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926A -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그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 커넥터설치관리방법, 커넥터 설치공구, 커넥터붙이 선형부재 및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 Google Patents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그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 커넥터설치관리방법, 커넥터 설치공구, 커넥터붙이 선형부재 및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5926A KR20040075926A KR10-2004-7010816A KR20047010816A KR20040075926A KR 20040075926 A KR20040075926 A KR 20040075926A KR 20047010816 A KR20047010816 A KR 20047010816A KR 20040075926 A KR20040075926 A KR 200400759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linear member
- identification tag
- plug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선형부재(40)에 착탈이 가능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로서, 베이스단부(6)와, 이 베이스단부(6)에 벌어짐이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집게부(1a, 1b)를 구비한 클립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1a, 1b) 내면에는 상기 선형부재(40)를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8, 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형부재(40)를 개구부(7)로부터 삽입하기만 하면 부착이 가능하여 부착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종래, 코드, 와이어 등의 선형부재를 개별적으로 관리 식별하는 식별 태그로 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8에 있어서, 식별 태그는 평판상의 집게부(100a, 100b)의 일측 변들을 벌어짐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각 집게부(1OOa, 1OOb)의 내면에는 선형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단면 반원의 홈(200, 200)이 각각 형성되고, 홈(200)은 각 집게부(1OOa, 1OOb)의 연결부(도면의 왼쪽 세로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집게부(100a, 100b)를 벌려 홈(200)에 선형부재를 끼워넣은 후, 집게부(100a, 100b)들을 맞추어 후크(300)로 닫음으로써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부재(40)에 식별 태그를 장착한다.
그런데, 홈(200)의 형상, 치수는 선형부재(40)를 확실히 걸어지지할 수 있도록, 즉 수직으로 배치된 선형부재(40)에 부착한 경우에서도 식별 태그가 낙하하지 않도록 선형부재(40)의 형상, 치수에 대략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식별 태그의 홈(200)의 형상, 치수에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 환경의 온도 변동에 의한 홈(200)의 형상, 치수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식별 태그에 선팽창계수가 작은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요구되거나 사용 환경에 제한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형상이나 치수가 다른 선형부재에 대해서는, 그 형상, 치수의 차이가 얼마 안되어도 각 선형부재에 대응한 식별 태그를 별개로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식별 태그의 가격이 비싸게 되거나 식별 태그를 선택하면서 하는 부착 작업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착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집게부(100a, 100b)를 벌려 홈(200)에 선형부재를 끼워맞출 때, 각 집게부를 맞추기 전에 선형부재가 홈(200)에서 빠지는 일이 있어 그만큼 선형부재에의 부착을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악화된다. 특히, 선형부재에 구부러짐자국이 있는 경우 등에는, 구부러짐 방향에 주의하면서 신중하게 부착할 필요가 있어서 작업성은 더욱 나빠진다.
또한, 좁은 공간에 고밀도로 배치된 다수의 선형부재에의 부착시에는, 식별 태그의 취급이나 홈과 선형부재의 위치 관계의 확인이 어려워지므로 부착 작업성을 더욱 악화시킨다. 만일, 선형부재가 홈(200)에서 빠진 상태로 각 집게부를 무리하게 닫아 맞추면, 선형부재가 홈 이외의 부분에서 끼워지게 되어 선형부재나 식별 태그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에, 도 30과 같은 개량형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도 개발되어 있다. 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홈의 치수가 부착 대상의 선형부재의 치수와 동일하지 않아도 좋고 홈의 치수에 여유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한쪽 집게부(100b')의 내면 중앙에는 홈(200")에 연통하고 또한 홈(200")의 폭보다 큰 폭의 내부 공간(210)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210)의 벽면에는 판스프링(2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홈(200', 200")에 선형부재를 끼워넣고, 집게부(100a', 100b')들을 맞추어 후크(300')로 닫으면, 선형부재는 판스프링(220)에 의해 홈(200') 쪽으로 바이어스되어 홈(200')에 압압되어 걸림지지된다. 이 때문에, 선형부재의 치수에 대해 홈의 치수가 커도 선형부재부터 식별 태그가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홈의 치수에 여유를 가지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여유는 일반적으로는 홈이나 선형부재의 치수보다 훨씬 큰 정도이며, 예컨대 온도 변동에 의한 치수 변화를 흡수가 가능한 정도로 머문다. 따라서, 한 개의 식별 태그로 치수나 형상이 다른 선형부재에 부착할 수 있을 정도까지는 안되며, 식별 태그를 선택하면서 부착해야한다는 비효율적인 작업이 여전히 생긴다. 또한, 집게부들을 벌리면서 홈에 선형부재를 끼워넣고, 선형부재가 홈에서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집게부를 닫아 맞추는 작업이 여전히 남기 때문에, 부착 작업성의 저하, 선형부재가 홈 이외의 부분에 끼워넣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짐자국이 있는 선형부재에 대한 부착 작업이 어려워지거나 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2종의 식별 태그는 둘 다 홈에 선형부재를 끼워넣은 후, 집게부를 닫아 맞추는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양손을 사용하는 부착 작업이 된다. 따라서, 특히 좁은 공간에 선형부재가 다수(고밀도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이나 손가락의 동작이 제한되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부착 작업성이 매우 나빠지는 것 이외에, 식별 태그를 작업 중에 떨어뜨리거나 선형부재를 구별하면서 부착하게 되어 선형부재에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선형부재에 용이하게 부착이 가능한 식별 태그, 또는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부착기구나 부착방법의 개발도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드, 와이어, 관 등의 선형부재를 관리 식별할 때에, 선형부재에의 부착 작업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형상, 치수가 다소 다른 선형부재에도 적용이 가능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그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음, 도 31은 통신설비국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63)을 나타낸다. 이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63)에는, 커넥터붙이 통신선이 접속되는 커넥터 수납플러그(62)가 다수 배열되어 있다. 이하, 이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63)을 사용한 종래의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61은 국외 장치로 연결되는 통신선이다. 각 통신선(61)의 단부에는 각각 커넥터 수납플러그(62)가 접속되고, 이들 커넥터 수납플러그(62)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63)의 전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64는 통신설비국 내의 통신 장치 간을 연결하는 통신선, 65는 통신선(64)의 양단에 배치된 커넥터이고, 통신선(64)과 양단의 커넥터(65)로 커넥터붙이 통신선(66)을 구성하고 있다.
커넥터붙이 통신선(66)의 커넥터(65)를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63)의 커넥터 수납플러그(62)에 접속함으로써 국외(局外) 장치는 통신선(61), 커넥터 수납플러그(62), 커넥터붙이 통신선(66)을 통해 국내(局內) 장치에 접속된다. 커넥터붙이 통신선(66)의 커넥터(65)를 접속하는 국내 장치를 바꿈으로써, 국외 장치는 기능이 다른 국내 장치에 자유롭게 접속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국외 장치의 국내 장치에의 접속이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커넥터붙이 통신선(66)의 양단 커넥터(65)를 빼내어 커넥터붙이 통신선을 철거한다. 67은 커넥터붙이 통신선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수기한 표지(標識)로, 상기한 커넥터붙이 통신선(66)에 끈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호 68, 69는 커넥터 수납플러그(62)를 특정하기 위해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의 각각 세로방향,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번호 표지이다.
이와 같이, 종래 커넥터 또는 커넥터붙이 통신선의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설치 상황은, 수기에 의한 표지에 의해 커넥터붙이 통신선을 식별하고,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의 종횡으로 배치한 두 개의 번호 표지에 의해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특정하며, 또한 커넥터 수납플러그가 접속 상태인지 빈 상태인지에 대해서는 관리표에의 수기 또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의 수작업 입력에 의해 관리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커넥터 설치 상황의 관리에서는, 작업자의 수기에 의한 표지로의 정보 기록, 육안에 의한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선택, 수기에 의한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접속 유무의 기입을 하기 때문에 관리 정보에 에러가 생기기 쉽고, 또한 이 정보 에러 때문에 잘못하여 통신 중의 커넥터를 빼내어 통신 장해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또한, 표지(67)는 수기를 위해 크기를 작게 할 수 없고 또한 통신선에 매다는 형상이어서 커넥터 수납플러그가 고밀도로 배치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서는 이것에 연결되는 커넥터붙이 통신선도 고밀도가 되므로, 표지가 통신선들 사이에 다수 매달리는 형태가 되어, 커넥터붙이 통신선의 접속 철거 작업시 등에, 표지끼리 또는 표지와 통신선이 얽혀 작업 효율이 대폭적으로 저하되거나 통신선이 손상되거나 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표지를 잘못 봐서 잘못된 커넥터붙이 통신선을 제거하거나 잘못된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하거나 하는 중대한 장해를 유발한다는 큰 결함이 있었다.
다른 종래의 커넥터의 설치관리방법을 도 32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610은 커넥터의 식별 번호를 2차원 코드로 변환하여 첩부한 표지, 611, 612는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특정하기 위해 각각 세로방향, 가로방향의 번호를 2차원 코드로 변환한 표지이다. 또한, 613은 2차원 코드의 판독기이고, 판독부(614)와, 판독부(614)의제어 기능 및 판독 데이터의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615)을 가진다.
