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0036180A -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 Google Patents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180A
KR20040036180A KR1020020065001A KR20020065001A KR20040036180A KR 20040036180 A KR20040036180 A KR 20040036180A KR 1020020065001 A KR1020020065001 A KR 1020020065001A KR 20020065001 A KR20020065001 A KR 20020065001A KR 20040036180 A KR20040036180 A KR 2004003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s
coloring
manufacturing
coating
porcel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희
안성희
Original Assignee
신승희
안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희, 안성희 filed Critical 신승희
Priority to KR102002006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6180A/ko
Publication of KR2004003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18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준비된 도자기에 대한 화공(畵工)과정에서 물감과 같은 일반 채색제품을 사용하더라도 물감의 착색, 채색 및 발색이 우수한 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미세입자를 갖는 태토를 반죽하는 토련공정; 토련된 태토를 일정 형상의 도자기로 만드는 성형단계; 성형된 도자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도자기를 일정 온도로 굽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하여 종래의 도자기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교재용/도자기대중화용/저가품 대량생산용에 적합한 제조공정을 단순화를 실현시킬 수 있고, 소성온도의 최적화 및/또는 전(前)코팅공정을 통하여 종래의 착색제/안료 대신 일반 물감을 사용하더라도 완성된 도자기 제품에서 그림의 착색/채색/발색성이 우수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특정 온도의 소성공정, 전(前)코팅공정과 더불어 후(後)코팅공정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실습하더라도 건강상 문제가 없도록 하였으며, 도요 체험장 운영자 등의 수익주체가 코팅공정을 일괄 실시할 경우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MANUFACTURING METHOD FOR CERAMIC AND THERE OF CERAMIC}
본 발명은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준비된 도자기에 대한 화공(畵工)과정에서 물감과 같은 일반 채색제품을 사용하더라도 물감 등의 착색, 채색 및 발색이 우수한 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점토의 종류, 성형과정, 소성과정 및 소성온도, 유약의 종류 또는 장식기법, 산지명칭, 용도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청자, 백자, 분청사기, 골회자기 등과 같이 점토의 종류와 소성결과에 의한 분류가 있으며(이는 또한 자기의 발달사와도 관련이 있다), 유약이나 장식방법에 의한 분류로써 청화자기, 천목, 삼채, 진사, 철사 등의 명칭이 있다.
그리고 소성온도에 의하여 연질자기, 경질자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성형이나 소성과정에 의하여 식염유자기, 락쿠, 노천소성, 나무가마 등의 명칭이 붙어서 불리기도 하며, 용도에 따라서는 식기, 위생도기, 타일 등의 산업도자기와 애자, 전자부품, 화학용기 등의 공업도자기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소성온도와 유약의 유무 등으로 구별하며 일반적으로 아래의 <표 1>과 같이 토기, 도기, 석기, 자기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그 외에 우수한 전자기적 특성을 갖고 고열(2000℃ 정도)에 견디는 파인세라믹스가 있다).
<표 1> 소성온도에 따른 도자기의 분류
구분 태 토 유 약 소성온도(℃) 제 품 종 류
토기 점토를 성형해서 소성했지만 유약을 입히지 않은 것,다공성이며 흡수성이 크고,유색이며 강도가 약하고, 둔한 소리를 냄 대부분 무유(無釉)이지만드물게 유유(有釉) 700-1,000 기와토관,화분,벽돌,시루,장식물,테라코타,내장타일
도기 백색태토(胎土)를 사용하여 만들고 흡수성이 있지만 투과성이 없는 유약을 입힌 것,약간 다공성이며 흡수성을 갖고,흰색/유백색/불투광성을 띄며,강도는 중간이며 탁한소리 드물게 무유이며, 주로 유유상회 1100-1250 변기,세면기,욕조,내외장타일,건축자재,저급식기,완구,장식품
석기 태토의 빛깔이 청회색이며 토기와는 반대로 투과성이 없으며 상당히 높은 고화도로 소성하여 불투명하게 유리질화한 도자기,태토 치밀, 흡수성 거의 없음,짙은밤색/갈색/불투광성,강한 맑은소리 주로 유유드물게 무유 1200-1300 식기,외장고급타일,생활용품공예품,옹기
자기 카오린, 장석, 규석으로 한 번 초벌한 후 같은 성분의 자기유약을 입혀 고화도에서 소성한 것,태토가 매우 치밀,흡수성 없음,흰색/유백색아주 강한 금속성의 맑은소리 주로 유유가끔 무유 1250-1350 전기용품,우주공학,생활자기,자동차 컴퓨터 부품에 활용
이와 같이 분류되는 도자기의 생산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1. 도토(陶土)
도자기의 원료인 규석, 장석, 고령토, 가소성점토 등을 조합 분쇄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비닐에 싸서 운반하고 보관한다.
