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232A -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 Google Patents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20232A KR20040020232A KR1020020051762A KR20020051762A KR20040020232A KR 20040020232 A KR20040020232 A KR 20040020232A KR 1020020051762 A KR1020020051762 A KR 1020020051762A KR 20020051762 A KR20020051762 A KR 20020051762A KR 20040020232 A KR20040020232 A KR 200400202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toilet seat
- odor
- discharge
-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변기에서 용변을 보았을시 용변물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좌변기 상방으로 상승하기 전에 좌변기의 후방측에서 설치된 흡기/배기장치로 흡입하여 배출하되, 흡기/배출장치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세척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 수중으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용변악취가 물속에서 정화되어 소멸되게 하는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ilet is seen in the toilet,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is inhaled and discharged to the intake / exhaust devic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efore rising to the toilet, the odor discharged from the intake / discharge device to the wash water ta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liminating odors of a toilet bowl so that odors of stool are purged and extinguished in water.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람이 의자에 앉듯이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좌변기의 본체 내측에는 물이 일정수위로 저장되어 있는 용변낙하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좌변기의 후방측에는 용변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탱크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the toilet seat is to sit comfortably as a person sitting on a chair, and the toile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toilet toilet is stored at a certain water level, the toilet side to discharge the toilet A wash water tank is installed where a certain amount of wash water is stored.
그리고 좌변기는 그 본체의 상단부분이 용변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좌변기 본체의 상단을 커버하는 좌변기 커버와 함께 뚜껑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좌변기 커버와 뚜껑체는 좌변기 상단의 후방측에 회전이 가능도록 힌지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seat is provided with a lid body together with the toilet seat cover which covers the top of the toilet sea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does not directly touch the skin of the toilet and is shared by several people at the same time. The toilet seat cover and the lid bod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is assembled to be rotatable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toilet seat.
그러나 좌변기에서 용변을 볼 경우 용변물이 용변낙하실에 일정수위로 저장되어 있는 수면으로 낙하하는 동안 냄새를 발생시키게 되며, 또한 용변낙하실로 떨어진 용변물이 수면 속에 잠기게 될 경우에는 냄새가 덜 발생되는 반면에 용변물이 수면 위로 노출될 경우에는 용변물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용변낙하실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어 용변자는 자신의 용변물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맡으면서 용변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용변낙하실에서 상승된 냄새가 화장실 내부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어 다음 차례로 화장실을 사용하게 되는 사람에게까지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However, if you look at the toilet in the toilet, the smell will occur while the toilet falls to the water surface stored at the water level in the toilet, and the smell will be less if the toilet falls into the water. On the other hand, if the stool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odor generated from the stool rises above the drop stool, and the stool needs to see the stool while smelling the stool. Not only could it be resolved, bu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increased smell from the toilet drop contaminates the air inside the toilet, causing unpleasant odors to the next person using the toilet.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화장실의 천정에 배기용 팬(FAN)을 설치하여 화장실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좌변기에서 발생되는 냄새에 의해 오염된 화장실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용변자는 용변을 보는 동안 용변낙하실에서 상승되는 냄새를 그대로 맡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화장실 천정에 설치된 배기팬으로는 화장실 내부 공기를 오염시킨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고 용변 후 일정한 시간동안에는 용변 냄새가 잔존하게 되어 다음으로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용변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And as a wa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n exhaust fan (FAN)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to be able to discharge the polluted air inside the bathroom to the outside, which is contaminated by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Since the toilet discharges the air, the toilet has no choice but to smell ascending from the toilet floor while looking at the toilet, and the exhaust fan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oilet cannot quickly release the smell of polluting the air inside the toile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mell of toilet stool remains, which causes discomfort caused by the smell of toilet stool to the person who wants to use the toilet next.
