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0074154A -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154A
KR20040074154A KR1020030009705A KR20030009705A KR20040074154A KR 20040074154 A KR20040074154 A KR 20040074154A KR 1020030009705 A KR1020030009705 A KR 1020030009705A KR 20030009705 A KR20030009705 A KR 20030009705A KR 20040074154 A KR20040074154 A KR 2004007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stabilized
cosmetic composition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천
김광수
류한영
신창한
이승화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154A/ko
Publication of KR2004007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15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정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5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상기 액정좀에 내포시켜 안정화시킴으로써, 피부내 침투가 매우 용이하고,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에 따른 노화 방지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매우 안정한,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OLDENLANDIEA DIFFUSAE EXTRACTS STABILIZED WITH LIQUID CRYSTALSOME}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액정좀은 현재 제약 분야에서 생리활성 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약물 전달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는 리포좀의 특별한 한 종류이다.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인지질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인지질은 소수성의 긴 탄화수소 사슬과 친수성의 극성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성의 긴 탄화수소는 스핑고신(sphingosin) 유도체 또는 글리세롤 유도체로 되어있다. 다른 한쪽은 콜린, 에탄올 아민, 세린, 이노시톨 또는 글리세롤과 에스테르 결합을 이루고 있다. 인지질은 이러한 분자구조에 의해 물 매체 속에서 규칙적으로 배치된 구조, 즉 미셀이나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다.
리포좀은 또한 생체막과 그 구조가 비슷하여 막 모델계 및 생리학적 물질의 전달매개체 등으로써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R. Sundler. D. Papahadjpovlos,Biochim. Biophys. Acta, 648.743(1981)), 현재 제약분야 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포좀은 생리 활성 성분을 깨뜨리지 않고 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생리활성 성분이 지용성이든 수용성이든 모두 내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리포좀은 크게 다막리포좀(MLV:Multilamella vesicle)과 단막리포좀(ULV:Unilamella vesicle)로 구분되고, ULV는 대단막리포좀(Large Unilamella vesicle)과 소단막리포좀(Small Uni lame lla vesicle)으로 나눌 수 있다. MLV는 그 크기가 400~3,50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이 5~15%이다. LUV는 그 크기가 100~1,00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이 36~65%이며, SLV는 그 크기가 20~5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이 0.5~1.0%이다. 생리활성 물질을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은 LUV가 가장 많으나 불안정하고, SLV는 가장 안정하나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이 적다. 또한, 사람의 피부의 구조는 다막의 구조를 갖고 있어 MLV는 피부와 친화력이 있으나 크기가 너무 커 피부 침투가 어렵다.
반면에, 액정좀은 크기가 10~200nm로, 피부 침투가 용이하고 수용성의 성분을 과량 내포할 수 있으며 안정하다. 아울러, 구성 성분에 있어서, 리포좀은 인지질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액정좀은 레시틴, 지방알코올, 지방산 등을 사용하여 베시클(vesicle)을 형성하고, 이 베시클 안에 생리활성 성분을 내포시켜 활성 성분을 보호하고 피부내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건강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은 피부 세포의 생리 활성이 활발하다. 즉, 진피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고 주름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의 합성과,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포함한 당단백질류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AGs, Glycosaminoglycans)의 합성을 활발히 하여,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며 보습성을 부여한다. 표피의 기저세포에서는, 세포증식을 활발하게 하고 피부세포 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라미닌(Laminin), 인테그린(Integrin), 데스모좀(Desmosome)과 같은 결합단백질이 생성되어 균형적인 피부 세포조직으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준다.
그러나 현대인의 피부는, 외부의 각종 유해 환경 및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다양한 손상을 받고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생리활성이 저하되고 손상된 피부의 회복속도가 느려지면서, 건조, 탄력저하, 주름형성 등의 다양한 피부 노화 현상을 맞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부노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료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는, 자외선 차단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보습제, 신진대사 촉진제 등이 복합적으로 처방되어야 한다.