2. 성형(成形)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품의 형태를 만드는 공정으로 제품의 내형은 쇠를 깎아서 만든 금형을 사용하고 외형은 석고형(사용형)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3. 1차 소성(燒成)(겉구이, 초벌구이)
일반적으로 BK(biscuit fire)소성 또는 소소 소성이라고도 하며, 800-900℃ 정도까지 소성을 한다.
4. 화공(畵工)
화공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하회(下繪, under glaze)화공으로 시유(施釉)하기 전에 BK된 제품에 그림을 그려 넣거나(핸드페인팅 작업), 하회 전사지를 부착하는 경우로 소성온도는 1280℃~1350℃이다.
둘째 중회(中繪, inglaze)화공으로 제품에 유약을 묻혀(시유) 본소성이 끝난 제품(백지)에 중회 전사지를 부착하는 경우이며, 소성온도는 1200℃~1240℃ 굽는다.
셋째 상회(上繪, overglaze)화공은 중회화공과 같이 본소성이 끝난 제품(백지)에 상회 전사지를 부착하여 전기가마(상회소성)에 750℃~850℃에 굽는 방법이다.
쉽게 표현하자면 하회는 제품속으로 무늬가 스며들어 있고 중회는 유약밑에 무늬가 있는 것이고 상회는 유약 위, 즉 제품 표면에 있는 것이다.
5. 시유(施釉)
1차 소성한 제품에 유약을 묻혀주는 과정이다. 경우에 따라 1차 소성하기 전에 제품을 완전히 자연 건조시켜 시유하는 경우도 있다.
6. 본소성(本燒成)(본구이, 재벌구이)
시유를 거친 제품을 열판(붕판) 또는 갑에 넣어 적재를 하여 1280~1410℃에 소성하는 공정이다.
최근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에서는 체험학습의 일환으로 도요지를 방문하여 직접 학생들이 도자기를 만들어 보는 과정이 빈번해 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제조방법에 의한 도자기 제법은 그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려 단시간 내에 실습자가 만든 도자기 완성품을 확인할 수 없는 관계로 공급자와 수요자간에 많은 문제점들이 심각하게 거론되어 왔다.
또한 화공공정에서 사용하는 도자기용 안료는 전문 화공이 아닌 비전문가에게는 취급상의 많은 기술적 어려움과 색상의 다양성을 제공하지 못 할뿐더러 수입안료의 소비로 실습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그 외에도 특히 시유공정에서 사용하는 유약은 어린 학생들이 사용하는데는 위험성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도자기의 제조공정상 많은 체험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공정이 극히 제한되어 왔다는 점과 함께 20년이 가깝도록 체험학습 형태와 참여 범위에 변화가 없었던 원인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한 도자기를 미술교재용으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공정의 복잡성, 비용상승, 위험성, 조작의 복잡성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은
첫째,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것과,
둘째, 비록 단순화된 공정일지라도 충분한 실습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도자기 재료에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 일반 물감 등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착색/채색/발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셋째, 위험한 유약을 바르는 시유공정 대신에 코팅공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실습하더라도 문제가 없고 짧은 시간 안에 도자기의 모든 제조공정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은 보다 다양한 장식품, 기능성 타일에 적합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도자기 재료, 물감, 코팅제를 상품화하여 도요지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학교 내에서 도자기를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도자기 실습을 주부교실과 같은 일반 취미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술교재용 