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857Y1 -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857Y1 KR200416857Y1 KR2020060006273U KR20060006273U KR200416857Y1 KR 200416857 Y1 KR200416857 Y1 KR 200416857Y1 KR 2020060006273 U KR2020060006273 U KR 2020060006273U KR 20060006273 U KR20060006273 U KR 20060006273U KR 200416857 Y1 KR200416857 Y1 KR 2004168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edestal
- electronic card
- slot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8—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impact or bending, e.g. protective shells or stress-absorbing layers around the integra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가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몸체부와, 단말기 몸체부 일면에 형성된 슬롯과, 슬롯에 삽입되고 전자카드가 장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되, 받침대에는 전자카드의 전기접점에 대응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접속단자는 인터페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는 전기접점의 손상없이 전자카드의 교체를 쉽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터페이스부, 슬롯, 표준단자, 확장단자, 스마트 카드, 메모리 카드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의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결합형 단말기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A-A'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가 받침대 몸체부에 결합된 받침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단말기 몸체부 22: 받침대
23: 슬롯 24: 스마트 카드
25: 메모리 카드 221: 결합 홈
221a: 결합 홈 바닥면 221b: 결합 홈 측면
241: 표준단자 222, 224: 접속단자
223: 걸림 돌기 251: 확장단자
본 고안은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스마트 카드나 메모리 카드와 같은 소형 전자카드가 외부에서 착탈 가능한 상태로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자 카드 중에서 종래 스마트 카드는 ISO 7810규격에 다른 ID-1 포맷(format)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ercial), UMTS(Universial Mobile Telecomunicate System) 단말에 사용되는 ID-000 포맷(이하 플러그 인(plug-in) 방식)으로 크게 사용되어 왔다. ID-1의 경우 스마트 카드의 보안성 등이 크게 부각되면서, 금융 및 교통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플러그 인 방식의 스마트 카드는 모바일 뱅킹, 커머스 및 해외 로밍 및 WCDMA보급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카드(12)는 리더기(Reader)나 도 1과 같이 단말기(11)에 넣기 위해 고정된 핀 인터페이스(fin interface)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여야 한다. 이때 핀 인터페이스와 스마트 카 드의 접속단자는 마찰에 의해 마모된다.
또한, 핀 인터페이스와 플러그 인 방식의 스마트 카드의 경우 각 서비스에 따라 단말기에 카드를 자주 교체하여 결합하여야 하며, 더군다나 현재 단말기에 결합하는 스마트 카드의 위치가 배터리 부분을 제거 후에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 또한 크다.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와 스마트 카드와 같은 소형 전자카드를 쉽게 착탈 할 수 있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측면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몸체부와, 단말기 몸체부 일면에 형성된 슬롯과, 슬롯에 삽입되고 전자카드가 장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되, 받침대에는 전자카드의 전기접점에 대응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접속단자는 인터페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단말기는 전자카드의 교체를 쉽게하는 장점이 있다.
전기접점은 ISO 7816 규정에 따른 표준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확장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 홈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카드가 장착되도록 대형 홈과 대형 홈에 수용되는 소형 홈이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 홈은 여러 개의 전자카드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받침대는 결합 홈과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받침대 몸체부와, 받침대 몸체부와 일측에서 힌지 결합하고, 전자카드가 장착 가능하도록 전자카드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소켓부, 소켓부와 받침대 몸체부에 형성되어 소켓부를 받침대 몸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받침대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소켓부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와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롯에 삽입된 전자카드가 받침대에 밀착되도록 단말기 몸체에 결합되어 전자카드를 가압하는 탄성체와, 슬롯에 삽입된 받침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받침대 몸체부에 결합된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전자카드 결합모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2, 3, 4, 5를 참조하면, 단말기 몸체부(21), 받침대(22), 슬롯(23), 스마트 카드(24), 메모리 카드(25), 결합 홈(221), 결합 홈 바닥면(221a), 결합 홈 측면(221b), 표준단자(241), 접속단자(222, 224), 확장단자(251), 걸림 돌기(223)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는 단말기 몸체부(21)와 단말기 몸체부(21)에 형성된 슬롯(23)과 슬롯(23)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받침대(22)로 이루어져 있다. 