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92928Y1 -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 Google Patents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928Y1
KR200392928Y1 KR20-2005-0013491U KR20050013491U KR200392928Y1 KR 200392928 Y1 KR200392928 Y1 KR 200392928Y1 KR 20050013491 U KR20050013491 U KR 20050013491U KR 200392928 Y1 KR200392928 Y1 KR 200392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flower
planter
shaped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상일
유승근
정삼용
유택근
Original Assignee
유승근
변상일
정삼용
유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근, 변상일, 정삼용, 유택근 filed Critical 유승근
Priority to KR20-2005-0013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92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92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외관을 케익 모양으로 장식하여 독특하고 개성적인 식재용 화분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식재용 화분내의 공간에 꽃꽂이용 수반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식재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shaped plant pot for detachable flower arrange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decorate the appearance in a cake shape to provide a unique and individual plant pots, as well as flower arrangement in the space within the plant po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that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flower arranging plant pot by detaching the head of the plant.

본 고안은 그 내부에 꽃꽂이용 수반이 착탈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에 있어서, 그 내부에 식재용 흙이 담겨지는 공간을 가지고 그 외곽이 케익 모양으로 형성된 화분 본체부, 상기 화분 본체부의 상면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일정 높이을 가지도록 형성된 장식용 개방구, 상기 화분 본체부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 및 상기 화분 본체부의 바닥에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ke-shaped planting pot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in the inside, the potted plant body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ake having a space in which the soil for planting in the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er body portion Detachable flower arran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corative opening tha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f various shapes, a body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tted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bottom of the potted body portion Provide cake-shaped plant pots where possible.

본 고안에 의하면, 식재용 화분을 파티, 축하, 기념, 행복 등의 긍정적인 컨셉을 가진 케익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이 제공하지 못하는 독특하고 개성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익 모양으로 구성된 화분에 꽃을 식재하거나 꽃꽂이하여 실내에 비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화기애애하고 밝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수직 벽면에 용이하게 걸어 장식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을 다양하게 장식하여 연출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꽃꽂이용 수반을 화분 본체부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장착하여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으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ique and unique aesthetic that the potted plants can not be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potted plants by constructing a shape of a cake having a positive concept such as party, celebration, celebration, happiness. In addition, by planting flowers in flowerpots or flower arrangements in the shape of cakes to be displayed indoors, the interior space can be made more cheerful and brigh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easily hanged on the vertical wall to decorate the room, and the interior space can be decorated in various ways, and the planting heads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inside the planter body by simple operation. It can be used as a double.

Description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Cake-shaped potted plant which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is removable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본 고안은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외관을 케익 모양으로 장식하여 독특하고 개성적인 식재용 화분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식재용 화분내의 공간에 꽃꽂이용 수반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식재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shaped plant pot for detachable flower arrange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decorate the appearance in a cake shape to provide a unique and individual plant pots, as well as flower arrangement in the space within the plant po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that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flower arranging plant pot by detaching the head of the plant.

일반적으로, 화분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공간내에서 식물을 기르기 위해 사용되며, 흙을 담기 위한 내부 공간, 그리고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외측을 향해 개방된 개방구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화분(1)내의 공간에 적당량의 흙을 담고, 상기 흙에 원하는 식물을 심은 후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서 식물을 기르게 된다. 현재, 상기 화분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플라스틱 제품으로 제작된 값싼 제품으로부터 도자기로 구워 제작된 고가의 제품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흔한 식물을 기르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저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반면, 분재, 난, 희귀 식물 또는 고가의 식물 등을 실내에 관상용 또는 장식용 등으로 기르고자 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도자기를 비롯한 독특한 재질 및 디자인을 가진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Generally, pots are used to grow plants in a limited space, as shown in Figure 6, and have an interior space for holding soil and an opening opening outward to communicate the space with the outside. Therefore, the user contains a suitable amount of soil in the space in the pot (1), after planting the desired plants in the soil to grow the plant in the indoor or outdoor space. At present, the flower pots are manufactured and sold in a wide variety of forms, from inexpensive products made of plastic products to expensive products made of ceramics to meet various needs of users. For example, when consumers want to grow relatively common plants, they usually prefer low-cost products made of plastic, while bonsai, eggs, rare plants, or expensive plants can be grown indoors for ornamental or decorative purposes. In general, it is generally preferred to use expensive products with unique materials and designs, including ceramics.

