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140Y1 -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7140Y1 KR200347140Y1 KR20-2004-0000342U KR20040000342U KR200347140Y1 KR 200347140 Y1 KR200347140 Y1 KR 200347140Y1 KR 20040000342 U KR20040000342 U KR 20040000342U KR 200347140 Y1 KR200347140 Y1 KR 2003471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cap
- opening
- beverage
- cap bod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2—Caps or cap-like covers with elastic parts adapted to be stretched over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캡몸체에 지렛대 구조로 탄성 설치된 개폐부재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동안은 음료의 유출구가 항상 자동으로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널리 음료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캡몸체에 지렛대 구조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개폐부재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동안은 항상 자동으로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음료용기용 원터치 개폐형 캡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나 각종 음료수와 같은 음료를 담는 병이나 플라스틱 용기와 같은 음료용 용기에는 캡(뚜껑)이 설치되어, 용기내에 담긴 음료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로부터 음료를 인출할 때에는 물론 캡을 열어 용기로부터 분리한 다음 용기의 입구를 통해 직접 음료를 따라 먹을 수도 있지만, 이는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캡몸체에 개폐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캡을 용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개폐구조를 통해 음료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형태의 개폐식 캡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에 설치되는 캡은 보온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성이 요구되어 비교적 고가로 제작되는 보온병용 캡과 달리, 단순한 개폐기능만이 요구되고 수요가 광범위한 만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하여야 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종래의 음료용기용 캡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음료용기와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단순한 절첩구조에 의해 캡몸체(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개폐부재(2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개폐부재(20)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형태의 캡은 가장 저렴하고 기본적인 형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매번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개폐부재에 작용력을 가하여 열림과 닫힘을 설정하여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상기 캡에 설치된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용기가 넘어져 음료가 쏟아져 불의의 낭패를 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이는 사용자가 음료를 따를 때에는 부득이 개폐부재를 열어 사용하지만 사용후에는 닫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두는 경우가 많은 현실로 인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음료용기용 캡으로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면서도, 사용후에는 사용자의 작용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닫혀서 항상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원터치 개폐형 캡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소화된 구조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항상 닫힘상태가 유지되어 부주의에 의해 음료가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원터치 개폐형 캡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음료용기용 캡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의 전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의 작용상태도로서, (a)는 외부작용력이 제공되지 않을 때, (b)는 외부작용력이 제공될 때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캡
10. 캡몸체 11. 배출부
12. 유출구 13. 나사산
14. 스토퍼 15. 수용홈
20. 개폐부재 21. 차폐부
21a. 차폐돌기 22. 작동부
23. 탄성스프링 24. 회동축
24a. 축 24b. 축공
100. 음료용기 110. 용기입구
111. 나사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음료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와 음료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캡몸체 및 상기 캡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음료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전반부의 차폐부와 후반부의 작동부로 구성되어,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회동축 결합부에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렛대 구조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의 하부에는 작동부가 항시 상향 탄발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는 캡몸체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보다 연장되고, 상기 유출구와 상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작동부에의 가압 또는 스프링의 상향 탄발력의 작용에 의해 유출구에 삽입/탈리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차폐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의 말단은 캡몸체에서 연장된 스토퍼에 의해 가압되어 작용력이 제공되지 않는 동안에도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몸체에는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함몰된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음료의 배출방향이 직교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자연스럽게 흘러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소화된 구조의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구조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1)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료용기의 개방부와 이음되는 캡몸체(10)와, 상기 캡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유출구(12)의 열림과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개폐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캡몸체(10)의 내경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산(13)이 형성되어 음료용기(100)의 입구(110)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111)과 상호 이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음료용기(100)와 캡(1)의 결합방식은 본 실시예에 나타낸 나사결합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과 캡에 형성된 요홈을 끼워 맞춰 결합하는 방식 등 용기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여러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 도 3에서는 병형태의 음료용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각이나 원형의 플라스틱용기 등 음료용기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용기의 형태에 맞게 캡몸체의 형태를 성형하고 적합한 결합형태를 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캡몸체(10)의 상부에는 유출구(12)를 중심으로 배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으로 보아, 상기 캡몸체(10)에 형성된 배출부(11)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또 상기 배출부(11)에 형성된 유출구(12)의 배출방향이 직교방향을 기준으로 7°정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유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자연스럽게 흘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몸체(1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개폐부재(20)가 지렛대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20)는 길다란 판상이며, 중심부 근처를 가로질러 회동축(24)이 형성되어 이 회동축(24)이 캡몸체(10)에 결합되어 이 회동축(24)을 중심으로 개폐부재(20)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지렛대 구조를 이룬다.
상기 회동축(24)에 의해 분할된 개폐부재(20)의 전반부는 유출구(12)의 개폐를 주관하는 차폐부(21)를, 후반부는 상기 차폐부(21)가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작동부(22)를 형성한다.
상기 작동부(22)의 후미부분 하부에는 일단이 캡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탄성스프링 수용홈(15)에 안착된 탄성스프링(23)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동부(22)는 이 탄성스프링(23)에 의해 항시 상향 탄발력을 제공받게 된다. 그리고, 캡몸체(10)의 일부분은 작동부(22)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스토퍼(14)를 형성하여 작동부(22)의 후단을 가압함으로써 작용력이 제공되지 않는 동안에는 개폐부재(20)가 안정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개폐부재(20)의 선반부에 형성된 차폐부(21)는 유출구(12)를 덮고 캡몸체(10)의 가장자리까지 이르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 차폐부(21)가 유출구(12)와 만나는 부위에는 유출구에 삽입되어 유출구(12)를 폐쇄할 수 있도록 유출구에 맞게 차폐돌기(21a)가 형성된다. 이 차폐돌기(21a)는 외부 작용력이 제공되지 않는 동안에는 유출구(12)에 삽입되어 유출구(12)를 폐쇄하고 있다가 작동부(22)가 가압되면 유출구(12)로부터 탈리되어 유출구를 개방시킨다.