이 방법에서는 커넥터의 식별 번호를 정형화하여 컴퓨터 장치에 의해 2차원 코드로 변환하여 표지에 기입하기 때문에, 수기에 의한 경우에 비해 표지의 기입 오류가 줄어 잘못된 커넥터를 빼내게 되는 에러가 줄어든다. 또한, 판독기(613)로 표지(610, 611, 612)를 판독함으로써 커넥터의 식별 번호나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며, 동시에 휴대단말에 작업 기록으로서 기록되기 때문에, 사전에 작업할 커넥터의 식별 번호나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식별 번호를 휴대단말에 등록해 두면, 등록 내용과 실제 작업 기록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작업 에러가 저감된다.
또한, 커넥터의 식별 번호 등의 정보를 2차원 코드로 변환함으로써 표지의 치수가 작아지고,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붙이 통신선에 직접 부착시켜, 표지끼리 또는 표지와 통신선의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커넥터 수납플러그가 고밀도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설치됨에 따라, 커넥터 수납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붙이 통신선(66)의 밀도도 높아져서, 밀집한 커넥터 통신선 안쪽 깊숙이 배치된 커넥터를 손으로 빼내거나 접속하는 작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 고밀도로 배치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서의 커넥터의 접속 철거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커넥터 설치공구(618)의 예를 도 33에 나타내었다. 커넥터 설치공구(618)는 커넥터를 파지(把持)하기 위한 커넥터 파지부(616), 파지부의 동작을 가까이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617)을 가진다.
이 커넥터 설치공구(618)를 사용하는 경우, 한 개의 커넥터를 접속 철거하는 작업 중에, 2개의 공구 즉, 도 32에 나타낸 2차원 코드의 판독기(613)와, 도 33에 나타낸 커넥터 설치공구(618)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예컨대, 커넥터 제거의 경우에는, 판독기(613)로 커넥터붙이 통신선의 표지(610) 및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의 표지(611, 612)를 판독하고, 그 후 판독기(613)를 커넥터 설치공구(618)로 교체하여, 먼저 판독기로 확인한 커넥터붙이 통신선을 마찬가지로 판독기로 확인한 커넥터 수납플러그으로부터 빼낸다.
이와 같이, 작업이 번잡하고 작업 효율이 나빠지는 것 이외에, 2종의 공구를 교체하는 사이에, 항상 작업 대상으로 하고 있는 커넥터붙이 통신선이나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확보 또는 확인해 둘 필요가 있고, 주의를 소홀히 하면 잘못된 커넥터붙이 통신선을 제거하여 통신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정보는 수작업으로 입력하여야만 하여 도 1의 종래 기술과 변함이 없다. 따라서, 여기서 잘못된 정보를 입력할 위험성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코드, 와이어, 관 등의 선형부재를 개별적으로 관리, 식별하기 위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및 그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공간에 고밀도로 배치된 선형부재에 부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일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이에 사용하는 커넥터, 커넥터 수납플러그,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및 커넥터 설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부착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부착기구에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수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VⅢ-V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부착기구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I15의 XVI-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Ⅲ-XV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체결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단면 직사각형의 선형부재에 부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커넥터 설치공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커넥터 설치공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커넥터 설치공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패널 및 커넥터 설치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종래의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부착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종래의 식별 태그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31은 종래의 커넥터의 설치관리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종래의 다른 커넥터의 설치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종래의 커넥터 설치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선형부재에 착탈이 가능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로서, 베이스단부(基端部)와, 이 베이스단부에 벌어짐이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집게부를 구비한 클립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내면에는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형부재를 개구부로부터 삽입하기만 하면 설치가 가능하여 부착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형부재의 형상, 치수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 치수가 다른 각종 선형부재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선형부재에 맞추어 여러종류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준비하거나, 부착시에 선형부재에 맞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부착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착시에 선형부재와의 정확한 위치 맞춤이나 확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에 선형부재가 조밀하게 배치된 경우나 구부러짐자국이 있는 선형부재에도 부착이 용이함은 물론, 부착시에 식별 태그로 선형부재를 끼워넣어서 생기는 문제를 일으킬 우려도 없어서 신뢰성이 높은 부착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형상, 치수에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여유를 가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다가 누름부가 선형부재를 베이스단부에 적절한 마찰력으로 걸림지지시키므로 선형부재가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가 낙하되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베이스단부 또는 상기 집게부 내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러붙이는 누름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집게부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집게부 사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을 가지고있어도 좋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베이스단부 또는 상기 집게부 내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러붙이는 누름부와, 상기 집게부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집게부 사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선단에서 형성되는 개구부의 간격은 상기 베이스단부의 두께에 비해 작아도 좋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내면에는 상기 선형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거친면(粗面)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거친면의 돌기부는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에 의해 유지된 선형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띠(突條)라도 좋다.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또한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선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를 가지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에는 상기한 밴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밴드구멍이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집게부는 곡선으로 구성된 윤곽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단부의 길이에 비해 긴 광폭부를 각각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단부의 내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 또는 2개 이상의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수용하여 선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기구에 마련된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집게부 외면에는 식별 표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식별 표지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부착기구는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기구로서,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선형부재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집게부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집게부 들을 펴는 벌림 가이드 및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벌림 가이드에 접촉시키며, 상기 집게부들을 벌려 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선형부재에 부착하는 부재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부착방법은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방법으로,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에 대해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공정, 상기 선형부재를 벌림 가이드에 의해 유지시키고 나서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벌림 가이드를 상기 집게부 내면에 접촉시키며, 상기 집게부들을 벌리는 공정 및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벌림 가이드에 접촉시키고, 상기 집게부들을 벌려 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선형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에 의하면, 수용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벌림 가이드에 의해 집게부들을 벌려 선형부재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작업이 쉬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수의 커넥터와 복수의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설치 상황을 관리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으로, 커넥터를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 및 커넥터 수납플러그로부터 철거하는 커넥터 접속 철거 기능을 가지는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커넥터의 접속 철거를 할 때, 커넥터에 부여된 커넥터 정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부여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및 커넥터가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 중에 적어도 1종에 대해,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설치 상태를 관리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에 의하면, 커넥터에 부여된 커넥터 정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부여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커넥터의 접속 철거를 행하는 일련의 동작 중에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하게 커넥터의 설치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구를 교체하는 일 없이, 한 개의 커넥터 설치공구로 일련의 조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항상 작업 대상으로 하고 있는 커넥터나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바로 마주하여 확인하고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커넥터나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잘못 접속하거나 할 우려가 저감되어 작업의 대폭적인 효율화도 도모된다.
커넥터나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배치하는 표지에 정보량을 늘릴 수 있는 2차원 코드나 반도체 메모리, 무선 태그 등을 사용하면, 각각의 식별 데이터뿐 아니라 각각의 형(型)번호, 사양, 제조 업체명, 제조 로트 번호, 또한 각각에 접속된 통신선의 형번호, 사양, 제조 업체명, 제조 로트 번호 등의 부속 데이터를 함께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부속 데이터를 휴대단말에 표시시킨 경우에는,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서 즉시 많은 정보를 인식한 작업이나 판단이 가능하여 작업 에러의 저감 및 작업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또한, 기록 내용의 다시쓰기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나 무선 태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커넥터의 접속 철거 작업을 실시한 연월일, 작업자 성명 등 변동하는 데이터를 부속 데이터로서 기록, 갱신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보다 상세한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커넥터를 파지하여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접속 철거를 행하기 위한 커넥터 설치공구로서,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된 표지에 대해 커넥터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정보 판독/기록기,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배치된 표지에 대해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판독/기록기 및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커넥터 접속 검출기 중 적어도 1종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각 정보를 컴퓨터로 송신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커넥터붙이 선형부재는, 커넥터 정보를 기록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가 커넥터 또는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커넥터 수납플러그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기록한 표지 및 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수의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로서, 상기 각 커넥터에 대응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기록한 표지 및 상기 각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컨대 이들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부착기구를 필요에 따라 각각 "식별 태그", "부착기구"로 약칭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는 단면 U자 형상의 클립 형상을 이루고, 평판 형상의 집게부(1a, 1b)의 일측 변들을 베이스단부(6)에 벌어짐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식별 태그의 내부에 선형부재(40)를 수용하여 부착한다. 한쪽의 집게부(1a)의 외면에는, 선형부재를 식별 관리하기 위한 식별 표시(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식별 표시는 숫자, 문자 이외에 마크, 색, 바코드, 2차원 코드라도 좋다. 또한, 식별 표시는 집게부 외면에 인쇄 또는 레이저 등으로 직접 마킹해도 좋고, 또는 라벨에 식별 표시를 인쇄한 후, 집게부 외면에 첩부해도 좋다. 가능하다면, 양쪽 집게부에 식별 표시를 형성해도 좋다.