그러나, 구매자가 특히 실내 관상용 또는 장식용 등으로 독특한 화분을 구매하기를 원한다할지라도, 종래의 화분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모양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식물 식재용 화분이 아닌 실내 공간의 장식미를 한층 더 강화시킴과 동시에, 종래의 화분과 다른 신선한 컨셉을 가져 구매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어 왔다. However, even if the buyer wants to purchase a unique flower pot, especially for indoor ornamental or decorative use, the conventional flower po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a simple structure that does not deviate greatly from the basic shap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product that can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buyer with a fresh concep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while at the same time strengthening the decorative beauty of the interior space, not just a plant pot for planting.

또한, 현재 대부분의 화분은 단순히 식물 식재용으로만 사용될 뿐, 전혀 다른 용도로 전용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구매자는 아무리 장식미가 뛰어난 화분이라 할지라도 화분 용도만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마찬가지로 독특한 장식미가 요구되는 꽃꽂이용 수반 등으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t present, most pollen is simply used only for planting, has a limitation that can not be used for completely different purposes. Therefore, even if the buyer can use only the potted plants, no matter how excellent deco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exclusively as a flower arrangement accompanied by a unique decoration.

따라서, 식재용 화분의 외적 장식미를 강화하여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 수반으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화분이 요구되어져 왔다.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economical pots that can be used not only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by strengthening the external decorative beauty of plant pots, but also to serve as pots for arranging plant po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재용 화분의 전체 외관을 케익 모양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독특하고 차별화된 미감을 불러일으키고, 그 결과 수요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식재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create a unique and differentiated aesthetic by configuring the entire appearance of the potted plant in the shape of a cake, and as a result to satisfy the various tastes of the consumer It is to provide a potted plant for planting.

또한, 본 고안은 식재용 화분을 케익 모양 등으로 장식하여 화분의 외적 장식미를 강조하는 한편, 꽃꽂이용 수반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화분내의 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으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mphasizes the external decoration of the plant by decorating the planter in the shape of a cake, etc., while all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lower arrangement to be detachable to the space within the planter by simple operation, the planter can also be used as a flower arrangement Its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그 내부에 꽃꽂이용 수반이 착탈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에 있어서, 그 내부에 식재용 흙이 담겨지는 공간을 가지고 그 외곽이 케익 모양으로 형성된 화분 본체부, 상기 화분 본체부의 상면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일정 높이을 가지도록 형성된 장식용 개방구, 상기 화분 본체부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 및 상기 화분 본체부의 바닥에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ke-shaped planter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s therein, the inside has a space for planting soil is contained in the outside of the cake shape Formed planter body portion, a decorative opening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lanter body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ecora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bottom of the planter body portion and the body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anter body portion Flower arrang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vable cake-shaped plant pots.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분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Preferably, decorations of various shape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flower pot body.

이 경우, 상기 케익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예컨대, 육각형, 팔각형, 십이각형, 또는 이십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cake shap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ircle or polygon (for example, hexagonal, octagonal, decagonal, or decagonal).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분 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다양한 모양의 장식은 원 모양, 하트 모양 또는 별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on of the various shap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 body part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circle shape, heart shape or star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화분 본체부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본체 지지부의 하측면 테두리에는 소정 폭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 본체부의 외측 저면 중심에는 중앙 지지부가 구비된다. Preferably,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flower pot body portion, a suppor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edge of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and a central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of the flower pot body por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분 본체부의 공간내에 탈착 가능한 꽃꽂이용 수반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detachable accompaniment in the space of the pot body part.

