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089A -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Google Patents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110089A KR20040110089A KR1020040036817A KR20040036817A KR20040110089A KR 20040110089 A KR20040110089 A KR 20040110089A KR 1020040036817 A KR1020040036817 A KR 1020040036817A KR 20040036817 A KR20040036817 A KR 20040036817A KR 20040110089 A KR20040110089 A KR 20040110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branch
- superconducting
- cable cores
- cor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34—Cable fittings for cryogenic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8—Connections to or between superconductive conne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150)는 초전도 도체(201)의 외주에 실드층(203)을 갖는 3개의 케이블 코어(102)와 3개의 케이블 코어(102)가 집합된 집합부(110)로부터,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로 케이블 코어(102)를 수납하는 분기 상자(1)와, 분기 상자(1) 내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속부(2)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 코어(102)의 외부에 큰 자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 코어로 이루어지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을 코어마다분기시킨 분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기 부분에 있어서, 각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자장이 발생하기 어려운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Bi계 고온 초전도 테이프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초전도 도체를 사용한 초전도 케이블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블 코어를 일괄로 한 다심 일괄형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이 개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 초전도 케이블(100)은 단열관(101) 내에 3개의 케이블 코어(102)를 꼬아 수납시킨 구성이다. 단열관(101)은 외관(101a)과 내관(101b)을 갖고 있다. 외관(101a)과 내관(101b)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의 사이에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고, 이 2중관 안이 진공된다.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은 중심으로부터 차례로 포머(200), 초전도 도체(201), 전기 절연층(202), 실드층(203), 및 보호층(204)을 구비하고 있다. 초전도 도체(201)는 포머(200)상에 초전도 선재를 다층으로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드층(203)은 전기 절연층(202)상에 초전도 도체(201)와 같은 초전도 선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드층(203)에는 정상시, 초전도 도체(201)에 흐르는 전류와 역방향으로 거의 같은 크기의 전류가 유기된다. 이 유도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장에서, 초전도 도체(201)로부터 생기는 자장을 서로 제거하여, 케이블 코어(102) 외부로의 누설 자장을 거의 제로로 할 수 있다. 내관(101b)과 각 케이블 코어(102)로 둘러싸이는 공간(103)이 통상, 냉매의 유로가 된다. 또, 단열관(101)의 외주에는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방식층(10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을 서로 접속하는 경우나, 다상 초전도 케이블과상전도 케이블을 접속하는 경우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종단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등에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이 각 상마다, 즉, 케이블 코어마다 분기된다. 각 케이블 코어의 분기는 극저온으로 유지된 분기 상자 내에서 행하여지고, 분기 상자 내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은 서로의 간격이 확대된 상태로 유지된다. 케이블 코어의 틈을 확대한 상태로 유지하는 지그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3-933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상전도의 다상 케이블을 서로 접속하는 경우나, 상전도의 다상 케이블의 종단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등에는 상전도의 다상 전력 케이블도 상기 다상 초전도 케이블과 같이, 케이블 코어마다 분기된다. 각 케이블 코어의 분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분기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각 케이블 코어의 틈을 확대한 상태로 하는 것으로 행하여진다. 이 분기 부분에 있어서, 통상, 각 상의 접지 전위를 취하기 위해서,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은 접지된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면 기하치로 이즈카(Kihachiro Iizuka)씨 저서의, 「신판·전력 케이블 기술 핸드북」, 주식회사 덴키쇼인(Denkishoin), 1989년 3월 25일 제1판 제1쇄 발행, 64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분기 부분에 있어서,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에 대한 처리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아, 구체적인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전도 케이블과 같이, 초전도 케이블에 있어서도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을 접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초전도 케이블은 상전도 케이블보다도 상당히 큰 전류를 흘리기 때문에, 상전도 케이블과 같이 실드층을 접지하면,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이 접지(대지)를 통해서 접속될 우려가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을 각각 접지하여, 접지를 통해서 실드층간을 접속시키면, 실드층의 접속간 저항이 크기 때문에, 실드층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초전도 도체에 흐르는 전류보다도 작아진다. 