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58115Y1 - 관 연결용 소켓 - Google Patents

관 연결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115Y1
KR200358115Y1 KR20-2004-0013274U KR20040013274U KR200358115Y1 KR 200358115 Y1 KR200358115 Y1 KR 200358115Y1 KR 20040013274 U KR20040013274 U KR 20040013274U KR 200358115 Y1 KR200358115 Y1 KR 200358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ipe
present
synthetic resin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20-2004-0013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1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1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관을 이음하는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형태로 소켓을 구성하고 상기 소켓의 내부에는 망이 삽입되며 상기 소켓의 양측 끝단부에는 망과 연결된 채로 전선이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이음되는 관의 외경에 구애받지 않고 이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관을 이음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상의 합성수지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망이 삽입되며 양측 끝단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이 내부의 망과 연결된 채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연결용 소켓{Socket for connecting of pipe}
본 고안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관을 이음하는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형태로 소켓을 구성하고 상기 소켓의 내부에는 망이 삽입되며 상기 소켓의 양측 끝단부에는 망과 연결된 채로 전선이 외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이음되는 관의 외경에 구애받지 않고 이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관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의 관을 이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음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 관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외주연을 전선이 내장된 평판형 소켓으로 감싼 후 상기 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기 소켓과 이음되는 관을 열 융착되게 하는 방법으로 관의 이음 작업이 이루어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소켓(1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형으로 굽힘이 가능한 직사각의 평판형 소켓(10) 내부에 전선(11)을 내장하되 전선(11)의 양측 끝단은 소켓(10)의 양측 끝단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켓(10)을 사용하여 관(20)을 이음하는 방법은, 우선 이음되는 관(20)의 선단을 서로 밀착시킨 다음 상기 관(20)의 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외주연을 감싸듯이 상기 소켓(10)을 원형으로 둥글게 말고, 소켓(10)이 펴지지 않도록 밴드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해 고정시킨 다음 돌출된 전선(11)을 전원과 연결하면 상기 소켓 내부의 전선(11)에서 발열이 일어나 소켓(10)이 녹으면서 소켓(10)과 관(20)이 열 융착되어 관(20)의 이음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평판형 소켓은 관의 이음 작업시 일일이 관 형태로 구부려야 하므로 관의 이음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또한 관 이음을 위해 소켓을 둥글게 할 경우 소켓의 길이에 따라 소켓의 내경이 일정하므로 이음되는 관의 외경이 서로 상이하여 단차가 생기는 경우나, 상기 구부린 상태의 소켓의 몸체 내경보다 이음되는 관의 외구경이 클 경우나, 혹은 작을 경우에는 이음 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평판형의 소켓을 길이별로 나누어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에 있었다.
그리고 소켓 내부에 성형되는 전선의 구성 또한 소켓 내에서 발열이 신속하고 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고 일부분에 집중 분포되어 발열이 저조하고 소켓과 관과의 열 융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관 이음의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경이 가변 가능하도록 소켓을 스프링 형태로 구성하고 내부에는 망을 삽입하여 열의 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관 이음 작업시 소켓을 별도로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소켓 내경의 가변이 가능하므로 이음되는 관의 외경이 서로 상이하거나, 관의 외경이 조금 작거나 클 경우의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하며, 소켓과 관의 열 융착이 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있도록 한 관 연결용 소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용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소켓 11:전선 12:망
20: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관을 이음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상의 합성수지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망이 삽입되며 양측 끝단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이 내부의 망과 연결된 채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망은, 메탈레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망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는 소켓(10)과, 상기 소켓(10) 내부에 삽입되는 망(12)과, 상기 망(12)과 연결된 채로 소켓(10)의 양측 끝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전선(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10)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음된 관의 외경에 따라 내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망(12)은 열전도가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관계없으나 메탈레스(METAL LATH)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재질은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11)은 망(12)과 연결된 채로 소켓(10)의 양측 끝단 외부로 돌출구성되게 형성되며 재질은 구리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켓(10)을 스프링 형태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망(12)이 삽입되며, 소켓(10)의 양측 끝단에는 망(12)과 연결된 채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선(11)을 형성함으로써, 이음되는 관(20)의 외경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관(20) 이음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의 소켓(10) 내측에 이음되는 관(20)이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본 고안의 소켓(10)은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경이 손쉽게 늘어나거나 수축되어 이음되는 관(20)과의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이음되는 관(20)의 외경 크기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켓(10) 내측에 이음되는 관(20)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소켓(10)을 이음된 관(2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당겨서 밀착시키고, 소켓(10)을 양측에서 밀어 소켓(10) 자체의 틈새가 없도록 밀착시킨 후 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밴드(미도시 함) 등의 고정수단으로 소켓(10)을 고정한다.
그리고 소켓(10) 양측 끝단으로 돌출된 전선(11)을 전원의 +, - 극과 연결하면 전류가 소켓(10) 내부의 망(12)에 전달되어 망(12) 자체에 발열이 일어나 이음되는 관(20)과 소켓(10)의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소켓(10) 내부에 고르게 분포된 망(12)에 발열이 일어나므로 이음되는 관(20)과 소켓(10)에 열융착이 일어남은 물론, 소켓(10) 자체 즉, 소켓(10)이 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틈새가 벌어진 상태로 되어 있었으나 망(12)에 발열이 일어남과 동시에 소켓(10) 자체의 틈새들도 열융착되어 완벽한 관(10) 이음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경이 가변 가능토록 스프링형태로 소켓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망을 삽입함으로써, 이음되는 관의 외경에 관계없이 관의 이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 이음작업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제 관을 이음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상의 합성수지제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망이 삽입되며 양측 끝단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이 내부의 망과 연결된 채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메탈레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소켓.
KR20-2004-0013274U 2004-05-13 2004-05-13 관 연결용 소켓 Expired - Fee Related KR200358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74U KR200358115Y1 (ko) 2004-05-13 2004-05-13 관 연결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74U KR200358115Y1 (ko) 2004-05-13 2004-05-13 관 연결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115Y1 true KR200358115Y1 (ko) 2004-08-05

Family

ID=4943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7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58115Y1 (ko) 2004-05-13 2004-05-13 관 연결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1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64721T3 (es) Pieza de union moldeada para conexiones de derivacion en una tuberia.
PT92965B (pt) Sistema de uniao por soldadura de elementos tubulares encaixaveis
KR200393028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0358115Y1 (ko) 관 연결용 소켓
CN212823711U (zh) 一种方便焊接的管体连接结构
JP2011117563A (ja) 電気融着継手
CN209430935U (zh) 一种热熔管件
CN210866524U (zh) 新型焊锡环防水型热缩管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WO2005001367A3 (en) Finned tube with vortex generators for a heat exchanger
KR100562782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CN105414720B (zh) 一种焊枪壳体以及具有该壳体的焊枪
CN205606032U (zh) 能够连接电缆的管接头
DK1166005T3 (da) Fremgangsmåde til samling af spiralviklede rör
KR100922342B1 (ko) 탄산가스용접기의 토치헤드 동선용접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20110072969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0351693Y1 (ko) 용접케이블용 콘넥터
KR20030042773A (ko)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KR200348799Y1 (ko) 관 연결용 소켓
JP2004360932A (ja) 熱交換器用パイプ
KR200341400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CN201772182U (zh) 用于小口径塑钢排水管材的电热熔连接管件
KR200242532Y1 (ko)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KR100396291B1 (ko)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KR100395785B1 (ko) 파형강관의 연결부재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5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30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