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01037Y1 -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7Y1
KR200401037Y1 KR20-2005-0024160U KR20050024160U KR200401037Y1 KR 200401037 Y1 KR200401037 Y1 KR 200401037Y1 KR 20050024160 U KR20050024160 U KR 20050024160U KR 200401037 Y1 KR200401037 Y1 KR 200401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loading
link
mounting tabl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수
Original Assignee
강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수 filed Critical 강희수
Priority to KR20-2005-0024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 핸들(103)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104)가 설치된 본체(10)와 상면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대(20)의 양측 내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1, 201)을 형성하여 본체(10)와 적재대(20)가 수평을 이루도록 두 개의 다리(30a, 30b)가 교차형으로 형성된 절첩링크(30)를 본체(10)와 적재대(20) 사이에 설치하되, 두 다리(30a, 30b)로 구성된 절첩링크(30)의 일측단부는 각각 본체(10)와 적재대(20) 일측 단부에 형성된 링크고정부(102, 202)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절첩링크(30)의 타측 단부에는 롤러(301)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01, 201) 내부에서 전, 후진 가능케 설치하며, 절첩링크(30)의 일측 다리(30a)에는 암나사부(303a)를 가진 체결부(303)를 형성하여 조절나사(40)의 나사봉(401)을 나사 결합하되 나사봉(401)의 단부에는 연결체(402)를 형성하여 다리(30a)에 형성된 안내부(302)를 따라서 이동 가능케 하며, 절첩링크(30)의 타측 다리(30b) 하부에는 설치대(50)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체(402)에는 상부지지체(6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상기 설치대(50)에는 하부지지체(7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여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코일스프링(80)이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적재대의 승강을 위해서 사용되는 스프링의 교체 없이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여 적재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른 적재대의 승강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적재 중량 범위를 가진 승강식 적재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ELEVATED-UP/DOWN TYPE CARRIER ACCORDING TO THE WEIGHT WITH SPRING PRESSURE CONTROLLER}
본 고안은 스프링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적재물 중량에 따라 적재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승강식 적재 장치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여 적재물의 적재 중량 범위를 변경 가능케 함으로써, 승강식 적재 장치의 활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게 한 스프링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적재대는 물건을 적재할 때, 적재대에서 위로 적재물이 적재되면 적재물에 의해 그 높이가 높아지고 적재물이 적으면 적재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까닭으로 적재대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내릴 때 작업자가 허리를 많이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일의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운반구에 적재물을 많이 적재하여 그 높이가 높을 때는 적재물이 앞을 가리게 되어 잘 보이지 않아 적재물을 운반하기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적재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재대에 코일스프링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적재대에 적재물을 적재하면 적재물의 중량이 코일스프링을 압축하여 적재대가 하강하게 하고, 적재대에 적재된 적재물을 덜어내면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적재대가 원래의 높이로 상승하는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를 다수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이 선 출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설치한 후 그 스프링의 장력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적재대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적재물의 적정 중량이 일정하게 정해지게 되며,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숫자를 가감하거나 또는 스프링 상수가 다른 스프링으로 교환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과정에서 이를 일일이 선택할 경우 생산성이 떨어지고, 사용 과정에서 스프링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간단한 일 예로서 100㎏의 하중이 가해지면 10㎝가 압축되는 스프링 상수를 가진 코일스프링을 이용해 적재대를 승강시키는 경우에 적재대에 100㎏의 중량을 가진 적재물을 적재하면 적재대가 10㎝만큼 아래로 하강하는 것이 적재물을 추가 적층 하기에 적합하다고 가정할 때, 동일한 크기에 중량이 150㎏인 물건을 적재대에 적재하게 되면, 적재대는 한꺼번에 15㎝가 하강하기 때문에 적재물을 추가 적층 