백화사설초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인 쌍낚시돌풀(백운풀)(Oldenlandiea diffusae ROXB.)의 전초로서, 습기가 많은 산기슭에 자라는데, 중국에서는 복건, 광동, 광서, 운남 및 양자강 남쪽지방에서 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전남의 백운산,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으며, 최근 진주에서 재배하고 있다(원색임상본초학. 영림사 1986 ,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2).
백화사설초의 약리 작용으로는, 생체 외에서 황색포도상구균, 적리균 등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으며, 세망내피계와 백혈구 탐식능을 촉진하고, 급성림프구형, 과립구형, 단핵구형 및 만성과립구형 등의 세포에 대해 강한 억제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강소신의학편 : 중국대사전 상책, 상해과학기술출판사,754 , 1979).
또한, 생체 외에서 사람 백혈병과 간암세포에 대해, 생체 내에서 워커-256(Walker-256), 경부암 14(cervical carcinoma 14), 육종-180(sarcoma-180) 및 간암주에 대해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구명 등. 항종류본초도보, 상무인서관, 20. 1990). 또한 방사능 상처치유에 관한 여러 메탄올 추출물의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akugaku Zasshi. 1990 Nov;110(11):885-9. Japanese)
백화사설초의 성분으로는 헨트리아콘탄(hentriacontane),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우르솔산(ursolic acid), 올레놀산(oleanolic acid),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β-시토스테롤-d-글루코사이드, p-쿠마르산(p-coumaric acid) 등이 밝혀졌고(중약대사전 상책,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79. Meng Yanfa et al, Lanzhou Univ, Tongbao 26(4), 113-116. 1990), 새로운 이리도이드(irridoids)로서 올덴란도사이드(oldenlando-side)가 분리된 바 있으나(Huang Jai Tung, Arch pharmach. 1981), 백화사설초와 관련된 피부 임상 연구 결과는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내 침투가 용이한, 백화사설초 추출액이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정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5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화사설초 추출액의 제조 방법은 하기과 같다.
백화사설초 전초를 추출 용매와 혼합한다. 이 때, 용매 : 전초를 1:0.2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비율일 경우에 노화 방지 효과가 골고루 나타날 뿐 아니라 최대의 상승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백화사설초 전초의 추출용매로는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등의 알콜류, 정제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부 효과가 있으며 식물성 다당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50%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를 50~60℃에서 4~6시간동안 가열한 후에, 재차 80~90℃에서 6~8시간동안 가열하면서 40kHz 진동수 영역의 초고주파 감압하에 추출 및 여과시켜 추출액을 얻는다.
이를 다시 감압 농축 플라스크에서 600~900mmHg의 압력으로 고형물의 농도가20~30%가 되게 농축한 후, 원적외선 처리를 한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104~ 106nm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맥반석 용기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원적외선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 맥반석 용기에서 숙성시키는 등의 원적외선 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유효성분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방부 및 원료의 안정성, 피부 안전성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백화사설초 추출액 성분을 보호하고 안정화시켜 피부 침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액정좀에 함유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크기가 10~200nm이고, 피부 침투가 용이하며, 수용성의 성분을 과량 내포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한 액정좀을 사용한다.
이러한 액정좀은 세라마이드, 수소화된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스핑고리피드 유도체, 피토스테롤, 리놀레인산, 리놀레닉산을 사용하여 베시클(베이스)을 제조한 후,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첨가하여 상기 베시클 안에 넣고, 여기에 물, 에몰리언트(사이클로메치콘, 세틸옥사노레이트)를 차례로 첨가하면서 균일화시켜 제조한다.
이 때, 세라마이드, 수소화된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스핑고리피드 유도체, 피토스테롤, 리놀레인산, 리놀레닉산은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액정좀의 총중량에 대하여 10~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 성분들이 50 중량%를 초과하면점도가 너무 높아져 제품에 응용이 어렵고, 10 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낮고 입자가 불안정하여 제품의 안정도가 지나치게 저하된다.
