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16348Y1 - A steam cleaner - Google Patents

A stea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348Y1
KR200416348Y1 KR2020060005484U KR20060005484U KR200416348Y1 KR 200416348 Y1 KR200416348 Y1 KR 200416348Y1 KR 2020060005484 U KR2020060005484 U KR 2020060005484U KR 20060005484 U KR20060005484 U KR 20060005484U KR 200416348 Y1 KR200416348 Y1 KR 200416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eam
brush
cleaner
stea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4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퀸
Priority to KR2020060005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34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3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47L13/225Steam 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4Steam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기를 사용한 후 청소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브러쉬를 분리하여 브러쉬에 끼인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청소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청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스팀청소기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탱크 및 다수의 스팀 분출공을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상단부에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집게부 및 본체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한다.After using the cleaner, 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leaner to remove the detachable brush to remove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tuck in the brush, and then combined with the cleaner body to provide a steam cleaner tha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leaning. . The stea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tank for generating steam and a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a tong part for fixing the mop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brush part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

본체, 브러쉬부, 걸레부, 스팀발생부, 집게부 Body, brush part, mop part, steam generating part, tong part

Description

스팀청소기{A steam cleaner}A steam clea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 본체의 저면 사시도.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cleaner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브러쉬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팀청소기 본체의 저면 사시도.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main body for explaining a detachable brush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tate of use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스팀청소기 10:탱크1: steam cleaner 10: tank

20:바퀴 30:본체20: wheel 30: body

32A,32B:집게부 40A,40B:브러쉬부 32A, 32B: Tong part 40A, 40B: Brush part

50:걸레 60:수납부 50: mop 60: storage

70:연결부 80:손잡이70: connector 80: handle

본 고안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행하는 청소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바닥면의 오물 등을 쓸어 담고, 이와 동시에 스팀을 발생시키며, 탈부착이 가능한 브러쉬부 및 걸레부를 이용하여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acuum cleaner to sweep the dirt of the bottom surface,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steam, using a removable brush part and mop part of the floor It relates to a steam cleaner that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일반적으로, 스팀을 이용한 청소기는 손잡이 봉 하단에 본체가 결합되고, 그 본체의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된 물탱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히터의 발열에 의해 물탱크 내에 충전된 세척수가 가열되면서 고온의 증기가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게 함은 물론 배출되는 증기는 본체 바닥면에 탈부착 가능케 형성된 걸레를 통해 바닥면의 찌든 때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하면서도 매트리스나 카페트와 같은 세균 및 진드기가 많은 침구를 살균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cleaner using steam has a main body coupled to a lower end of a handle bar, and a water tank having a heater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and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by heating of the heater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he steam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discharged vapor can be easily cleaned at the bottom of the floor through a mop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while also removing bacteria and mites such as mattresses and carpets. It is to allow sterile cleaning.

또한, 진공청소기 등에 장착된 브러쉬는 털솔과 같은 모양으로 바닥에 붙어있는 오물 또는 이물질 등을 바닥으로부터 분리하기에 용이하고 이렇게 분리된 오물 또는 이물질을 진공으로 흡입하기에 용이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In addition, the brush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has a shape such as a brush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dirt or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loor from the bottom and to suck the separated dirt or foreign matter into the vacuum.

그러나, 이러한 브러쉬에 형성된 털솔은 융단이나 소파등의 직물로 이루어진 바닥면을 청소할 경우, 직물의 섬유가닥에 끼인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을 솔질(brushing)하여 털어내는 데에는 유용하나, 털솔은 장모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스팀청소기에 전술한 장모의 브러쉬를 설치한 경우에는 청소의 효과가 오히려 반감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the brush formed in such a brush is useful for brushing off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tuck to the fiber strands of the fabric when clea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abric such as carpet or sofa, but the brush is formed with long hair. When the brush is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long hair due to the steam cleaner ha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effect is rather reduced.

또한, 전술한 장모의 브러쉬는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청소 후, 브러쉬에 끼인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많은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rush of the above-mentioned long hair is no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not easy to remove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tuck in the brush, so that the user experiences a lot of inconvenience.