단말기 몸체부(21) 내부에는 인터페이스부(2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부(231)는 도 3의 받침대(22)의 접속단자(222, 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말기는 스마트 카드(24)나 메모리 카드(25)와 같은 전자카드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모든 전자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무선 통신기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슬롯(23)은 받침대(22)의 크기에 맞추어 단말기 몸체부(21)에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2)가 슬롯(23)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22)는 슬롯(23)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원터치 방식은 받침대(22)를 한번 누르면 슬롯(23)에 결합되고, 또 다시 누르면 받침대(22)가 슬롯(23) 내부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한편, 받침대(22)에는 받침대(22)가 슬롯(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2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걸림 돌기(223)가 받침대(22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위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받침대(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홈(221)은 스마트 카드(24)가 결합된 후 유동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 바닥면(221a)에는 ISO 7816에서 정의한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접속단자(222)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222)는 도 4의 스마트 카드(24)가 결합 홈(221)에 결합되는 경우 스마트 카드(24)의 표준단자(241)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홈(221)의 깊이도 스마트 카드(24)의 두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 홈(221)에는 도 5의 메모리 카드(25)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메모리 카드(25)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 확장단자(251)가 형성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접속단자(224)를 결합 홈 측면(221b)이나 결합 홈 바닥면(221b)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받침대(22)가 두개의 전자카드(24, 25)를 모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맞추어 스마트 카드(24)와 메모리 카드(25)를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모리 카드(25)와 스마트 카드(24)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하나의 크기에 해당하는 결합 홈(221)이 형성되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결합 홈(221)은 계단형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때 결합 홈(221)에는 크기가 작은 스마트 카드(24)가 우선 결합되고, 그 상부에 메모리 카드(25)가 결합된다. 또한 두개의 전자카드(24, 25)의 두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 홈(221)의 깊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24)와 메모리 카드(25)가 동시에 받침대(22)의 결합 홈(221)에 결 합된 단면도를 보여준다.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홈(221)은 소형 홈(221a)과 대형 홈(221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형 결합홈(221b) 내부에 소형 홈(221a)이 스마트 카드(24)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 정도로 수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방식으로 스마트 카드(24)와 메모리 카드(251)를 받침대(22)에 결합할 경우 스마트 카드(24)의 표준단자(241)와 메모리 카드(25)의 확장단자(251)는 각각 접속단자(222, 224)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방식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과 같이 슬라이드 결합방식으로 인한 표준 및 확장단자(241, 251)와 접촉단자(222, 224)의 마모 가능성은 줄어든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카드 결합형 단말기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 몸체부(41), 받침대(42), 슬롯(43), 홀더(holder, 47), 스마트 카드(45), 탄성체(46)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홀더(47)는 슬롯(43)에 받침대(42)가 결합된 경우 받침대(42)가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하며, 도 8의 탄성체(46)는 받침대(42)에 스마트 카드(45)를 밀착되게 하여, 도 3의 접속단자(222)와 도 4의 스마트 카드(24)의 표준단자(241)가 전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연결되도록 밀착 시키는 장치이다.
홀더(47)는 일반적으로 단말기 몸체부(4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슬 롯(43)에 결합된 받침대(42)를 홀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이외에도 홀더(47)에 형성된 회전축이 단말기 몸체부(41)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받침대(42)를 홀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홀더(47)는 단말기 몸체부(41)에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47)를 이용하여 받침대(42)를 홀딩하는 방법 이외에도 보호 캡을 사용하여 받침대(42)를 홀딩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46)는 슬롯(43) 내부의 단말기 몸체부(41)에 결합되어 있다. 탄성체(46)는 스마트 카드(46)와 결합된 받침대(42)가 슬롯(43)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스마트 카드(46)에 일정한 압력을 주어 받침대(42)에 밀착되도록 한다. 탄성체(46)는 스마트 카드(46)와 접촉면적이 넓은 판형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의 받침대(42)에 결합되는 전자카드는 스마트 카드(4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메모리 카드(25) 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메모리 카드(24)와 스마트 카드(25)를 모두 결합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가 받침대 몸체부에 결합된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9,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대(52), 스마트 카드(55), 받침대 몸체부 (521), 고정 수단(523), 고정판(523a), 가이드(523b), 고정홈(523c) 결합 홈(524), 소켓부(522), 힌지부(527), 걸림 돌기(529)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받침대(52)에서 자체적으로 스마트 카드(55)를 고정하는 예를 보여준다. 받침대(52)는 받침대 몸체부(521)와 소켓부(522)로 크게 구성된다.
