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12Y1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0212Y1 KR200370212Y1 KR20-2004-0026739U KR20040026739U KR200370212Y1 KR 200370212 Y1 KR200370212 Y1 KR 200370212Y1 KR 20040026739 U KR20040026739 U KR 20040026739U KR 200370212 Y1 KR200370212 Y1 KR 2003702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luid
- upper housing
- protrusion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그 중앙부에는 하방을 향하는 하우징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돌출부에는 요홈이 마련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돌출부까지 관통된 상부관통공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압이 제공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하우징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돌출부의 요홈을 따라 전진 및 후퇴 가능한 상방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관통공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한 하방돌출부와, 상기 상방돌출부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일단까지 형성된 공압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돌출부의 외주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날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상부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입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판스프링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 유체유출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날개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핀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핀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되어, 공압 밸브에 공압이 제공되어 유체 배출구로 유체가 배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유입구를 통해 제공되는 유체가 유체유출구로 유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이어주거나 차단시키기 위하여 밸브를 사용한다. 이러한 밸브의 종류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공압 밸브이다.
이러한 종래의 공압 밸브는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와, 공압관을 가진다. 상기 유체유입구는 가스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곳이다. 상기 유체유출구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공압관은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를 필요에 따라 서로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는 상기 공압관으로 공압이 제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가 서로 연통되는 순간에는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 밸브는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가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될려면 상기 공압관을 통해서 공압이 제공되어야 하지만, 상기 공압관에 공압이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가 없어서 여러 가지의 안전 사고를 유발할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은 비용과 간단한 구조로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공압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압 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하우징 12. 하우징돌출부
14. 요홈 16. 상부관통공
20. 하부하우징 30. 연결부재
31. 몸체부 32. 상방돌출부
33. 날개부 34. 하방돌출부
35. 공압통로 40. 스프링
50. 스템 60. 판스프링
70. 유체유입구 80. 유체유출구
90. 작동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는, 그 중앙부에는 하방을 향하는 하우징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돌출부에는 요홈이 마련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돌출부까지 관통된 상부관통공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압이 제공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하우징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돌출부의 요홈을 따라 전진 및 후퇴 가능한 상방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관통공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한 하방돌출부와, 상기 상방돌출부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일단까지 형성된 공압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돌출부의 외주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날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상부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유입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 유체유출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날개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핀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핀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는의 상기 연결부재의 날개부의 각각의 끝단에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되는 제1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링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과 연결부재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의 상기 연결부재의 상방돌출부에는 제2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되는 제2링과, 상기 연결부재의 하방돌출부에는 제3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3수용홈에 삽입되는 제3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방돌출부와 하우징돌출부의 요홈 사이와, 상기 하방돌출부와 하부관통공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의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압 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100)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과, 연결부재(30)와, 스프링(40)과, 스템(50)과, 판스프링(60)과, 유체유입구(70)와, 유체유출구(80)와, 작동핀(9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은 그 중앙부에 하방을 향하는 하우징돌출부(12)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돌출부(12)에는 요홈(14)이 마련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돌출부(12)까지 관통된 상부관통공(16)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 등의 가스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0)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10)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22)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몸체부(31)와 상방돌출부(32)와 날개부(33)와 하방돌출부(34)와 공압통로(3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부(3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방돌출부(32)는 상기 몸체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돌출부(12)의 요홈(14)을 따라 전진 및 후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방돌출부(32)에는 제2수용홈(321)이 마련되며, 상기 제2수용홈(321)에는 제2링(37)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상방돌출부(32)와 하우징돌출부(12)의 요홈(14) 사이의 기밀이 상기 제2링(37)에 의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부(33)는 상기 몸체부(31)의 양단으로부터 좌, 우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벽과 밀착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33)의 각각의 끝단에는 제1수용홈(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수용홈(331)에는 제1링(36)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링(36)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과 연결부재(30)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하방돌출부(34)는 상기 몸체부(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20)의 하부관통공(22)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방돌출부(34)에는 제3수용홈(341)이 마련되며, 상기 제3수용홈(341)에는 제3링(38)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38)에 의해 상기 하방돌출부(34)와 하부관통공(22)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공압통로(35)는 상기 상방돌출부(32)로부터 상기 날개부(33)의 일단까지 형성되어 호스로부터 제공되는 공기 등의 가스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하우징돌출부(12)의 외주와 상기 몸체부(31)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10)과 날개부(33)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상부하우징(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스템(50)은 상기 연결부재(30)와 접촉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T' 자를 거꾸로 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판스프링(60)은 상기 스템(50)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5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유체유입구(70)는 상기 하부하우징(20)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된다.