이 때문에,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은 각 코어의 초전도 도체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을 제거하는 정도의 자장을 형성할 수 없고, 각 코어의 외부에 큰 자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자장이 발생하기 어려운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을 도전성 재료로 서로 접속하여, 실드층간을 저저항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
즉, 본 발명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는 초전도 도체의 외주에 실드층을 갖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와 복수의 케이블 코어가 집합된 집합부로부터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로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을 수납하는 분기 상자와 분기 상자 내의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상 초전도 케이블에 있어서, 접지를 통해서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면, 실드층의 접속간 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은 각 케이블 코어의 초전도 도체로부터 생기는 자장을상쇄하는 자장을 발생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을 접속간 저항이 커지는 접지에 의해 접속하는 것은 아니고, 접속간 저항이 작은 도전성 부재를 사용하여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초전도 도체의 외주에 실드층을 갖는 케이블 코어를 복수 구비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을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면, 3개의 케이블 코어를 꼬아 단열관에 수납된 3심 일괄형의 3상 초전도 케이블 등을 대상으로 한다. 공지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을 케이블 코어마다 분기시킨 코어를 수납하기 위해서 분기 상자를 사용한다. 즉, 분기 상자 내에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가 집합된 집합부로부터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의 코어가 수납된다. 또한, 이 분기 상자에는 이들 케이블 코어를 초전도 상태로 유지하도록 냉각하기 위한 액체질소 등의 냉매가 채워진다. 따라서, 분기 상자는 단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 상자 내에서 각 케이블 코어의 유지는 유지구를 사용하여 하면 좋다. 유지구로서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을 유지 가능한 동시에,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코어의 신축에 따라 분기 상자 내를 이동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는 유지구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기 상자에 수납되는 각 케이블 코어에 있어서, 복수의 실드층의 각각을 특정한 접속부,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도전성 접속부에서 서로 접속하고 있다. 도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나 알루미늄(모두, 77K의 비저항 ρ= 2×10-7Ω·cm)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금속의 전기적 저항은 초전도 케이블이 사용되는 냉매 온도의 근방, 예를 들면 냉매로서 액체질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체질소 온도의 근방에 있어서도 작다. 이 도전성 접속부는 분기 상자에 수납되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의 실드층끼리를 접속하면 좋다. 접속부의 형상은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에 접하고, 또한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의 사이를 접속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을 복수의 초전도 소선으로 형성하는 경우, 구성하는 모든 초전도 소선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 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의 외주를 덮는 것이 가능한 원통형 부재와 이 원통형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조합한 형상을 들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편조제(編組材)로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가요성을 갖는 연결 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냉각 수축에 따른 각 코어의 이동에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을 갖는 연결 부재는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분기 상자 안과 같은 스페이스가 한정된 장소에서 조립 작업성이 우수한 동시에, 조립 작업에 의해 생기는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전성 접속부와 실드층의 접속은 접속에 의한 전기적 저항이 작은 방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땜납에 의한 접속 등이 적합하다. 또, 도전성 접속부를 실드층에 장착할 때에는 각 케이블 코어가 보호층을 구비하는 경우, 미리 접속 개소의 보호층을 제거하여 둔다.