따라서 종래에는 좌변기의 후방으로서 좌변기 커버 및 뚜껑체가 힌지결합되는 부분과 세척수탱크 사이에 소형의 배기팬을 장착시키는 구조로서 용변낙하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여러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여러 장치들은 용변낙하실에서 발생된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주기 위해서는 배기팬의 배출라인을 좌변기에서부터 천정의 배기통로까지 연장하여 설치하여야 때문에 배기라인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 배기라인이 벽매립구조로 설치되지 않고 노출형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그 배기라인이 화장실 내부미관을 해치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s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exhaust fan is installed between a portion of the toilet bowl cover and the lid hinged to the rear of the toilet and a wash water tank, various devices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air in the toilet drop chamber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inhal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dropout and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exhaust line of the exhaust fan must be extended from the toilet to the exhaust passage of the ceiling. It is pointed out that the exhaust line hurts the interior aesthetics of the toilet when it is installed as an exposed type rather than a wall-fil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좌변기의 용변낙하실에서 발생된 냄새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기라인이 좌변기의 주위를 벗어나지 않고 세척수탱크 내부로 인입설치되어 세척수의 수중에서 냄새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수단으로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좌변기에서 자체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냄새소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ppearing in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haust line installed to discharge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bowl of the toilet bowl without leaving the periphery of the toilet bow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dor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dissipating odor generated in toilet by itself as a means for installing odors in the water of inlet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용변낙하실 및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본체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용변낙하실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탱크와, 상기 좌변기 본체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변기 커버 및 뚜껑체로 구성된 좌변기에 있어서,A toilet bowl body having a toilet dropout and a discharge passage formed therein, a wash water tank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and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oilet drop chute, and a toilet cover and a lid body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In the configured toilet bowl,
상기 좌변기 본체의 후방측 상단으로서, 좌변기 커버 및 뚜껑체의 힌지결합부와 세척수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A case installed between the hinge coupling part of the toilet seat cover and the lid and the washing water tank as an upp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toilet seat body;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좌변기의 용변낙하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흡기/배기장치와;An intake / exhaust devic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to perform an action of inhaling and discharging air from the toilet of the toilet;
상기 흡기/배기장치의 흡입관은 케이스의 전방측 하단에서 좌변기의 용변낙하실 후방측 상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용변낙하실에서 발생된 냄새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흡기/배기장치의 배출관은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세척수탱크의 내부로 인입되어 흡입된 공기 및 냄새를 세척수탱크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중에서 배출시키도록 하는 수단;The suction pipe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dropout of the toilet seat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case and means for inhaling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dropper,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Means for extending from the case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 water tank to discharge the sucked air and odor from the water of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wash water tank;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또한 상기 흡기/배기장치의 배출관은 케이스에서 노출되게 연장되는 노출부와, 상기 세척수탱크 내부의 세척수 수면 위로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한 인입부에서 절곡되어 세척수의 수중으로 침지되는 침지부 및 상기한 침지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냄새를 수중으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is an exposed portion extending to be exposed in the case, the inlet portion to be drawn over the wash water surface inside the wash water tank, the immersion portion is bent at the inlet portion and immersed in the water of the wash water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nd of one of the immer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smell into the water,
또한 상기 좌변기 커버에는 그 내부와 저부에 좌변기 본체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고무완충재와 고무실링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완충재와 좌변기 커버의 내측 주연부와의 사이에 흡입통로를 형성하되, 상기한 흡입통로는 좌변기 커버를 좌변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시켰을 때 좌변기 커버의 후방측에 형성된 연결공과 연결되는 상기 케이스의 흡입공을 통해 흡기/배기장치의 흡입관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한 흡입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고무실링판에는 용변낙하실의 전방측, 중간측, 후방측 각각에서 냄새를 흡입할 수 있도록 수개의 흡입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ilet seat cover is attached to the rubber buffer and the rubber sealing plat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seat body in the inner and bottom portions, the suc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rubber buffer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One suction passage ha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through the suction hole of the cas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seat cover when the toilet seat cover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oilet seat body, and the suction The rubber sealing plate forming the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to suck the odor from each of the front side, the middl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toilet drop chamber.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측면 구성도.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냄새배출관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dor discharge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좌변기 본체 2 : 좌변기 커버1: toilet seat main body 2: toilet seat cover
3 : 뚜껑체 4 : 세척수탱크3: lid body 4: washing water tank
5 : 흡기/배기장치 5a : 흡입관5: intake / exhaust device 5a: intake pipe
5b : 배출관 6 : 케이스5b: discharge pipe 6: case
11 : 용변낙하실 12 : 힌지브라켓11: toilet drop 12: hinge bracket
21 : 고무완충재 22 : 고무실링판21: rubber buffer material 22: rubber sealing plate
23 : 흡입통로 24 : 흡입구멍23: suction passage 24: suction hole
25 : 연결공 26 : 통로25: connector 26: passage
51 : 노출부 52 : 인입부51: exposed portion 52: inlet portion
53 : 침지부 54 : 배출부53: immersion part 54: discharge part
55 : 배출공 61 : 흡입공55: discharge hole 61: suction hol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냄새배출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dor discharg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도면부호 1은 좌변기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좌변기 본체(1)에는 세척수를 일정수위로 저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변 후 용변물과 함께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도시 생략)와 연결되는 용변낙하실(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변기 본체(1)의 후방측 상단에는 좌변기 커버(2)와 뚜껑체(3)를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킬 수 있게하는 힌지브라켓(12)이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oilet seat body, the toilet seat body (1) can not only store the wash water at a certain level, but also the toilet drop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together with the toilet water after the toilet ( 11) is formed, and a hinge bracket 12 is form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toilet seat body 1 so as to rotatably hinge the toilet seat cover 2 and the lid 3.