도 2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를 집게부(1b) 쪽에서 본 외관을 나타낸다. 집게부(1b)의 중심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잘려나가고, 잘려나간 부분에는 선형부재를 누르기 위한 돌출편 형상의 누름부(8)가 마련되어 있다. 잘려나간 부분의 양쪽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두 군데의 영역도 마찬가지로 잘려나가고, 잘려나간 부분에는 선형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9, 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단부(6)의 내면을 따르는 방향(수용된 선형부재(4O)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볼 때, 집게부(1a, 1b) 중 가장 폭이 넓은 부분(광폭부)의 길이(W1)는 베이스단부(6)의 길이(W6)에 비해 길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누름부(8) 및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은 모두 집게부(1b)의 잘려나간 부위의 변 중, 선형부재(40)의 길이 방향(L)에 평행하고 또한 베이스단부(6)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의 변에 부착되고, 식별 태그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누름부(8) 및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은 부착단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스프링 형상으로 휜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집게부(1a, 1b)의 선단(자유단)에 의해 개구부(7)가 형성되고, 개구부(7)로부터 선형부재(40)가 식별 태그 내로 수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식별 태그는, 예컨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구성되고, 각 집게부(1a, 1b)들은 휘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벌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선형부재(40)의직경(d)이 개구부(7)의 간격(H7)보다 다소 커도 베이스단부(6)를 지점으로 집게부(1a, 1b)를 벌림으로써 선형부재(40)는 개구부(7)를 통과하고, 또한 탈락 방지용 돌출편(9), 누름부(8)를 이 순서로 밀어젖히면서 내부에 수용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이나 누름부(8)는 베이스단부(6) 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선형부재(40)가 내부에 들어가기 쉽고 탈락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누름부(8)는 스프링력에 의해 선형부재(40)를 베이스단부(6)의 내면(6s)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선형부재(40)는 베이스단부의 내면(6s) 또는 집게부(1a나 1b)의 내면에 압압되어 마찰력에 의해 이러한 어느 한 부분에 걸림지지된다. 예컨대, 이 실시예에서는 선형부재(40)는 한쪽 집게부(1a)의 내면과 베이스단부(6) 내면에 걸림지지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8)가 선형부재(40)를 식별 태그 내부에 확실히 걸림지지시키기 때문에, 선형부재가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나 선형부재의직경이 식별 태그의 내부 공간(각 집게부 내면들 간의 간격)에 비해 작은 경우에도 식별 태그가 선형부재로부터 낙하되거나 빠지는 일이 없다. 즉, 본 발명의 식별 태그는 각 집게부 내면들 간의 간격 이하의직경을 가지는 선형부재라면 어떠한 선형부재에도 부착이 가능하다.
누름부(8)는 스프링력으로 선형부재(40)를 바이어스시키기만(압압하기만) 하므로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고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 선형부재가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식별 표시(15)나 다른 표시가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식별 태그를 읽기 쉬운 위치로 이동시켜 읽어낼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판독 작업성이 뛰어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클립 형상이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하여 선형부재가 탈락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이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이 개구부(7) 근방에 설치되고, 게다가 이곳으로부터 베이스단부(6)를 향해 연장되어 있어서, 선형부재(40)가 내부에서 개구부(7)에 접근해도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의 선단에 접촉하여 걸림지지되며, 개구부(7)로부터 선형부재(4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탈락 방지 수단으로서는, 상기 돌출편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개구부(7) 근방에 V자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 선단과 대향 면의 간격을 선형부재(40)의직경보다 작게 하여 장해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누름부(8)와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을 동일한 집게부(1a) 쪽에 설치했지만, 누름부(8)를 집게부(1a) 쪽에 설치하고 탈락 방지용 돌출편(9)을 집게부(1b) 쪽에 설치해도 좋다.
누름부(8)의 선단과 집게부(1a)의 내면 사이의 거리(d8)를 선형부재(40)의직경(d)보다 짧게 하면, 선형부재가 이곳으로부터 누름부(8)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구부의 간격(H7)이 베이스단부의 두께(H6)에 비해 짧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의 광폭부 길이(W1)를 연결 부분에서의 베이스단부의 길이(W6)에 비해 길게 한 경우의 효과에 대해, 도 4∼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효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착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생긴다.
도 4에 있어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부착기구(20)는 대략 상자 형상의 케이스(25)를 구비한다. 케이스(25)의 상면 일단부에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의 평면 형상보다 약간 큰 윤곽을 가지는 개구(23)가 형성되고, 이 개구(23)를 통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25)의 장변 쪽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면의 내면에는 각각 도면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슬라이딩부재)(21a, 21b)이 평행하여 설치되고, 각 슬라이딩 레일의 안쪽 단부에는 후술하는 벌림 가이드(22a, 22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레일(21a, 21b)의 앞쪽의 단부는 개구(23)를 향해 위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5)의 상면 중심부 근방에는 후술하는 압출판(부착 부재)(24)이 마련되어, 슬라이딩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퇴함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24a)에 의해 초기의 위치로 돌아간다.
각 슬라이딩 레일(21a, 21b)의 간격은 식별 태그의 베이스단부의 길이(W6)보다 넓고 광폭부의 길이(W1)보다 좁다. 따라서, 식별 태그(10)의 베이스단부 내면이 슬라이딩 레일의 연장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여 개구(23)로부터 식별 태그를 삽입하면, 식별 태그의 집게부(의 광폭부)가 슬라이딩 레일을 사이에 두고 식별 태그가 슬라이딩 레일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부착기구(20)를 기울이면, 식별 태그는 자체의 중량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도면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식별 태그의 베이스단부(6)에 압출판(24)의 갈고랑이 모양의 선단부를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압출판(24)을 도면의 안쪽으로 밀어내면, 식별 태그는 벌림 가이드(22a, 22b)에 접촉하여 집게부(1a, 1b)들이 벌려진다.
다음으로, 식별 태그의 집게부들을 벌리는 기구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벌림 가이드(22a)의 기단은 슬라이딩 레일(21a)의 단부에 접속되고, 그 기단으로부터 도면의 세로방향(즉, 집게부들을 벌리는 방향)으로 두 갈래 분기하는 쐐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분기부의 최대폭(W22)은 부착 대상이 되는 선형부재(40)의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압출판(24)을 밀어내면, 집게부(1a, 1b)의 광폭부 내면이 벌림 가이드(22a)의 두 개 분기부에 각각 접촉하며, 또한 식별 태그가 밀어내어지면, 각 집게부는 분기부의 형상을 따라 강제적으로 벌려진다. 벌림 가이드(2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벌림 가이드(22a, 22b)의 분기 갈래에 끼듯이 선형부재(40)를 유지해 두면, 즉 길이 방향이 식별 태그의 베이스단부(6) 내면과 평행하게 선형부재(40)를 유지해 놓으면, 각 집게부가 벌어질 때에 식별 태그 내부에 선형부재(40)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식별 태그를 더 밀어내면, 각 집게부는 벌림 가이드의 선단을 넘어가기 때문에 집게부가 닫히고, 식별 태그는 배출기구(20)의 전방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식별 태그 내부의 선형부재(40)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9), 누름부(8)를 순서대로 타고넘어가 누름부(8)의 스프링력으로 베이스단부나 집게부 내면에 걸림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식별 태그는 선형부재(40)를 파지하고 선형부재(40)에 부착된다.
전방 취출구(26) 근방에 있어서, 케이스(25)의 측벽은 절제부(25a)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부분에서 선형부재(40)를 끼워넣어 각 벌림 가이드의 분기 갈래 사이에 끼울(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의 작업에서는, 전방 취출구(26)를 선형부재(40)에 눌러대기만 하면 선형부재(40)가 분기 갈래에 유지되어 식별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케이스(25)의 측면 내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레일(21a, 21b)을 집게부(1a, 1b) 사이에 두도록 하여 식별 태그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구성의 부착기구(20)를 사용하면, 식별 태그의 부착시에 선형부재를 가지지 않고 부착기구(20)의 전방 취출구(26)에 선형부재(40)를 눌러대고, 또한 압출판(24)을 밀어내기만 하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한쪽 손으로용이하게 선형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 특히, 가는 선형부재가 고밀도로 배치된 좁은 장소에서는, 부착기구만을 밀집한 선형부재들 내로 끼워넣어 압출판을 밀어내기만 하면, 식별 태그를 소정의 선형부재에 부착할 수 있어, 부착 작업이 비약적으로 개선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태그의 개구부 간격(H7)을 베이스단부의 두께(H6)에 비해 작게 한 경우에 의한 효과에 대해 도 7,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효과는 상기 도 4와 같은 부착기구를 사용하고, 부착기구 내부에 다수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를 수용하는 경우에 생긴다.
도 7은 부착기구(20) 내에 식별 태그(10)를 수용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각 식별 태그는 슬라이딩 레일(21a, 21b)을 따라 1열로 수용된다.