도자기의제조방법은 미세입자를 갖는 태토를 반죽하는 토련공정; 토련된 태토를 일정 형상의 도자기로 만드는 성형단계; 성형된 도자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도자기를 일정 온도로 굽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핵심은 ①도토(陶土)(불에 강한 백토와 점토, 도석 등)채취, ②원료정제, ③토련(土練)(흙주무르기), ④성형(만들기), ⑤ 장식 및 회화(그림그리기, 화공(畵工)), ⑥시유(施釉)(유약 입히기), ⑦입요(入窯)(가마재기), ⑧초벌소성(약 900℃) 및 재벌소성(약 1300℃), ⑨점검/선별 공정들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도자기 제조공정에서⑤화공공정에 사용되는 안료/착색제를 도자기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일반 그림물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⑥시유공정을 생략하는 대신 코팅공정을 도입한 것과,⑧소성공정을 초벌과 재벌의 두 번이 아닌 단 한번의 소성공정으로 통합시킨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상기 태토(胎土, 순수한 찰흙을 뜻하며 물을 혼합하면 빚어지는 가소성(可塑性)과 불에 구우면 고화성(固化性)을 지니고 있다)의 정제에 있어, 입자의 크기를 적어도 100메쉬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0 메쉬 이상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이는 소성공정을 거친 도자기의 입자를 미세하게 하여 다음의 화공단계에서 일반 물감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더라도 물감이 흡수되지 않아 발색성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태토는 점토(clay), 고령토(kaolin), 납석(pyrophylite), 도석(pottery stone), 장석(feldspar), 규석(quartz)류 등이 있으며, 도자기에 사용되는 소지(素地)의 기본형태는 일반적으로 50% 이상의 점토광이고, 융제인 장석이 10% 이상, 내구재인 규석이 10% 이상으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도자기의 소지는 용도에 따라 만드는 방법도 다르지만 최종적인 목적은 사용원료가 소지 속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성형에 필요한 수분에 따른 가공성을 부여하도록 분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토련공정은 건식조합(乾式調合)과 습식조합(濕式調合)이 있는데, 이중 습식조합이 일반적이며 특히 대량생산을 위하여 진공토련기(眞空土練機)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성형공정은 주입 성형법, 수타 성형, 물레 성형, 프레스 성형, 로울러 머신 성형, 압출성형 등을 통하여 일정 형상의 도자기를 만드는 것이다. 도자기의 형상은 항아리, 사발 등과 같은 용기 형태이거나 타일과 같은 판상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성형공정은 본 명세서에서 장식공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장식공정은 도자기를 아름답게 함은 물론 기능성을 높게 하기 위한 여러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장식의 기법으로는 조각기법, 상감기법, 이장기법, 압문기법, 부조기법, 회화기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여러 방법들을 도자기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제품이 완성되기 이전에 이미 마련되어야 하며, 제품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용도에 따라 적당한 장식작업을 선택하여야한다.
특히 이러한 장식공정, 특히 음각이나 양각, 도식에 의한 일정 문양의 자동 또는 수동 도안공정은 초보자를 위한 밑그림의 역할을 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밑그림은 각 연령대의 기호와 난이도에 따른 눈높이에 맞고 교과과정에 적합한 여러 종류일 수 있다. 이렇게 밑그림이 구비된 도자기는 대량 생산되어 교재로서 사용되기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성형된 도자기를 건조시키는데, 통상 도자기의 수분을 95% 이상 건조시키게 된다. 자연건조일 경우에는 통상 1~2주일 걸린다.
