여 사용처 별로 각기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The first to sixth fender blocks 21, 23, 31, 33, 41, and 43 are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 places in consideration of natural conditions such as wind, waves, waves, and tides and the momentum of the hull structure 10. .

또한, 제1 내지 제6펜더블록(21, 23, 31, 33, 41, 43)의 재질은 기본적으로 내구성, 내마모성, 내유성, 내피로성, 크립(creep) 저항성이 뛰어난 재질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terials of the first to sixth fender blocks 21, 23, 31, 33, 41, and 43 are basically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brasion resistance, oil resistance, fatigue resistance, and creep resistance. It is desirable to.

예컨대, 재질의 경도별로 구분할 경우, 소프트(soft)한 제2, 제4, 제6펜더블록(23, 33, 43)과 하드(hard)한 제1, 제3, 제5펜더블록(21, 31, 41)으로 구분 가능하고, 그 이유는 선체구조(10)의 요동에 의해 생기는 외력에 대해 충분하고 안정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예 : 2단계)의 완충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선체구조(10) 및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모두를 보호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classification by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the soft second, fourth, and sixth fender blocks 23, 33, and 43 and the hard first, third, and fifth fender blocks 21, 31, 41), and the reason is that the hull structure 10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multi-stage (for example, two-stage) buffering force so as to sufficiently and stably cope with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swing of the hull structure 10. And all of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and 8.

이하, 제1, 제2, 제3펜더구역(20, 30, 40)을 개별적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fender zones 20, 30, and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dividually.

도 2에 보이듯이, 기본선체부(11)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해당하는 제1펜더구역(20)의 시작 지점(28, 29)은 선수 선미간 중심라인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선수보다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기본선체부(11)의 선수측 각진 코너부위가 제3기둥(7) 또는 제4기둥(8)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2, starting points 28 and 29 of the first fender zone 20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hull portion 11 extend inclinedly toward the center line between the fore and the fore, respectively. It is formed in the protruding state, and prevents the bow side angled corner portion of the basic hull portion 11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third pillar 7 or the fourth pillar 8.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펜더구역(20)은 제1기둥(5)과 제2기둥(6)의 사이에서 선체구조(10)에 대한 1차적으로 쿠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선체부(11)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ender zone 20 serves to primarily cushion the hull structure 10 between the first pillar 5 and the second pillar 6. It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hull portion (11).

즉, 제1펜더구역(20)은 기본선체부(11)의 상단측 모서리 상부와 하부에서 평행을 유지하면서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상부열과 하부열을 갖도록 배열 및 설치된 제1, 제2펜더블록(21, 23)을 갖는다. That is, the first fender zone 20 is arranged and installed to have a plurality of upper row and lower row along the direction of bow stern while maintaining parallelity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upper side edge of the basic hull portion 11. It has fender blocks 21 and 23.

이때, 제1, 제2펜더블록(21, 23)은 상기 기본선체부(11)의 상단측 모서리에 설치된 받침대(22, 24)에 의해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fender blocks 21 and 23 are supported by pedestals 22 and 24 provided at the upper edges of the base hull 11.

여기서, 상부열의 제1펜더블록(21)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예 : 염분에 강한 경질 고무 또는 그와 대등한 완충재)로서, 육면체 블록 형상을 갖고, 상대적으로 낮은 측면 돌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first fender block 21 of the upper row is a relatively high hardness material (for example, hard rubber resistant to salt or a buffer material equivalent thereto), has a hexahedral block shape, and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ow side protrusion height. have.

또한, 하부열의 제2펜더블록(23)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예 : 염분에 강한 연질 고무 또는 그와 대등한 완충재)로서, 사다리꼴 블록 형상을 갖고, 상대적으로 높은 측면 돌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ender block 23 in the lower row is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hardness (eg, a soft rubber that is resistant to salt or a buffer material equivalent thereto), and has a trapezoidal block shape and is formed with a relatively high lateral protrusion height. hav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펜더구역(30)은 제3기둥(7)과 제4기둥(8)의 사이에서 선체구조(10)에 대해 2차적으로 쿠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선체부(11)와 밀착돌출부(14)에서 대칭적으로 배열 및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fender zone 30 serves as a secondary cushion for the hull structure 10 between the third pillar 7 and the fourth pillar 8. It is arranged and formed symmetrically in the basic hull part 11 and the close_contact part 14.