더욱이, 종래의 스팀 청소기에서는 걸레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음으로써 스팀 청소기를 장시간 사용한 후 걸레를 세탁한 후 다시 스팀 청소기에 부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team cleaner,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mop from the main body, so that after using the steam cleaner for a long time, washing the mop and then attaching the mop again to the steam cleaner has been difficult.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청소기를 사용한 후 청소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브러쉬를 분리하여 브러쉬에 끼인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청소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청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brush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leaner after using the vacuum cleaner to remove the detachable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tuck in the brush and then combined with the cleaner body to maximize the effect of cleaning. To provide a steam clean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 청소기의 본체의 상단부에 한 쌍의 집게를 설치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걸레를 장시간 사용한 경우 세척을 하기 위하여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청소를 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air of tongs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steam cleaner, so that when used for a long time using the mop installed in the lower part can be easily removed for cleaning steam cleaner that can be cleaned more cleanly To provide.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증기를 발생하여 바닥에 있는 오물 또는 이물질을 소제하기 위한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탱크 및 다수의 스팀 분출공을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상단부에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집게부 및 본체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am cleaner for generating steam or to clean up the dirt or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a main body having a tank for generating steam and a plurality of steam ejection holes, mop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t provides a steam cleaner including a tongs that can be fixed and a brush unit which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 a sliding mann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본체의 바닥면에는 브러쉬부를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요철 모양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grooves of the concave-convex shape in order to fasten or detach the brush.

또한, 브러쉬부는 본체의 바닥면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rush unit provide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ir in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바닥면에 한 쌍의 상기 브러쉬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한 쌍의 요철홈이 구비되며, 각각의 브러쉬부는 요철홈에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pair of uneven groove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in order to fasten the pair of the brush parts to the bottom surface, and each brush part comprise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coupling is possible to the uneven grooves. to provide.

또한, 걸레부는 한 쌍의 브러쉬부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mop provide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to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brush.

또한, 본체의 바닥면은 홈과 스팀 분출공을 제외하고는 붙이는 찍찍이 형 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rovide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queezer-type pad, except for the groove and the steam jet hole.

이하, 본 고안의 목적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In the drawings,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 본체부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브러쉬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팀청소기 본체부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cleaner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mov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leaner main body part for explaining a possible brush part, and FIG. 4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팀청소기(1)는 본체(30), 손잡이(80) 및 본체(30)와 손잡이(80)를 연결하는 연결부(70)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부(7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청소환경에 따라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 to 4, the stea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30, the handle 80 and the connection portion 70 for connecting the main body 30 and the handle 80. The connecting portion 7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the cleaning environment.

본체(30)는 증기를 발생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어 미도시된 히터에 의하여 스팀으로 가열되는 탱크(10), 본체(3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어 바닥의 오물 또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하며 이렇게 분리된 오물 또는 이물질을 진공으로 흡입하기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한 쌍의 브러쉬부(40A, 40B), 탱크(10)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스팀을 분출하는 스팀발생부(37), 탱크(10)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걸레(50)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집게부(32A, 32B) 및 브러쉬부(40A, 40B)에 의하여 수집된 오물 또는 이물질을 수납하기 위하여 본체(30)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부(60)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30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ank 10, the main body 30, the water is stored to generate steam to be heated by steam by a heater (not shown) to easily separate the dirt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The pair of brushes 40A and 40B designed to facilitate suctioning of the separated dirt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vacuum, the steam generating unit 37 and the tank 10, which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ank 10 and eject the stea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3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30 for accommodating the dirt or foreign matter collected by the pair of forceps 32A, 32B and the brush portions 40A, 40B for fixing the mop 50. It includes a storage unit 60 installed in.

전원 코드를 콘센트에 삽입한 후, 전원을 켜서 스팀청소기(1)를 작동시키면 미도시된 히터에 의하여 탱크(1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된 스팀은 스팀발생부(37)에 형성된 스팀 분출공으로 분출되어 본체(30)의 바닥면에 장착된 걸레(50)를 적시게 된다. After inserting the power cord into the outle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o operate the steam cleaner 1, the water contained in the tank 10 by the heater not shown is heated to generate steam. At this time, the generated steam is ejected to the steam jet hole formed in the steam generating unit 37 to wet the mop 5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에 장착된 걸레(50)는 본체(30)의 상부 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집게부(32A, 32B)에 의하여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팀청소기(1)를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 걸레(50)가 더러워지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본체(30)의 상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집게부(32A, 32B)를 눌러서 걸레(50)를 스팀청소기(1)의 본체(35)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을 한다. 이어서, 세척이 완료된 걸레(50)를 한 쌍의 집게부(32A, 32B)를 압착한 후 끼워 넣음으로써 깨끗한 걸레(50)를 사용하여 보다 청결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p 5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is designed to be easily detachable by a pair of forceps 32A and 3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 It is characterized by. That is, the mop 50 becomes dirty when the steam cleaner 1 is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user presses the pair of forceps 32A and 3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30 to mop 50. After separating from the main body 35 of the steam cleaner 1, and wash. Subsequently, by pressing the pair of tongs 32A and 32B after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mop 50 can be cleaned more cleanly using the clean mop 50.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 본체(30)의 저면 사시도이다.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cleaner main body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브러쉬부(40A, 40B)는 본체(30)의 저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요철 형태의 한 쌍의 홈(38A, 38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하다. 장시간 동안 스팀청소기(1)를 사용한 후, 본체(30)로부터 브러쉬부(40B)를 분리하여 청소한 후, 청소된 브러쉬부(40B)를 본체(3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 형태의 홈(38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brush portions 40A and 40B may have a pair of grooves 38A and 38B having irregularities formed in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30. It is possible to fasten by sliding method. After using the steam cleaner 1 for a long time, the brush part 40B is separated and cleaned from the main body 30, and then the cleaned brush part 40B is formed with the uneven groove 38B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30. ) It can be used by fastening in a sliding manner.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에 떨어진 오물을 소제한 후 바닥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팀을 분사하게 되고, 스팀에 의해 습기를 가지는 걸레(50)에 의해서 이물질을 확실하게 닦아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eam is spray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floor after cleaning the dirt dropped on the floor, and the foreign material is surely wiped off by the mop 50 having moisture by the steam.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30)의 바닥면은 한 쌍의 홈(38A, 38B)과 다수의 스팀 분출공을 구비하는 스팀 발생부(37)를 제외하고는 붙이는 찍찍이 형 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is a squeezable pad to be attached except for a steam generator 37 having a pair of grooves 38A and 38B and a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브러쉬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팀청소기 본체(30)의 저면 사시도이다.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cleaner main body 30 for explaining a detachable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브러쉬부 및 걸레부를 구비하는 스팀청소기의 본체(30)는 저면부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홈(38A, 38B)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홈(38A, 38B)의 사이에는 스팀을 분사시키기 위해 다수의 스팀 분출공을 가지는 스팀 발생부(3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30 of the steam cleaner having a detachable brush part and a mop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grooves 38A and 38B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part. And a steam generator 37 having a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for injecting steam between the pair of grooves 38A and 38B.

