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16531Y1 -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531Y1
KR200416531Y1 KR2020060004625U KR20060004625U KR200416531Y1 KR 200416531 Y1 KR200416531 Y1 KR 200416531Y1 KR 2020060004625 U KR2020060004625 U KR 2020060004625U KR 20060004625 U KR20060004625 U KR 20060004625U KR 200416531 Y1 KR200416531 Y1 KR 200416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ide rail
lipstick
coupled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60004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53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을 통해 막대 형태의 립스틱을 출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식띠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내면의 상/하부에는 제1,2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장식용기; 상기 장식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외용기; 상기 장식용기 내부에 수용되면서 그 하단이 외용기와 고정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형성하되, 상부에는 제3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4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내용기; 상기 내용기에 수용되면서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끼워 결합하되, 대칭되는 양 측면에는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장식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 양측의 힌지축에는 내용기 상단을 개폐하는 오버캡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는 제5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5 가이드레일의 하부 내면에는 제2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하부 외면에는 제3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하작동용기; 및 상기 장식용기의 상부에 고정 결합하되 그 상단에는 상기 오버캡 외주연을 밀폐 커버하면서 중앙에는 피스톤에 결합된 립스틱이 출입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외캡; 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결합한 용기의 상단이 립스틱의 출입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LIPSTICK CASE HAVING AUTOMATIC MEANS FOR OPEN AND CLOSE}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립스틱 100: 장식용기
120: 장식띠 140: 제1 가이드레일
160: 제2 가이드레일 162: 안착턱
200: 외용기 300: 내용기
320: 제3 가이드레일 322a, 322b: 안착턱
340: 제4 가이드레일 342: 안착턱
400: 피스톤 420: 제1 가이드돌기
500: 상/하작동용기 520: 오버캡
522a, 522b: 결합단턱 540: 제5 가이드레일
560: 제2 가이드돌기 580: 제3 가이드돌기
600: 외캡 620: 출입구
본 고안은 입술에 바르기 위한 립스틱을 저장하는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결합한 용기의 상단에 립스틱의 출입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입술의 틈을 방지하면서 입술을 화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립스틱은 입술에 바르기 편리하도록 소정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보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전을 통해 결합한 립스틱이 출입하도록 하는 용기가 제공되고 있다.
즉, 용기의 내부에 막대 형태의 립스틱을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의 하단을 돌려 개방된 용기의 상단을 통해 립스틱이 출입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립스틱이 출입하는 용기의 상단은 컵 형상의 뚜껑으로서 결합 및 분리에 의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립스틱 용기는 회전식 출입을 통해 간편하게 립스틱의 출입이 이루어짐으로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반면에, 상기 립스틱이 완전히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뚜껑을 닫거나,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립스틱을 출입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립스틱의 끝단이 뚜껑과 밀착되면서 뭉개짐으로서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구나 상기 뚜껑이 용기로부터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분실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립스틱이 외부공기나 이물질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쉽게 변질 또는 응고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결합한 용기의 상단에 립스틱의 출입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립스틱의 출입과 동시에 개폐수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호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출입 및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회전을 통해 막대 형태의 립스틱을 출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외면에는 장식띠에 의해 길게 연장된 상부와 소정높이의 하부로 구분되며 내면 상부에는 나선형으로 연속되는 제1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면서 제1 가이드레일과 역방향으로 절개된 사선형의 제2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장식용기; 상기 장식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외용기; 상기 장식용기 내부에 수용되면서 그 하단이 외용기와 고정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형성하되, 상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한 쌍의 제3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으로 소정높이 절개된 한 쌍의 제4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내용기; 상기 내용기에 수용되면서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끼워 