즉, 제2펜더구역(30)은 기본선체부(11)와 밀착돌출부(14) 각각의 상단측 모서리 상부와 하부에서 평행을 유지하면서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 제3, 제4펜더블록(31, 33)과; 상기 제3, 제4펜더블록(31, 33)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본선체부(11) 또는 상기 밀착돌출부(14) 각각의 상단측 모서리에 설치된 받침대(32, 34)로 이루어져 있다. That is, the second fender zone 30 has 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fenders installed along the direction between bows while maintaining parallelity at upper and lower edges of upper edges of the base hull portion 11 and the close contact protrusions 14, respectively. Blocks 31 and 33; It consists of pedestals (32, 34) provided at the upper edge of each of the base hull portion 11 or the close contact projections 14 to support the third and fourth fender blocks (31, 33).

특히, 상부열의 제3펜더블록(31)은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펜더블록(21)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1펜더블록(21)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런 제3펜더블록(31)은 본 고안에게 경제성을 제공함과 함께, 제3펜더블록(31)의 측면에 해당하는 밀착면을 상대적으로 제1펜 더(21)에 비해 축소시킴에 따라, 세밀하고 비교적 자유로운 움직임을 선체구조(10)에게 부여한다. In particular, the third fender block 31 in the upper row has the same material and shape as the first fender block 21 except that the third fender block 3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fender block 21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have. Such a third fender block 31 provides economics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the contac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third fender block 31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first fender 21, And give the hull structure 10 a relatively free move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펜더구역(40)은 선수 선미간 방향으로 측면돌출부(12, 13) 각각에 설치된 것으로서, 선체구조(10)가 진행 방향으로 움직일 때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3기둥(7) 또는 제4기둥(8)에 대해 3차적으로 쿠션 역할을 안정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third fender zone 40 is installed at each of the side protrusions 12 and 13 in the direction of the bow stern, and may be directly contacted when the hull structure 10 mov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In order to stably perform the cushioning role for the pillar 7 or the fourth pillar 8 in a third manner.

즉, 제3펜더구역(40)은 측면돌출부(12, 13)의 상단측 모서리 부위의 높이와 일치한 곳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의 제5펜더블록(41)과; 상기 제5펜더블록(41)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곳에서 상기 제5펜더블록(41)에 비해 더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의 제6펜더블록(43)과; 상기 제5, 제6펜더블록(41, 43)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돌출부(12, 13)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복수개의 론지형 보강빔을 적층 용접하여 고강성을 갖도록 형성한 받침대(42, 44)로 이루어져 있다. That is, the third fender zone 40 protrudes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at the same position as the height of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side protrusions 12 and 13 and the fifth fender block 41 made of a relatively high hardness material. ; A sixth fender block 43 protruding from the fifth fender block 41 vertically and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fifth fender block 41; Pedestals 42 and 44 formed to have high rigidity by laminating and welding a plurality of long-edge reinforcing beams at upper edges of the side protrusions 12 and 13 to support the fifth and sixth fender blocks 41 and 43. )

도 5를 참조하면, 제3펜더구역(40)은 경도가 낮은 재질인, 즉 소프트한 제6펜더블록(43)을 상측에 배열하고 하드한 제5펜더블록(41)을 하측에 배열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third fender zone 40 is formed of a material of low hardness, that is, a soft sixth fender block 43 is arranged above and a hard fifth fender block 41 is arranged below. .

