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016Y1 -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 Google Patents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7016Y1 KR200407016Y1 KR2020050022690U KR20050022690U KR200407016Y1 KR 200407016 Y1 KR200407016 Y1 KR 200407016Y1 KR 2020050022690 U KR2020050022690 U KR 2020050022690U KR 20050022690 U KR20050022690 U KR 20050022690U KR 200407016 Y1 KR200407016 Y1 KR 2004070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 frame
- seedling box
- layer
- cultiv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앗이 발아하여 새싹으로 자라도록 재배하는 육묘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밀도로 육묘할 수 있도록 다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육묘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각 층마다 급수 및 배수시설 그리고 차광시설을 구비한 다층식 육묘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cultivation plant that grows seeds to germinate and grow into sprouts, and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high-density seeding, and provides water and drainage facilities and shading for each layer to creat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raising seedling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equipped with a faci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측면이 개방된 구조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측면을 개폐하는 스크린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적층된 다수 개의 육묘상자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여 각각의 육묘상자 상부로 지나가는 관과, 상기 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노즐과, 상기 육묘상자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육묘상자를 지지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의 물이 개방된 부위로 배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Multi-layer seedling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having an open side structure, the scree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to open and close the side, and laminat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frame A plurality of seedling boxes, a tube which enters the inside of the frame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of each seedling box,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in the tube,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edling box to support the seedling box, and one side is open to the inside. Its technical features that comprise a support plate that is drained to the open area of the water.
발아, 새싹, 육묘재배기, 다층식, 육묘상자, 급수, 배수, 차광 Germination, Sprout, Seedling Seeder, Multi-layer, Seedling Box, Watering, Drainage, Shad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식 육묘재배기의 측단면도이고,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육묘재배기의 정단면도이고,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받이와 육묘상자 및 급수시스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p tray, the seedling box and the water supply system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 가능한 걸림턱과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adjustable locking jaw and the frame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노즐의 저면도이다.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nozzle shown in FIG. 1.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육묘재배기 110 : 프레임100: seedling growing 110: frame
111 : 캐스터 113 : 수직 빔111: caster 113: vertical beam
115 : 걸림턱 120 : 롤스크린115: jam jaw 120: roll screen
121 : 스크린 130 : 육묘상자121: screen 130: seedling box
140 : 지지판 150 : 급수시스템140: support plate 150: water supply system
151 : 수직관 153 : 분기관151
155 : 노즐 157 : 솔레노이드 밸브155: nozzle 157: solenoid valve
본 고안은 씨앗이 발아하여 새싹으로 자라도록 재배하는 육묘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로 육묘할 수 있도록 다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육묘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각 층마다 급수 및 배수시설 그리고 차광시설을 구비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cultivator cultivated so that seeds germinate and grow into sprouts, and in particular,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for high-density seedling, and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for each layer to creat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raising seedlings. It is equipped with shading facilities.
일반적으로 씨앗은 적당한 조건 하에서 발아하여 새싹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씨앗의 영양소와 새싹의 영양소는 다소 차이를 보이면서, 씨앗에 없는 영양분이 새싹에서 생성되기도 한다.In general, seeds germinate under suitable conditions and become sprouted. In this process, the nutrients of the seeds and the nutrients of the sprouts are slightly different, but the nutrients that are not present in the seeds are produced in the sprouts.
그 일예로서, 콩에는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지 않지만, 발아한 상태의 콩나물에서는 보통 25내지35mg%의 비타민C가 함유된다. 이와 같이 씨앗이 발아하여 육묘되면서, 씨앗이 갖고 있지 않은 영양소 또는 다른 성분이 생성됨에 따라 발아한 육묘를 섭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soybeans do not contain vitamin C, but sprouted soybean sprouts usually contain 25 to 35 mg% of vitamin C. As the seed germinates and grows in this way, it is also desirable to consume the seedlings germinated as the nutrients or other ingredients that the seeds do not have are produced.
한편, 씨앗을 발아시키기 위한 종래의 육묘재배기는 상자 형태로서, 육묘상자라 한다.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플라스틱 상자로서 바닥에는 배수구가 다수 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육묘상자에 씨앗을 흩뿌린 상태에서 적당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씨앗이 발아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eedling cultivation for germinating seeds is in the form of a box, called a seedling box. Generally, a plastic box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drains are formed at the bottom. Seeds germinate by providing suitable conditions in the state of scattering the seeds in such seedling boxes.