이 경우, 상기 꽃꽂이용 수반의 저면에는 상기 화분 본체부 바닥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대응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arrangement accommodating to be fit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bod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cake-shaped plant pot for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ke-shaped plant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은 화분 본체부(20),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상면에 형성된 장식용 개방구(30), 상기 화분 본체부(20)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40), 및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바닥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분 본체부(20)는 일반적인 케익 모양인 원형 또는 다각형(육각형, 팔각형, 십이각형, 이십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a), 도1(b) 및 도1(c)는 화분 본체부(20)가 원형인 것을 도시하고, 도2(a), 도2(b) 및 도2(c)는 화분 본체부(20)가 팔각형인 것을 도시한다. 상기 화분 본체부(20)는 내부에 식재용 흙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측면을 따라 다양한 모양의 장식문양(22)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식문양(22)은 사과, 배, 옥수수, 바나나 등의 과일문양, 하트, 별 등의 문양, 폭죽, 촛대 등과 같은 사물문양 등 케익 모양과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문양을 포함한다. 장식용 개방구(3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용 화분이 설치된 실내 또는 실외 공간과 화분 본체부(20)의 내부 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개방됨과 동시에, 화분 본체부(20)의 상면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양한 모양의 장식은 원 모양, 하트 모양 또는 별 모양이다. 도1(a) 및 도2(a)는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상면에 원 모양의 장식용 개방구(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1(b) 및 도2(b)는 화분 본체부(20)의 상면에 하트 모양의 장식용 개방구(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1(c) 및 도2(c)는 화분 본체부(20)의 상면에 별 모양의 장식용 개방구(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바닥에는 다수의 통공(50)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는데, 화분 본체 내부에 담겨진 흙은 배출되지 않고, 식물에 뿌려진 물만이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2, the cake-shaped plant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tted plant body portion 20, the decorative opening 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ted body portion 20, the potted plant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support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2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0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ot body portion 20. The flower pot body 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ircular or polygonal (hexagonal, octagonal, decagonal, decagonal) of the general cake shape. 1 (a), 1 (b) and 1 (c) show that the potted plant body 20 is circular, and FIGS. 2 (a), 2 (b) and 2 (c) are potted plants It shows that the main body 20 is octagonal. The pot body portion 20 has a space for containing the soil for planting inside, the top is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ecorative pattern 22 of various shapes along the side of the pot body portion 20 is continuously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The decorative pattern 22 includes all kinds of patterns that can harmonize with the shape of the cake, such as fruit patterns such as apples, pears, corn, and bananas, patterns of hearts, stars, etc., objects of firecrackers, candlesticks, and the like. . The decorative opening 30 is open so that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oor or outdoor space with the planting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ner pot of the pot body part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 body part 20. Decorations of various shapes are formed to have a certain height. Preferably, the various shaped ornaments are circle, heart or star. 1 (a) and 2 (a) show that the decorative opening 30 of the circular shap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er pot body 20. Figure 1 (b) and Figure 2 (b) shows that the heart-shaped decorative opening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 body portion 20. 1 (c) and 2 (c) show that a star-shaped decorative opening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er pot body 2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0 are dri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pot body part 20, and the soil contained in the pot body is not discharged, and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only water sprayed on the plant is discharged. It is desirable to.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ke-shaped planter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 도3(b) 및 도3(c)를 참조하면, 꽃꽂이용 수반(60)이 화분 본체부(20) 내측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꽃꽂이용 수반(60)은 공지된 수반과 같이 그 내실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의 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반 내실에 공지의 침봉 등을 장착한 후, 꽃꽂이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꽃꽂이용 수반(60)의 저면에는 상기 화분 본체부(20) 바닥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50)과 대응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부재(6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 수반으로 전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꽃꽂이용 수반(60)을 화분 본체부(20)의 상측 장식용 개방구(30)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꽃꽂이용 수반(60)의 저면에 미리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62)가 