이와 반대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2펜더구역(20, 30)은 각각 하드한 재질의 제1, 제3펜더블록(21, 31)을 상측에 배열하고 소프트한 제2, 제4펜더블록(23, 33)을 하측에 배열하여 상기 제3펜더구역(40)과 반대되어 있다. On the contrary,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fender zones 20 and 30 respectively include the first and third fender blocks 21 and 31 made of hard material on the upper side and are made of soft material. 2, the fourth fender block (23, 33) is arranged in the lower side is opposite to the third fender zone (40).

이런 대치적인 배열 관계는 선체구조(10)의 선수 선미간 방향의 요동 특성과, 폭 방향 요동 특성에 각각 대응함에 따라, 해당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교반적 인 하중 또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줄 수 있으므로, 안정되게 계류 또는 정박시켜줄 수 있다. This alternative arrangement relationship can effectively dampen the agitation load or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swing, as it corresponds to the swing characteristic between the bow and stern direction of the hull structure 10 and the width swing characteristic, respectively. Can be moored or anchored stably.

도 6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바지선은, 선체구조(10)의 기본선체부(11)를 기준으로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가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되, 일체형 밀착돌출부(14)를 제2코너공간(16)쪽에 형성함에 따라, 중력기반형구조물 또는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등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실현하여,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side protrusions 12 and 13 formed on the basic hull portion 11 of the hull structure 10 so as to have a 'T' shape. As the close contact portion 14 is formed in the second corner space 16, the shape 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topographic structure such as the gravity-based structure or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8, etc. The fitting method can be realized, and the correct position can be automatically obtained.

이런 상태에서 별도의 세밀하고 복잡한 위치 또는 자세 조정없이, 탑재 밍 운반해 온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를 플롯트 오버 공법에 대응하게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the super heavy equipment, which has been mounted and transporte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to fourth pillars 5, 6, 7, and 8 according to the float-over method without any detailed and complicated position or posture adjustment. You can install i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스폰손 형상과 같은 한 쌍의 측면돌출부로 부력을 보충 및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함에 따라 로드 아웃 공법을 통해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를 안전하게 선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shaped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ecurely load the super-heavy upper equipment through the load-out method as it secures stability by supplementing and reinforcing buoyancy with a pair of side protrusions such as a spunson shap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선체구조의 요동에 의해 생기는 외력에 대해 충분하고 안정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의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각종 펜더구역을 구비함에 따라, 선체구조 및 중력기반형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shaped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various fender zones to generate a multi-stage buffering force to respond sufficiently and stably to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swing of the hull structure, to protect the hull structure and gravity-based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T'자 형상 또는 측면 돌출형의 선체구조와 함께 밀착돌출부를 더 형성하여,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력기반형구조물과의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이 가능하여,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shaped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orms a close contact with the hull structure of the 'T' shape or side protruding type, and can realize marine transportation while maintaining the ship safety, and with the gravity-bas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it the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hold the unloading position.

Claims (4)