상기 베시클은 세라마이드, 수소화된 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스핑고리피드 유도체, 피토스테롤, 리놀레인산, 리놀레닉산을 80~85℃까지 가열하여 완전히 혼합시켜 제조한다.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액은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액정좀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5.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이면 제품에 응용시 효과가 적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유효 성분이 액정좀 베이스 안에 다 들어가지 않고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얻어진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은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등의 노화 방지 관련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이면 효능이 지나치게 미미하고, 50.0 중량% 초과이면 화장료로서의 사용감이 떨어져 로션 등의 묽은 제품에는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 제조예, 시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화사설초 추출액의 제조
백화사설초 전초를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후 기계적으로 분쇄하였다. 이 분쇄물 100g에 50% 1,3-부틸렌글리콜 600g을 가한 다음, 5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재차 85℃의 높은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40kHz 진동수 영역의 초고주파 감압하에 추출하고, 400메쉬의 체로 여과하였다. 이를 다시 감압 농축 플라스크에서 600~900mmHg의 압력으로 고형물의 농도가 30%정도가 되게 농축하고, 맥반석 용기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의 제조
하기 표 1의 A상을 계량하여, 80~85℃까지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 혼합시킨 후, 서서히 저으면서 냉각시켜 고형상(베시클)을 얻었다. 얻어진 고형상 베이스를 약 70℃까지 가열하여 녹인 후, 실시예 1의 백화사설초 추출액(B상)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저어 A상 안으로 B상이 들어가도록 하였다. 여기에 D상을 넣고 약 70℃ 까지 온도를 높이면서 균일화시켰다. 이어서, C상을 70℃까지 승온시키고, A, B, D상의 혼합물에 서서히 넣으면서 균일화시켰다. 이와 같이 얻어진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의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액정좀의 제조
B상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 2, 3)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1), 비교예 1의 액정좀 및 실시예 1의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별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1), 비교예 1의 액정좀만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비교 제조예 2) 및 액정좀 및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모두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비교 제조예 3)을 각각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 2(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
하기 조성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하기 조성의 영양화장수(로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하기 조성의 농축화장수(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피부침투효과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한 화장료의 피부침투 효과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E(Dermal Equivalent;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1x105cells/ml 세포를, 인체의 결합조직을 이루는 섬유조직과 유사한 콜라겐 겔 구조에 3mg/ml 콜라겐 수용액 : 5X DMEM : 2.2% 중탄산나트륨과 200mM Hepes 완충액이 포함된 0.05N 수산화나트륨이 7:2:1로 혼합된 배지에 접종하여, 5% CO2,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한 것)를 3μm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된 막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된 플레이트의 안쪽에 넣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DE 표면 위에 표피 각질형성세포(Epidermal Keratinocyte) 1x105cells/ml 세포를 접종하여, EGF와 BPE가 함유된 K-SFM 배지를 안쪽과 바깥쪽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 안쪽의 배지를 제거하여 공기가 배양세포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바깥쪽에 10% FBS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를 넣어 2주간 배양하여, 다층의 표피와 진피가 형성된 인공피부를 얻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맨 위층의 인공피부 조직에 적용하였다. 4시간 배양한 후, 10% FBS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에서 인공피부의 표피와 진피를 침투하여 통과된 복합추출물의 양을 HPLC로 분석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한 화장료는 백화사설초 추출액과 액정좀을 그대로 사용한 비교제조예 1에 비해 약 6배 정도 침투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액정좀의 평균입자 크기가 100nm 이하로 아주 작아, 피부침투가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탄력 증진효과
온도 22~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40명(평균연령 29.5세)을 4그룹으로 나누고, A그룹에는 제조예 1, B그룹에는 비교제조예 1, C그룹에는 비교제조예 2, D그룹에는 비교제조예 3을 제형하여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Cutometer SEM 575의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인 △R5값[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도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개선도(%) = ( △R5 / 도포전 ) X 100
계산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에서,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한 제조예 1을 사용한 경우의 피부탄력은, 비교제조예 1에 비해 19.5%, 비교제조예 2, 3에 비해 각각 21.87%, 20.79% 증가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추출물액을 함유한 액정좀이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제형의 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동안 보관한 시료,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5℃에서 37℃를 순환하는 순환 챔버에 12주동안 보관한 시료에 대하여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상기 표 8을 통하여, 액정좀을 통해 안정화된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3은 45℃, 순환시험에서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액정좀으로 안정화하지 않고 직접 제형에 사용한 비교제조예 1 및 2는 각각 45℃, 순환시험에서 변색이 일어나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임상적인 주름개선 효과
병력조사, 시험부위의 이학적 검사등을 통하여 피시험자 선정기준에 부합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피검자를 대상으로 인체시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눈가에 주름이 있는 35세에서 48세까지의 여성 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매일 2회씩 제조예 1을 도포하였다. 시험기간이 종료된 후, 촬영된 눈가 주름의 이미지를 비교 판독하여, 주름의 개선 정도를 문헌(Arch Dermatol vol. 137(8):1043-1051, 2001)에 근거하여 글로발 포토데미지 스코어(global photodamage score)로 평가하였다.