하지만, 종래의 육묘재배기들은 평면구조로 배치된 상태에서 흩뿌려진 씨앗 을 육묘한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육묘의 수가 작아 수확량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seedling cultivators seed the scattered seeds in a planar structure. Therefore, the number of seedlings per unit area is small, the yield is disadvantageous.
또한, 육묘재배기를 지면에 위치한 상태로 급수하면, 배수구가 지면에 막히거나 함몰된 지면의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자칫, 씨앗이 썩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addition, when watering the seedling cultivator in the state located on the ground, the drainage is clogged in the ground or in the case of the ground recessed because the drainage is not made smooth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eds rot.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다층으로 육묘할 수 있어 단위면적당 육묘 수확량을 증가할 수 있으며, 육묘에 필요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육묘의 성장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게 구성된 다층식 육묘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be grown in multiple layers to increase the yield of seedlings per unit area, having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raising seedlings to increase the growth rate of seedling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configu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측면이 개방된 구조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측면을 개폐하는 스크린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적층된 다수 개의 육묘상자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여 각각의 육묘상자 상부로 지나가는 관과, 상기 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노즐과, 상기 육묘상자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육묘상자를 지지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의 물이 개방된 부위로 배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Multi-layer seedling cult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having an open side structure, the scree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to open and close the side, and laminat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frame A plurality of seedling boxes, a tube which enters the inside of the frame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of each seedling box,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in the tube,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edling box to support the seedling box, and one side is open to the inside. Its technical features that comprise a support plate that is drained to the open area of the wat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은 롤스크린으로서, 롤에 감겨진 스크린을 풀어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폐쇄하고, 반대로 상기 스크린을 감아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개방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is a roll screen, by releasing the screen wound on the roll to close the side of the frame, on the contrary wound the screen to open the side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한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육묘상자의 상부로 지나가는 분기관을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includes a vertical tube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frame and a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vertical tube passing through the top of the seedling box.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관의 하단에는 배수용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수직관에 연결된 고정단의 높이보다 자유단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is equipped with a drain valve, the branch pipe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free end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fixed end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형성하는 수직 빔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빔을 연결하는 걸림턱의 양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에 정합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직 빔 안쪽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이 상기 걸림턱에 걸쳐 위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beam forming the side of the frame, and proj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ngaging jaw connecting the vertical beam to match the groove. As the locking jaw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beam, the support plate is positioned over the locking jaw.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은 중앙에 상기 육묘상자가 안착될 수 있게 오목하고,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쳐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is concave so that the seedling box can be seated in the center, the edge is bent outwards to span the locking step.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캐스터가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ter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들 중에서 상기 육묘상자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노즐에는 분사구들이 반원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s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seedling box among the nozzle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ular arrangeme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육묘상자의 바닥 저면에는 다수 개의 다리가 형성되어 상기 육묘상자가 상기 지지판에 안착되었을 때에 상기 다리의 높이만큼의 간격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g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eedling box is formed by the height of the legs when the seedling box is seated on the support plate.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다층식 육묘재배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식 육묘재배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육묘재배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받이와 육묘상자 및 급수시스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 가능한 걸림턱과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노즐의 저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shown in Figure 1, Figure 3 and the drip tray shown in Figure 1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edling box and a water supply system.