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942Y1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환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942Y1 KR200413942Y1 KR2020060002727U KR20060002727U KR200413942Y1 KR 200413942 Y1 KR200413942 Y1 KR 200413942Y1 KR 2020060002727 U KR2020060002727 U KR 2020060002727U KR 20060002727 U KR20060002727 U KR 20060002727U KR 200413942 Y1 KR200413942 Y1 KR 2004139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board
- ventilation
- blower
- ventilation device
-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외에 설치된 배전반 내부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반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캡을 닫거나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기의 순환에 필요한 환기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장치는 배전반에 형성되는 환기공 주위에 체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및 상기 환기공을 통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부가 포함된다.
본 고안에 의해서 환기 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환기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에서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에 송풍부에 의해서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결로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배전반, 환기 장치, 결로, 송풍부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높이가 상향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높이가 하향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기 장치 20 : 본체부
30 : 망 40 : 지지대
50 : 송풍부 60 : 캡
80 : 전원공급부
본 고안은 실외에 설치된 배전반 내부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반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캡을 닫거나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기의 순환에 필요한 환기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박스 형태의 배전반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지상의 특정위치,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전원공급이 필요한 위치 등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기초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반은 전기의 사용량이 날로 증가하고, 전기의 설비가 대형화 및 첨단화됨으로써,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전기 사용의 다양화에 부응하여 수전부, 변압부, 배전부, 정류부, 차단부, 및 콘센트 등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배전반의 내부 온도는 기기 자체 방출열, 지열 등에 의해 온도가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상기 배전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급격한 온도차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기기 내부에서는 대류 현상과 함께 결로가 형성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결로 현상으로 인해 선로의 부식으로 인한 유지 보수비 및 단전 사태가 증가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 20-0261832호에서는 배전반의 상측에 환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환기공에 환기 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였 다.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는 하단에 상기 환기공 주위에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일체형 플랜지를 가지며 상단에 이물 침투억제용 망이 설치된 환기구와, 상기 환기구의 상측과 그 주위에 환기 공간이 확보되도록 씌워지는 덮개와, 상기 환기구의 외주면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덮개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암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배전반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를 줄여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환기 장치는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불필요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며, 이에 더불어 기기와의 일체감이 결여되어 배전반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기 장치의 높이가 일정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환기 면적을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연 환기에 의한 경우, 요구되는 환기량에 비하여 실제 수행되는 환기량이 적을 경우 결로 현상이 완전하게 억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높이를 최대한으로 낮추어 배전반과 일체감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수려해지도록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환기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의 결로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강제적으로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장치는 배전반에 형성되는 환기공 주위에 체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및 상기 환기공을 통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환기 장치의 높이가 최대한으로 낮추어지게 되어 배전반과 일체감을 가지게 되고, 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 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환기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에서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에 송풍부에 의해서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결로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10)가 구비된 배전반(1)은 내부의 지상개폐기 등을 보호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와, 상기 캐비닛(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전반(1)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장치(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반(1)의 상측에는 대략 원형으로 천공 성형되어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상기 환기 장치(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공(도 5의 4참조)이 형성되며, 상기 배전반(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유입구(5)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환기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1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환기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환기 장치(10)는 상기 배전반(1)의 상측에 고정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되며, 상기 배전반(1) 내부로 빗물,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60)과, 상기 캡(60)의 높이가 하향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캡(60)과 체결되는 체결부(70)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배전반(1)의 상측에 소정 부분이 안착되며, 중앙부에 후술할 망(30)이 결합되는 결합공(25)이 형성되는 플랜지(2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2)의 둘레 방향으로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크류 삽입공(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결합공(25)의 둘레에서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장 성형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리브(2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4)에는 상기 배전반(1)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의 이물질이나 벌레 등은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망(3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망(30)은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이나 작은 벌레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망(30)의 크기는 상기 결합공(25)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망(30)의 대략 중심에는 상기 캡(6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하 이동부(62)가 관통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망(30)의 하측에는 상기 캡(6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 이동부(62)를 지지하는 지지대(4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캡(30)의 상하 이동시 발생되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대략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40)에 의해서 캡(60)의 상하 이동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망(30)의 변형이 방지되며, 상기 캡(60)이 이동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40)의 하측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6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2)는 상기 지지대(40)의 하측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2)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이동부(6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망(30)의 상측에는 상기 배전반(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50)에 