다음으로 도자기의 소성공정은 성형/건조된 도자기를 일정 온도로 굽는 것으로, 소성은 소지의 성상뿐 아니라 사용하는 연료, 온도, 외기의 압력, 연소 분위기 등에 따라서 미묘한 반응을 나타내므로,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공정이기도 하다. 사용되는 가마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알맞은 셔틀가마와 양산을 목적으로 하는 터널 가마가 있으며, 특히 터널가마는 생산량과 제품 안정성이라는 두 가지 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성공정의 '일정 온도'란 아래 화공(畵工)공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물감으로 채색된 그림이 소성된 도자기에 스며들지 않게 도자기의 입자를 서로 가소(可塑)/고화(固化)시켜 그림의 착색성과 발색성이 우수하게 하는 온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일정 온도'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前)코팅단계'와 함께 화공공정에서 종래의 도자기용 안료가 아닌 일반 물감을 비롯한 각종 채색제품을 사용하더라도 그림의 착색/채색/발색성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기 전(前)코팅단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일정온도'는 소지에 따라 초벌구이와 재벌구이 온도의 중간 정도가 적당하다. 이는 소성된 도자기의 기공을 최소화시켜 일반 물감이 발현되지 않고 도자기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만약 초벌구이 온도로 소성시킬 경우에는 기공이 너무 커서 일반 미술재료, 특히 그림물감으로 그림을 그릴 경우 물감이 도자기에 스며들게 되어 그림이 발색되지 않는다. 또한 바로 재벌구이 온도 정도로 도자기를 소성시킨다면 이후의 화공공정에 있어 채색된 물감이 도자기에 스며들지 못하고 흐르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일정' 소성온도는 하기 전(前)코팅공정, 특히 전분계 코팅제를 사용하는 공정을 고려할 경우에는 화공단계와 관련하여 큰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태토가 도기 또는 자기용 소지토일 경우, 상기 소성단계의 온도는 초벌온도인 900℃ 이상 ~ 재벌 온도인 1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150℃인 것이 좋다
이러한 일정 소성온도는 이하의 전(前)코팅고정과 더불어 도자기에 일반 물감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도자기 표면을 도화지(圖畵紙)처럼 만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후의 화공공정에 사용되는 일반 물감의 발색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대안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소성단계 다음으로 도자기를 코팅하는 전(前) 코팅단계를 거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코팅 단계를 거칠 경우 도자기에 사용되는 태토의 입자는 150메쉬 이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의 방식은 종래의 시유(施釉)공정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담금법(dipping method), 흘림법(pouring method), 분무법(spraying method), 도장법(brushing method), 진동법(sifting method), 체적법(dusting method), 휘발법 (volatilization method)이 사용될 수 있으나, 공정의 간략화를 위하여 분무법이 바람직하다.
특히 코팅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코팅제는 스프레이 방식의 락카(lacquer), 바람직하게는 표면 자화기능의 즉석 코팅제가 좋다.
이러한 코팅제는 투명과 유색의 것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투명한 것은 태토의 원색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경우에, 유색의 것은 태토 원색을 감출 필요가 있을 때 좋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 안료로 된 코팅제품의 입자는 그 크기가 작아 웬만한 초벌구이 정도를 거친 도자기의 기공에 안료입자가 침투되어 스며들므로, 적절한 화공공정을 위한 상태로 도자기를 만들려면 여러 번의 전(前)코팅공정을 거쳐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도자기에 사용되는 태토 내지 소지의 입자크기를 보다 미세하게 하고 소성온도를 재벌구이 정도로 높이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前)코팅공정에 사용되는 코팅제를 전분계로 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전분계 코팅제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도자기의 기공에 완전히 스며들지 않고 표면에 잔류하는 전분계 코팅제는 소성 상태에 따라 농도와 점도를 달리하여 투명한 상태로, 또는 일정한 색소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분계 코팅제는 화공공정 다음의 후(後)코팅공정에서 사용되는 안료코팅제가 도자기 외면에 스며들지 않으면서도 보다 잘 부착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전분계 코팅제 중 대한민국 서울에 소제한 (주)삼양제넥스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것을 다음의 <표 2>로 나타내었다.
<표 2> 전분계 코팅제의 예시
양이온성 전분 산 화 전 분 알 파 전 분
수분 : 13 % 이하pH(5% sol'n) : 6 ~ 7점도 : 10 ~ 15cps 수분 : 13 % 이하pH(30% sol'n) : 6 ~ 7점도(DS 10%, 50℃) : 8 ~ 12cps 수분 : 10 % 이하알파도 : 85% 아성
이러한 전(前)코팅공정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림물감을 위하여 도자기를 일종의 도화지로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제지공정에서 사용되는 정도로 도자기를 코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화공공정이 없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한 도자기는 대량 생산되어 물감 및/또는 코팅제와 세트화되어 또는 별도로 실습용으로 판매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소성공정만을 거친 도자기 또는 소성후 전(前)코팅공정을 거친 도자기는 화공공정을 거칠 수 있다. 종래 도자기에 사용되는 착색제 또는 안료에는 소지에 더하여 색소지(色素地)를 만드는 것과 유약에 가해 색유(色釉)를 만드는 것으로 대별되고, 색유용에는 유하안료(釉下顔料)와 유상안료(釉上顔料)가 있다.