그리고 상기 좌변기 본체(1)의 후방측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탱크(4)가 형성되어 있다.And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dy (1) is formed a wash water tank (4) for storing the wash water.
상기 좌변기 본체(1)의 후방측으로서, 힌지브라켓(12)과 세척수탱크(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흡기/배기장치(5)가 내장되는 케이스(6)를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6)에 장착된 흡기/배기장치(5)는 공기의 흡입력과 배출력이 우수한 것을 사용한다. 즉, 흡기/배기장치(5)는 용변낙하실(11)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흡입관(5a)을 통해 용변낙하실(11)에서 발생된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전부 흡입할 수 있는 강한 흡입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흡입관(5a)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관(5b)으로 배출시킬 때에는 세척수탱크(4)의 세척수 수중에 잠겨있는 부분에 물이 유입되어 있더라도 그 유입된 물의 수압보다 강한 압력으로 물을배출시키면서 흡입된 공기를 세척수탱크(4)의 세척수 수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강한 배출력을 가지고 있는 것(에어펌프, 터보팬 등등의 장치)을 사용한다.As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dy main body 1, a case 6 in which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s built is moun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hinge bracket 12 and the wash water tank 4, and the case 6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mounted on the) uses an excellent intake and discharge force of the air. That is,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s capable of inhaling all of the odor generated in the bowel drop 11 through the suction pipe 5a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owel drop 11 so that it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has a suction power, and when discharg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5a) to the discharge pipe (5b), even if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ubmerged part of the wash water of the wash water tank (4), the pressure strong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introduced water It is used to have a strong discharge force (apparatus of air pump, turbo fan, etc.) to discharge the sucked air into the wash water of the wash water tank (4) while discharging the water.