상기 화분 본체부(20)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50)과 상호 맞물리도록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도3(a)는 원 모양의 꽃꽂이용 수반(60)이 원 모양의 장식용 개방구(30)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부(20)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b)는 하트 모양의 꽃꽂이용 수반(60)이 하트 모양의 장식용 개방구(30)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부(20)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c)는 별 모양의 꽃꽂이용 수반(60)이 별 모양의 장식용 개방구(30)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부(20)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a), 도3(b) 및 도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꽃꽂이용 수반(60)은 대응하는 장식용 개방구(30)의 문양 크기 보다 적어도 1cm 이상 작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꽃꽂이용 수반(60)을 장식용 개방구(30)를 통해 화분 본체부(20) 내측으로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ures 3 (a), 3 (b) and 3 (c), the flower arranging head 60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wer pot body 20. As for the flower arrangement 60, the wall of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long the perimeter so that water may be stored in the inner chamber like a well-known head. After attaching a well-known needle bar etc. to the said accompanying inner chamber, flower arrangement can be per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62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arrangement accommodating 60 so as to be fitt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5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body 20.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convert the potted planter into a flower arrangement head, the flower arrangement head 6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decorative opening 30 of the flower pot body 20 and the flower arrangement head 60.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62 formed in advance on the bottom of the) is fitted to be fixed to engage with the through-hole 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20. Fig. 3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ircular flower arrangement accompaniment 60 is mounted on the flower pot main body 20 having a circular decorative opening 30. Figure 3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rt-shaped flower arrangement accommodating head 60 is mounted on the flower pot body 20 having a heart-shaped decorative opening 30. Figure 3 (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tar-shaped flower arrangement head 60 is mounted to the potted plant body portion 20 having a star-shaped decorative opening 30. As can be seen in Figures 3 (a), 3 (b) and 3 (c), the flower arrangement head 60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1 cm smaller than the pattern size of the corresponding decorative opening 30. It is preferable. This is to make it easy to penetrate the flower arrangements 60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30 to the inside of the planter body 20.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이 벽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장착 상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10)은 그 화분 본체부(20)의 바닥면의 상측 중앙부에는 체결공(52)이 구비되고, 벽면 등에 고정된 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공(52)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화분 본체부(20)를 지지함으로써, 식재용 화분(10)을 실내 또는 실외이 벽면에 수직으로 걸어 장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분이 단순히 선반 등에 수평으로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 반면, 본 고안의 식재용 화분은 수평면에 놓아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 벽면에 거는 방식으로도 배치할 수 있는 바, 식재용 화분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Figure 4 is a moun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ke-shaped planter for pla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wall. 4, the cake-shaped plant po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52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 body portion 20, fixed to the wall or the like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nail is inserted to penetrate the fastening hole 52 to support the flower pot body 20 so that the planting pot 10 for indoor or outdoor can be vertically hanged on a wall surface. Therefore, while the conventional planter is simply configured to be placed horizontally on a shelf, etc., the planter for pla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not only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but also placed on a vertical wall, for planting. You can create various indoor spaces using flower pots.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저면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본체부(20)의 저면에는 본체부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통공(50) 및 체결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으로 일정하게 돌출되어 상기 화분 본체부(20)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40)가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본체 지지부(4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소정 폭의 지지면(44)이 형성되고, 그 지지면(44)은 선반 등에 수평으로 놓을 경우에는 선반 지면과 접하게 되고, 벽면 등에 수직으로 걸어 둘 경우에는 벽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외측 저면 중심부에는 화분 본체부(20)의 하중을 지탱하는 중앙 지지부(4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저면 중심부가 하측으로 늘어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고안의 상기 화분 본체부(20), 장식용 개방구(30), 및 본체 지지부(40)는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자기를 구워 제작할 경우, 굽는 단계에서 상기 화분 본체부(20)의 저면 중심부에 중앙 지지부(42)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화분 본체부 자체의 하중에 의해 화분 본체부 저면이 하측 방향으로 늘어져 화분 본체부 내측 저면이 움푹 패이게 된다. 