상기 유체유출구(80)는 상기 유체유입구(70)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60)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70)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70)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6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 작동핀(90)은 상기 연결부재(30)의 날개부(3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핀(90)이 통과되는 작동핀관통공(18)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핀(90)은 상기 작동핀관통공(18)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핀(90)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80)로 유체가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상부관통공(16)을 통하여 공기 등의 가스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유체유입구(70)로 제공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으며, 상기 하우징돌출부(12)의 끝단과 상기 몸체부(31)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상기 스프링(40)에 의해서 유지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템(50)이 하방돌출부(34)에 의해 밀려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60)이 하방으로 쳐진 상태가 되어 상기 유체유입구(70)의 끝단과 유체유출구(80)의 끝단을 각각 밀폐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상부관통공(16)을 통하여 공기나 가스 등이 제공되어 공압이 발생하게 되면, 그 공기 등의 가스는 상기 공압통로(35)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상방돌출부(32)와 상기 하우징돌출부(12)의 요홈(14)의 내벽 사이는 상기 제2링(37)에 의해서 기밀이 견고히 유지가 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상부관통공(16)을 통과한 공기 등의 가스는 전부 상기 공압통로(35)로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공압통로(35)를 통과한 공기 등의 가스는 상기 날개부(33)와 하부하우징(20)의 상면 사이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링(36)에 의해서 상기 날개부(33)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측벽 간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공압통로(35)를 통해서 제공되어 상기 날개부(33)와 하부하우징(20)의 상면 사이로 유동된 공기 등의 가스의 힘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30) 전체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되면서 이동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방돌출부(32)는 상기 하우징돌출부(12)의 요홈(14)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방돌출부(34)가 상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템(50)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하방돌출부(34)는 상기 제3링(38)에 의해서 상기 하부관통공(22) 사이와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가 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체유입구(70)로부터 제공되는 유체에 의해서 밀어내는 힘과 상기 스템(50)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판스프링(6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60)이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솟은 형상이 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유체유입구(70)의 끝단을 막고 있었던 상기 판스프링(60)이 상방으로 볼록하게 솟은 형상을 함에 따라 상기 유체유입구(70)와 유체유출구(80)가 서로 연통되게 되어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날개부(33)의 상면에 위치하였던 상기 작동핀(90)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작동핀(90)은 상기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던 작동핀관통공(18)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핀(90)이 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유체유입구(70)로 제공된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하여 유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쉽게 상기 유체유출구(80)로 유체가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에 의하면, 적은 비용과 간단한 구조로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 그 중앙부에는 하방을 향하는 하우징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돌출부에는 요홈이 마련되며, 그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돌출부까지 관통된 상부관통공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압이 제공되는 상부하우징;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하우징;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돌출부의 요홈을 따라 전진 및 후퇴 가능한 상방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관통공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한 하방돌출부와, 상기 상방돌출부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일단까지 형성된 공압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재;상기 하우징돌출부의 외주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날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상부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상기 연결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템;상기 스템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상기 유체유입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 유체유출구; 및상기 연결부재의 날개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핀;를 구비하여,상기 작동핀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로 유체가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의 날개부의 각각의 끝단에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되는 제1링을 더 포함하여,상기 제1링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과 연결부재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의 상방돌출부에는 제2수용홈이 마련되며,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되는 제2링과,상기 연결부재의 하방돌출부에는 제3수용홈이 마련되며,상기 제3수용홈에 삽입되는 제3링을 더 포함하여,상기 상방돌출부와 하우징돌출부의 요홈 사이와, 상기 하방돌출부와 하부관통공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6739U KR200370212Y1 (ko) | 2004-09-17 | 2004-09-17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6739U KR200370212Y1 (ko) | 2004-09-17 | 2004-09-17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4465A Division KR20040096465A (ko) | 2004-09-17 | 2004-09-17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0212Y1 true KR200370212Y1 (ko) | 2004-12-14 |
Family
ID=4935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6739U KR200370212Y1 (ko) | 2004-09-17 | 2004-09-17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0212Y1 (ko) |
-
2004
- 2004-09-17 KR KR20-2004-0026739U patent/KR2003702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60090B2 (en) | Schrader valve/Presta valve dual-purpose valve cap | |
US7699290B2 (en) | Connection device for quickly connecting pneumatic hose | |
JP5710692B2 (ja) |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 |
JP5087126B2 (ja) |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 |
US7926783B1 (en) | Safety type quick release connector | |
US20070235677A1 (en) | Auto-switching valve connector for air pump | |
US8245722B2 (en) | Inflation nozz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two types of tire valves | |
US10247319B1 (en) | Pump head | |
TW201315919A (zh) | 可切換氣道的打氣筒風嘴頭 | |
US6401744B1 (en) | Valve actuator | |
US4616677A (en) | Manifold fitting for a compressed air tank | |
AU739666B2 (en) | Activation pin | |
KR200370212Y1 (ko)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
EP2390502A1 (en) | Inflation nozz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two types of tire valves | |
CN201487341U (zh) | 双用型气嘴装置 | |
KR20040096465A (ko) |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 |
KR200435431Y1 (ko) |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 |
CN111853272A (zh) | 阀 | |
KR200370211Y1 (ko) |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 |
US20050230499A1 (en) | Universal air nozzle adapter | |
KR100570344B1 (ko) |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 |
CN101988489B (zh) | 双用型气嘴装置 | |
CN210566457U (zh) | 一种单向阀 | |
KR100656316B1 (ko) |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 |
CN221347925U (zh) | 阀和具有其的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