상기 흡기/배기장치(5)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5a)과 흡입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5b)이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ncludes a suction pipe 5a for sucking air and a discharge pipe 5b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상기 흡기/배기장치(5)의 흡입관(5a)은 좌변기 본체(1)의 용변낙하실(11) 후방에서 공기와 냄새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와, 좌변기 커버(2)의 저부 내측에 형성된 흡입통로와 연결되어 용변낙하실(11)의 전방측과 중간측 그리고 후방측 여러 곳에서 공기와 냄새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흡기/배기장치(5)의 흡입관(5a)이 케이스(6)의 전방 하단을 관통하여 용변낙하실(11)의 후방측 상단까지 연장 설치되어 용변시 용변낙하실(11)의 후방측 상부에서 공기(냄새)를 흡입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inlet / outlet 5a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s an embodiment configured to suck air and odors from the back of the toilet bowl 11 of the toilet seat body 1, and is formed inside the bottom of the toilet seat cover 2. In connection with the suction passage may be configured to suck the air and odor from the front side, the middl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toilet drop 11,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uction pipe 5a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extends through the front lower end of the case 6 and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toilet drop 11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drop 11 at the time of toilet bowing.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cks air (smell) from the top.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한 흡입관(5a)이 케이스(6)의 전방 하단에 형성된 흡입공(61)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도 4 내지 도 6)의 경우 좌변기 커버(2)에는 내부 전체에 내재되는 고무완충재(21)와 저부 전체를 커버하는 고무실링판(22)이 설치되어 있고 또 좌변기 커버(2)의 내주연부와 고무완충재(21) 사이에 형성된 흡입통로(23)에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 가르키는 위치 즉, 용변낙하실(11)의 전방측, 중간측, 후방측 각각에서 공기(냄새)를 흡입하는 흡입구멍(24)이 수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좌변기 커버(2)의 후방에는 흡입공(61)과 연통하는 연결공(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연결공(25)은 좌변기 커버(2) 자체를 좌변기 본체(1)의 상단에 안착시켰을때에만 흡입공(61)과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좌변기 커버(2)를 좌변기 본체(1)의 상단에서 이격되도록 상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연결공(25)은 흡입공(61)과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4 to 6, the suction pipe 5a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61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case 6, and this embodiment (FIG. 4). In the case of Figure 6) the toilet seat cover 2 is provided with a rubber buffer 21, which is embedded in the entire interior and the rubber sealing plate 22 to cover the entire bottom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rubber buffer of the toilet seat cover (2) The suction passage 23 formed between the 21 and the suction intake air (odor)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4, that is, the front side, the middl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toilet drop 11 A hole 24 is formed in several places, and a connection hole 25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hole 61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toilet seat cover 2, and the connection hole 25 has a toilet seat cover 2. ) 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le 61 only when seated itself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ody (1), the left The connecting hole (25) when rotated to the group cover 2 upwardl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toilet seat main body 1 is configured so that it is separate from the suction holes 61.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좌변기 커버(2)를 좌변기 본체(1)의 상단에 안착시켰을 때 연결공(25)과 흡입공(61)이 공기의 누출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실링재(62)가 개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고무실링재(62)는 케이스(6)의 전방 하단에 고정상태로 부착되거나 또는 좌변기 커버(2)에 부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한 연결공(25)과 흡입통로(23)는 고무완충재(21)의 후방측에 형성된 통로(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toilet seat cover 2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seat body 1, the rubber sealing member 62 is connected to allow the connection hole 25 and the suction hole 61 to be connected without leakage of air. It has a structure that is interposed, the rubber sealing material 62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attached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case 6 or attached to the toilet seat cover 2, the connection hole 25 described above And the suction passage 23 is connected by a passage 26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ubber buffer 21.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용변낙하실(11)에서 공기(냄새)를 흡입관(5a)으로 흡입한 흡기/배기장치(5)는 흡입된 공기(냄새)를 배출관(5b)을 통해 배출시키는데, 본 발명의 특징은 배출관(5b)으로 배출되는 냄새를 대기중에 방출시키지 않고 세척수탱크(4)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중으로 방출시켜서 냄새가 세척수의 물속에서 정화되게 하는데 있다.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that sucks air (smell) into the suction pipe (5a) in the toilet drop 11 discharges the sucked air (smell) through the discharge pipe (5b), 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lease the odor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ipe 5b into the water of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wash water tank 4 without releasing it into the atmosphere so that the odor is purified in the water of the wash water.
이를 위해 상기 흡기/배기장치(5)의 배출관(5b)은 케이스(6) 및 좌변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51)와, 이 노출부(51)에서 연장되어 세척수탱크(4) 내부로 인입되어 저장된 세척수의 수면 위까지 돌출되게 형성되는 인입부(52)와, 이 인입부(52)에서 굴곡되어 세척수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침지부(53)와, 이 침지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배출부(54) 및 이 배출부(54)에 형성되어 냄새를 수중에 방출시키는 다수의 배출공(55)으로 구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discharge pipe 5b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6 and the toilet bowl 51 and extends from the exposed portion 51 to the wash water tank 4. An inlet 52 formed to protrude up to the surface of the wash water drawn in and stored therein; an immersion portion 53 that is bent at the inlet 52 and extended into the water of the wash water; and discharge formed at an end of the immersion part. It is composed of a portion 54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5 formed in the discharge portion 54 to release the odor in the water.
