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414Y1 -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0414Y1 KR200350414Y1 KR20-2004-0005111U KR20040005111U KR200350414Y1 KR 200350414 Y1 KR200350414 Y1 KR 200350414Y1 KR 20040005111 U KR20040005111 U KR 20040005111U KR 200350414 Y1 KR200350414 Y1 KR 2003504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ess
- time
- real
- predetermin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H02J13/00018—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using phone li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전반에 설치된 ESS가 동작되는 경우에 그 동작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의 정해진 시간에 배전반 감시 센터에 전달하는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동작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소정의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전반마다 설치되는 감지 세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본부 세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전반에 설치된 ESS가 동작되는 경우에 그 동작 정보를 실시간 또는 소정의 정해진 시간에 배전반 감시 센터에 전달하는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및 배전반 모니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를 구비하여 입력 전력이 각 부하로 분배되도록 하고 있다. 배전반에 장착된 ESS시스템은 60분의 1초 이하의 짧은순간에 전기를 제어하는 소프트 스위칭 시스템을 통해 부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고주파 발생, 효율저하 등의 부작용 없이 최대 30%의 절전효과와 누전, 감전 예방 등의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종래에는 ESS가 동작한 경우에 이를 원격에서 확인하는 시스템이 따로 없어서, ESS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가서 점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ESS가 동작한 경우에 즉,배전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원상복구를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ESS 또는 배전반에 발생한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필요한 부품이나 장비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ESS의 동작을 정기적으로 점검함으로써 배전반 사고의 예방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ESS가 동작한 경우에 동작 정보를 원격에서 실시간 또는 소정의 정해진 시간에 확인하는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수의 ESS 또는 배전반에 발생한 문제의 원인과 신속한 대응여부의 필요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는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배전반 감시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기존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의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동작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소정의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전반마다 설치되는 감지 세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본부 세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은 감지세트(100), 전송세트(200), 본부세트(300)을 포함한다. 전송세트(200)는 감지세트(100)에서직접 정보를 본부 세트(300)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지세트(100)는 바람직하게는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도시되지 않음), 상기 ESS의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베이스(110), 상기 감지된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부에 전달하며,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송신부에 전달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130),를 포함한다. 감지세트(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전반마다 설치된다.
감지세트(100)는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동작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소정의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ESS에서 외부 이상 전압 방지 및 이상전원 제거시 자동 재투입, 과부하 방지, 임계 누설전류 확인, 과전류 확인, 바이 패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정보를 ESS에서 인출선을 형성하여 이를 감지하게 된다.
전달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전화라인이며,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 전화기 사용 중인 경우에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정보를 전달한다.
전송 세트(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210),상기 수신된 정보를 전송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변환부(220),상기 변환된 정보를 전송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전달부(230),을 포함한다. 전송 세트(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세트(100)의 수와 대응한다.
전송 세트(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부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부 세트로 상기 정보를 전달한다. 감지 세트(100)에서 정보를 본부 세트(300)로 직접 전달하는 경우에는 전송 세트(200)는 필요없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세트(100)와 전송 세트(200)의 전송 수단은 무선이며, 전송 세트(200)와 본부 세트(300) 사이의 전송 수단은 전송수단은 전화기 라인 또는 모뎀이다.
본부 세트(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부(310), 상기 전달된 정보를 변환하여 저장하는 제2 데이터 베이스(320), 상기 제2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소정의 포맷을 형성하여 분류하여 출력부로 보내는 제어부(330),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출력하는 표시부(340),를 포함한다.
본부 세트(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본부 세트(300)에서는 상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경고 표시 기능을 하여, 신속한 대처를 요하는 ESS동작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알려 주게 된다. 반면 전달 수단으로 전화선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통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대를 이용한다. 여기서 소정의 포맷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ESS가 설치된 다수의 배전반에 따라 분류하며, 발생시간, 동작원인 등이 될 수 있다.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도 있다.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은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는 수단이 부착된 ESS; 상기 감지된 ESS의 동작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소정의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전반마다 설치되는 제 1세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 2세트;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10단계에서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한다. 520단계에서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530단계에서 감지된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한다. 540단계에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전달한다.