상기 도전성 접속부는 분기 상자로부터 인출된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에 설치하여도 좋지만, 상자로부터 돌출된 각 케이블 코어에는 액체질소 등의 냉매가 채워지는 단열관이 각각 배치된다. 이것은, 상자 내의 케이블 코어와 같이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분기 상자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에 도전성 접속부를 장착하는 구성은 대단히 번잡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분기 상자 내의 코어에 도전성 접속부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접속부는 분기 상자 내에 배치되는 각 케이블 코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지만, 상기 도전성 접속부를 분기단측에 배치하면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사이가 더욱 확대되어 케이블 코어간의 거리가 커진다. 이 때문에 동 접속부의 장착 작업성이 아주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집합부측에 배치하는 경우,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사이가 거의 확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도전성 접속부를 작게 할 수 있다. 덧붙여, 도전성 접속부가 분기단측에 없는 것으로, 분기 상자의 분기단측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즉, 분기 상자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기 구조는 케이블 코어(초전도 케이블)의 일단뿐만 아니라 양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기 구조를 초전도 케이블의 양단에 구비하는 경우, 케이블의 양단의 각 분기 상자 내에 수납되는 각각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이 도전성 접속부로부터 서로 접속된 상태이다. 이 때, 초전도 케이블의 일단의 도전성 접속부로부터 타단의 도전성 접속부까지의 사이에 있는 각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에는 정상시, 각각의 초전도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거의 동등한 크기이고 또한 역방향의 전류가 유기되기 때문에, 코어 외부로의 누설 자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초전도 도체에 흐르는 전류와 거의 동등한 크기이고, 역방향의 전류의 대부분은 도전성 접속부로부터도 집합 단측의 실드층으로 흐른다. 이 때문에, 도전성 접속부로부터 분기단 사이에 있는 실드층에는 초전도 도체에 흐르는 전류보다도 작은 전류밖에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분기 상자로부터 돌출시킨 각 케이블 코어의 외주에 배치시키는 상기 단열관을 전기적으로 저저항의 재료로 형성하면, 도전성 접속부로부터 분기단측의 케이블 코어의 외주에 생기는 누설 자장에 의해 와전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저감 혹은 전무로 하기 위해서, 상기 단열관으로서, 고저항 재료 또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저항 재료로서는 상온으로부터 77K 정도의 저온에 있어서의 비저항 ρ이 10-5Ω·cm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저항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비저항 ρ:4×10-5내지 8×10-5Ω 내지 ㎝)를 들 수 있다. 절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실드층의 각각은 접지된다. 이 때, 일괄해서 접지하면 작업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고 있는 도전성 접속부를 접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드층이 일괄해서 접지되어 있다. 여기서, 초전도 케이블의 양단에 본 발명의 분기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 양단의 도전성 접속부와도 접지를 취하면, 대지(大地)를 통해서 폐쇄 루프가 형성되어 버린다. 따라서 일단측의 분기 상자 내의 도전성 접속부만을 접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에 있어서, 분기단측에 도전성 접속부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a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하는 영역 C 내의 케이블 코어 부분의 단면도.
도 2c는 도전성 접속부의 별도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에 있어서, 집합부측에 도전성 접속부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3심 일괄형의 3상 초전도 케이블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케이블 코어(102)를 구비하는 3상 초전도 케이블(100)의 상분기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150)는 초전도 도체의 외주에 실드층을 갖는 3개의 케이블 코어(102)와 3개의 케이블 코어(102)가 집합된 집합부(110)로부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로 각 케이블 코어(102)를 수납하는 분기 상자(1)와 분기 상자(1) 내의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속부(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 사용한 3상 초전도 케이블(10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3상 초전도 케이블(100)은 중심부터 차례로포머(200)와 초전도 도체(201)와 전기 절연층(202)과 실드층(203)과 보호층(204)을 구비하는 케이블 코어(102)를 3개 꼬아 단열관(101) 내에 수납된 구성을 갖고 있다. 포머(200)는 절연 피복된 구리선을 복수 개 꼰 것을 사용하고 있다. 초전도 도체(201)는 포머(200)의 외주에 Bi2223계 초전도 테이프선(Ag-Mn 외피선(sheath wire))을 다층으로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실드층(203)은 전기 절연층(202)의 외주에 Bi2223계 초전도 테이프선(Ag-Mn 외피선)을 다층으로 나선상으로 권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 절연층(202)은 초전도 도체(201)의 외주에 반합성 절연지(스미토모전기공업주식회사 제조 PPLP: 등록상표)를 권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보호층(204)은 실드층(203)의 외주에 크라프트지를 권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열관(101)은 SUS 파형관(corrugated pipe)으로 이루어지는 외관(101a)과 내관(101b)을 갖고 있다. 