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adjustable locking step and the frame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nozzl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식 육묘재배기(100)는, 직육면체 구조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4측면에 대응하여 설치된 스크린(121)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는 다수 개의 육묘상자(130)와, 각각의 육묘상자(130)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육묘상자(130)를 지지하는 지지판(140)과, 적층된 각각의 육묘상자(130) 상부에 위치하여 육묘상자(130)로 물을 분사하는 급수시스템(15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 4모서리에는 캐스터(caster)(111)가 장착되어 프레임(110)을 자유롭게 밀고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10)에 위치한 각 육묘상자(13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1 and 2,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층식 육묘재배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직육면체의 구조로서, 4측면은 개방되고, 직육면체의 상면과 바닥은 폐쇄된다. 개방된 4측면에는 각각 그 상 부에 롤스크린(120)이 장착되어 스크린(121)이 하부로 펼쳐짐에 따라 프레임(110)의 측면이 폐쇄되고, 스크린(121)이 롤(123)에 권취됨에 따라 프레임(110)의 측면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롤스크린(120)의 스크린(121)이 프레임(110)의 측면을 개폐함으로써, 프레임(110) 내부의 채광을 조절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의 내부에는 급수시스템이 장착된다. The water supply system is mounted inside the fram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상부를 통해 들어온 수직관(151)에는 수평 분기관(153)들이 수직관(151)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연통된다. 도면에는 수직관(151)의 한 지점 당 3개의 분기관(153)이 연통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분기관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다수 개의 노즐(155)이 분기관(153)을 따라 장착되며 노즐(155)은 아래에 위치한 육묘상자(130)를 향해 위치한다. 따라서 노즐(155)에 분사된 물은 아래에 위치한 씨앗에 뿌려진다.1 to 3,
한편, 육묘상자(130)는 지지판(140)에 안착된다. 육묘상자(130)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다리(131)가 각각 형성된다. 육묘상자(130)의 저면에 형성된 다리(131)에 의해 육묘상자(130)와 지지판(140)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육묘상자(130)에서 배수된 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40)의 경사를 따라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수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40)은 직사각형의 구조로서, 물이 흘러 배수되는 후단을 제외한 나머지 3변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다시 바깥방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지지판(140)의 중앙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육묘상자(130)가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판(140)에서 외향으 로 절곡된 절곡편(141)은 프레임(110)에 장착된 걸림턱(115)에 안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15)은 L형 앵글로서, 걸림턱(115)의 양단 외측면에는 한 쌍의 돌기(117)가 각각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에서 수직하게 위치한 4개의 수직 빔(113) 안쪽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한 쌍씩의 홈(113H)이 다수 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15)의 돌기(117)가 상기 수직 빔(113)의 홈(113H)에 끼워짐으로써, 걸림턱(115)이 상기 프레임(110)의 안쪽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돌기(117)를 끼우는 홈(113H)의 높이에 따라 걸림턱(115)의 높이가 조절된다. 하지만, 걸림턱(115)의 높낮이 조절범위는 수직관(151)에서 분기된 분기관(153)의 층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한편, 하단이 개방된 수직관(151)의 하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57)가 장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157)는 급수시스템(150)을 정지하였을 때에, 수직관(151) 및 분기관(153)에 고여 있는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관(151)의 하부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밸브(157)를 개방함으로써, 분기관(153) 내에 잔류한 물이 자연 배수되는데, 물이 원활하게 자연 배수되기 위해서는, 분기관(153)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관(151)에 연결된 분기관(153)의 고정단이 자유단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노즐(155)의 분사구(155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 보이듯이, 육묘상자(130)와 대응하여 배치된 노즐(155)에 있어서, 육묘상자(130) 안쪽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155)은 분사구(155H)의 배치구조가 원형이지만, 육묘상자 (1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즐(155)의 경우에는 분사구(155H)의 배치구조가 반원의 형태를 갖는다. 이는 노즐(155)에서 분사된 물 전부가 육묘상자(130) 안쪽으로 분사되어 불필요한 물의 공급 및 배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앞에서 설명한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집수조에 연결된 호스를 상기 수직관에 연결하고, 펌프의 가동에 의해 상기 집수조의 물을 수직관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육묘재배기의 상부에 집수조를 설치하고 수직관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를 조절하여 집수조에 저장된 물을 자연스럽게 수직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can connect the hose connected to the sump to the vertical pipe, supply the water of the sump to the vertical pipe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otherwise install the sump tank on top of the seedling cultivator By adjusting the valv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raight pipe, water stored in the sump can be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pip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육묘하기 위한 급수, 배수 및 차광시설이 완벽하게 갖춰져 육묘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발아 및 생장속도를 촉진하여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rease the yield by promoting germination and growth rate by creat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raising seedlings with water supply, drainage, and shading facilities for raising seedlings completely. .
또한,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육묘상자가 다층으로 적재된 상태로, 각 육묘상자에서 육묘를 재배할 수 있어 지면에 대한 육묘수확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eedling box can be grown in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 box is stacked in multiple layers, so that seedlings can be grown in each seedling box.