도 8은 도 7의 VⅢ-VⅢ'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식별 태그의 베이스단부(6)와, 그 후방에 인접하는 식별 태그의 개구부(7)가 접촉하면서 부착기구(20) 안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개구부의 간격(H7)이 베이스단부의 두께(H6)보다 작기 때문에, 다수의 식별 태그가 1열로 배치되어 있어도 후방의 식별 태그의 개구부(7)가 그 전방의 식별 태그의 베이스단부(6)를 끼워넣는 일이 없다. 따라서, 식별 태그를 부착기구(20) 안에 장전하거나 식별 태그를 부착기구(20) 안에서 전방에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식별 태그들이 서로 얽혀 슬라이딩 불량을 초래하는 일이 없으며, 다수의 식별 태그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부착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구조에 대해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A)는 후술하는 가이드부(11)를 마련한 것 이외에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있어서, 식별 태그(10A)는 클립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집게부(1a, 1b)와 마찬가지의 집게부(1c, 1d)와, 상기 베이스단부(6)와 마찬가지의 베이스단부(6A)와, 식별 표시(15)와 마찬가지의 식별 표시(15A)를 구비한다. 그리고, 집게부(1c) 외면에는 베이스단부(6A) 내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쐐기 모양의 가이드부(11, 1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11, 11)는 간격(W11)을 유지하면서 상기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0은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A)를 집게부(1d) 쪽에서 본 외관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집게부(1d)에는 상기 집게부(1b)와 마찬가지로 누름부(8A) 탈락 방지용 돌출편(9A, 9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집게부(1d) 외면에는 집게부(1c) 외면에 대응한 위치에 두 개의 가이드부(11, 11)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각 집게부(1c, 1d)의 외면에 있어서의 대응한 위치에 가이드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부(11)의 기능에 대해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가이드부(11)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A)를 이하의 부착기구(20A)에 수용할 때에 필요하게 된다.
도 12는 부착기구(2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XⅢ-X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부착기구(20A)는 상기 부착기구(20)에서의 슬라이딩 레일 대신에 가이드부(11)를 안내하는 단차부(슬라이딩부재)(25d)를 케이스(25A) 내에 설치한 것 이외에는 상기 부착기구(20)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케이스(25A)의 내벽은 식별 태그(10A)의 단면 형상과 거의 유사하고, 그것보다 약간 큰 윤곽의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내벽의 네 구석에는 가이드부(11)에 결합되는 단차부(25d)가 형성되고, 각 단차부(25d)는 케이스(25A)의 길이 방향(도 12의 앞쪽에서 안쪽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벌림 가이드(22c, 22d) 근방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차부(25d, 25d)들 간의 간격(W25)은 가이드부의 간격(W11)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식별 태그는 가이드부(11)를 통해 단차부(25d)를 따라 케이스(25A) 내를 슬라이딩한 후, 벌림 가이드(22c, 22d)에 유도되어 집게부가 벌어진다. 즉,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착기구 내에서의 식별 태그의 슬라이딩은 가이드부에 의해 행해지고 벌어짐은 집게부의 광폭부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구조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B)는 집게부의 윤곽 형상이 다른 것과, 후술하는 선형부재의 수용 상태가 다른 것 및 집게부가 잘려나가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있어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B)는 클립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집게부(1a, 1b)와 거의 마찬가지의 집게부(1e, 1f)와, 상기 베이스단부(6)와 거의 마찬가지의 베이스단부(6B)를 구비한다. 여기서, 집게부의 평면 쪽에서 봤을 때, 각 집게부는 도면의 중심 위치(개구부(7B)와 베이스단부(6B)를 연결하는 선의 중간 위치)에서 가장 광폭이 되는 방추형(紡錐形)의 윤곽을 가지고 있다. 즉, 각 집게부의 윤곽은 중심위치를 따르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방추형을 이루고 있다. 집게부의 윤곽은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상기 방추형 이외에, 예컨대 유선형 등이라도 좋다. 집게부의 윤곽을 이와 같이 하면, 집게부에 모난 부분이나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선형부재가 고밀도로 배치된 장소에 식별 태그를 부착한 경우에도, 식별 태그가 선형부재나 다른 식별 태그에 걸려 얽히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집게부의 윤곽을 곡선으로 구성했다 해도 선형부재의 설치 위치에 의해서는 상기 걸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식별 태그(10B)의 경우, 도면의 중심 위치(방추형의 축심)를 따라 선형부재를 부착하면, 선형부재와 집게부는 매끄럽게 연결되며 양자의 이음매에는 걸림을 일으키는 오목부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예컨대 선형부재를 집게부의 끝테두리(도면의 끝위치)를 따라 부착한 경우, 선형부재와 집게부 사이에는 홈형상의 영역(도면에서의 크로스 해칭부)(R)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다른 선형부재 등이 걸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도 16과 같이 선형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다른 선형부재나 식별 태그와의 얽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집게부(1e) 내면에 누름부(8B)가 마련되고, 집게부(1f) 내면에 탈락 방지용 돌출편(9B)이 마련되어 있다. 탈락 방지용 돌출편(9B)은 상기한 탈락 방지용 돌출편(9)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누름부(8B)의 중앙부 부근에는 단면이 반원 형상의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80)에 선형부재(40)의 외주가 합치된다. 따라서, 누름부(8B)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선형부재(40)는 오목부(80)에 유지된 상태로 집게부(1f)의 중심부를 따른 위치의 내면 쪽에 걸림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형부재(40)는 각 집게부(1e, 1f)의 축심을 따라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한 얽힘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각 집게부(1e, 1f)의 끝테두리 중 중심 위치 부근을 제외하는 부분은 서로 거의 밀착하여 합쳐지도록 되어 있어(도 16의 파선), 각 집게부의 중심 위치에 부착된 선형부재가 끝으로 이동되기 어렵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구조에 대해 도 17,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C)는 집게부(1h) 내면에 거친면(12)이 마련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있어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C)는 클립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집게부(1a, 1b)와 거의 마찬가지의 집게부(1g, 1h)와, 상기 베이스단부(6)와 거의 마찬가지의 베이스단부(6C)를 구비한다. 집게부(1g) 내면에는 상기 식별 태그(10)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누름부(8C), 탈락 방지용 돌출편(9C)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집게부(1h)의 내면에는 거친면(12)이 마련되어 있다. 이 거친면(12)은 집게부(1h)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부를 가진다. 특히, 이 예에서는 태그에 장착된 선형부재(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띠를 가지고 있다.
도 18은 도 17의 XVⅢ-XVⅢ'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거친면(12)의 선형부재(4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톱니 형상을 이루고, 개구부(7C)에서 수용된 선형부재(40)가 개구부(7C)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톱니는 수직면이 베이스단부(6C) 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경사면이 개구(7c) 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거친면(12)의 요철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독립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해도 좋으며 격자 형상의 홈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톱니 형상의 거친면(12)을 형성한 경우에는, 식별 태그에 부착한 선형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친면(12)은 선형부재(40)와 돌기부에서만 접촉하기 때문에 선형부재(40)와의 마찰이 저감된다. 또한, 거친면(12)은 선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띠를 가지기 때문에, 선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태그를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된다. 따라서, 선형부재를 설치 위치에서 움직일 때, 선형부재가 길이 방향 이외의 방향(예컨대,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에 이동하거나 선형부재가 식별 태그에 대해 기울거나 또는 어긋남으로써 선형부재가 식별 태그 내부에서 굴곡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예컨대 선형부재로의 부착 작업이 용이한 위치에서 식별 태그를 부착한 후, 소정 위치까지 식별 태그를 이동하거나 설치 후에 식별 표시를 읽기 쉬운 위치까지 식별 태그를 이동하는 것이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구조에 대해 도 19,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D)는 집게부(1j)에 두 개의 밴드구멍(13, 13)이 마련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있어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10D)는 클립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집게부(1a, 1b)와 거의 마찬가지의 집게부(1i, 1j)와, 상기 베이스단부(6)와 거의 마찬가지의 베이스단부(6D)를 구비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통상적으로, 이들로 구성되는 태그의 내부에 선형부재(40)를 수용한다. 그러나, 선형부재의직경이 너무 크면 본 발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로도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경우에 식별 태그를 큰 직경의 선형부재에 부착 가능하게 한다. 즉, 집게부(1j)에 설치한 두 개의 밴드구멍(13, 13)에 밴드(30)를 통과시키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밴드(30)를 선형부재(40)의 외주를 따르게 하여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40)에 체결 고정한다. 밴드구멍(13)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둥근구멍 등이어도 좋다. 또한, 밴드구멍(13)의 숫자는 2 개 이상이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선형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 21에 나타내는 단면 직사각형의 선형부재(40')이어도 좋다. 요컨대, 식별 태그의베이스단부 및 집게부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기만 하면, 선형부재의 형상(단면 형상을 포함함)은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유지부로서 탈락 방지용 돌출편(56)만을 가지며 누름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 실시예의 태그는 단면 U자 형상의 클립 형상을 이루고, 만곡된 판상의 집게부(54a, 54b)의 일측 변들을 베이스단부(52)에 벌어짐이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집게부(54a) 내면에는 이 내면부터 돌출하여 탈락 방지용 돌출편(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집게부(54a, 54b)의 최대 이간 거리가 선형부재(40)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되고, 이에 의해 집게부(54a, 54b) 내에 수납한 선형부재(40)는 집게부(54a, 54b)에 의해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유지된다. 탈락 방지용 돌출편(56)의 구성은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집게부(54a, 54b)를 벌려서 선형부재(40)를 삽입할 때에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56)이 탄성적으로 넘어지고, 일단 선형부재(40)를 태그의 안쪽까지 수용하면, 선형부재(40)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56)에 걸림지지되어 태그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부를 마련하지 않음므로써 플러그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복수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집게부가 베이스단부를 지점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강성을가지는 재료로 형성한 집게부를 베이스단부에서 피봇결합하여 벌어짐이 가능하게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의 실시예를 도 2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71은 국외 장치로 연결되는 통신선이다. 개개의 통신선(71)의 단부에는 각각 커넥터 수납플러그(72)가 접속되고, 이들 커넥터 수납플러그(72)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 전면에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부호 74는 통신설비국 내의 통신 장치 간을 연결하는 통신선, 부호 75는 통신선(74)의 양단에 배치된 커넥터이고, 통신선(74)과 양단의 커넥터(75)로 커넥터붙이 통신선(76)을 구성하고 있다.