결합하되, 대칭되는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제1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도록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장식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 양측의 힌지축에는 회전을 통해 내용기 상단을 개폐하는 구면(球面) 형상의 오버캡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돌기가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제5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5 가이드레일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제2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하부 외면에는 제2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제3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하작동용기; 및 상기 장식용기의 상부에 고정 결합하되 그 상단에는 상기 오버캡 외주연을 밀폐 커버하면서 중앙에는 피스톤에 결합된 립스틱이 출입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외캡;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작동용기의 밀착되는 오버캡 선단에는 상/하로 대응되는 결합단턱이 형성되어 상호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상사점, 제3 가이드레일의 상사점과 하사점 및 제4 가이드레일의 상사점 단부에는 각각 제1,2,3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도록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된 안착턱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를 도시한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하로 구분되는 장식용기(100), 상기 장식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외용기(200), 상기 장식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용기와 결합 고정되는 내용기(300), 립스틱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내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는 피스톤(400), 상단에 오버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식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결합되는 상/하작동용기(500) 및 상기 장식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외캡(600)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장식용기(100)는 원통 형상으로서 그 외면의 일정높이에 환형의 장식띠(120)가 돌출됨으로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된다. 즉, 장식용기(100)가 환형의 장식띠(120)로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됨에 따라 상부에는 상기 외캡(600)이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외용기(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식용기(100)의 내면 상부에는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요입 형성된 제1 가이드레일(14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면서 제1 가이드레일과 역방향으로 절개된 사선형의 제2 가이드레일(160)이 형성되는바, 상기 제1 가이드레일(140)은 립스틱(10)을 결합하고 있는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결합되어 상기 외용기(200)와 함께 내용기(300)를 회전시킬 경우 제1 가이드레일(140)에 의해 제1 가이드돌기(420)가 밀리면서 피스톤(400)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상/하작동용기(500)의 외면에 돌출된 제3 가이드돌기(580)가 결합되어 상기 외용기(200)와 함께 내용기(300)를 회전시킬 경우 제2 가이드레일(160)에 의해 제3 가이드돌기(580)가 밀리면서 상기 피스톤(400)의 상승 또는 하강과 반대로 하강 또는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레일(160)은 상기 장식용기(100)의 제1 가이드레일(140)과 역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관통됨으로서, 상기 상/하작동용기(500) 하단의 제3 가이드돌기(58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외용기(200)와 함께 내용기(300)를 회전시킬 경우 제2 가이드레일(160)에 의해 상/하작동용기(500)의 제3 가이드돌기(580)가 하강됨은 물론 일정시간 공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외용기(2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식용기(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상기 내용기(300)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외용기(200)와 장식용기(100) 및 내용기(300)의 결합은 스냅식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외용기(200)와 장식용기(100)는 상호 걸림작용에 의해 이탈됨은 방지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며, 외용기(200)와 내용기(300)는 상호 고정되어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300)는 장식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면서 그 하단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용기(200)와 고정 결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용기(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한 쌍의 제3 가이드레일(320)과 제4 가이드레일(34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레일(320)은 내용기(300)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절개 형성됨으로서 립스틱(10)을 결합하고 있는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외용기(200)와 함께 내용기(300)를 회전시킬 경우 제3 가이드레일(320)에 의해 제1 가이드돌기(420)가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피스톤(400)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레일(340)은 내용기(30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절개 형성됨으로서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내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돌기(56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외용기(200)와 