스팀청소기(1)에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브러쉬부(40B)는 브러쉬 본체(40BA) 및 브러쉬 본체(40BA)의 바닥면에 형성된 단모(40BB)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쉬 본체(40BA)는 도 3에 도시한 스팀청소기(1)의 본체(30)의 저면부에 형성된 홈(38B)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브러쉬부(40B)는 용이하게 본체(30)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tachable brush part 40B used for the steam cleaner 1 consists of the brush main body 40BA and the short hair 40BB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ush main body 40B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body 40BA is designed to be slidingly coupled to the groove 38B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30 of the steam cleaner 1 shown in FIG. Therefore, the brush portion 40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from the main body 3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30)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레(50)를 이용하여 바닥에 있는 더러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어서, 장시간 청소를 수행하면 바닥면에 형성된 걸레(50)가 더러워지게 되게 되며, 이때 본체(30)의 상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집게부(32A, 32B)를 눌러서 걸레(50)를 스팀청소기(1)의 본체(30)로부터 분리한 후 세척을 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t material on the bottom is removed by using the mop 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Subsequently,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the mop 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ecomes dirty. At this time, the mop 50 is pressed by pressing the pair of forceps 32A and 32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0. Remove from the body 30 of 1) and wash.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4 is a state diagram used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stea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스팀청소기의 사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steam cleaner.

먼저, 스팀청소기(1)의 본체(30)에 전원을 인가하여 본체(30)의 내부에 설치된 탱크(10)내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First,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body 30 of the steam cleaner 1 to heat water contained in the tank 1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30 to generate steam.

이때, 발생된 스팀은 본체(30)의 바닥면에 결합된 걸레(50)를 적시게 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 한 후 본체(30)를 이동시키면 본체(30)의 바닥면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한 쌍의 브러쉬부(40A, 40B)는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과 마찰을 하게 되고, 바닥에 있는 머리카락, 섬유가닥과 같은 이물질 또는 음식물 찌거기와 같은 오물을 바닥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진공을 이용하여 분리된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enerated steam soaks the mop 5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and if the main body 30 is mov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The pair of brush portions 40A and 40B formed are rubbed with the floor to be cleaned, and dirt separated from the floor by separating foreign matters such as hairs, fiber strands or food residues from the floor from the floor.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소제된 오물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하여 바닥에 형성된 자국 또는 흔적으로 스팀에 의하여 한 쌍의 브러쉬부(40A, 40B)에 연결된 적셔진 걸레(50)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소제를 행하게 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바닥을 청소하게 되어 완벽한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econdary cleaning is performed by using a mop 50 that is wetted with a pair of brush parts 40A and 40B by steam as a mark or trace formed on the bottom by the firstly cleaned dirt or foreign matter. By doing this, the floor can be cleaned more reliably, thereby enabling a perfect cleaning.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청소를 한 후 머리카락과 같은 여러 가지 이물질이 브러쉬부(40A, 40B)에 붙어 있거나 끼인 경우 브러쉬부(40A, 40B) 만을 본체(30)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쉽게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새로운 브러쉬부(40A, 40B)로 교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clea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are stuck or caught in the brush parts 40A and 40B, only the brush parts 40A and 40B are slid from the main body 30 and easily separated. By cleaning or by replacing with a new brush portion (40A, 40B)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eaned more efficiently.