해양설비에서 초중량물에 해당하는 상부설비(topside)를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선체구조를 갖는 바지선에 있어서, In barges having a hull structure for loading and unloading topsides corresponding to super-heavy goods in marine facilities, 상기 선체구조는, The hull structure is, 상기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을 구비한 기본선체부와; A basic hull part having a ballast tank and a machine room which can be submerged during the loading or installation work of the upper facility; 상기 기본선체부의 일측 끝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지선이 영문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측면돌출부와; Side projections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asic hull portion to both sides so that the barge has an English T-shape; 상기 기본선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돌출부의 돌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갖도록 돌출되는 밀착돌출부;A clos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ase hull portion to have a distanc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side protruding portion; 상기 기본선체부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제1펜더구역;First fender zone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hull portion; 상기 기본선체부와 상기 밀착돌출부 각각의 상단측 모서리에 설치된 제2펜더구역; A second fender zone disposed at an upper edge of each of the base hull portion and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portion; 상기 측면돌출부 각각에서 선수 선미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펜더구역;을 포함하여, Including; a third fender zone formed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bow and stern in each of the side protrusions, 상기 상부설비를 하역시킬 중량기반형구조물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 T-shaped barg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a shape-fitting method in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topographic structure of the weight-based structure to unload the upper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펜더구역은, The first fender zone is, 상기 기본선체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부열을 형성하는 제1펜더블록; A first fender block disposed at a top edge of the base hull in a plurality of ships along a bow stern direction to form an upper row; 상기 제1펜더블록과 평행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하부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펜더블록보다 높은 측면 돌출 높이로 형성된 제2펜더블록;A second fender block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fender block to form a lower row, the second fender block having a lateral protrusion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fender block; 상기 제1, 제2펜더블록을 상기 기본선체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지지시키는 받침대;를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fender block at the upper edge of the base hull portion;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 T-shaped bar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펜더구역은, The second fender zone,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부열을 형성하는 제3펜더블록; A third fender block disposed along a stern between the bows to form an upper row; 상기 제3펜더블록과 평행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하부열을 형성하는 제4펜더블록; A fourth fender block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fender block to form a lower row; 상기 제3, 제4펜더블록을 상기 기본선체부와 상기 밀착돌출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지지시키는 받침대;를 Pedestal for supporting the third and fourth fender block at the upper edge of the base hull portion and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T자형 바지선. Side T-shaped bar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펜더구역은,The third fender zone,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단측 모서리 부위의 높이와 일치한 곳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5펜더블록; A fifth fender block protruding toward an outer surface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a height of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side protrusion; 상기 제5펜더블록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곳에서 상기 제5펜더블록에 비해 더 돌출된 제6펜더블록; A sixth fender block protruding more than the fifth fender block at a position vertically above the fifth fender block; 상기 제5, 제6펜더블록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복수개의 론지형 보강빔을 적층 용접하여 형성한 받침대;를 A pedestal formed by laminating and welding a plurality of long-edge reinforcement beams at upper edges of the side protrusions to support the fifth and sixth fender blocks;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 T-shaped bar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2020060020073U 2006-07-25 2006-07-25 ?-shape Barge KR2004288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73U KR200428826Y1 (en) 2006-07-25 2006-07-25 ?-shape Bar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73U KR200428826Y1 (en) 2006-07-25 2006-07-25 ?-shape Bar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26Y1 true KR200428826Y1 (en) 2006-10-13

Family

ID=4177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073U KR200428826Y1 (en) 2006-07-25 2006-07-25 ?-shape Bar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2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56A (en) 2015-02-25 2016-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H-shaped barge having rail-mounted gantry crane
KR20180101653A (en) 2017-03-02 2018-09-13 설강석 Barge with loading space of ca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56A (en) 2015-02-25 2016-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H-shaped barge having rail-mounted gantry crane
KR20180101653A (en) 2017-03-02 2018-09-13 설강석 Barge with loading space of ca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9922B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US9850636B2 (en) Ring-wing floating platform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AU2017269088B2 (en) A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EP2426045B1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101205344B1 (en) Floating structure
Wang et al. Latest progress in floatover technologi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and decommissioning
O’Neill et al. History, trends and evolution of float-over deck installation in open waters
KR200428826Y1 (en) ?-shape Barge
WO2012039619A2 (en) Vessel comprising a hull with a deck and a cargo area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deck
CN209351561U (en) Tension type anchoring system
KR100907680B1 (en) Dry and Dry Constructions
KR101454346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upper deck structure of marine structure
KR20120111373A (en) Drillship with recess on upper deck
CN217579997U (en) Portable fender structure of pier
KR20150049623A (en) Temporary upper plate for marine jacket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26001A (en) Floating Offshore Plant
Bax et al. A floating storage unit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severest environmental conditions
CN1605543A (en) Wave-proof type bottom-sitting form floating pier
KR101092487B1 (en) Floating quay
KR101487995B1 (en) Semi-submersible structure
Dung First jack-up rig load-out in Viet Nam
KR101801947B1 (en) Offshore structure
Xie et al. A new concept of a deepwater tumbler platform
KR102087177B1 (en) Floating power plant moo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