커넥터붙이 통신선(76)의 커넥터(75)를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의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접속함으로써 국외 장치는 통신선(71), 커넥터 수납플러그(72), 커넥터붙이 통신선(76)을 통해 국내 장치에 접속된다. 커넥터붙이 통신선(76)의 커넥터(75)를 접속하는 국내 장치를 바꿈으로써, 국외 장치는 기능이 다른 국내 장치에 자유롭게 접속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각 커넥터(75)의 상면에는 그 커넥터(75)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2차원 코드로 변환하여 커넥터 외표면에 첩부한 표지(719)가 설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전면에는, 그 커넥터 수납플러그(7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를 2차원 코드로 변환한 표지(720)가 첩부되어 있다.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는 커넥터 수납공에 근접하여 결합돌기부(7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부(721)는 커넥터 설치공구(722)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결합홈부(725)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 설치공구(722)는 커넥터(75)를 파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한 쌍의 턱(716a)을 가지는 커넥터 파지부(716)를 가지고 있다.
도 24는 커넥터 설치공구(722)를 선단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커넥터 설치공구(722)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722a)와, 커넥터 파지부(716)를 가지는 헤드부(722b)와, 양자를 연결하는 샤프트(722c)를 가진다. 커넥터 파지부(716)의 턱(716a) 사이에는 턱(716a)에 의해 파지된 커넥터(75)의 기단 쪽이 수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오목부(722d)가 헤드부(722b) 내에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722a)의 선단 쪽에는 커넥터 파지부(716)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717)이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722b) 내에는 2차원 코드를 읽기 위한 판독부(723, 724)가 수용되어 있다. 판독부(723, 724)는 각각, 2차원 코드의 화상을 CCD에 수속(收束)시키는 렌즈, 화상을 인식하는 CCD 및 CCD가 인식한 2차원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가지고 있다.
판독부(723)의 렌즈는 판독부(723)의 하단(해칭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마련되고, 오목부(722d)의 천정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커넥터(75)를 커넥터 파지부(716)로 파지하여 오목부(722d)에 수용했을 때에, 커넥터(75) 상면의 2차원 코드(719)를 대향하여 커넥터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부(724)의 렌즈는 헤드부(722b)의 앞쪽끝면 쪽(해칭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마련되고, 판독부(724)는 커넥터(75)를 접속 철거하기 위해 커넥터 설치공구(722)를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에 근접시켰을 때,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2차원 코드(720)에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판독한다.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헤드부(722b) 전단면에는, 커넥터(75)의 접속 철거시에, 커넥터 설치공구(722)를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에 눌러대었을 때,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결합돌기부(721)가 결합되는 결합홈부(72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부(725) 내부에는, 결합돌기부(721)가 결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기계적으로 검지하는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75)의 접속, 철거 조작을 행할 때마다, 이 센서가 결합돌기부(721)가 결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며, 이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각 커넥터 수납플러그(72)마다 커넥터(75)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한다.
커넥터 설치공구(722)에는 휴대단말(715)이 접속되어 있고, 이 휴대단말(715)은 2차원코드 판독부(723, 724)에서 판독한 데이터 및 결합홈부(725) 내의 센서로부터 커넥터 접속 유무 데이터를 해석 및 메모리 내에 기억한다.
커넥터(75)를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넥터(75)를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접속할 경우, 우선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오목부(722d)에 커넥터(75)를 끼워넣고,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제어 버튼(717)을 눌러서 커넥터 파지부(716)를 닫아 커넥터(75)를 파지한다.
제어 버튼(717)이 눌림과 동시에, 2차원 코드 판독부(23)가 커넥터(75)의 표면의 2차원 코드(719)를 판독, 디코딩하여 커넥터 식별 데이터로서 휴대단말(715)에 송신하여 기록한다. 커넥터(75)를 파지한 상태로 커넥터 설치공구(722)를·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접근시키면, 2차원 코드 판독부(724)가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2차원 코드(720)를 판독, 디코딩하여 커넥터 수납플러그 식별 데이터로서 휴대단말(715)에 송신하여 기록한다.
커넥터(75)를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삽입하면,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결합홈부(725)와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결합돌기부(721)가 결합된다. 이때, 커넥터 수납플러그(72)가 그때까지 접속 상태로 휴대단말(715) 안에 기록되어 있었던 경우는 빈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그때까지 빈 상태로 기록되어 있었던 경우는, 접속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하며,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로 휴대단말(715) 내 메모리에 기록된다. 이 결합돌기부와 결합홈부의 결합 검지와 동시에, 휴대단말(715)에 기록된 정보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관리용의 컴퓨터(미도시)에 송신된다.
이와 같이, 도 23에 나타낸 커넥터(75),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 및 도 24에 나타낸 커넥터 설치공구(722)를 사용한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에 의하면, 커넥터 식별 데이터, 커넥터 수납플러그 식별 데이터, 커넥터 접속 유무 데이터를 커넥터(75)의 접속 철거를 행하는 일련의 동작 중에서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커넥터의 설치 상황이 정확하게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조작이 복수의 공구를 교체하는 일 없이 한 개의 커넥터 설치공구(722)로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 대상으로 하고 있는 커넥터(75)나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대해 항상 마주하는 상태에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커넥터(75)를 잘못 접속·철거할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작업의 대폭적인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75) 및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배치된 표지(719, 720)가 2차원 코드이었지만, 표지(719, 720)는 기호, 컬러 바, 바코드라도 좋고, 기입도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나 무선 태그라도 좋다. 바코드의 경우는,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판독부(723, 724)를 바코드 판독부로 구성하고, 반도체 메모리나 무선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들의 판독 기능 및 기입 기능을 가진 송수신부로 구성하면 된다.
특히, 정보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2차원 코드나 반도체 메모리, 무선 태그 등을 표지로서 사용한 경우는, 이전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개개의 커넥터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식별 데이터뿐 아니라, 개개의 커넥터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형번호, 사양, 제조 업체명, 제조 로트 번호를 부속 데이터로서 기록해도 좋으며, 또한 개개의 커넥터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된 통신선의 형번호, 사양, 제조 업체명, 제조 로트 번호 등의 부속 데이터를 더해도 좋다. 이러한 부속 데이터가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것에 의해,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서 즉시 많은 정보를 인식한 상태에서의 작업이나 판단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 에러의 저감 및 작업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내용의 다시쓰기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나 무선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는, 커넥터의 접속 철거 작업을 실시했던 연월일, 작업자 성명 등 변동하는 데이터를 부속 데이터로서 기록,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상세한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표지(719, 720)에 식별 데이터 및 부속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표지(719, 720)에는 서로 독립된 독특한 기호 또는 번호만을 보유시키고, 커넥터 설치공구(722)로 표지(719, 720)의 기호 또는 번호를 판독하며, 판독한 기호 또는 번호에 대해 커넥터 설치공구(722)에 접속된 휴대단말(715)로 식별 데이터나 부속 데이터를 관련짓게 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지(719, 720)에 사전에 커넥터(75)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데이터나 부속 데이터를 부여하고 대응하는 커넥터(75)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부착시키는 경우에 비해, 표지(719, 720)를 무작위적으로 커넥터(75)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지를 없애도 다른 표지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표지의 부착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독립성만 확보한 표지를 제조하면 되므로, 표지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75)나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를 배치한 경우는, 이를 구동하는 전원은 커넥터 설치공구(722)에 보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설치공구(722)로부터의 전자유도에서의 여기에 의해 공급해도 좋고, 커넥터 설치공구(722)가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에 접촉된 시점에서 접점을 통해 직접 공급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지로서의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를 콤팩트하게 또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도 24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커넥터(75)의 접속, 철거시의 결합돌기부(721)와 결합홈부(725)의 결합에 의해 검지하여 취득했지만, 도 25와 같이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는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샤프트(722c)의 도중에 샤프트(722c)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적인 응력의 변화량 및 방향을 검지하는 응력 검지 센서(726)가 마련되어 있다. 응력 검지 센서(726)가 커넥터(75)의 접속 철거시에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의 방향과 변화량을 측정하고, 접속, 철거 작업을 검지하여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접속인지 철거인지의 구별이 응력의 방향으로부터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 변화로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75)가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접속 철거 될 때의 정전 용량이나 전자계 등의 전기적 변화, 또는 반사광 등의 광학적 변화를 각종 센서로 검지하여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한 센서가 커넥터 설치공구(722)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배치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커넥터 설치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표지(719, 720)에 대향하는 렌즈(727, 728)가 마련되고, 이들 렌즈(727, 728)로 수속한 표지의 화상을 광섬유속(光纖維束; 729, 730)으로 전송한다. 각 광 섬유속(729, 730)으로부터의 화상은 각각 렌즈(731)로 CCD(732)에 결상된다. CCD(732)의 출력 신호는 디코더(733)에 전달되고, 디코더(733)는 인식한 화상을 디코딩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선단에는 화상을 광섬유속(729, 730)으로 도입하기 위한 렌즈(727, 728)만을 배치하면 좋고, CCD(732)나 디코더(733)를 파지부(722a) 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설치공구의 선단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커넥터 수납플러그(72)가 고밀도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등에도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조작성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부호 735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 전면에 배치된 무선 송수신부이다. 도 27의 경우, 무선 송수신부(735)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송신신호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설치공구(722)에는 무선 송수신부(736)가 설치되어 있으며, 네 군데의 무선 송수신부(735)의 송신신호를 각각 구별하여 수신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파지부(716)를 조작하기 위해 제어 버튼(717)을 누르면,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넥터(75)의 표면에 배치된 2차원 코드(719)를 센서(723)가 판독하고, 동시에 무선 송수신부(736)로부터 신호가 송신된다. 무선 송수신부(736)로부터의 송신신호에 의해, 수신 상태에 있던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73)의 네 개의 무선 송수신부(735)는 송신상태가 되며, 서로 다른 송신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수신부(736)는 무선 송수신부(735)로부터의 송신신호의 강도 또는 송신펄스의 전반시간 등을 개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커넥터 설치공구(722)의 위치를 계측하고, 접속 또는 철거하는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위치를 특정한다. 커넥터 수납플러그(72)의 위치가 특정됨에 따라 그 커넥터 수납플러그(72)에 관련지어진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가 판독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기록한 표지를 커넥터 수납플러그(72)마다 배치할 필요가 없다.