외관(101a)과 내관(101b)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의 사이에 단열재가 다층으로 배치되고, 이 2중관 안이 진공이 되는 진공 다층 단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단열관(101)의 외주에는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방식층(10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3상 초전도 케이블(100)이 꼬인 각 케이블 코어(102)에 관해서는 각각 별개로 취급하게 쉽게 하기 위해서, 집합되어 있는 케이블(100)의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간격이 확대되고,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이 분기된다. 분기 상자(1)는 이들 3개의 케이블 코어(102) 사이의 간격이 서서히 확대된 상태의 코어(102)를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분기 상자(1)의 일면측(도 1에서는 오른쪽면측)에는 초전도 케이블(100)이 삽입되고, 이 면과 대향하는다른 면측(동 왼쪽면측)으로부터는 분기시킨 각 케이블 코어(102)가 각각 돌출된다. 또, 분기 상자(1) 내에는 액체질소 등의 냉매가 채워지고, 냉매가 수납된 케이블 코어(102)를 냉각한다. 그 때문에, 분기 상자(1)는 단열층(1a)을 구비하는 단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기 상자(1)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분기 상자(1) 내에 수납되는 케이블 코어(102)는 분기 상자(1)의 일면측(초전도 케이블(100)의 집합부(110)측)으로부터 분기 상자(1)의 다른 면측(코어(102)의 분기단측)을 향해서, 각 코어(102)간의 간격이 서서히 확대되고,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코어(102)는 집합부(110)측을 유지하는 제 1 유지구(10)와 중간부를 유지하는 제 2 유지구(11)와 제 1 유지구(10)와 제 2 유지구(11)간의 코어(102)를 유지하는 중간 유지구(12)로 유지되어 있다.
제 1 유지구(10)는 중심에 환상부를 구비하고, 이 환상부의 외주에 3개의 중간 유지구(12)가 고정된다. 이 제 1 유지구(10)는 3개의 케이블 코어(102)로 둘러싸이는 공간의 거의 중심부에 환상부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각 중간 유지구(12)에 각각 케이블 코어(102)를 배치하는 것으로, 각 중간 유지구(12)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간격을 확대한 상태로 유지한다.
제 2 유지구(11)의 기본적 구성은 제 1 유지구(10)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환상부의 직경을 제 1 유지구(10)보다도 크게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코어(102)의 신축에 따라 분기 상자(1)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분기 상자(1)의 내주면에 거의 점 접촉하는 슬라이딩부(11a)를 구비한다. 이 슬라이딩부(11a)는 환상부의 외주에서 중간 유지구(12)를 고정하지 않은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은 분기 상자(1) 내의 말단부(4)쪽을 향해서 서로의 사이가 일정해지도록 제 2 유지구(11)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분기단측」은 이 제 2 유지구(11)보다도 말단부(4)측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집합부측」은 이 제 2 유지구(11)보다도 집합부(110)측을 의미하고 있다.
중간 유지구(12)는 반원 원호형의 부재, 소위 통형상의 부재가 조합된 원통형의 구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통형상의 부재에 의해 케이블 코어(102)의 외주가 덮이고, 이 통형상의 부재의 외주가 밴드(도시하지 않음) 등의 체결구에 의해 케이블 코어(102)의 외주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케이블 코어(102)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중간 유지구(12) 내의 케이블 코어(102)가 냉매와 접촉하기 쉽도록, 유지구(12)에 적절하게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각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끼리를 도전성 접속부(2)에 접속하고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유지구(11)보다도 분기단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끼리를 도전성 접속부(2)로 접속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속부(2)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203)의 각각의 외주를 덮는 원통형 부재(2a)와 원통형 부재(2a)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b)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 부재(2a)는 각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203)의 외주에 장착하기쉽도록, 케이블 코어(102)의 외형에 적합한 한 쌍의 반원 원호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반원 원호형 부재를 조합하는 것으로 실드층(203)의 외주를 덮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코어(102)의 보호층(204)의 일부를 제거하여 실드층(203)이 노출되고, 노출된 실드층(203)상에 한 쌍의 반원호상 부재를 배치하여 케이블 코어(102)가 덮인다. 원통형 부재(2a)는 구리로 형성되어 있다. 반원호형 부재끼리의 접합은 땜납으로 행하여지지만,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각 원통형 부재(2a)와 각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203)의 접합은 땜납으로 행하여진다. 실드층(203)을 구성하는 복수의 초전도 테이프선에 원통형 부재(2a)가 접촉된다.