하기에 적합한 높이를 벗어남으로써 작업자가 적재물의 추가 적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자세가 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노동 강도는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 발생시에 스프링 상수가 다른 스프링으로 교체하거나 스프링의 설치 숫자를 가감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프링을 이용하여 적재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적재대가 승강케 하되, 상기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여 적재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른 적재대의 승강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프링의 교체 없이도 넓은 적재 중량 범위를 가진 승강식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적재대 사이에 두 다리가 교차형으로 형성된 절첩링크를 설치하되, 절첩링크의 일측 다리에는 조절나사를 설치하여 그 단부에 형성된 연결체에 상부지지체를 핀 결합하고, 이 상부지지체와 타측 다리의 설치대에 설치된 하부지지체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끼워서 설치함으로써, 조절나사를 이용해 코일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적재대의 승강에 필요한 적재물의 적재 중량 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부에 핸들(103)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104)가 설치된 본체(10)와 상면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대(20)의 양측 내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1, 201)을 형성하여 본체(10)와 적재대(20)가 수평을 이루도록 두 개의 다리(30a, 30b)가 교차형으로 형성된 절첩링크(30)를 본체(10)와 적재대(20) 사이에 설치하되,
두 다리(30a, 30b)로 구성된 절첩링크(30)의 일측단부는 각각 본체(10)와 적재대(20) 일측 단부에 형성된 링크고정부(102, 202)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절첩링크(30)의 타측 단부에는 롤러(301)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01, 201) 내부에서 전, 후진 가능케 설치하며,
절첩링크(30)의 일측 다리(30a)에는 암나사부(303a)를 가진 체결부(303)를 형성하여 조절나사(40)의 나사봉(401)을 나사 결합하되 나사봉(401)의 단부에는 연결체(402)를 형성하여 다리(30a)에 형성된 안내부(302)를 따라서 이동 가능케 하며,
절첩링크(30)의 타측 다리(30b) 하부에는 설치대(50)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체(402)에는 상부지지체(6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상기 설치대(50)에는 하부지지체(7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여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코일스프링(80)이 끼워지게 설치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 예시도이며, 첨부도면 도 3과 도 4는 각각 정면과 배면의 주요부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본체(10)와 적재대(20)의 양측 내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1, 201)을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체(10)와 적재대(20)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링크고정부(102, 202)를 형성하여 도면과 같이 두 개의 다리(30a, 30b)가 교차형으로 형성된 절첩링크(30)를 본체(10)와 적재대(20) 사이에 설치하되, 절첩링크(30)를 구성하는 두 다리(30a, 30b)의 일측 단부를 본체(10)와 적재대(20)에 형성된 링크고정부(102, 202)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게 된다.
한편, 고정되지 않은 절첩링크(30)의 반대측에는 각각 롤러(301)를 설치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롤러(301)는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1)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 가능케 설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301)는 적재대(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01)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절첩링크(30)에 의해 본체(10)와 적재대(2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적재대(20)가 하강하면 교차형으로 형성된 절첩링크(30)의 고정된 부분과 롤러(301)가 설치된 부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적재대(20)가 상승하면 절첩링크(30)의 고정된 부분과 롤러(301)가 설치된 부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접첩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적재대(20)가 본체(10)와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재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2에서와 같이 두 다리(30a, 30b)로 구성된 절첩링크(30)의 일측 다리(30a)에는 암나사부(303a)를 가진 체결부(303)를 형성하여 조절나사(40)의 나사봉(401)을 상기 체결부(303)의 암나사부(303a)에 나사 결합하되, 나사봉(401)의 단부에는 나사봉(401)이 공회전하도록 베어링이 설치된 연결체(402)를 형성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절첩링크(30)의 타측 다리(30b) 하부에는 설치대(50)를 형성하여 그 설치대(50) 상부에는 하부지지체(7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상기 연결체(402)에는 