글로발 포토데미지 스코어:
0: 없음 1: 없음/약함
2: 약함 3: 약함/보통
4: 보통 5: 보통/심함
6: 심함 7: 매우 심함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9에서,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도포하는 경우, 도포전에 비해 피부 주름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는 인체피부의 주름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비교제조예 4 및 5, 및 제조예 5 내지 9)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의 함량을 달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조성은 하기 표 10(단위: 중량%)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피부침투효과
비교제조예 4 및 5와 제조예 5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시험예 1과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침투 효과를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6)
피부탄력 증진효과
비교제조예 4 및 5와 제조예 5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탄력 증진효과를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7)
제형의 안정성 시험
비교제조예 4 및 5와 제조예 5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형의 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1 내지 13에서,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피부침투 효과, 피부탄력 효과 및 안정성이 너무 미미하고, 50.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에는 제형이 불안정하여 분리 및 변색이 일어나므로, 0.01 ~ 50.0 중량% 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상기 액정좀에 내포시켜 안정화시킴으로써, 피부내 침투가 매우 용이하고,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에 따른 노화 방지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매우 안정한,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안정화시킨 액정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백화사설초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정좀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5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액은 백화사설초 함유 액정좀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09705A 2003-02-17 2003-02-17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040074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05A KR20040074154A (ko) 2003-02-17 2003-02-17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05A KR20040074154A (ko) 2003-02-17 2003-02-17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54A true KR20040074154A (ko) 2004-08-23

Family

ID=3736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705A Ceased KR20040074154A (ko) 2003-02-17 2003-02-17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41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8263A (zh) * 2010-11-30 2013-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KR20180060728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퀘르세틴-3-o-소포로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8263A (zh) * 2010-11-30 2013-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US20130243712A1 (en) * 2010-11-30 2013-09-1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kin
CN103228263B (zh) * 2010-11-30 2016-04-2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美白和改善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US9770404B2 (en) * 2010-11-30 2017-09-26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kin
KR20180060728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퀘르세틴-3-o-소포로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US11285093B2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JP2011519353A (ja) 線維芽細胞の増殖および/または活性を刺激する活性成分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1427572B1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65641A (ko) 센텔라 아시아티카로부터의 화합물의 용도
KR20210105880A (ko) 시스투스 몬스펠리엔시스 추출물의 신규한 미용 및 피부과 용도
KR10084902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6193975B1 (en) Use of potentilla erecta extract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
KR100513082B1 (ko) 세라마이드 및 식물복합추출액을 포함하는 세라리포좀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8497A (ko)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내포하는 오스모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70116789A1 (en) Extracts of durian fruit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72336B1 (ko) 율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285828B1 (ko) 피부강화칵테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471B1 (ko)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4154A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백화사설초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0772335B1 (ko) 황금, 황련, 감초, 오가피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4161B1 (ko) 파이토스핑고신과 상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화장료 조성물
KR100695996B1 (ko)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351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노루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7891A (ko)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플라센타를 함유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0681703B1 (ko)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