연결 부재(2b)는 원통형 부재(2a)끼리를 접속하는 것인 동시에, 케이블 코어(102)간에 배치됨으로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2b)가 상기 원통형 부재(2a)와 같이 구리로 된 편조재로 형성된다. 가요성을 갖는 연결 부재(2b)를 사용하는 것으로, 냉각 수축에 따른 각 케이블 코어의 이동에 추종 가능해지는 동시에, 원통형 부재(2a)와의 접합 등의 작업이 분기 상자(1) 내에서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작업시의 오차를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 부재(2b)가 사용되고, 각 연결 부재(2b)의 양단에 원통형 부재(2a)가 접합되고,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2a)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으로 도전성 접속부(2)가 형성된다(Δ결선형).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2b)와 원통형 부재(2a)의 접합은 땜납으로 행하여지지만,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2a)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중심에 중심 부재(2c)가 배치되고, 이 중심 부재(2c)와 각 원통형 부재(2a)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결 부재(2b)를 접합하여 도전성 접속부(2)가 형성되어도 좋다(Y결선형).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기 상자(1)로부터 인출된 각 케이블 코어(102)의 외주에는 각각 2중의 스테인리스제 코르게이트로 이루어지는 단열관(3)이 배치되어 있고, 단열관(3) 내에는 분기 상자(1) 내와 같이 냉매가 채워진다. 따라서, 분기 상자로부터 돌출한 각 케이블 코어(102)도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각 케이블 코어(102)의 분기단에는 다른 케이블 코어나 접속기기 등과 접속 가능한 단말부(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예 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150)에서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203)의 각각을 도전성 접속부(2)로 서로 접속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드층(203)의 각각의 사이는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면 단락된 상태가 된다. 즉, 복수의 실드층(203)의 각각의 사이는 접속간 저항이 작은 상태로 접속되기 때문에, 복수의 실드층(203)의 각각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복수의 초전도 도체(201)의 각각에 흐르는 전류와 각각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실드층(203)의 각각에는 복수의 초전도 도체(201)의 각각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을 제거할 정도의 자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코어(102)의 외부에 큰 자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단측에 도전성 접속부(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가 충분히 확대된 상태에 있는 개소에서 장착하기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성 접속부(2)의 설치가 쉽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 상자(1)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외주에 배치하는 단열관(3)으로서, 고저항 재료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전성 접속부(2)로부터 단말부(도 1 참조)까지의 케이블 코어(102)의 외주에 누설 자장이 발생하여도 와전류가 생기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150)는 초전도 케이블(10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의 분기 상자(1)의 도전성 접속부(2)만으로 접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접속부(2)에 접지선이 땜납 등으로 장착되고, 이 접지선을 분기 상자(1)의 외부로 인출하여 접지되어 있다. 접지선과 분기 상자(1)의 밀봉에는 허메틱 밀봉(hermetic seal)이 사용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기밀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고 있는 도전성 접속부(2)를 접지하는 것으로, 복수의 실드층을 일괄해서 접지할 수 있다. 또한, 일단측의 도전성 접속부(2)만이 접지되는 것으로,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의 각각이 접지를 통해서 접속되지 않게 된다.
