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90Y1 - 결합형 받침대 - Google Patents
결합형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6690Y1 KR200406690Y1 KR2020050029897U KR20050029897U KR200406690Y1 KR 200406690 Y1 KR200406690 Y1 KR 200406690Y1 KR 2020050029897 U KR2020050029897 U KR 2020050029897U KR 20050029897 U KR20050029897 U KR 20050029897U KR 200406690 Y1 KR200406690 Y1 KR 2004066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edestal
- protrusion
- lid
- sea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다수의 밀폐용기를 올려놓더라도 수분 등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도록 밀폐용기가 결합되게 구성하여 밀폐용기와 받침대를 결합한 상태로 함께 관리할 수 있는 결합형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결합형 받침대는, 제1돌기들이 상면에 돌출된 뚜껑과, 개방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며 저면에는 제2돌기들이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밀폐용기를 재치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제2돌기와 결합될 수 있게 상면에 제3돌기들이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를 안착한 후 가압하면, 상기 제3돌기와 상기 제2돌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3돌기와 제2돌기가 상호 밀착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밀폐용기, 용기, 뚜껑, 받침대, 돌기, 결합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받침대에 밀폐용기들이 위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에서 밀폐용기의 용기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에 다양한 종류의 결합형 밀폐용기들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대와 밀폐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용기 바닥과 받침대의 상면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100" : 밀폐용기
110 : 뚜껑 111 : 제1돌기
113 : 홈 120 : 용기
121 : 제2돌기 123 : 측벽
125 : 바닥 130 : 받침대
131 : 제3돌기
이 고안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치된 밀폐용기가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도록 밀폐용기의 위치를 고정하게 결합하는 결합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기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밀폐용기에 음식물을 보관함으로써 음식물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보다 신선하게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넣어 보관하는데, 냉동실에 보관된 음식물을 먹기 위해서는 해동해야 하며 냉동된 음식물은 그 맛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며칠 내에 섭취할 음식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실에 보관한다.
한편, 밀폐용기에 상온 또는 고온으로 가열하여 요리한 음식물을 넣고 냉장실의 받침대에 올려놓게 되면 해당 음식물의 온도와 냉장실의 온도 차에 의해 밀폐용기의 외측면에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밀폐용기 외측면에 맺힌 물방울은, 사용 자가 받침대에서 적층된 여러 개의 밀폐용기를 들어내거나 이동할 때에, 밀폐용기의 바닥과 뚜껑 사이를 미끄럽게 하여 밀폐용기가 떨어지게 하거나 냉장실의 미세 진동에 의해 받침대 상면에서 자체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받침대에 밀폐용기들이 위치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에서 밀폐용기의 용기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받침대(30)에 재치되는 용기(10)와 뚜껑(20)으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에서, 용기(10)의 바닥에는 소정 패턴의 돌기(11)가 형성되고, 뚜껑(20)의 상면에는 상기 패턴과 같은 패턴의 돌기(21)가 형성되는데, 뚜껑(20)에 형성된 돌기(21)의 패턴이 용기(10)의 바닥에 형성된 돌기(11)의 패턴보다 다소 넓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20) 위에 용기(10)의 바닥을 올렸을 때에 뚜껑(20)의 돌기(21) 안쪽에 용기(10) 바닥의 돌기(11)가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용기(10)는 일반적으로 유리 재질 또는 경도가 높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뚜껑(20)은 용기(10)의 개방부에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유연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보이듯이, 어느 한 밀폐용기(1)의 상면에 다른 밀폐용기(1)를 안착하면, 용기(10) 바닥의 돌기(11)가 아래 위치한 밀폐용기(1)의 뚜껑(20) 돌기(21) 안쪽에 삽입되어 정합된 상태로 위치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밀폐용기(1)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정합된 뚜껑(20) 돌기(21)와 그 안쪽에 위치한 용기(10) 바닥의 돌기(11) 사이에는 간격(G)이 형성되어 상부 밀폐용기(1)가 상기 간격(G)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밀폐용기(1)를 안착되게 재치시키는 받침대(3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받침대(30)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돌기(31)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들 2개의 돌기(31)는 용기(10)의 바닥에 형성된 돌기(11)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용기(10)에 형성된 돌기(11)와 상기 받침대(30)에 형성된 돌기(31)의 사이에는 간격(G)가 형성된다.