함게 내용기(300)를 회전시킬 경우 제4 가이드레일(340)에 의해 제2 가이드돌기(560)가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하작동용기(500)의 원활한 하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레일(160)의 역사선형 상사점, 제3 가이드레일(320)의 수직을 이루는 상사점과 하사점 및 제4 가이드레일의 상사점(340)에는 제1,2,3 가 이드돌기(420, 560, 580)가 안착되도록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된 안착턱(162, 322a, 322b, 3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턱(162, 322a, 322b, 342)은 제1,2,3 가이드돌기(420, 560, 580)가 제2,3,4 가이드레일(160, 320, 340)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이른 상태에서 흘러내리거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소정길이 수평 형태를 이루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턱(162, 322a, 322b, 342)과 제2,3,4 가이드레일(160, 320, 340) 사이의 경계에는 약간의 돌출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내용기(300)에 수용되면서 막대 형상의 립스틱(10) 하단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컵 형상의 양 측면에는 대칭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돌기(420)는 앞서 설명된 내용기(300)의 제3 가이드레일(320)과 상/하작동용기(500)의 제5 가이드레일(540)을 관통한 상태에서 장식용기(100)의 제1 가이드레일(140)과 동시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로 돌출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돌기(420)는 제1 가이드레일(140), 제3 가이드레(320)일 및 제5 가이드레일(540)과 동시에 결합됨으로서 내용기(300)가 회전하여 나선형의 제1 가이드레일(140)이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는 한편, 제3 가이드레일(320) 및 제5 가이드레일(540)과의 결합을 통해 상/하로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작동용기(500)는 장식용기(100)와 내용기(300) 사이에 결합되는바, 상기 상/하작동용기(500)는 크게 구면(球面) 형상의 오버캡(520)과 오버캡(520)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5 가이드레일(540)과 하부 내면에 돌출되어 제3 가이드레일(340)과 결합되는 제2 가이드돌기(560) 및 하부 외면에 돌 출되어 제2 가이드레일(160)과 결합되는 제3 가이드돌기(58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오버캡(520)은 일정각도의 둥근 구면(球面)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내용기(300)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힌지축에 각각 결합됨으로서 내용기(300)의 상단을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열면서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버캡(520)의 상호 밀착되는 선단에는 상/하로 대응되는 결합단턱(522a, 522b)이 형성되어 상호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단턱(522a, 522b)은 양측 오버캡(520)의 선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된 틈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하 대응되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버캡(520)이 결합된 힌지축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돌기(420)가 결합되어 상/하로 안내되도록 수직방향의 제5 가이드레일(540)이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5 가이드레일(540)의 하부에 대하여 상/하작동용기(500) 내측 일면에는 제2 가이드돌기(560)가 돌출되어 상기 내용기(300)의 제4 가이드레일(340)과 결합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160)에 결합되는 제3 가이드돌기(580)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가이드돌기(580)는 상/하작동용기(500)의 하부가 좌/우 유동됨 없이 상/하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캡(600)은 상기 장식용기(100)의 상부에 고정 결합하되 그 상단에는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오버캡(520) 외주연을 커버하면서 피스톤(400)에 결합 된 립스틱(10)이 출입하도록 출입구(6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캡(600)은 장식용기(100)의 상측을 커버하면서 그 상단의 출입구(620)를 통해 내부의 립스틱(10)이 출입하도록 하되, 상기 출입구(620) 내주연은 개폐판(520)의 외주연 상측과 밀착된 상태로 밀폐 커버하여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캡(600)의 출입구(620)의 하부선단과 내용기(300)의 상단 사이에는 상/하작동용기(500)의 오버캡(520)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데 특히, 상기 오버캡(520)이 개폐될 경우 상기 외캡(600)의 출입구(620)와 내용기(300)의 상단 사이에 오버캡(520)의 내/외면이 밀착되면서 정확하고 안정된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된 립스틱의 상승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하여 립스틱(10)이 내용기(30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상/하작동용기(500)가 상승하여 오버캡(5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내용기(300)의 제3 가이드레일(320)의 하단 안착턱(322b)에 안착되고, 상/하작동용기(500)의 제2 가이드돌기(560)가 내용기(300)의 제4 가이드레일(340)의 상단 안착턱(342)에 안착되며,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제3 가이드돌기(580)가 장식용기(100)의 제2 가이드레일(160)의 상단 안착턱(162)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외캡(600)을 잡은 상태에서 외용기(200)를 회전시키면 내용기(300)가 함께 회전되면서 제3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작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돌기(420)는 장식용기(100)의 제1 가이드레일(140)과 상/하작동용기(500)의 제5 가이드레일(54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3 가이드레일(320)이 제1 가이드돌기(420)를 밀어냄과 동시에 제1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된다.