(실시예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구조(160)는 기본적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 1의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150)와 같고, 도전성 접속부(2')를 제 2 유지구(11)보다도 집합부(110)측에 장착한 점이 다르다. 이하, 이 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3a에 있어서 단말부는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도전성 접속부(2')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의 각각의 외주를 각각 덮는 원통형 부재(2a')와 복수의 원통형 부재(2a')의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2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2a')는 실시예 1과 같이 한 쌍의 반원호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리로 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원통형 부재(2a')는 케이블 코어(102)의 보호층(204)의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시킨 실드층의 외주에 배치되고, 볼트에 의해 접합하는 것으로 케이블 코어(102)를 덮고 있다. 또한, 복수의 원통형 부재(2a')의 각각과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203)의 각각은 땜납으로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2b')는 복수의 원통형 부재(2a)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 부재(2b')는 삼각형상의 판재의 정점 부분을 원호형으로 노치한 형상이고, 원통형 부재(2a')와 동일한 구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연결 부재(2b')의 노치 부분의 각각과 복수의 원통형 부재(2a')의 각각이 배치되어 서로 접합되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2a')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상으로 도전성 접속부(2')가 형성되어 있다(A결선형).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2b')와 원통형 부재(2a')의 접합은 땜납으로 행하여졌지만, 볼트 등의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접합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160)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을 도전성 접속부(2')로 접속하는 것으로, 케이블에 전류를 흘렸을 때,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실드층의 접속간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실드층의 각각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복수의 초전도 도체의 각각에 흐르는 전류와 거의 동등하게 하여, 복수의 초전도 도체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을 복수의 실드층에 발생하는 자장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큰 자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집합부(110)측에 도전성 접속부(2')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도전성 접속부(2')를 작게 할 수 있고, 분기 상자(1)에 있어서 제 2 유지구(11)보다도 분기단측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분기 상자(1)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분기 상자(1)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외주에 고저항 재료인 스테인리스제의 단열관(3)을 배치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 단열관(3)을 절연 재료인 FRP로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에서는 도전성 접속부(2, 2')로부터 단말부(도 1 참조)까지의 케이블 코어(102)의 외주에 누설 자장이 발생하여도, 분기 상자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외주에 배치하는 단열관(3)을 절연 재료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와전류가 더욱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분기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실드층의 각각을 도전성 접속부에서 서로 접속하는 것으로,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큰 자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기단측의 케이블 코어의 외주에 고저항 재료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열관을 배치하는 것으로, 도전성 접속부로부터 분기단측의 케이블 코어의 외주로 누설 자장이 발생하여도, 와전류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예시를 위한 것뿐으로, 한정이 되어서는 안되고,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Claims (7)
- 초전도 도체(201)의 외주에 실드층(203)을 갖는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와상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가 집합된 집합부(110)로부터 상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사이를 확대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을 수납하는 분기 상자(1)와상기 분기 상자(1) 내의 상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실드층(203)의 각각을 서로 접속하는 도전성 접속부(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2)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상기 실드층(203)의 각각의 외주를 덮는 것이 가능한 원통형 부재(2a, 2a')와 상기 원통형 부재(2a, 2a')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b, 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b, 2b')는 편조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2)는 상기 분기 상자(1) 내의 상기 케이블 코어(102)에 있어서의 분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2)는 상기 분기 상자(1) 내의 상기 케이블 코어(102)에 있어서의 상기 집합부(110)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상자(1)로부터 인출된 상기 복수의 케이블 코어(102)의 각각의 외주에는 각각 단열관(3)이 배치되고, 상기 단열관(3)은 고저항 재료 또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코어(102)의 양단에 분기 상자(1)를 구비하고, 일단측의 상기 분기 상자(1) 내의 상기 도전성 접속부(2)만이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174647 | 2003-06-19 | ||
JP2003174647A JP2005012925A (ja) | 2003-06-19 | 2003-06-19 | 多相超電導ケーブルの相分岐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10089A true KR20040110089A (ko) | 2004-12-29 |
KR100967067B1 KR100967067B1 (ko) | 2010-07-01 |
Family