상기에서 세척수탱크(4) 내부로 인입되는 배출관(5b)의 인입부(52)는 도면에서는 세척수(4)의 저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입부(52)는 도면과 같이 세척수탱크(4)의 저부를 관통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이나 상부를 통해서 인입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세척수탱크(4)에 저장된 물이 배출관(5b)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입부(52) 및 침지부(53)의 상단부분은 세척수의 수면 위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야 한다.Inlet 52 of the discharge pipe (5b)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 water tank (4) in the drawing is shown as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bottom of the wash water 4 in the drawing, the inlet 52 is a wash water tank a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which penetrates the bottom part of (4), but may be pulled in through a side or upper part.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4 from flowing back to the discharge pipe 5b, the upper portions of the inlet 52 and the immersion portion 53 should be installed to protrude above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용변시에는 좌변기 커버(2)를 좌변기 본체(1)의 상단에 안착시킨 다음 흡기/배기장치(5)의 작동스위치(도시 없음)를 켜고 좌변기 커버(2) 위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용변낙하실(11)의 후방측 상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된 흡입관(5a)이 용변낙하실(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서 용변물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좌변기 본체(1)의 상방으로 상승되기 전에 공기와 함께 흡입관(5a)으로 흡입되며, 이와 같이 흡입관(5a)으로 흡입된 냄새와 공기는 배출관(5b)으로 배출되는데, 상기 흡기/배기장치(5)의 배출압은 세척수탱크(4)의 세척수 수중에 침지되어 있는 침지부(53)에 유입되어 있는 물의 수압보다 강한 상태이므로 배출관(5b)으로 배출되는 공기압은 침지부(53)에 유입된 물을 하향으로 밀어내어 배출부(54)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55)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물이 다 배출되면 이어서 공기압이 배출공(55)을 통해 수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다.In the toilet, the toilet seat 2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oilet seat 1, and then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s turned on, and the toilet seat 2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2 to see the toilet. 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suction pipe (5a)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toilet drop 11,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as the suction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drop 11 Th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5a together with the air before being raised above the toilet body 1, and the odor and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5a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5b, and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 Discharge pressure is strong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immersion unit 53 immersed in the wash water of the washing water tank (4), the air pressu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5b)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mmersion unit 53 Is pushed downward to form the discharge portion (54) When a is thereb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55, the water is then discharged to which the air pressure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through a discharge hole (55).
상기와 같이 세척수의 수중으로 공기와 함께 방출되는 냄새는 물의 정화기능에 의해 수면 위로 이동하는 동안에 정화되므로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상하여 방출되는 공기에는 냄새가 소멸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dor emitted with the air into the water of the washing water is purged while moving on the surface by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so that the air released b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s extinguished.
다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좌변기 커버(2)를 좌변기 본체(1)의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흡기/배기장치(5)의 흡입관(5a)이 연결된 흡입공(61)이 좌변기 커버(2)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공(25)과 고무완충재(21)에 형성된 통로(26)에 의하여 흡입통로(23)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흡입통로(23)에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위치 즉, 좌변기 커버(2)의 전방측과 중간측 및 후방측 각각에 형성된 수곳의 흡입구멍(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기/배기장치(5)가 작동하게 되면 좌변기 커버(2)의 전방측과 중간측 및 후방측 각각의 수곳에 형성된 수곳의 흡입구멍(24)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용변낙하실(11)의 상방측 사방에 형성된 흡입구멍(24)으로 냄새가 흡입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용변낙하실(11)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좌변기 본체(1)를 벗어나지 못하고 좌변기 커버(2)에 형성된 흡입통로(23)로 흡입되어 통로(26)→연결공(25)→흡입공(61)→흡입관(5a)을 통하여 배출관(5b)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배출관(5b)으로 배출되는 냄새는 공기와 함께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수탱크(4)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중으로 방출되어 물속에서 정화되는 것이다.Next,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4 to 6, the suction hole 5a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is connected to the inlet / exhaust device 5 while the toilet seat cover 2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oilet seat body 1. 