상부지지체(6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여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각각 코일스프링(80)의 양측이 끼워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연결체(402)와 상부지지체(6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 핀은 상부지지체(60)의 양측으로 돌출시켜 절첩링크(30)의 일측 다리(30a)에 형성된 안내부(302)를 따라서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고, 하부지지체(70)는 그 상부를 파이프 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지지체(60)의 하부가 파이프 형으로 된 하부지지체(70)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지지체(60)가 하부지지체(70) 내부로 투입되면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끼워진 코일스프링(80)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적재대(20) 상부에 하중을 가진 적재물이 적재되면 적재물의 하중은 본체(10)와 적재대(20) 사이에 설치된 절첩링크(30)에 작용하게 되는데,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절첩링크(30)의 고정된 일측과 롤러(301)가 설치된 타측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바로 이 과정에서 적재대(20)는 하강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절첩링크(30) 일측 다리(30a)에 연결되게 설치된 상부지지체(60)와 타측 다리(30b)에 연결되게 설치된 하부지지체(70) 사이의 코일스프링(80)이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짐으로 인해서 압축되는데, 이처럼 코일스프링(80)이 적재대(20)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압축될 때 그 복원력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적재대(20)에 적재된 적재물을 내리게 되면 적재물의 중량에 의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80)의 복원력이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동시에 작용하면서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를 서로 밀어내게 되고, 그로 인해 절첩링크(3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다리(30a, 30b)에 연결되게 설치된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가 원래의 위치와 각도로 복귀하면서 절첩링크(30)를 작동시켜 적재대(20)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적재대(20)가 원래의 높이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대(20)는 적재물이 전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적재물을 싣기에 적당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가 적재물을 싣게 되면, 그 적재물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하강한 적재대(20)에 의해서 적재대(20) 상부에 적재된 적재물의 상부에 또다시 적재물을 적층 할 때의 높이 역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적재대(20)에 적재된 적재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을 매우 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 향상과 노동 강도 저하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절첩링크(30)의 일측 다리(30a)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303)의 암나사부(303a)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40)를 풀거나 조이게 되면, 조절나사(40)의 나사봉(401) 단부에서 나사봉(401)이 공회전하도록 설치된 연결체(402)가 조절나사(40)와 함께 움직이며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되는데, 연결체(402)에는 상부지지체(60)가 회동 가능케 핀 결합되어 있어서 연결체(402)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상부지지체(60)의 위치도 변화하게 된다.
즉, 조절나사(40)를 체결부(303)에서 풀어내면 연결체(402)가 하강하며 연결체(402)와 핀 결합된 상부지지체(60)도 같이 하강하게 되는데, 상부지지체(60)의 하강에 의해 설치대(5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하부지지체(70)와 상부지지체(6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끼워지게 설치된 코일스프링(80)이 압축되며, 이러한 과정에서도 적재대(20)의 높이는 전혀 변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적재대(20)의 높이 변화없이 코일스프링(80)만 압축되게 되는데, 이처럼 코일스프링(80)이 압축되면 코일스프링(80)이 압축되기 이전보다 복원력에 증가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동일한 중량의 적재물을 적재하더라도 적재물의 하중에 대한 코일스프링(80)의 반발력이 강해져서 적재대(20)가 하강하는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하여 코일스프링(80)을 압축하기 이전에는 100㎏의 중량을 가진 적재물을 적재대(20)에 적재했을 때 적재대(20)가 10㎝ 하강한다고 가정할 때, 코일스프링(80)을 압축하게 되면 동일한 100㎏의 중량을 가진 적재물을 적재대(20)에 적재하더라도 10㎝ 이하로 적재대(20)가 하강하기 때문에 적재해야 할 적재물의 중량 변화에 적합하게 적재대(20)의 높낮이 변화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의 사용 범위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적재대의 승강을 위해서 사용되는 스프링의 교체 없이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절하여 적재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른 적재대의 승강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넓은 적재 중량 범위를 가진 승강식 적재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부 확대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부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01: 가이드레일