본 발명에서 화공공정에 사용되는 물감은 일반적인 그림 물감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 코팅공정을 거치지 않은 도자기 재료에 수채화 물감이나 형광 물감은 색깔이 투명하여 발색이 어렵고, 유성물감은 색깔이 겹치는 부분에 그림자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어 적합하지 않으며, 아크릴 물감은 쉽게 굳고 수정이 어려워 비전문가에게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물의 침투와 안료의 접착력이 적절하여 채색이 쉽고 발색상태가 우수하며 색깔이 불투명하여 그림 수정이 쉬운 포스터 물감이 적당하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전(前)코팅공정을 거칠 경우 상기와 같은 화공재료의 제한성은 극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전분계 코팅제를 이용한 전(前)코팅공정을 통하여 도자기의 겉면이 거의 일반 도화지와 유사한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포스터 물감뿐 아니라 수성/유성/형광/아크릴 물감을 비롯한 파스텔, 크레파스, 기타 채색제품 모두를 사용할 수 있어 채색 재료의 활용범위가 넓어지므로 각 연령대에 맞는 밑그림과 함께 교육성과에 상승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이 저가형 제품의 대량생산을 위한 것인 경우에는 이러한 화공공정은 전사지(轉寫紙)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화공단계 다음으로 도자기를 코팅하는 후(後)코팅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화공된 그림의 보호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後)코팅단계는 종래의 시유(施釉)공정을 대체하는 것으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유약의 위험성 내지 작업의 복잡성으로부터 벗어나 공정의 안정성과 단순성을 위한 것이다. 통상 유약은 유리 형성요소이며 뼈대 역할을 하는 규석질과, 이를 녹게하고 점착시키는 융제인 장석질, 광택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석회질, 여기에 산화물 등의 발색제를 첨가하여 색상을 내주거나 유탁과 결정 생성제를 넣어 유약의 투명도나 표면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후(後)코팅단계는 상기 전(前)코팅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방법 중 분무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의 색상은 투명한 것이 본바탕 그림 재생에 좋고, 특히 코팅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코팅제는 스프레이 방식의 락카(lacquer), 바람직하게는 표면 자화기능의 즉석 코팅제인 것이 좋다.
이러한 후(後)코팅공정은 앞서 설명한 전분계 코팅제를 이용한 전(前)코팅공정을 거친 것일 경우 채색과정에서 사용되는 안료가 도자기 외면에 스며들지 않으면서도 보다 잘 부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前)코팅. 화공(畵工), 후(後)코팅단계는 적절한 건조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첫째, 종래의 도자기 제조방법에서 시유공정을 코팅공정으로 대체하고 소성공정을 한번으로 줄임으로써 교재용/도자기 대중화용/저가품 대량생산용에 적합하도록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실현시켰으며, 둘째, 소성온도의 최적화 및/또는 전(前)코팅공정을 통하여 종래의 착색제/안료 대신 일반 물감과 기타 채색제품을 사용하더라도 완성된 도자기 제품에서 그림의 착색/채색/발색성이 우수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특정 온도의 소성과 전(前)코팅공정과 더불어 후(後)코팅공정을 도입하여 시유공정을 생략함으로써 학생들이 실습하더라도 건강상 문제가 없도록 하였으며, 도요 체험장 운영자 등의 수익주체가 코팅공정을 일괄 실시할 경우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보다 저렴한 장식품, 타일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하며, 특히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한 도자기 재료/물감/코팅제를 별도로 또는 세트로 하여 광범위하게 학교실습, 학원교재 등으로 판매 가능하므로 새로운 수요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술교재용 도자기 제조방법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각 제조단계를 제한적인 연관 관계속에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제조공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조합들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미세입자를 갖는 태토를 반죽하는 토련공정;
    토련된 태토를 일정 형상의 도자기로 만드는 성형단계;
    성형된 도자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도자기를 일정 온도로 굽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단계 다음으로 도자기를 코팅하는 전(前)코팅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前)코팅단계에 사용되는 코팅제는 전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도자기 표면에 밑그림을 도안하기 위하여 음각, 양각, 도식과 같은 장식공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단계 또는 전(前)코팅단계 다음으로 도자기에 일정한 그림을 그리는 화공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공단계 다음으로 도자기를 코팅하는 후(後)코팅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공단계에 사용되는 채색용 물감은 포스터 물감을 포함하는 일반 그림물감 또는 크레용, 파스텔과 같은 기타 채색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토는 도기 또는 자기용 소지토로서, 상기 소성단계의 온도는 1000 내지 1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도자기로서, 상기 화공단계에서 도자기용 안료가 아닌 일반 물감을 사용하더라도 착색/채색/발색이 우수한 미술교재용 도자기.