도 27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송수신부(736, 725)를 배치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대신에 음파(예컨대, 초음파)의 송수신이 가능한 음파 송수파부를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커넥터 설치공구에 배치해도 좋으며, 적외선 등의 광 송수신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는 선형부재에 착탈이 가능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로서, 베이스단부와, 이 베이스단부에 벌어짐이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집게부를 구비한 클립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내면에는,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형부재를 개구부로부터 삽입하기만 하면 부착이 가능하므로, 부착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형부재의 형상, 치수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 치수가 다른 각종의 선형부재에 적용할 수 있고, 선형부재에 맞추어 다종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준비하거나, 부착시에 선형부재에 맞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부착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수의 커넥터와 복수의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설치 상황을 관리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으로서, 커넥터를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 및 커넥터 수납플러그로부터 철거하는 커넥터 접속 철거 기능을 가지는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커넥터의 접속 철거를 행할 때, 커넥터에 부여된 커넥터 정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부여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및 커넥터가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 중 적어도 1종에 대해,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설치 상태를 관리한다. 이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에 의하면, 커넥터에 부여된 커넥터 정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부여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커넥터의 접속 철거를 하는 일련의 동작 중에서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하게 커넥터의 설치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Claims (38)
- 선형부재에 착탈 가능한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로서, 베이스단부와, 이 베이스단부에 벌어짐이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집게부를 구비한 클립 형상을 이루고,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내면에는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베이스단부 또는 상기 집게부 내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러붙이는 누름부를 가지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집게부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집게부 사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을 가지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베이스단부 또는 상기 집게부 내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러붙이는 누름부와,상기 집게부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집게부 사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용 돌출편을 가지는 선형부재용 식별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간격은 상기 베이스단부의 두께에 비해 작은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내면에는 상기 선형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거친면이 형성되어 있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면의 돌기부는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에 의해 유지된 선형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띠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선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를 가지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에는 상기 밴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밴드구멍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곡선으로 구성된 윤곽을 가지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단부의 길이에 비해 긴 광폭부를 각각 가지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집게부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단부 내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1 또는 2개 이상의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수용하여 선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기구에 마련된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 외면에는 식별 표지가 마련되어 있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식별 표지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가지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 제1항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기구로서,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상기 선형부재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집게부 내면에 접촉하며 상기 집게부들을 넓히는 벌림 가이드 및,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벌림 가이드에 접촉시키고 상기 집게부들을 벌려 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선형부재에 부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부착기구.
- 제1항의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선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방법으로서,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에 대해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공정,상기 선형부재를 벌림 가이드에 의해 유지시킨 후, 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벌림 가이드를 상기 집게부 내면에 접촉시켜 상기 집게부들을 벌리는 공정 및,상기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벌림 가이드에 접촉시키고, 상기 집게부들을 벌려 그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를 상기 선형부재에 부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부착방법.
- 복수의 커넥터와 복수의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설치 상황을 관리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으로서,커넥터를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 및 커넥터 수납플러그로부터 철거하는 커넥터 접속 철거 기능을 가지는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커넥터의 접속 철거를 행할 때, 커넥터에 부여된 커넥터 정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부여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및 커넥터가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 중 적어도 1종에 대해,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설치상태를 관리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정보는 개개의 커넥터를 식별하기 위한 커넥터 식별 데이터 및 커넥터 부속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는 개개의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식별하기 위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식별 데이터 및 커넥터 수납플러그 부속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이들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커넥터의 접속 철거를 행할 때,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의해 상기 커넥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고,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배치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의해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 또는 상기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의 취득을 행함으로써 커넥터의 설치 상태를 관리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정보는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마련된 표지에 보유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는 상기 표지로부터의 판독/기록기를 포함하며, 이 판독/기록기에 의해 상기 커넥터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마련된 표지에 보유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는 상기 표지로부터의 판독/기록기를 포함하며, 이 판독/기록기에 의해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표지는 컬러 바, 바코드, 2차원 코드, 반도체 메모리 및 무선 태그 중 적어도 1종인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표지에는 서로 독립된 독특한 기호 또는 번호만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표지의 상기 기호 또는 상기 번호를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로 판독한 후, 상기 표지가 속하는 커넥터의 커넥터 정보를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접속한 휴대단말로부터 입력하여 상기 기호 또는 번호와 상기 커넥터 정보를 관련지우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표지에는 서로 독립된 독특한 기호 또는 번호만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표지의 상기 기호 또는 상기 번호를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로 판독한 후, 상기 표지가 속하는 커넥터 수납플러그의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에 접속한 휴대단말로부터 입력하여 상기 기호 또는 번호와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관련지우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는, 커넥터의 접속 철거에 따라 커넥터 설치공구가 받는 기계적 변화, 전기적 변화 및 광학적 변화 중 적어도 1종을 검지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는, 커넥터의 접속 철거에 따라 커넥터 설치공구가 받는 기계적 변화, 전기적 변화 및 광학적 변화 중 적어도 1종을 검지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및 상기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가 배치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및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 각각에 전파 또는 음파의 송수신기를 배치하고,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과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 간의 송수신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접속 또는 철거할 때의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의 위치를 계측하여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커넥터 설치관리방법.
- 커넥터를 파지하여 커넥터 수납플러그에의 접속 철거를 행하기 위한 커넥터 설치공구로서,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된 표지에 대해 커넥터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정보 판독/기록기,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배치된 표지에 대해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하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판독/기록기 및,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커넥터 접속 검출기 중 적어도 1종을 구비하고,또한, 상기 각 정보를 컴퓨터로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설치공구.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정보 판독/기록기는,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된 컬러 바, 바코드, 2차원 코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의 판독/기록기이고,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판독/기록기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배치된 컬러 바, 바코드, 2차원 코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의 판독/기록기인 커넥터 설치공구.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정보 판독/기록기는,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의 판독/기록기이고,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판독/기록기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의 판독/기록기이며,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또는 상기 무선 태그의 전원을 여기(勵起)하는 전원 여기부를 더 가지는 커넥터 설치공구.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정보 판독/기록기는,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된 컬러 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의 판독/기록기이고,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 판독/기록기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에 배치된 컬러 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의 판독/기록기이며,상기 커넥터 설치공구는 상기 컬러 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의 화상을 상기 판독/기록기의 화상 인식부까지 전달하는 광섬유속(光纖維束)을 가지는 커넥터 설치공구.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접속 검출기는 상기 커넥터의 접속 철거에 따라 상기 커넥터 설치공구가 받는 기계적, 전기적 또는 광학적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는 커넥터 설치공구.
- 커넥터 정보를 기록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가 커넥터 또는 커넥터에 연결접속된 선형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붙이 선형부재.
-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기록한 표지 및 이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 제33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커넥터의 접속 철거에 따라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이 받는 기계적, 전기적 또는 광학적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 제33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보유한 표지는 컬러 코드, 바코드, 2차원 코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를 가지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 복수의 커넥터 수납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로서,상기 각 커넥터에 대응한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기록한 표지 및 상기 각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 제3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접속 유무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커넥터의 접속 철거에 따라 커넥터 수납플러그 또는 커넥터 수납플러그에 연결접속된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이 받는 기계적, 전기적 또는 광학적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는 커넥터수납플러그 단자패널.