61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23 by a connection hole 25 formed at the rear of the toilet seat cover 2 and a passage 26 formed in the rubber buffer 21, and the suction passage 23 is The suction / exhaust device 5 is operated because several suction holes 24 are formed at posi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4, namely, the front side, the middl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eft toilet seat cover 2. When the air is sucked in the suction holes 24 of the outlets formed in the front, middle and rear portions of the toilet seat cover 2,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in the upper sides of the toilet drop 11 In the toilet drop 11 while the smell is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24 formed The generated odo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23 formed in the toilet seat cover 2 without leaving the toilet seat main body 1 and passes through the passage 26 → the connection hole 25 → the suction hole 61 → the suction pipe 5a. The odo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5b,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4 and purified in the water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그리고 상기 흡기/배기장치(5)는 사용자가 좌변기 커버(2)에 앉아서 용변을 보는 동안은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용변낙하실(11)에서 발생되는 용변냄새를 세척수탱크(4)의 세척수 수중으로 방출시키는 것이며, 또한 용변냄새를 정화시킨 세척수는 사용자가 용변 후 용변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물내림장치(도시 없음)를 작동시켜서 세척수를 배출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용변시 세척수탱크(4)에는 용변냄새를 정화한 세척수는 남아있지 않고 새로운 세척수가 저장되므로서 세척수탱크(4)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는 용변냄새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되므로서 다음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를 항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continuously operates while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cover 2 and views the toilet, and releases the toilet smell generated in the toilet dropout 11 into the wash water of the washing water tank 4.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purifying the stool smell is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by operating the water flushing device (not shown) to discharge the stool after the stool, according to the wash water tank (4) during the stool accordingly Since the purified water does not remain and new washing water is store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shing water tank (4) is kept clean without being polluted by the smell of toilets. It keeps the interior comfortable at all times.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흡기/배기장치(5)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좌변기 커버(2)나 뚜껑체(3) 등에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에 앉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흡기/배기장치(5)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자동감지센서(도시 없음)를 설치하여 주게 되면 용변시 사용자가 일일이 흡기/배기장치(5)의 작동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 커버(2)에 앉는 동작만으로 흡기/배기장치(5)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편리함을 더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was described as operating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manually, but when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to see the toilet, such as the toilet seat cover (2) or the lid (3) by detecting this intake / exhaust When the automatic detection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device 5, the toilet seat cover 2 may be used to view the toilet even when the user does not manually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during the toilet. Only by sitting on the operation of the intake / exhaust device (5)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can be added to the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용변낙하실에서 흡입한 공기와 냄새를 세척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의 수중으로 방출시키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용변냄새가 물의 정화기능에 의하여 정화되어 소멸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장실 실내 공기의 오염원이 되는 용변냄새를 소멸시킬 수 있으므로 용변을 보는 사용자는 물론이고 다음으로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흡기/배기장치의 배출관은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세척수탱크로인입되기 전까지의 노출부만 외부로 노출되게 짧은 길이로 설치할 수 있어 화장실 내부를 어지럽히지 않고 배출관의 설치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 means for releasing the air and odor inhaled in the toilet drop of the toilet bowl into the water of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wash water tank has the effect of purifying and extinguished by the purifying function of the water odor. In addition, the smell of toilets, which is a source of pollutants in the toilet's indoor air, can be extinguished, so it is effective not to feel uncomfortable not only to the user of the toilet but also to the next person using the toilet, and the exhaust pipe of the intake / exhaust system is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provides an economical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in a short length so that only the exposed portion until extend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disturbing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als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discharge pip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1762A KR20040020232A (en) | 2002-08-30 | 2002-08-30 |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1762A KR20040020232A (en) | 2002-08-30 | 2002-08-30 |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0232A true KR20040020232A (en) | 2004-03-09 |