따라서, 밀폐용기(1)가 받침대(30)에 안착되더라도 받침대(30)의 돌기(31)와 용기(10)에 형성된 돌기(11)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밀폐용기(1)가 유동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보이듯이, 용기(10)와 받침대(30)가 아무런 결합관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각 구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고, 이로부터 사용 과정에서 용기(10)가 받침대(30)로부터 이탈되어 분실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밀폐용기를 올려놓더라도 수분 등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도록 밀폐용기가 결합되게 구성하여 밀폐용기와 받침대를 결합한 상태로 함께 관리할 수 있는 결합형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결합형 받침대는, 제1돌기들이 상면에 돌출된 뚜껑과, 개방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며 저면에는 제2돌기들이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밀폐용기를 재치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제2돌기와 결합될 수 있게 상면에 제3돌기들이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를 안착한 후 가압하면, 상기 제3돌기와 상기 제2돌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3돌기와 제2돌기가 상호 밀착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이 고안에 따른 결합형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이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에 다양한 종류의 결합형 밀폐용기들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대와 밀폐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용기 바닥과 받침대의 상면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130)에 재치 안착되는 밀폐용기(100)에 대해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0)의 뚜껑(110)은 유연한 재질로서, 그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120)의 개방부(127)가 상기 뚜껑(110)의 홈(113)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용기(120) 내부를 밀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20)는 상부로 개방된 측벽(123)과 바닥(125)으로 구성된 구조로서 그 모양은 사각형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120)의 개방부(127)에 뚜껑(110)이 결합되어 용기(12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한다. 여기에서 상기 뚜껑(110)은 용기(120)보다 유연한 재질로서, 뚜껑(110) 저면에 형성된 홈(113)에 상기 용기(120)의 개방부(127)를 끼우면 뚜껑(110)의 홈(113) 내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120)의 측벽(123) 상단이 홈(113)에 끼워져 용기(120)를 밀폐한다.
한편, 뚜껑(110)의 상면에는 제1돌기(111)가 사각형의 폐쇄구조로 돌출된다. 이러한 밀폐용기들은 도 4에 보이듯이, 1개의 제1돌기가 형성된 밀폐용기(100') 또는 2개의 제1돌기가 형성된 밀폐용기(100")가 있고, 뚜껑(110)에 4개의 제1돌기(1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떨어져 형성된 밀폐용기(110)도 있다. 상기 제1돌기(111)는 뚜껑(110)과 같은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제조된다.
한편, 1개, 2개 또는 4개의 제1돌기가 형성된 밀폐용기(100', 100", 100)의 용기(120) 바닥(125)에는 동일한 수의 제2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120)에 형성된 제2돌기(121)는 뚜껑(110)에 형성된 제1돌기(111)와 대응한다.