받침대 몸체부(521)에는 소켓부(522)가 고정될 경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일정한 깊이의 결합 홈(524)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 몸체부(521)와 소켓부(522)의 결합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실시예의 방식은 일측의 소켓부(522)와 받침대 몸체부(521)는 힌지 결합을 하고 있고, 타측에는 고정 수단(523)을 이용하여 힌지부(527)를 중심으로 유동하는 소켓부(522)를 받침대 몸체부(521)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고정 수단(523)은 소켓부(522)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523b)와 이를 따라 유동 가능한 고정판(523a)과 받침대 몸체부(521)에 형성된 고정홈(523c)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판(523a)은 장방향으로 형성된 판이며,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522)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523b)를 따라 유동이 가능한 형태이다. 도 11과 같이 고정판(523a)이 받침대 몸체부(521)에 형성된 고정홈(523c)에 결합되면, 소켓부(522)와 여기에 결합된 스마트 카드(55)도 받침대 몸체부(52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판(523a)을 이용할 경우 고정판(523a)이 스마트 카드(55)를 전면적으로 눌러주는 효과가 있어, 받침대 몸체부(521)의 접속단자와 스마트 카드(55)의 표준단자가 신뢰성 있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소켓부(522)는 스마트 카드(55)가 탈착될 수 있도록 스마트 카드(55) 와 대응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받침대 몸체부(521) 방향으로 개방되어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카드(24)의 표준단자(241)가 받침대(22)에 형성된 접속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판(523a)을 고정홈(523c)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는 고정 수단(523) 이외에 끼움 결합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카드의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 카드와 메모리 카드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자카드의 종류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단말기 측면을 이용하여 전자카드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밧데리를 빼고 장착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으며, 또한 받침대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 전자카드 장착 슬롯을 이용할 때 생길 수 있었던 전자카드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몸체부와;상기 단말기 몸체부 일면에 형성된 슬롯과;상기 슬롯에 삽입되고, 전자카드가 장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되,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전자카드의 전기접점에 대응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접점은 ISO 7816 규정에 따른 표준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기접점은 확장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대는,상기 결합 홈과 상기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받침대 몸체부와;상기 받침대 몸체부와 일측에서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전자카드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전자카드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소켓부; 및상기 소켓부와 상기 받침대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를 상기 받침대 몸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수단은,상기 받침대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홈과;상기 소켓부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와;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결합 홈은,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카드가 장착되도록 대형 홈과 상기 대형 홈에 수용되 는 소형 홈이 계단형으로 형성된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받침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 몸체부에 결합된 홀더를 더 포함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전자카드가 상기 받침대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말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카드를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273U KR200416857Y1 (ko) | 2006-03-08 | 2006-03-08 |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273U KR200416857Y1 (ko) | 2006-03-08 | 2006-03-08 |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857Y1 true KR200416857Y1 (ko) | 2006-05-22 |
Family
ID=4176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6273U KR200416857Y1 (ko) | 2006-03-08 | 2006-03-08 |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85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5145A (ko) * | 2012-01-19 | 2013-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
-
2006
- 2006-03-08 KR KR2020060006273U patent/KR2004168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5145A (ko) * | 2012-01-19 | 2013-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
KR101954434B1 (ko) * | 2012-01-19 | 2019-03-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6952B2 (en) | SIM card carrier | |
US6226189B1 (en) | Data card housing | |
US6102743A (en) | Data card connector | |
EP1688867B1 (en) | Dual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 |
US5831256A (en) | Electronic card reader for read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and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such a reader | |
KR100935647B1 (ko) | 플러그인 듀얼 인터페이스 스마트카드를 위한 안테나 | |
JPH10260753A (ja) | カ−ド状の担体部材を接触させるためのアダプタ | |
EP1168228A2 (en) | Electronic card connector | |
TW200822582A (en) | Dual interface SIM card adapter with detachable antenna | |
JP2001134737A (ja) | プラグイン・カード | |
US6009315A (en) | Card reader for a portable telephone and a portable telephone incorporating the card reader | |
EP1406204B1 (en) | Card holder for cellular phone | |
SG183575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6068186A (en) | Chip card reader with adapter for read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telephone comprising such a reader | |
JP4530318B2 (ja) | プラグイン型icカード用アダプタ | |
KR200416857Y1 (ko) |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 |
WO2007138570A1 (en) | Electrical adapter for coupling to a portable card and a portable card integral with such an adapter | |
JP2005149355A (ja) | Uimアダプタ | |
US20150280383A1 (en) | Apparatus into Which Electronic Card May Be Inserted | |
KR20050115771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 |
KR200350772Y1 (ko) | 이동통신단말용 카드장착소켓 | |
KR20050110321A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장착 구조 | |
JP2010146200A (ja) | カード装着装置 | |
KR20050039933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카드 장착구조 | |
KR20060098096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카드 장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