대한 구성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캡(60)은 환기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 슬리브(2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6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측면으로 빗물,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부(6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부(64)는 상기 캡(60)의 하향 조절시 상기 가이드 슬리브(24)의 측면을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60)의 상면은 상기 캡(60)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빗물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볼록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30)의 상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 성형됨으로써, 미감이 향상되는 이점도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캡(60)의 상면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태양열 집열판(6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열 집열판(68)에서 전환된 전기적 에너지는 상기 송풍부(50)를 동작시키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캡(60)의 중심부에는 상기 캡(60)이 상하 이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 이동부(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부(62)는 상기 캡(60)과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이동부(62)는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는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62)와 맞물려 상기 상하 이동부(62)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10)는 상기 배전반(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환기 장치(10)는 상기 배전반(1)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2)와 상기 케이스(2)의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22)와 상기 케이스(2)를 밀착시키는 실링 부재(8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8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실링 성능을 향상기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2)의 상면과 하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80)에 의해서 상기 플랜지(22)와 상기 케이스(2)의 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캡(60)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면 및/또는 하면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부(62)는 상기 캡(6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캡(6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 리고, 상기 캡(30)의 하면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62)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부(6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망(30)의 상측에는 배전반(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부(50)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송풍부(50)는 배전반(1)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팬(52)과, 상기 송풍팬(5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54)와, 상기 송풍부(50)가 상기 망(30)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5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6)는 상기 지지대(40)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4)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62)가 관통되는 관통홀(55)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5)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62)와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4)에는 코일이 다수 회 권취되고, 상기 송풍팬(52)의 내측에는 영구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54)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송풍팬(52)이 상기 구동부(54)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망(30)과 송풍팬(52)의 사이에는 베어링(34)이 제공되어 상기 송풍팬(5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망(30)과 송풍팬(52)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전반(1)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5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80)는 상기 태양열 집열판(68)과 연결되어, 상기 태양열 집열판(68)에서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가 상기 전원 공급부(80)에 축적되도 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부(80)는 에너지의 축적이 가능한 충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80)에는 별도의 배터리(82)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태양열 집열판(68)에서 태양열을 흡수할 수 없는 경우나, 상기 전원 공급부(80)에 축적되는 에너지 양이 상기 송풍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보다 부족한 경우에 상기 배터리(82)에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전반(1)에는 상기 송풍부(50)로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는 타이머(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84)는 상기 배전반(1) 내부에서 결로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인 대략 일출 1시간 전이나, 일몰 1시간 후에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84)는 소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송풍부(50)의 작동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84) 외에 습도 센서 또는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습도 또는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부(50)의 작동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전반(1)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연 환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배전반(1)의 내부에서 발산하는 열과 지열에 의해 상기 배전반(1) 내부의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상기 배전반(1)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환기공(4)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공(4)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4)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캡(60)의 저면과 만나게 되고 유동 방향이 바뀌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 배출된 공기량 만큼의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상기 유입구(5)를 통해 다시 배전반(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 배전반(1) 내부에서 공기의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환기 장치(10)에 의해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입구(5)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전반(1)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배전반(1) 내부의 온도와 외부 온도차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배전반(1) 내부에서 결로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전반(1) 내부에서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인 대략 일출 1시간 전이나, 일몰 1시간 후에는 상기 타이머(84)가 작동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공급부(80)에서 상기 송풍부(50)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송풍팬(52)이 회전되고 상기 배전반(1)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되는 공기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구(5)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50)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태양열 집열판(68)에서 전환된 전기적 에너지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50)가 소정 시간 작동된 후에는 상기 타이머(84)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송풍부(5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송풍팬(52)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52)이 정지된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 환기가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전반(1) 내부에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의 경우 상기 송풍부(50)에 의해서 상기 배전반(1)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로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높이가 상향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높이가 하향 조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환기 장치(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환기 장치(10)의 높이를 상향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캡(6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하 이동부(62)가 회전되어 상기 캡(60)은 상승되게 된다. 이때, 상기 캡(60)이 상기 본체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캡(60)을 회전시켜 높이를 상승시킴으로써, 환기 공간이 확대되게 된다.