- 제36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 수납플러그 정보를 보유한 표지는 컬러 코드, 바코드, 2차원 코드, 반도체 메모리 또는 무선 태그를 가지는 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010461 | 2002-01-18 | ||
JP2002010461 | 2002-01-18 | ||
PCT/JP2003/000219 WO2003063315A1 (fr) | 2002-01-18 | 2003-01-14 | Etiquette d'identification pour corps lineaire, dispositif et procede pour fixer ladite etiquette, procede de commande de connecteur, outil de configuration de connecteur, corps lineaire muni d'un connecteur, et connecteur recevant un panneau terminal de pri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5926A true KR20040075926A (ko) | 2004-08-30 |
Family
ID=2760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0816A KR20040075926A (ko) | 2002-01-18 | 2003-01-14 |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그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 커넥터설치관리방법, 커넥터 설치공구, 커넥터붙이 선형부재 및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7091421B2 (ko) |
EP (1) | EP1471615A4 (ko) |
JP (1) | JPWO2003063315A1 (ko) |
KR (1) | KR20040075926A (ko) |
CA (1) | CA2473270A1 (ko) |
WO (1) | WO200306331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7385B1 (ko) * | 2006-12-06 | 2007-09-1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파워코드 정리장치 |
KR100941605B1 (ko) * | 2007-10-30 | 2010-02-11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차량용 마운팅 클립 어셈블리 |
KR20170025610A (ko) * | 2015-08-31 | 2017-03-08 | 성진경 |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2772B1 (ko) * | 2004-03-18 | 2006-05-22 | (주)에스피에스 | 유니버셜 전원공급장치 |
JP2006309690A (ja) * | 2004-08-27 | 2006-11-09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Icタグの装着方法および工具類にicタグを装着するための熱収縮チューブ |
US7214091B1 (en) * | 2006-01-09 | 2007-05-08 | Ceramate Technical Co., Ltd. | Audio/video mainframe shaped as an auto head |
US7877916B2 (en) * | 2006-05-23 | 2011-02-01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Garment marking clip and label strip |
US8516727B1 (en) * | 2006-08-26 | 2013-08-27 | Micah L. Maraia | Methods of organizing, identifying and differentiating wires, cords, connectors and other elongated objects |
JP2008089105A (ja) * | 2006-10-03 | 2008-04-17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各種機器の寒冷時対策方法 |
JP4806622B2 (ja) * | 2006-11-07 | 2011-11-02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コネクタ挿抜工具 |
DE202007012604U1 (de) * | 2007-09-07 | 2009-01-22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Kennzeichn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ungen |
US8120497B2 (en) * | 2007-11-06 | 2012-02-21 | Merrick Systems, Inc. | RFID transponder enclosure for harsh environments |
GB2462110B (en) * | 2008-07-24 | 2011-06-01 | Jacqueline A O'connell | Cable attachment |
US8408815B2 (en) * | 2009-06-18 | 2013-04-02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tical fiber connector and adapter |
CN101997222B (zh) * | 2009-08-13 | 2014-01-22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水晶头 |
US9188747B2 (en) | 2011-05-23 | 2015-11-1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True one piece housing fiber optic adapter |
KR101202858B1 (ko) | 2011-07-19 | 2012-11-22 | 이경희 | Usb 케이블, 전기 코드 네임택 |
CN103703631B (zh) * | 2011-10-05 | 2017-02-15 | 扇港元器件有限公司 | 具有远距离释放件的闩锁连接器 |
US20130186671A1 (en) * | 2012-01-04 | 2013-07-25 | Greg E. Theis | Sleeves for electrical wiring and methods of identifying electrical wiring |
US8974124B2 (en) | 2012-08-16 | 2015-03-10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connector |
US9268103B2 (en) | 2013-05-10 | 2016-02-2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Interlockable fiber optic connector adaptors |
US9360649B2 (en) | 2013-05-22 | 2016-06-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Cable guide for fiber optic cables |
US9618703B2 (en) | 2013-10-03 | 2017-04-1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Connector housing for securing an optical cable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
US9477049B2 (en) | 2013-12-20 | 2016-10-2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ockable connectors and connection assemblies |
US9535230B2 (en) | 2014-01-31 | 2017-01-0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Integrated fiber optic cable fan-out connector |
US9297964B2 (en) | 2014-04-18 | 2016-03-29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
US9274287B2 (en) | 2014-05-13 | 2016-03-0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tical fiber connector and ferrule |
US9618702B2 (en) | 2014-06-09 | 2017-04-1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Reduced-profile data transmission element connectors, adapters, and connection assemblies thereof |
US9599778B2 (en) | 2014-10-22 | 2017-03-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atching connector with remote release |
US9494745B2 (en) | 2015-01-16 | 2016-11-1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ealable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assemblies |
US9658409B2 (en) | 2015-03-03 | 2017-05-2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changeable polarity |
US9684139B2 (en) | 2015-05-29 | 2017-06-20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changeable gender |
US9726830B1 (en) | 2016-06-28 | 2017-08-08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Connector and adapter system for two-fiber mechanical transfer type ferrule |
US10078188B1 (en) | 2016-12-05 | 2018-09-18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pringless push/pull fiber optic connector |
US10228521B2 (en) | 2016-12-05 | 2019-03-12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Narrow width adapters and connectors with modular latching arm |
US10444444B2 (en) | 2017-01-30 | 2019-10-1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Remote release tab connector assembly |
US10185100B2 (en) | 2017-01-30 | 2019-01-22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Modular connector and adapter assembly using a removable anchor device |
US11333836B2 (en) | 2017-01-30 | 2022-05-1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Adapter for optical connectors |
US10725248B2 (en) | 2017-01-30 | 2020-07-28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receptacle with integrated device therein incorporating a behind-the-wall fiber optic receptacle |
US10416394B2 (en) | 2017-01-30 | 2019-09-1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receptacle with integrated device therein |
CN110249248B (zh) | 2017-01-30 | 2021-07-27 | 扇港元器件股份有限公司 | 具有可逆极性的光学连接器 |
US9989712B1 (en) | 2017-03-20 | 2018-06-0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MPO connector assembly with push-pull tab |
US10989884B2 (en) | 2017-04-07 | 2021-04-2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Behind the wall optical connector with reduced components |
US10754098B2 (en) | 2017-04-07 | 2020-08-2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Behind the wall optical connector with reduced components |
US10209461B2 (en) | 2017-04-07 | 2019-02-19 | Senko Advanced Components | Behind the wall optical connector with reduced components |
US10359583B2 (en) | 2017-04-07 | 2019-07-2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Behind the wall optical connector with reduced components |
US10718910B2 (en) | 2017-05-03 | 2020-07-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eld terminated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
US10401576B2 (en) | 2017-05-10 | 2019-09-0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MPO micro-latch-lock connector |
US10146016B1 (en) | 2017-05-10 | 2018-12-0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MPO micro-latchlock connector |
US10520686B2 (en) | 2017-05-18 | 2019-12-3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tical connector with one-piece body |
US10359576B2 (en) | 2017-06-15 | 2019-07-23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C low profile connector with optional boot |
US11822133B2 (en) | 2017-07-14 | 2023-11-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
US10281669B2 (en) | 2017-07-14 | 2019-05-07 | Senko Advance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
US12001064B2 (en) | 2017-07-14 | 2024-06-0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
US10718911B2 (en) | 2017-08-24 | 2020-07-2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ing a push-pull boot receptacle release |
US10641972B2 (en) | 2017-08-17 | 2020-05-0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Anti-jam alignment sleeve holder or connector housing for a ferrule assembly |
US10444442B2 (en) | 2017-11-03 | 2019-10-1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MPO optical fiber connector |
US11002923B2 (en) | 2017-11-21 | 2021-05-1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connector with cable boot release having a two-piece clip assembly |
CN111512202B (zh) * | 2017-12-19 | 2022-11-18 | 美国康涅克有限公司 | 具有推拉极性机构和载体的微型双工连接器 |
US10678000B2 (en) | 2018-01-05 | 2020-06-09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Pull rod and alignment key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nd adapter |
US11112566B2 (en) | 2018-03-19 | 2021-09-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Removal tool for removing a plural of micro optical connectors from an adapter interface |
MX2020002280A (es) | 2018-03-28 | 2020-10-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Conector de fibra óptica de diseño compacto con un capuchón de múltiples usos. |
US11041993B2 (en) | 2018-04-19 | 2021-06-22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adapter with removable insert for polarity change and removal tool for the same |
US10921528B2 (en) | 2018-06-07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Dual spring multi-fiber optic connector |