따라서, 사전에 화분 본체부(20)의 저면 중심부에 중앙 지지부(4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화분 본체부(20) 자체의 하중을 지탱하여 화분 본체부 모양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도자기를 구워 제작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도자기로 제조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재용 화분은 플라스틱, 철강, 옥돌, 대리석 등의 재질로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ake-like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0 and fastening holes 52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ot body part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In addition,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40 which protrudes downward to support the potted body portion 20 is provided along the bottom rim of the potted body portion 20. A support surface 44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40, and the support surface 44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helf when placed horizontally on a shelf, and hangs vertically on the wall. In contact with the wall.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central support portion 42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planter body portion 20, the problem th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portion 20 hangs downward Prevent it beforehand. The plant pot body 20, the decorative opening 30, and the body support portion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duced in one piece. In particular, when baking ceramics, when the central support portion 42 is no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 body part 20 in the baking step, the bottom of the pot body part is stretch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pot body part itself. The inner bottom of the pot body is pitted. Therefore, the central support part 42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ot body part 20 in advance, thereby supporting the load of the pot body part 20 itself so that the shape of the pot body part can be maintained as it is. In the above, the baking and production of porcelai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ose skilled in the same industry will fully understand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e of porcelain. Therefore, th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from a material such as plastic, steel, jade, marble, or the like.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용 물받침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a는 물받침대(7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6b는 물받침대(7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6c는 화분 본체부(20)가 상기 물받침대(70)에 놓여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조립 상태도이다.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받침대(70)는 본체 지지부(40)가 놓여질 수 있는 장착홈(76)을 그 상측에 구비하고 있다. 화분 본체부(20)의 본체 지지부(40)는 상기 물받침대(70)의 장착홈(76)에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받침대(70)의 장착홈의 내경은 상기 본체 지지부(40)의 외경 보다 10mm 정도 크게 제작함으로써, 본체 지지부(40)를 상기 물받침대(70)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한다. 화분 본체부(20)가 물받침대(70)에 조립된 경우, 장착홈(76)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 지지부(40)의 내부에는 통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화분 관리 가능하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받침대(70)의 외측 저면 중심부에는 화분 본체부(20)는 물론 물받침대(70) 자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중앙 지지부(72)가 구비된다. 6 is a view showing a cake-shaped potting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ray 70 viewed from above,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p tray 70 viewed from below. 6C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 body part 20 is placed on the water support 70. As shown in Fig. 6A, the water support 70 has a mounting groove 76 on which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40 can be placed. The main body support part 40 of the pot body part 20 is assembled to the mounting groove 76 of the drip tray 70. Preferably,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groove of the drip tray 70 is about 10 mm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support 40, so that the main support 40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drip tray 70. . When the planter body 20 is assembled to the drip tray 70,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is stored inside the body support 40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76. Potted plants can be managed. As shown in FIG. 6B,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ort 70 is provided with a central support portion 72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water support 70 as well as the planter body 20.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화분의 구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us, for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ructure of the pot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limited by the claims that follow.