또한,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프레임에 캐스터가 장착되어 장소 이동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ove the place is equipped with a caster on the frame.
또한,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는 급수작업이 끝났을 경우에 배관에 잔류한 물을 배수한다. 따라서 자칫, 배관에 잔류한 물이 오래되어 오염된 상태로 씨앗에 급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In addition,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rains the water remaining in the pipe when the water supply work is finished. Therefore, it is hygienic because the water remaining in the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atered in the polluted state because it is old.
이상에서 본 고안의 다층식 육묘재배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690U KR200407016Y1 (en) | 2005-08-04 | 2005-08-04 |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690U KR200407016Y1 (en) | 2005-08-04 | 2005-08-04 |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7016Y1 true KR200407016Y1 (en) | 2006-01-24 |
Family
ID=4929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26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7016Y1 (en) | 2005-08-04 | 2005-08-04 |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7016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0580B1 (en) | 2008-09-19 | 2011-06-13 | 대한민국 | Raising Seedings of Multistage Apparatus |
KR101157087B1 (en) | 2010-05-14 | 2012-06-21 | 전형기 | A simple raising seedings apparatus having a prefabricated support box |
KR101191161B1 (en) | 2011-07-22 | 2012-10-18 | 천 보 손 | Peanut sprout planting systems |
KR101433775B1 (en) | 2012-10-23 | 2014-08-29 | 권태욱 | Incubator for cultivating a plant |
CN119302155A (en) * | 2024-12-09 | 2025-01-14 | 菏泽市牡丹区园林服务中心 | A forestry breeding device with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
-
2005
- 2005-08-04 KR KR2020050022690U patent/KR20040701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0580B1 (en) | 2008-09-19 | 2011-06-13 | 대한민국 | Raising Seedings of Multistage Apparatus |
KR101157087B1 (en) | 2010-05-14 | 2012-06-21 | 전형기 | A simple raising seedings apparatus having a prefabricated support box |
KR101191161B1 (en) | 2011-07-22 | 2012-10-18 | 천 보 손 | Peanut sprout planting systems |
KR101433775B1 (en) | 2012-10-23 | 2014-08-29 | 권태욱 | Incubator for cultivating a plant |
CN119302155A (en) * | 2024-12-09 | 2025-01-14 | 菏泽市牡丹区园林服务中心 | A forestry breeding device with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6048B1 (en) | Strawberry Seedling Tray | |
KR101625647B1 (en) | Ginseng hydroponics cultivation system | |
KR20130121821A (en) | A watering and drainage arrangement for a multi-layer horticultural structure | |
KR101157087B1 (en) | A simple raising seedings apparatus having a prefabricated support box | |
CN203482666U (en) | Multi-layer seedling cultivation device | |
KR101231434B1 (en) |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 |
JP2009159961A (en) | Equally watering device and method for root area in ground | |
JP4821313B2 (en) | Hydroponic cultivation house | |
KR101382834B1 (en) | the pot for raising seedling with an easy watering and replanting | |
JP2008099663A (en) | Watering tub and raising seedling device | |
KR200407016Y1 (en) | Multi-Layer Seedling Cultivator | |
JP4036606B2 (en) | Hydroponic equipment | |
KR101926988B1 (en) | A Bottom watering type raise seedling pot tray | |
KR101845060B1 (en) | A plant for raising strawberry seedling | |
US20200008375A1 (en) | Soil-free cultivation system | |
KR100979343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JP4928992B2 (en) | Bottom irrigation water supply panel, cultivation pot for the panel, and cultivation system using them | |
JP4948034B2 (en) | Tomato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5259330B2 (en) | Nursery box holder | |
CN214593139U (en) | Vegetation seedling culture apparatus is used in gardens | |
KR102523215B1 (en) | A Water level control system using multiple bottom water supply trays | |
JP2004154031A (en) |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using pot | |
CN212993420U (en) | Stacked seed seedling raising bed | |
CN204994347U (en) | Long blanket alms bowl of vertical connection type rice of alms bowl bowl shape blanket form seedling sprout cultivation device | |
CN213095109U (en)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s planted with device of growing seedl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80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8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19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9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