이와 같은 용기(120)의 제2돌기(121)와 뚜껑(110)의 제1돌기(111)를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였을 때 뚜껑(110)의 제1돌기(111)가 형성하는 폐쇄구조의 면적이 용기(120)의 제2돌기(121)가 형성하는 폐쇄구조의 면적보다 크지만, 용기(120)의 제2돌기(121)를 뚜껑(110)의 제1돌기(111)의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뚜껑(110)의 제1돌기(111)가 재질의 연성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120)의 제2돌기(121)가 뚜껑(110)의 제1돌기(111) 안쪽으로 삽입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보이듯이, 용기(120)의 제2돌기(121)를 뚜껑(110)의 제1돌기(111)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용기(120)의 제2돌기(121) 외측과 뚜껑(110)의 제1돌기(111) 내측이 밀착 가압되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밀폐용기(100)가 재치 안착되는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130)의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받침대(130)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제3돌기(131)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들 2개의 제3돌기(131)는 용기(120)의 바닥에 형성된 제2돌기(121) 사이에 위치하는데, 받침대(130)에 용기(120)를 안착하면 받침대(130)의 제3돌기(131)와 용기(120)의 제2돌기(121)가 상호 각각 밀착되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0)에 용기(120)를 안착하여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기(120)를 들어올리면 받침대(130)도 따라 올라온다. 즉, 용기(120)와 받침대(130)를 함께 결합시켜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120)와 받침대(130)의 결합관계와, 뚜껑(110)의 제1돌기(111)와 용기(120)의 제2돌기(121)의 결합관계에 의해, 다수 개의 밀폐용기(100)를 적층하여 받침대(130)에 위치시키더라도 미끄러져 이동하지 않고 정 위치에 위치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제1, 제2돌기(111, 121)는 사각형의 폐쇄구조이고, 제3돌기(131)는 길이방향으로 2개 형성된 구조라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폐쇄구조가 아닌 측면이 일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면서 소정의 패턴을 갖는 형태로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더 라도 이 고안의 목적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결합형 받침대에 의하면, 다수 개의 밀폐용기를 재치하였을 때 상부에 위치한 용기와 하부에 위치한 받침대가 결합되어 이동중이나 흔들림에 의해서도 밀폐용기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치된 다수의 밀폐 용기를 한 번에 냉장고에서 꺼내거나 냉장고에 넣는 등의 취급이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결합형 받침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 제1돌기들이 상면에 돌출된 뚜껑과, 개방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며 저면에는 제2돌기들이 형성된 용기를 포함하는 밀폐용기를 재치하는 받침대에 있어서,상기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제2돌기와 결합될 수 있게 상면에 제3돌기들이 대응하게 형성되고,상기 용기를 안착한 후 가압하면, 상기 제3돌기와 상기 제2돌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3돌기와 제2돌기가 상호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9897U KR200406690Y1 (ko) | 2005-10-20 | 2005-10-20 | 결합형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9897U KR200406690Y1 (ko) | 2005-10-20 | 2005-10-20 | 결합형 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6690Y1 true KR200406690Y1 (ko) | 2006-01-24 |
Family
ID=4929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9897U KR200406690Y1 (ko) | 2005-10-20 | 2005-10-20 | 결합형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6690Y1 (ko) |
-
2005
- 2005-10-20 KR KR2020050029897U patent/KR20040669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08776B2 (en) | Lid, and container system and lid | |
US20190233177A1 (en) | Vacuum insulated food storage container and lid | |
US5706966A (en) | Multiple tier dessert container | |
KR200442003Y1 (ko) | 다단적층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 |
TWI594932B (zh) | 用來保存發酵食品的容器 | |
KR101910860B1 (ko) | 보냉용 포장 상자 | |
KR200406690Y1 (ko) | 결합형 받침대 | |
KR200406689Y1 (ko) | 결합형 밀폐용기 | |
JP2001114317A (ja) | 食品保存容器 | |
KR20150109651A (ko)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
KR100992046B1 (ko) | 식품용기 | |
KR101091747B1 (ko) | 식품보관용기 | |
JP4364561B2 (ja) | 容器体のスタッキング構造 | |
EP2112083A1 (en) | Stackable container | |
KR100886171B1 (ko) | 용기 | |
KR20090078268A (ko) | 이중 밀폐용기 | |
KR200248959Y1 (ko) |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 |
JP2020054724A (ja) | ランチボックス | |
KR200447297Y1 (ko) | 음식물 보관용기 | |
KR200483477Y1 (ko) | 김치용 밀폐용기 | |
KR100796973B1 (ko) | 김치냉장고용 황토옹기 김치통 | |
KR200449423Y1 (ko) |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 |
KR20090010432U (ko) |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 |
KR200311485Y1 (ko) |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 |
KR200343346Y1 (ko) |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7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