상기 차폐부(21)와 작동부(22)는 플라스틱 사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제조 원가의 절감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폐부(21)와 작동부(22)의 연동에 의한 개폐작용은 상기 회동축(24)을 중심으로 지렛대 원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24)의 형성구조는, 개폐부재(20) 양측에 몸체와 일체화된 회동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돌기가 안착되는 캡몸체(10)에 회동돌기 수용부(미도시)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20)에 축공(24b)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24b)에 캡몸체(10)에 형성된 회동축 결합공(미도시)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축(24a)을 삽입/설치함으로써, 상기 축(24b)에 의해 개폐부재(20)가 캡몸체(10)에 지렛대 구조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축(24a)은 이분화되게 제작하여, 조립의 용이성이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외부작용력이 제공되지 않는 동안, (b)는 외부작용력이 제공되는 동안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0)의 작동부(22)에 별도의 외부작용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가압부는 하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23)의 상향 탄발력에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스토퍼(14)에 의해 차단되는 위치까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차폐부(21)는 하강하여 유출구(12)를 폐쇄함으로써 캡몸체(10)의 유출구(12)가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부재(20)의 작동부(22)를 가압하여 개폐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작동부(22)가 하강하게 되면, 캡몸체(10)에 지렛대 구조로 설치된 차폐부(21)는 캡몸체(10)에서 이격되고, 그에 따라 개폐부재(20)의 선단에 구비된 차폐돌기(21a)는 유출구(12)에서 탈리되므로, 음료용기(100)내의 음료는 유출구(12)를 통해 유출되어 배출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개폐부재(20)는 탄성스프링(23)의 복원탄발력에 의해 회동하여 다시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닫힘상태로 돌아가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음료용기가 넘어지더라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은, 간단한 밀폐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음료용기용 캡들이 추구하는 저렴한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는 회동축에 의해 지렛대 구조로 캡몸체에 설치되고 일단이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작용력이 작용하지 않는 동안은 캡몸체에 형성된 유출구는 개폐부재에 형성된 차폐돌기에 의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와 함께, 종래 용기가 넘어져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자가 낭패를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캡은 기본적으로 음료수나 생수 등의 음용수등 음료용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지만, 반드시 음료용 용기에 사용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 소량의 액체나 가루 등을 담아 놓고 자주 사용하는 다른 용기의 캡으로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3)
- 음료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와 음료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 캡몸체 및 상기 캡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한 음료용기용 캡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전반부의 차폐부와 후반부의 작동부로 구성되어,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회동축 결합부에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렛대 구조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의 하부에는 작동부가 항시 상향 탄발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는 캡몸체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보다 연장되고, 상기 유출구와 상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작동부에의 가압 또는 스프링의 상향 탄발력의 작용에 의해 유출구에 삽입/탈리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차폐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말단은 캡몸체에서 연장된 스토퍼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작용력이 제공되지 않는 동안에도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에는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함몰된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음료의 배출방향이 직교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10°정도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자연스럽게 흘러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0342U KR200347140Y1 (ko) | 2004-01-07 | 2004-01-07 |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0342U KR200347140Y1 (ko) | 2004-01-07 | 2004-01-07 |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7140Y1 true KR200347140Y1 (ko) | 2004-04-08 |
Family
ID=4942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0342U KR200347140Y1 (ko) | 2004-01-07 | 2004-01-07 |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714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4834B1 (ko) * | 2013-09-09 | 2015-03-20 | 김충구 |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캡 |
-
2004
- 2004-01-07 KR KR20-2004-0000342U patent/KR2003471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4834B1 (ko) * | 2013-09-09 | 2015-03-20 | 김충구 |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348146A1 (en) | Water bottle | |
KR101774175B1 (ko) |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 |
US8276783B2 (en) |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 |
EP3638602B1 (en) | Cap assemblies with magnetic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and drink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 |
RU2569787C2 (ru) | Крышка емкости | |
CN1232771A (zh) | 饮料容器的盖体 | |
JP6329444B2 (ja) | 逆止弁付き容器用キャップ | |
RU2673763C2 (ru) | Кры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 |
CA2320789C (en) | Hybrid beverage container | |
US20170265674A1 (en) | Cup with filtering system | |
US7775400B2 (en) | Rotatable, reclosable closure | |
KR200347140Y1 (ko) |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 |
KR101903558B1 (ko) | 텀블러 뚜껑 | |
US20080185404A1 (en) | Beverage server | |
US11700968B2 (en) | Infuser container | |
WO2010004252A2 (en) |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 |
KR200315702Y1 (ko) | 음료용기의 마개 | |
KR19980061202U (ko) |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 |
KR200230231Y1 (ko) | 액체 용기용 뚜껑 | |
KR102704939B1 (ko) |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 |
KR20030027931A (ko) | 음료용기의 마개 | |
KR101810558B1 (ko) |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 |
US12012264B2 (en) | Water bottle | |
KR200233050Y1 (ko) |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 |
KR102594347B1 (ko) |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28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