본 고안에 따른 꽃꽂이용 수반이 착탈 가능한 식재용 화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tted plant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식재용 화분을 파티, 축하, 기념, 행복 등의 긍정적인 컨셉을 가진 케익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이 제공하지 못하는 독특하고 개성있는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구매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First, by constructing a potted plant in the shape of a cake with a positive concept of party, celebration, commemoration, happiness, etc., it can provide a unique and unique aesthetic that conventional pots cannot provide, thus satisfying various tastes of buyers.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둘째, 파티, 축하, 기념, 행복 등의 긍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케익 모양으로 구성된 화분에 꽃을 식재하거나 꽃꽂이하여 실내에 비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화기애애하고 밝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Second, by planting or arranging flowers in a flower pot shaped like a cake that has positive meanings such as parties, celebrations, celebrations, happiness, etc., it has the effect of creating a more cheerful and bright atmosphere. .

세째, 실내의 벽면 등에 구비된 못 등의 걸림 부재가 화분 본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관통되게 걸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분을 벽면에 용이하게 걸어 장식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ird, the hanging member such as a nail provided in the wall of the room is configured to be hu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part can be easily hanged on the wall to decorate the bar, using th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to produce a variety of indoor space.

네째, 간단한 조작에 의해 꽃꽂이용 수반을 화분 본체부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재용 화분을 꽃꽂이용으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Fourth, by configuring the flower arrangement accommodating by a simple operation to be detachable in the space provided inside the pot body part, the planter can also be used as a flower arrange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ke-shaped planter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ke-shaped pla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ke-shaped planter pot removable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이 벽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장착 상태도이다. Figure 4 is a moun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ke-shaped planter for pla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wall.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의 저면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ake-like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용 물받침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ake-shaped potting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전형적인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typical flowerpo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식재용 화분 20 : 화분 본체부10: planter pot 20: potted plant body

30 : 장식용 개방구 40 : 본체 지지부30: decorative opening 40: body support

50 : 통공 60 : 꽃꽂이용 수반50: through-hole 60: accompanying flower arrangements

70 : 물받침대70: drip tray

Claims (7)

그 내부에 꽃꽂이용 수반이 착탈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에 있어서, In the cake-shaped planter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s inside, 그 내부에 식재용 흙이 담겨지는 공간을 가지고 그 외곽이 케익 모양으로 형성된 화분 본체부;Potted body portion having a space for planting soil therei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ke shape; 상기 화분 본체부의 상면에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장식용 개방구;Decorative opening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wer pot main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of decoration of various shapes; 상기 화분 본체부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 및A main body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t body; And 상기 화분 본체부의 바닥에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공;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bottom of the pot body;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Cake-shaped plant pots removable removable flower arrangement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 According to claim 1, Cake-shaped planting pots removable removable flower arrange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on of the various shapes along the side of the pot body portion is provided continuous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익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cake shape is a cake-shaped planting pots removable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or polygo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다양한 모양의 장식은 원 모양, 하트 모양 또는 별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decoration of the various shap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er pot body portion is a cake-shaped planting potted plant detachable with flower arrange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le shape, heart shape or star sha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부는 상기 화분 본체부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본체 지지부의 하측면 테두리에는 소정 폭의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 본체부의 외측 저면 중심에는 중앙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planter body portion, the lower surface edge of the main body support portion is formed a support surface of a predetermined width,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planter body portion A cake-shaped planter for removable flower arran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support is provid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부의 공간내에 탈착 가능한 꽃꽂이용 수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 3. The cake-shaped plant pot for plant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flower arrangement head detachable in a space of the flower pot body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꽃꽂이용 수반의 저면에는 상기 화분 본체부 바닥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대응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 7. The cake arrangement of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 arrangement accommodating portion so as to be fitt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body part. Planter.
KR20-2005-0013491U 2005-05-13 2005-05-13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Expired - Fee Related KR2003929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91U KR200392928Y1 (en) 2005-05-13 2005-05-13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91U KR200392928Y1 (en) 2005-05-13 2005-05-13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928Y1 true KR200392928Y1 (en) 2005-08-17

Family

ID=4369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9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2928Y1 (en) 2005-05-13 2005-05-13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92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0325B2 (en) Vase for use with food products
US6237508B1 (en) Stand convertible to a table or decorative container
KR200392928Y1 (en) A cake-shaped flowerpot provided with a detachable flower basin
KR200442233Y1 (en) Multi-stage food stand
JP3125736U (en) Ornamental plant set
KR20120069857A (en) Ornament for decorative flowerpot
KR20120074429A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s
KR200251271Y1 (en) The modeling decoration stand using a frame
JP2002315439A (en) Vertically arrangeable planting device
KR200182370Y1 (en) all direction set possibility decoration a pollen
KR200484187Y1 (en) Plant growing container
CN206442750U (en) A kind of holder for flower arrangement
JP3229809U (en) Ceramic flowerpot
KR20120010368A (en) Ornament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0258080Y1 (en) Flowerpot for Wall Hangings
CN214631403U (en) DIY independent assortment formula music pergola
JP2000014260A (en) Outer vessel for flower pot
CN202799767U (en) Splitting type flowerpot with flowerpot base
KR101230289B1 (en) Hydroponics growing pot for interier coupling structure
JP2000270678A (en) Desk lamp and decorative tool for raising and enjoying plant
KR200274703Y1 (en) A well-ventilated &amp; Beautiful flowerpot with two-wall
JP3069514U (en) Flower plant pot decoration stand
March Flower and Fruit Decoration (Excerpts)
KR0120125Y1 (en) Ornamental Multistage Flower Pot
KR200363010Y1 (en) a pot for growing vege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5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5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