ID=3341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6817A KR100967067B1 (ko) | 2003-06-19 | 2004-05-24 |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439448B2 (ko) |
EP (1) | EP1489710B1 (ko) |
JP (1) | JP2005012925A (ko) |
KR (1) | KR100967067B1 (ko) |
CN (1) | CN1296942C (ko) |
HK (1) | HK10696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581820C (en) * | 2005-07-12 | 2013-06-25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On-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
US8684767B2 (en) | 2009-01-09 | 2014-04-0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
JP5252304B2 (ja) * | 2009-05-20 | 2013-07-31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平型ケーブルの断線補修方法 |
JP5350323B2 (ja) * | 2010-06-02 | 2013-11-27 | 矢崎総業株式会社 | 編組シールド部材、編組シールド部材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
KR101798659B1 (ko) * | 2011-04-27 | 2017-11-16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초전도 케이블 장치 |
US20120279890A1 (en) * | 2011-05-02 | 2012-11-08 | Meers Ryan C | Multi-height container |
US8408944B1 (en) * | 2011-10-31 | 2013-04-02 | Lear Corporation | Scalable connection system for parallel wiring circuits |
JP5811405B2 (ja) * | 2012-02-28 | 2015-11-11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超電導ケーブルシステム |
CN104008930A (zh) * | 2014-05-22 | 2014-08-27 | 上海友邦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断路器专用分线端子 |
US10502622B2 (en) * | 2016-06-30 | 2019-12-10 | U.S.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Detector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with custom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CN108493636B (zh) * | 2018-03-21 | 2019-08-27 | 天津开发区长城石油机械配件有限公司 | 一种海底线缆的分线结构 |
CN108306248A (zh) * | 2018-04-27 | 2018-07-20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多芯电缆分接密封箱 |
CN115483650A (zh) * | 2022-10-09 | 2022-12-16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柳州供电局 | 一种电缆三相线芯扩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614A (ko) | 1974-06-21 | 1976-01-06 | Toyoda Automatic Loom Works | |
US4161062A (en) * | 1976-11-02 | 1979-07-17 |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 Method for producing hollow superconducting cables |
JPS5878728A (ja) | 1981-11-04 | 1983-05-12 | Toray Ind Inc | 熱収縮性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イルウムノセイゾウホウホウ |
JPH0715850A (ja) | 1993-06-29 | 1995-01-17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給電線路 |
IT1281651B1 (it) * | 1995-12-21 | 1998-02-20 | Pirelli Cavi S P A Ora Pirelli | Terminale per collegare un cavo polifase superconduttivo ad un impianto elettrico a temperatura ambiente |
US6448501B1 (en) * | 1998-03-30 | 2002-09-10 | Mcintyre Peter M. | Armored spring-core superconducting cab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
WO2000039811A1 (en) * | 1998-12-24 | 2000-07-06 | Pirelli Cavi E Sistemi S.P.A. |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superconductors |
JP4414613B2 (ja) | 2001-06-22 | 2010-02-10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超電導ケーブルの相分離治具 |
-
2003
- 2003-06-19 JP JP2003174647A patent/JP2005012925A/ja active Pending
-
2004
- 2004-04-20 EP EP04009257A patent/EP148971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5-07 US US10/840,334 patent/US743944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5-24 KR KR1020040036817A patent/KR1009670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6-17 CN CNB2004100597019A patent/CN129694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5-04 HK HK05102051A patent/HK1069672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439448B2 (en) | 2008-10-21 |
CN1296942C (zh) | 2007-01-24 |
CN1574110A (zh) | 2005-02-02 |
HK1069672A1 (en) | 2005-05-27 |
EP1489710A2 (en) | 2004-12-22 |
KR100967067B1 (ko) | 2010-07-01 |
EP1489710B1 (en) | 2012-01-11 |
EP1489710A3 (en) | 2006-02-15 |
JP2005012925A (ja) | 2005-01-13 |
US20040256142A1 (en) | 2004-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7952B1 (ko) | 초전도 케이블의 단말 구조 및 초전도 케이블 선로 | |
KR101040867B1 (ko) |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접속 구조 및 다상 초전도 케이블선로 | |
KR100967067B1 (ko) |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
KR100847681B1 (ko) | 다상 초전도 케이블의 상분기 구조 | |
EP1732190B1 (en) | Terminal structure of multiphase superconducting cable | |
EP1848063A1 (en) | Intermediate joint structure of superconductive cable | |
KR20070086466A (ko) | 초전도 기기의 전력 인출 구조 | |
KR20060061275A (ko) | 초전도체 케이블 실드의 연결 장치 | |
CA2558558A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superconducting cable | |
JP4191545B2 (ja) | 超電導ケーブルのシールド電流測定方法 | |
JP2009070833A (ja) | 超電導ケーブルの端末構造の製造方法 | |
JP5830498B2 (ja) |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構造 | |
JP2017073387A (ja) |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