CN112088327A (zh) | 2018-07-15 | 2020-12-15 | 扇港元器件股份有限公司 | 超小型光学连接器和适配器 |
US10444441B1 (en) | 2018-08-10 | 2019-10-15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Pivotable housing for a fiber optic connector |
CN112534324A (zh) | 2018-08-13 | 2021-03-19 | 扇港元器件股份有限公司 | 用于从插座释放光纤连接器的缆线套管组件 |
US10921531B2 (en) | 2018-09-12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0921530B2 (en) | 2018-09-12 | 2021-02-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WO2020055440A1 (en) | 2018-09-12 | 2020-03-19 | Senko Advanced Componetns, Inc. | Lc type connector with clip-on push/pull tab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
US11806831B2 (en) | 2018-11-21 | 2023-11-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xture and method for polishing fiber optic connector ferrules |
US11175464B2 (en) | 2018-11-25 | 2021-11-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Open ended spring body for use in an optical fiber connector |
US11689247B2 (en) | 2019-01-16 | 2023-06-27 | Mertek Industries, Llc | Patch cord including wireless components |
WO2020198755A1 (en) | 2019-03-28 | 2020-10-0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adapter assembly |
US12038613B2 (en) | 2019-03-28 | 2024-07-16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Behind-the-wall optical connector and assembly of the same |
US11340406B2 (en) | 2019-04-19 | 2022-05-24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resilient latching mechanism for securing within a hook-less receptacle |
CN114026480B (zh) | 2019-06-13 | 2023-05-26 | 扇港元器件有限公司 | 用于从插座端口释放光纤连接器的杆驱动闩锁臂和使用方法 |
US11467354B2 (en) | 2019-07-23 | 2022-10-11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Ultra-small form factor receptacle for receiving a fiber optic connector opposing a ferrule assembly |
US11353664B1 (en) | 2019-08-21 | 2022-06-07 |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 Fiber optic connector |
CN114787677A (zh) | 2019-11-13 | 2022-07-22 | 扇港元器件有限公司 | 光纤连接器 |
US10990114B1 (en) | 2019-12-30 | 2021-04-27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Methods and systems for inline mixing of hydrocarbon liquids |
US11607654B2 (en) | 2019-12-30 | 2023-03-21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Methods and systems for in-line mixing of hydrocarbon liquids |
US11247184B2 (en) | 2019-12-30 | 2022-02-15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Methods and systems for spillback control of in-line mixing of hydrocarbon liquids |
US11578836B2 (en) | 2021-03-16 | 2023-02-14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Scalable greenhouse gas capture systems and methods |
US11655940B2 (en) | 2021-03-16 | 2023-05-23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uel and carbon dioxide in a dual fluid vessel |
US12012883B2 (en) | 2021-03-16 | 2024-06-18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for backhaul transportation of liquefied gas and CO2 using liquefied gas carriers |
US12043905B2 (en) | 2021-08-26 | 2024-07-23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Electrode water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cathodic monitoring of structures |
US12129559B2 (en) | 2021-08-26 | 2024-10-29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Test station assemblies for monitoring cathodic protection of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
US11447877B1 (en) | 2021-08-26 | 2022-09-20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Assembli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athodic protection of structures |
DE102021124075A1 (de) | 2021-09-17 | 2023-03-23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Informationsträger |
US11686070B1 (en) | 2022-05-04 | 2023-06-27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Systems, methods, and controllers to enhance heavy equipment warning |
WO2023242999A1 (ja) * | 2022-06-15 | 2023-12-21 | 日揮株式会社 | 誤接続防止方法、及び誤接続防止具 |
US12012082B1 (en) | 2022-12-30 | 2024-06-18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for a hydraulic vent interlock |
US12006014B1 (en) | 2023-02-18 | 2024-06-11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Exhaust vent hoods for marine vessels and related methods |
US12043361B1 (en) | 2023-02-18 | 2024-07-23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Exhaust handling systems for marine vessels and related methods |
US12087002B1 (en) | 2023-09-18 | 2024-09-10 |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depth of soil coverage along a right-of-way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42143B1 (fr) * | 1983-03-04 | 1985-08-09 | Legrand Sa | Dispositif de reperage pour cable |
US4578573A (en) * | 1983-03-23 | 1986-03-25 | Datakey, Inc. | Portable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4682411A (en) * | 1986-08-21 | 1987-07-28 | Tomes Jr Herbert | Wire identifying sleeve applicator |
JPS63102119U (ko) * | 1986-12-23 | 1988-07-02 | ||
ES2040781T3 (es) * | 1987-06-19 | 1993-11-01 | Grafoplast S.P.A. | Soporte de funda abierta para marcar cables electricos. |
ATE125632T1 (de) * | 1989-03-03 | 1995-08-15 | Flavio Morosini | Kodierte markierungsträ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
DE3908917A1 (de) * | 1989-03-18 | 1990-09-20 | Weidmueller C A Gmbh Co | Bezeichnungstraeger fuer elektrische leiter |
US5210923A (en) * | 1989-12-29 | 1993-05-18 | Nichifu Terminal Manufacture Co., Ltd. | Method for attaching tabs to electric wire ends |
US5110638A (en) * | 1990-03-20 | 1992-05-05 | Raychem Corporation | Marker device with permanent indicia |
SE505219C2 (sv) * | 1992-04-29 | 1997-07-14 | Partex Marking Systems Ab | Märke för identifiering av elektriska ledningar |
JPH0620972U (ja) * | 1992-08-21 | 1994-03-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具 |
JPH0670431U (ja) * | 1993-03-03 | 1994-09-3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
US5910776A (en) * | 1994-10-24 | 1999-06-08 | Id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ng or monitoring equipment or other objects |
US5797177A (en) * | 1996-01-23 | 1998-08-25 | The Whitaker Corporation | Insertion tool for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s |
JP3847947B2 (ja) * | 1998-03-30 | 2006-11-22 | 株式会社ハネックス | ケーブル、鞘管の懸架用管及びケーブル、鞘管の懸架方法 |
JP2000050448A (ja) * | 1998-07-28 | 2000-02-18 | Fujikura Ltd | 通信線の識別タグ及び識別タグの通信線への取付機構 |
JP3851729B2 (ja) * | 1998-08-25 | 2006-11-29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配線管理システム及び配線管理方法 |
JP2001216575A (ja) * | 1999-11-23 | 2001-08-10 | Xerox Corp | ユーザ操作型仮想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
US20030061393A1 (en) * | 2001-09-21 | 2003-03-27 | Frank Steegmans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in networks by disposing machine accessible information tags along the interconnection means |
US7100273B2 (en) * | 2003-03-03 | 2006-09-0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Interconnect validation instruments |
-
2003
- 2003-01-14 US US10/501,446 patent/US709142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1-14 CA CA002473270A patent/CA247327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1-14 JP JP2003563062A patent/JPWO2003063315A1/ja active Pending
- 2003-01-14 KR KR10-2004-7010816A patent/KR200400759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1-14 WO PCT/JP2003/000219 patent/WO2003063315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1-14 EP EP03701077A patent/EP1471615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
- 2006-03-08 US US11/371,266 patent/US20060151197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7385B1 (ko) * | 2006-12-06 | 2007-09-1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파워코드 정리장치 |
KR100941605B1 (ko) * | 2007-10-30 | 2010-02-11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차량용 마운팅 클립 어셈블리 |
KR20170025610A (ko) * | 2015-08-31 | 2017-03-08 | 성진경 | 소리를 이용한 식별자 및 식별자 세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03063315A1 (ja) | 2005-05-26 |
WO2003063315A1 (fr) | 2003-07-31 |
EP1471615A1 (en) | 2004-10-27 |
US20060151197A1 (en) | 2006-07-13 |
CA2473270A1 (en) | 2003-07-31 |
US7091421B2 (en) | 2006-08-15 |
EP1471615A4 (en) | 2005-12-07 |
US20050085121A1 (en) | 2005-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75926A (ko) | 선형부재용 식별 태그, 그 부착기구 및 부착방법, 커넥터설치관리방법, 커넥터 설치공구, 커넥터붙이 선형부재 및커넥터 수납플러그 단자패널 | |
US9946037B2 (en) | RFID-enabled optical adapter for use with a patch panel | |
AU701092B2 (en) | Jumper tracing system | |
US6250965B1 (en) | Chip card reading apparatus | |
CN100492983C (zh) | 动态更新与网络有关的信息的自登记系统和方法 | |
US8855458B2 (en) | Fiber optic connector removal clips | |
WO2003060582A1 (fr) | Connecteur optique a fonction de memoire | |
JP3814613B2 (ja) | 配線接続管理システム | |
US10094987B2 (en) |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radio frequency identficiation tag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device | |
JP2005092107A (ja) | メモリ付きコネクタプラグを用いる伝送部品の管理方式 | |
US20130257596A1 (en) | Rfid reader extender | |
JP4799100B2 (ja) | 光伝送路判別装置、並びにこの光伝送路判別装置を用いた光伝送路管理システム | |
JP4931435B2 (ja) | 配線情報管理システム | |
US20130256413A1 (en) | Reading an rfid tag associated with a rear connector via an electromagnetic loop induction system | |
CN116405105A (zh) | 纤芯端口的检测方法、纤芯采集系统、设备及存储介质 | |
JP2004227179A (ja) | 光コネクタ用データタグ | |
JP2015060126A (ja) | 中継用光接続ユニット | |
CN222028623U (zh) | 电子标签卡套、电子标签组件 | |
JP4810643B2 (ja) | 情報処理装置 | |
JPH05313020A (ja) | 光線路の識別方法 | |
CN117034992A (zh) | 具有状态检测功能的无源电子签封锁、通信系统及方法 | |
TWM643728U (zh) | 具查找指示功能的光纖集線裝置 | |
JP5366055B2 (ja) | 光コネクタ挿抜工具 | |
JP2005331563A (ja) | 光コネクタ組立工具 | |
JPH0436884A (ja) |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とバーコード印刷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