Family
ID=3732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1762A KR20040020232A (en) | 2002-08-30 | 2002-08-30 |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20232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3377A1 (en) * | 2013-02-07 | 2014-08-14 | Roh Ji Nyeong | Air treatment device |
CN105133713A (en) * | 2015-08-22 | 2015-12-09 | 徐连炜 | Toilet water-type deodorizer |
KR20190077071A (en) * | 2016-12-10 | 2019-07-02 | 샤먼 지지에 세니터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Odor removal cap |
KR20190130385A (en) * | 2018-05-14 | 2019-11-22 | 양병철 | A odor dis charge equipment of toilet bowl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27U (en) * | 1993-08-23 | 1995-03-21 | 박성민 | Bad smell toilet bowl |
KR950023430U (en) * | 1994-01-19 | 1995-08-21 | 윤재선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
KR960008227U (en) * | 1994-08-25 | 1996-03-15 | 신영록 | Odor removal device of toilet |
KR200169208Y1 (en) * | 1999-08-16 | 2000-02-15 | 강태철 | A chamber pot having a apparatus for elimination stink |
KR200271949Y1 (en) * | 2000-12-14 | 2002-04-13 | 장국주 | A Cover of Chamber Pot |
-
2002
- 2002-08-30 KR KR1020020051762A patent/KR2004002023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27U (en) * | 1993-08-23 | 1995-03-21 | 박성민 | Bad smell toilet bowl |
KR950023430U (en) * | 1994-01-19 | 1995-08-21 | 윤재선 |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
KR960008227U (en) * | 1994-08-25 | 1996-03-15 | 신영록 | Odor removal device of toilet |
KR200169208Y1 (en) * | 1999-08-16 | 2000-02-15 | 강태철 | A chamber pot having a apparatus for elimination stink |
KR200271949Y1 (en) * | 2000-12-14 | 2002-04-13 | 장국주 | A Cover of Chamber Pot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3377A1 (en) * | 2013-02-07 | 2014-08-14 | Roh Ji Nyeong | Air treatment device |
KR101446577B1 (en) * | 2013-02-07 | 2014-10-07 | 노지녕 | Apparatus for handling air |
CN104968867A (en) * | 2013-02-07 | 2015-10-07 | 盧鋕宁 | Air treatment device |
US20150376885A1 (en) * | 2013-02-07 | 2015-12-31 | Ji Nyeong ROH | Apparatus for handling air |
CN104968867B (en) * | 2013-02-07 | 2016-11-09 | 盧鋕宁 | Air processor |
US10760256B2 (en) | 2013-02-07 | 2020-09-01 | Tae Sik ROH | Air treatment device |
CN105133713A (en) * | 2015-08-22 | 2015-12-09 | 徐连炜 | Toilet water-type deodorizer |
KR20190077071A (en) * | 2016-12-10 | 2019-07-02 | 샤먼 지지에 세니터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Odor removal cap |
KR20190130385A (en) * | 2018-05-14 | 2019-11-22 | 양병철 | A odor dis charge equipment of toilet bow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54379A (en) | A ventilator for toilet stool | |
KR200492905Y1 (en) |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 |
KR20040020232A (en) | Smell extincting device of chamber pot | |
JP4057772B2 (en) | Simple toilet deodorizer and simple toilet with deodorizer | |
JPH09299282A (en) | Deodorization device for toilet | |
KR200447310Y1 (en) | Bidet with a bad smell-removing function | |
CA2347273C (en) |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 |
KR20070011220A (en) | Device for removing stink for toilet bowl | |
KR200286778Y1 (en) | Stink eliminator for toilet seat | |
KR102407222B1 (en) | Toilet Bowl Having Odor Removal Structure | |
KR200176342Y1 (en) | Stink removal device of a chamber pot | |
KR200345819Y1 (en) | Urinal having Bad Smell Removal System | |
KR200220437Y1 (en) | Stink exhausting device for toilet bowl | |
KR100654209B1 (en) | Apparatus to remove foul odor for toilet | |
KR19990032244U (en) | Odor removal device of toilet seat | |
US20210395990A1 (en) | Vented Toilet System | |
KR20190089256A (en) |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 |
JP2019167780A (en) | Sanitary washing device | |
KR200211428Y1 (en) | apparatus for exhausting smell of toilet | |
KR102169150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for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 |
CA2348961A1 (en) | Externally vented toilet | |
KR102175283B1 (en) | Odor elimin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 |
KR100438217B1 (en) | A toilet bowl with the func tion of removing a bad smell | |
KR200358023Y1 (en) | Apparatus to remove foul odor for toilet | |
KR200354378Y1 (en) | A device to elimnate a nasty smell of a chamber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