또한,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제3 가이드돌기(580)는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와 역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제2 가이드레일(160)에 의해 오버캡(520)을 끌어내리기 때문에 오버캡(520)이 외캡(600)의 출입구(620)와 내용기(30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개방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00)에 결합된 립스틱(10)의 상단과 오버캡(520) 사이에는 일정간격이 유지됨으로서 오버캡(520)이 완전히 개방된 후에 립스틱(10) 상단이 내용기(300)의 상단을 통해 인출됨과 아울러, 피스톤(400)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내용기(300)의 제3 가이드레일(320)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턱(322a)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시 피스톤(400)이 밀려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제3,5 가이드레일(320, 540)을 따라 계속 상승하는 한편,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오버캡(5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3 가이드돌기(580)가 제2 가이드레일(160)의 하단에서 횡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개방작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공회전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상/하작동용기의(500)의 오버캡(520)이 개방 되면서 피스톤(400)의 상승을 통해 립스틱(10)이 외부로 인출되어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작동용기(500)는 제3 가이드돌기(580)의 역방향 작용 및 제2 가이드돌기(560)와 제4 가이드레일(340)의 간섭을 통해 좌/우 유동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상기 립스틱의 하강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사용자가 상기 외캡(600)을 잡은 상태에서 외용기(2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용기(300)가 함께 회전되면서 제3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가 작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돌기(420)는 장식용기(100)의 제1 가이드레일(140)과 상/하작동용기(500)의 제5 가이드레일(540)에도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1 가이드레일(140)이 제1 가이드돌기(420)를 밀어냄과 동시에 제3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된다.
또한,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제3 가이드돌기(580)는 피스톤(400)과 함께 립스틱(10)이 하강되는 동안 횡방향으로 절개된 제3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개폐판(520)이 닫히지 않은 공회전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400)이 하강하여 립스틱(10)의 상단이 내용기(300)로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제3 가이드돌기(580)가 장식용기(100)의 역사선형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상승되면서 오버캡(520)을 밀어 올림으로서, 상기 외캡(600)의 출입구(620) 하단과 내용기(300)의 상단이 오버캡(520)에 의해 안내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오버캡(520)이 닫히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피스톤(400)의 제1 가이드돌기(420)는 내용기(300)의 제3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하강하면서 하단의 안착턱(322b)에 안착되고, 상기 상/하작동용기(500)의 제2 가이드돌기(560)는 내용기의 제4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단의 안착턱(342)에 안착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립스틱(10)이 수용되면서 상/하작동용기(500)의 오버캡(520)이 닫히게 됨에 따라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작동용기(500)는 상승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에 의하면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결합한 용기 상단의 개폐판이 립스틱의 출입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작용을 통해 상기 립스틱의 출입과 개폐판의 개폐가 상호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3)

  1. 회전을 통해 막대 형태의 립스틱을 출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외면에는 장식띠에 의해 길게 연장된 상부와 소정높이의 하부로 구분되며 내면 상부에는 나선형으로 연속되는 제1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면서 제1 가이드레일과 역방향으로 절개된 사선형의 제2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장식용기;
    상기 장식용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외용기;
    상기 장식용기 내부에 수용되면서 그 하단이 외용기와 고정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형성하되, 상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한 쌍의 제3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으로 소정높이 절개된 한 쌍의 제4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내용기;
    상기 내용기에 수용되면서 막대 형상의 립스틱을 끼워 결합하되, 대칭되는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제1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도록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장식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 양측의 힌지축에는 회전을 통해 내용기 상단을 개폐하는 구면(球面) 형상의 오버캡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돌기가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제5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제5 가이드레일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제4 가이드레 일과 결합되는 제2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하부 외면에는 제2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는 제3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하작동용기; 및