102: 링크고정부 103: 핸들
104: 캐스터 20: 적재대
201: 가이드레일 202: 링크고정부
30: 절첩링크 30a 30b: 다리
301: 롤러 302: 안내부
303: 체결부 303a: 암나사부
40: 조절나사 401: 나사봉
402: 연결체 50: 설치대
60: 상부지지체 70: 하부지지체
80: 코일스프링

Claims (1)

  1. 일단부에 핸들(103)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104)가 설치된 본체(10)와 상면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대(20)의 양측 내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1, 201)을 형성하여 본체(10)와 적재대(20)가 수평을 이루도록 두 개의 다리(30a, 30b)가 교차형으로 형성된 절첩링크(30)를 본체(10)와 적재대(20) 사이에 설치하되,
    두 다리(30a, 30b)로 구성된 절첩링크(30)의 일측단부는 각각 본체(10)와 적재대(20) 일측 단부에 형성된 링크고정부(102, 202)에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절첩링크(30)의 타측 단부에는 롤러(301)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01, 201) 내부에서 전, 후진 가능케 설치하며,
    절첩링크(30)의 일측 다리(30a)에는 암나사부(303a)를 가진 체결부(303)를 형성하여 조절나사(40)의 나사봉(401)을 나사 결합하되 나사봉(401)의 단부에는 연결체(402)를 형성하여 다리(30a)에 형성된 안내부(302)를 따라서 이동 가능케 하며,
    절첩링크(30)의 타측 다리(30b) 하부에는 설치대(50)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체(402)에는 상부지지체(6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고, 상기 설치대(50)에는 하부지지체(70)를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하여 상부지지체(60)와 하부지지체(70)에 코일스프링(80)이 끼워지게 설치한 구성으로 된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
KR20-2005-0024160U 2005-08-22 2005-08-22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01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60U KR200401037Y1 (ko) 2005-08-22 2005-08-22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60U KR200401037Y1 (ko) 2005-08-22 2005-08-22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7Y1 true KR200401037Y1 (ko) 2005-11-25

Family

ID=4370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6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1037Y1 (ko) 2005-08-22 2005-08-22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331A1 (ko) * 2012-12-10 2014-06-19 Go Byeong Ki 승강형 이송대차
KR102020792B1 (ko) * 2018-05-18 2019-09-11 정우하이텍 주식회사 중량감응식 적재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331A1 (ko) * 2012-12-10 2014-06-19 Go Byeong Ki 승강형 이송대차
KR102020792B1 (ko) * 2018-05-18 2019-09-11 정우하이텍 주식회사 중량감응식 적재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953B2 (ja) 昇降作業台
US7690408B2 (en) Workbench for power tool
EP0739439B1 (en) Roller assembly lift mechanism
US8960625B2 (en) Movable base with control surface
US5598788A (en) Vertically adjustable table
TWI528921B (zh) 負載適配的滾輪滑架組合件
EP2499934A1 (en) Piece of furniture with top plate
US20110083590A1 (en) Height-adjustable equipment stand
CA2486459A1 (en) Vertic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keyboard
CN107708486A (zh) 高度可调的桌面支架
US6371497B1 (en) Personal computer dolly
US6467739B1 (en) Adjustable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foldable table leg
KR200401037Y1 (ko) 스프링 압력 조절 장치를 가진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CA2428554A1 (en) Power tong frames
KR200401036Y1 (ko) 승강 압력 조절 장치를 구비한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승강식 적재 장치
KR20160115234A (ko)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JP2007279567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CN211065509U (zh) 一种新型升降式键盘托架
US20130306413A1 (en) Double acting fluid cylinder lock
KR102163892B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다용도 테이블
CN211842049U (zh) 一种便于工业搬运的机器人夹持装置
KR200296665Y1 (ko) 보조테이블을 갖는 책상
CN222794230U (zh) 一种纸板输送机构
KR100862417B1 (ko) 적재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차
JPH11127964A (ja) 机の天板の高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8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8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