또한, 장시간 스팀청소기(1)를 사용한 경우 걸레(50)가 더러워진 경우에 본체(30)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집게(32A, 32B)를 이용하여 걸레(50)를 분리한 후 걸레(50)를 세척하여 다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steam cleaner 1 for a long time when the mop 50 is dirty, the mop 50 after separating the mop 50 by using a pair of forceps 32A, 32B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0. ) Can be combined again by wash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또한, 본체(30)의 바닥면은 상기 홈(38A,38B)과 상기 스팀 분출공을 제외하고는 붙이는 찍찍이 형 패드로 형성함으로써 걸레를 보다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p can be more firmly bound by forming a squeegee-type pad, except for the grooves 38A and 38B and the steam jet hol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를 한 후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한 쌍의 브러쉬부에 끼인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lean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caught in a pair of brush por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eriodically, which can be cleaned more efficiently. There is this.

또한, 한 쌍의 브러쉬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여 마모된 경우에, 스팀 청소기의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한 쌍의 홈을 따라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손쉽게 브러쉬부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간단하게 브러쉬부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pair of brushes have been worn for a long time, the brush par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by sliding along a pair of groove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steam cleaner, thereby easily replacing the brush part.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장시간 스팀 청소기를 사용한 경우 걸레가 더러워진 경우에 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집게를 이용하여 걸레를 분리한 후 걸레를 세척하여 다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steam cleaner for a long time, when the mop is dirty,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mop by using a pair of forceps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then to clean the mop and recombine, so that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증기를 발생하여 바닥에 있는 오물 또는 이물질을 소제하기 위한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In the steam cleaner for generating steam to clean up dirt or foreign matter on the floor, 스팀을 발생시키는 탱크 및 다수의 스팀 분출공을 구비하는 본체; A main body having a tank for generating steam and a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집게부; 및Tong portion that can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부Brush portion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liding mann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Steam clean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브러쉬부를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요철 모양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groove for fastening or detaching the brush.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바닥면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The brush unit i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ir in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걸레부는 상기 한 쌍의 브러쉬부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And the mop part is fastened to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brush parts.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홈과 상기 스팀 분출공을 제외하고는 붙이는 찍찍이 형 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s a stea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squeegee-type pad, except for the groove and the steam jet hole.
KR2020060005484U 2006-02-28 2006-02-28 A steam cleaner KR2004163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84U KR200416348Y1 (en) 2006-02-28 2006-02-28 A stea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84U KR200416348Y1 (en) 2006-02-28 2006-02-28 A stea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348Y1 true KR200416348Y1 (en) 2006-05-15

Family

ID=4176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484U KR200416348Y1 (en) 2006-02-28 2006-02-28 A stea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348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758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steam supplying apparatus for sream cleaner
KR20170028765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cleaner
KR20170028761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rotating mop of steam cleaner
KR20170028759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steam guiding apparatus for steam cleaner
KR20170028764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steam clea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758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steam supplying apparatus for sream cleaner
KR20170028765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cleaner
KR20170028761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n apparatus for rotating mop of steam cleaner
KR20170028759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steam guiding apparatus for steam cleaner
KR20170028764A (en) 2015-09-04 2017-03-14 신일산업 주식회사 A stea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3550B2 (en) Vacuum cleaner
US7758702B1 (en) Extraction cleaning with surface heating
US8991000B2 (en) Low moisture extraction deep cleaning
US10398274B2 (en) Bare floor cleaner
EP1799089B1 (en) Steam nozzle attachment for use with steam cleaner
KR20210073460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416348Y1 (en) A steam cleaner
JP2001327449A (en) Attachment for steam washing, and part for brush
US20130056027A1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US20150040945A1 (en) Floor cleaning tool having a mechanically operated pump
CN115135216B (en) Cleaner head for a cleaning appliance
WO1994006344A1 (en) Cleaning head
US20060150363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106388737A (en) Integrated mob with high filth containment performance
KR200403071Y1 (en)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200402692Y1 (en) Suction brush was established steam cleaner
KR200433540Y1 (en)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for floor cleaning fabric of steam cleaners
KR200433539Y1 (en) cleaning fabric cover of steam cleaners
KR101199659B1 (en) Nozzle for cleaner
CN208426059U (en) Mophead and mop
KR100777418B1 (en)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200437626Y1 (en) A mop
KR100618082B1 (en) Tow way cleaner having a steam nozzle with vacuum function
KR20090013031U (en) golf club cleaning tool
KR20180001468U (en) Scrubbers for m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