550,560단계에서 상기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570단계에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출력하며, 전달된 정보가 실시간 전달된 경우에는 소정의 알람 수단을 이용하여 경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ESS가 동작한 경우에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ESS 또는 배전반에 발생한 문제의 원인에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ESS의 동작 정보를 소정의 정해진 시간에 전달함으로써 정기점검 및 사고예방이 가능할 수 있다. 다수의 배전반에서의 문제를 한 곳에서 파악하여 신속한 대처의 선후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통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ESS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 배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동작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소정의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전반마다 설치되는 감지 세트;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본부 세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부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감지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부 세트로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전송 세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전송수단은 전화라인이며, 실시간 전달시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에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정보를 분전반 감시 센터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감지 세트와 상기 전송 세트의 전송 수단은 무선이며,상기 전송 세트와 상기 전송 세트 사이의 전송 수단은 전송수단은 전화기 라인 또는 모뎀임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본부 세트에는 상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경고 표시 기능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ESS에서 외부 이상 전압 방지 및 이상전원 제거시 자동 재투입, 과부하 방지, 임계 누설전류 확인, 과전류 확인, 바이 패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 ESS에서 인출선을 형성하여 이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 분전반에 장착된 ESS의 동작을 감지하는 수단이 부착된 ESS;상기 감지된 ESS의 동작 정보의 실시간 전달 여부를 판단하여, 실시간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실시간 전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소정의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전반마다 설치되는 제 1세트;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제 2세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ESS를 이용한 분전반 모니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5111U KR200350414Y1 (ko) | 2004-02-26 | 2004-02-26 |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5111U KR200350414Y1 (ko) | 2004-02-26 | 2004-02-26 |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0414Y1 true KR200350414Y1 (ko) | 2004-05-12 |
Family
ID=4934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5111U KR200350414Y1 (ko) | 2004-02-26 | 2004-02-26 |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041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036B1 (ko) * | 2008-03-14 | 2009-02-20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디지털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시뮬레이팅 장치 및시뮬레이팅 시스템 |
KR101270871B1 (ko) | 2012-04-23 | 2013-06-05 |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 장치 모니터링 프로그램 내 알람 방법 |
-
2004
- 2004-02-26 KR KR20-2004-0005111U patent/KR2003504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5036B1 (ko) * | 2008-03-14 | 2009-02-20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디지털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시뮬레이팅 장치 및시뮬레이팅 시스템 |
KR101270871B1 (ko) | 2012-04-23 | 2013-06-05 |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에너지 저장 장치 모니터링 프로그램 내 알람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459367A (zh) | 电控和保护设备 | |
KR20200059388A (ko) |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 |
KR101900730B1 (ko) | 디지털 보호 계전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 |
KR100825359B1 (ko) |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 |
KR102160425B1 (ko) |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 |
KR101652491B1 (ko) | Ac 및 dc전원 통합 접지 검출 장치 | |
US5838776A (en) | Power controller for a heating/air conditioning unit | |
KR20180096357A (ko) |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 |
KR200350414Y1 (ko) |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 |
KR101005089B1 (ko) |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 |
KR20160113784A (ko) |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 |
KR20180115451A (ko) | 보호 계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배전 장치 | |
KR20050084244A (ko) | 낙뢰 피해 보호 장치 | |
KR100341061B1 (ko) |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 |
KR100718496B1 (ko) |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분산전원 단독운전 방지장치 및 그를이용한 방법 | |
KR20130036560A (ko) |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원격 제어 및 상태감시 장치 | |
KR100960495B1 (ko) | 디지털 보호 계전기 | |
KR20160149979A (ko) | 서지 보호 장치 및 서지 보호를 위한 통신 방법 | |
KR101623759B1 (ko) | 수배전반의 기중 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CN211401511U (zh) | 应用于变电站的弹簧压力检测就地模块 | |
KR102259061B1 (ko) | 지능형 분전반 정보 알림 시스템 | |
JPH0438479A (ja) | 漏電系統検出装置 | |
KR0132449Y1 (ko) | 기중차단기의 통신장치 | |
CN210327002U (zh) | 一种带火警保护功能的自动重合闸保护开关 | |
JP4502997B2 (ja) | 電子機器保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