KR1020020065001A 2002-10-23 2002-10-23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Ceased KR20040036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01A KR20040036180A (ko) 2002-10-23 2002-10-23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01A KR20040036180A (ko) 2002-10-23 2002-10-23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180A true KR20040036180A (ko) 2004-04-30

Family

ID=3733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001A Ceased KR20040036180A (ko) 2002-10-23 2002-10-23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321B1 (ko) * 2004-07-14 2006-08-03 김충환 이동식 도자기 작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817A (ko) * 1999-02-26 2000-09-15 전상철 학습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20010007969A (ko) * 2000-10-31 2001-02-05 유재천 그림을 삽입한 와태 도자기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된 그림삽입 와태 도자기
KR20010026936A (ko) * 1999-09-09 2001-04-06 정의숙 황토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307008B1 (ko) * 1999-01-22 2001-09-24 박태춘 황토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20017115A (ko) * 2000-08-28 2002-03-07 이준호 수성물감을 바르면 몽울지는 표면장력현상이 생기는물체에 수성물감을 정교하게 새겨넣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008B1 (ko) * 1999-01-22 2001-09-24 박태춘 황토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00056817A (ko) * 1999-02-26 2000-09-15 전상철 학습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20010026936A (ko) * 1999-09-09 2001-04-06 정의숙 황토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20017115A (ko) * 2000-08-28 2002-03-07 이준호 수성물감을 바르면 몽울지는 표면장력현상이 생기는물체에 수성물감을 정교하게 새겨넣는 방법
KR20010007969A (ko) * 2000-10-31 2001-02-05 유재천 그림을 삽입한 와태 도자기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된 그림삽입 와태 도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321B1 (ko) * 2004-07-14 2006-08-03 김충환 이동식 도자기 작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3010B (zh) 一种立体釉下五彩陶瓷制作工艺
CN100497264C (zh) 在陶瓷产品上形成大理石花纹的装饰方法
CN113773118B (zh) 一种钧瓷釉上彩绘制工艺
CN113716967A (zh) 一种具有闪光效果的陶瓷砖及其制备方法
US637960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boards for use as finish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method
CN115947592A (zh) 设有大敞开不规则孔洞和小敞开孔洞的仿洞石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6083212A (zh) 一种渗透墨水新型大理石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CN106882980A (zh) 陶瓷釉下堆彩工艺
KR20040036180A (ko) 미술교재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도자기
CN107415024A (zh) 一种白陶瓷工艺品的制备工艺
KR100508854B1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3755219B (zh) 仿澳洲砂岩硅藻土壁材及其施工方法
CN109180002A (zh) 通体喷墨陶瓷砖用的防扩散釉、施釉方法及含有防扩散釉的通体喷墨陶瓷砖
CN103864346B (zh) 仿木纹石硅藻土壁材及其施工方法
CN103864344B (zh) 仿意大利米洞石硅藻土壁材及其施工方法
CN1064006C (zh) 青铜器仿制品的制作工艺
RU2077430C1 (ru) Способ декорирования изделий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фарфора
CN101190544B (zh) 一种色瓷开窗加工工艺
CN108752053A (zh) 一种高温色釉和青花瓷混合烧造新工艺
CN103864347B (zh) 仿古丝绸硅藻土壁材及其施工方法
KR102607010B1 (ko)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CN107521278A (zh) 立体瓷雕与大漆结合的工艺品及其制备工艺
Caubet A Matter of Strategy, Taste or Choice? Glazed Clay versus Siliceous Faience
KR20010070567A (ko) 보형성(保形性)이 구축된 다목적 도자기판의 제조방법
KR100432653B1 (ko) 세라믹 색종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