    상기 장식용기의 상부에 고정 결합하되 그 상단에는 상기 오버캡의 외주연을 밀폐 커버하면서 중앙에는 피스톤에 결합된 립스틱이 출입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외캡;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상/하작동용기의 밀착되는 오버캡 선단에는 상/하로 대응되는 결합단턱이 형성되어 상호 교차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상사점, 제3 가이드레일의 상사점과 하사점 및 제4 가이드레일의 상사점 단부에는 각각 제1,2,3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도록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된 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2020060004625U 2006-02-20 2006-02-20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16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25U KR200416531Y1 (ko) 2006-02-20 2006-02-20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25U KR200416531Y1 (ko) 2006-02-20 2006-02-20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531Y1 true KR200416531Y1 (ko) 2006-05-16

Family

ID=4176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2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6531Y1 (ko) 2006-02-20 2006-02-20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53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853B1 (ko) 2017-04-07 2017-07-28 주식회사 페어그린 자동 개폐되는 밀폐모듈 및 밀폐모듈을 이용한 화장품케이스
KR20190006256A (ko) * 2017-07-10 2019-01-18 주식회사 올버튼 일체형 밀폐 용기
KR20190063953A (ko) * 2017-11-30 2019-06-10 박경택 안전 바늘 커버 장치
EP4252579A1 (en) * 2022-04-01 2023-10-04 Glaspray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 Ltd. Cosmetic container
US11986077B2 (en) 2022-04-01 2024-05-21 Glaspray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 Ltd. Cosmetic contain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853B1 (ko) 2017-04-07 2017-07-28 주식회사 페어그린 자동 개폐되는 밀폐모듈 및 밀폐모듈을 이용한 화장품케이스
WO2018186630A1 (ko)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페어그린 자동 개폐되는 밀폐모듈 및 밀폐모듈을 이용한 화장품케이스
JP2020520286A (ja) * 2017-04-07 2020-07-09 株式会社ペアグリンPairgreen Inc.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US11064788B2 (en) 2017-04-07 2021-07-20 Pairgreen Inc. Automatically opened/closed sealing module and cosmetic case employing sealing module
JP7122369B2 (ja) 2017-04-07 2022-08-19 株式会社ペアグリン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KR20190006256A (ko) * 2017-07-10 2019-01-18 주식회사 올버튼 일체형 밀폐 용기
KR101943533B1 (ko) 2017-07-10 2019-01-29 (주)올버튼 일체형 밀폐 용기
KR20190063953A (ko) * 2017-11-30 2019-06-10 박경택 안전 바늘 커버 장치
KR102078743B1 (ko) * 2017-11-30 2020-02-19 박경택 안전 바늘 커버 장치
EP4252579A1 (en) * 2022-04-01 2023-10-04 Glaspray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 Ltd. Cosmetic container
US11986077B2 (en) 2022-04-01 2024-05-21 Glaspray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 Ltd. Cosmetic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531Y1 (ko) 자동 개폐수단을 갖는 립스틱 용기
JP3834256B2 (ja) 容器
KR200408898Y1 (ko) 립스틱 용기
KR102007825B1 (ko)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58967Y1 (ko) 슬라이드 타입의 립스틱 용기
US20180116369A1 (en) Liquid cosmetics case
US20200397116A1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101782727B1 (ko) 펜슬형 립스틱 용기
KR102741351B1 (ko) 밀폐 구조를 갖는 잔량 방지 스틱용기
KR102395106B1 (ko) 화장품 용기
CN110505820B (zh) 自动打开/关闭的密封模块和使用密封模块的化妆品盒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4182945A (en) Push-up lipstick or the like container
KR200418934Y1 (ko) 립스틱 용기
KR200433607Y1 (ko) 자동개폐 립스틱용기
JPH10502860A (ja) 自動リップスティックケース
WO2009028809A2 (en) Tubular receptacle having retractable outlet
KR200375839Y1 (ko) 내용물 색상 확인 및 거울 오염 방지 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JPS6120986Y2 (ko)
KR101829153B1 (ko) 버튼형 립스틱 용기
JPH0535814Y2 (ko)
JPH0228207Y2 (ko)
KR102797515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JPH0346667Y2 (ko)
JP7626983B2 (ja) 口紅等の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1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