한편, 높이가 상승된 환기 장치(10)의 높이를 하향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캡(6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하 이동부(62)가 회전되어 상기 캡(60)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환기 장치(1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캡(60)을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캡(60)이 닫히면, 상기 차폐부(64)의 하면이 상기 플랜지(22)에 접하게 되어, 공기의 유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10)의 높이는 대략 캡(60)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불필요한 면적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미관이 수려해지게 되는 이점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해서 환기 장치의 높이가 최대한으로 낮추어지게 되어 배전반과 일체감을 가지게 되고, 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 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환기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반에서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에 송풍부에 의해서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전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결로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Claims (7)
- 배전반에 형성되는 환기공 주위에 체결되는 본체부;상기 본체부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및상기 환기공을 통하여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부가 포함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풍부는 본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캡에는 태양열을 흡수하는 태양열 집열판이 구비되고,상기 배전반의 내부에는 상기 태양열 집열판에서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가 축적되며, 상기 송풍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풍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송풍부로는 일차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에 축적된 전원이 공급되고, 이차적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풍부의 작동 시점과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풍부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송풍부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포함되는 배전반의 환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727U KR200413942Y1 (ko) | 2006-01-31 | 2006-01-31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727U KR200413942Y1 (ko) | 2006-01-31 | 2006-01-31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942Y1 true KR200413942Y1 (ko) | 2006-04-14 |
Family
ID=4929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2727U KR200413942Y1 (ko) | 2006-01-31 | 2006-01-31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942Y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339B1 (ko) * | 2007-07-25 | 2007-11-20 | 월드탑텍(주) | 지상 전기 설비 외함체의 조명 장치 |
KR100878258B1 (ko) * | 2007-02-01 | 2009-01-14 | (주)대성기술단 |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
KR101455199B1 (ko) * | 2014-03-19 | 2014-10-27 |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 태양광발전설비를 이용한 배전반의 멀티공조시스템 |
KR101580662B1 (ko) | 2015-07-14 | 2015-12-29 | (주)서전기전 | 외부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친환경 하우스형 배전반 |
KR101749980B1 (ko) | 2013-08-29 | 2017-06-2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큐비클 공기순환기 |
KR101773562B1 (ko) | 2017-06-14 | 2017-09-01 | 한국전력산업과학기술 주식회사 | 강제 환기 방식을 이용한 지상 개폐기용 결로 방지 장치 |
KR102007634B1 (ko) * | 2019-01-24 | 2019-08-06 | 새롬프로텍(주) | 수배전반 |
KR20190094696A (ko) * | 2018-02-05 | 2019-08-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
KR102012165B1 (ko) * | 2018-11-06 | 2019-08-20 | 김기수 | 단말기 거치부를 구비한 배전 및 제어반 외함 |
KR102056712B1 (ko) * | 2018-11-06 | 2019-12-17 | 김기수 | 우수유입 방지가 가능한 배전 및 제어반 외함 |
-
2006
- 2006-01-31 KR KR2020060002727U patent/KR2004139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8258B1 (ko) * | 2007-02-01 | 2009-01-14 | (주)대성기술단 | 개선된 환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
KR100777339B1 (ko) * | 2007-07-25 | 2007-11-20 | 월드탑텍(주) | 지상 전기 설비 외함체의 조명 장치 |
KR101749980B1 (ko) | 2013-08-29 | 2017-06-2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큐비클 공기순환기 |
KR101455199B1 (ko) * | 2014-03-19 | 2014-10-27 |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 태양광발전설비를 이용한 배전반의 멀티공조시스템 |
KR101580662B1 (ko) | 2015-07-14 | 2015-12-29 | (주)서전기전 | 외부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친환경 하우스형 배전반 |
KR101773562B1 (ko) | 2017-06-14 | 2017-09-01 | 한국전력산업과학기술 주식회사 | 강제 환기 방식을 이용한 지상 개폐기용 결로 방지 장치 |
KR20190094696A (ko) * | 2018-02-05 | 2019-08-1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
KR102466937B1 (ko) * | 2018-02-05 | 2022-11-14 | 엘에스일렉트릭(주) |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보호커버 |
KR102012165B1 (ko) * | 2018-11-06 | 2019-08-20 | 김기수 | 단말기 거치부를 구비한 배전 및 제어반 외함 |
KR102056712B1 (ko) * | 2018-11-06 | 2019-12-17 | 김기수 | 우수유입 방지가 가능한 배전 및 제어반 외함 |
KR102007634B1 (ko) * | 2019-01-24 | 2019-08-06 | 새롬프로텍(주) | 수배전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3942Y1 (ko) | 배전반의 환기 장치 | |
CN209571700U (zh) | 一种户外挂式防雨控制柜 | |
CN205489171U (zh) | 一种具有防潮散热功能的移动式配电柜 | |
CN206412665U (zh) | 一种防雨散热的配电柜 | |
KR101455199B1 (ko) | 태양광발전설비를 이용한 배전반의 멀티공조시스템 | |
CN202452633U (zh) | 智能通风系统 | |
CN110212436A (zh) | 一种配电柜温度检测安全报警装置 | |
CN204391561U (zh) | 一种低噪音的易安装箱变 | |
KR101848905B1 (ko) | 창틀에 부착되어 실내외공기를 선택적으로 교환가능토록 되는 환기장치 | |
CN205266084U (zh) | 一种内部稳定的环控柜 | |
KR200395643Y1 (ko) | 배전반의 환기장치 | |
CN205755232U (zh) | 一种电气自动化温度控制柜 | |
CN109038274B (zh) | 一种配网电气柜及其控制系统 | |
CN205282932U (zh) | 一种新型配电箱 | |
KR200398707Y1 (ko) | 배전반의 환기장치 | |
KR101160921B1 (ko) |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용 집풍타워 | |
CN110429499A (zh) | 户外智能化大型开闭所 | |
CN207572806U (zh) | 一种变频器柜的散热装置 | |
CN212362326U (zh) | 具有防护功能的通风装置 | |
CN101270898B (zh) | 吸顶式空调机 | |
CN205407070U (zh) | 一种箱式变电站 | |
CN212413547U (zh) | 一种电力柜除湿装置 | |
KR20110109018A (ko) | 급,배기 장치 | |
CN204335205U (zh) | 旋转散热通信箱 | |
CN216413688U (zh) | 一种预装式变电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