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140Y1 -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Google Patents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6140Y1 KR200346140Y1 KR20-2004-0000228U KR20040000228U KR200346140Y1 KR 200346140 Y1 KR200346140 Y1 KR 200346140Y1 KR 20040000228 U KR20040000228 U KR 20040000228U KR 200346140 Y1 KR200346140 Y1 KR 2003461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dryer
- room temperature
- grains
- circul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3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2/95—Fluidised-bed dry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0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articles, e.g. can lids, discs, being conveyed by means of rotating screw spind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관한 것으로,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하부 통기구에 곡물이 균일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삼각 다공덕트 방식으로 설치하고 다수의 배출장치를 형성한 균일 순환 장치가 마련된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4각기둥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는 건조기 본체와,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 투입된 곡물이 이송되는 승강기, 승강되는 곡물을 건조기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이송장치, 상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을 건조기의 내부에 골고루 적재되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장치 및 건조기에 적재된 곡물을 균일하게 순환시키는 순환장치가 마련되는 상온통풍식 건조기에 있어서, 순환장치는, 건조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역삼각형의 배출단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덕트가 마련되며, 배출덕트의 하부에 배출되는 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는 로터리형 조출장치가 마련되고, 조출장치의 하부에는 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제 1하부이송장치가 마련되고, 제 1하부 이송장치의 하부에는 이송되는 곡물을 승강기 측으로 이송하는 제 2하부 이송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순환되지 못하는 곡물이 없도록 균일 순환을 가능케 함으로써, 고수분대의 곡물이나 수분의 편차가 큰 곡물을 건조할 경우에도 정체되는 곡물층이 없이 균일 순환되어 건조 후 수분 편차가 줄게 되어 건조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건조도중 순환이 가능하여 저장중 수분조절을 위한 순환시에도 건조기 내의 모든 곡물이 교반되어 곡물저장에 대한 위험이 한층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하부 통기구에 곡물이 균일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삼각 다공덕트 방식으로 설치하고 다수의 배출장치를 형성한 균일 순환 장치가 마련된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건조공정은 곡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곡물저장에 적합한 함수율로 조정하여 저장중 발생할 수 있는 곡물의 부패를 방지하여 곡물의 장기저장을 가능하게 하고, 미곡가공에 적합한 상태의 함수율로 조정해 주기 위하여 수행된다.
특히, 벼를 건조하는 방법중 천일 건조를 제외한 방법으로는 열풍건조 방식과 상온통풍건조 방식이 있다.
여기서, 열풍건조 방법은 일정량을 반복순환 시키면서 다공 터널을 지날 때 열풍을 가하여 건조하는 방법(순환식)과, 반복순환하지 않고 다수의 다공 터널을 지나게 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연속식)이 있다.
그리고, 상온통풍건조 방식은 열풍을 가하지 않고 상온의 공기를 강제 송풍팬에 의해 적층된 곡물에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곡물이 열풍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되고 있으나 고품질 쌀 등의 품질 선호경향에 발맞추어 상온통풍 건조방식의 쓰임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온의 공기를 이용한 상온통풍곡물건조기는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시판,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하부의 통기구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통기마루식(플랫타입)과 호퍼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온통풍 건조기의 경우 그 용량이 방대하여 건조뿐만 아니라 저장에도 함께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확시기에 따른 수분의 차이로 여러날에 걸친 건조 기간중 순환을 필요로 하게 되며, 저장중에도 수분의 조절을 위해 순환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퍼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10)는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11)와 투입된 곡물이 이송되는 승강기(12) 및 상부 이송장치(13), 분산장치(14)로 구성되어 있으며, 곡물은 통기마루(15)의 원주를 따라 공전하며 중심 방향으로 곡물을 이송시키는 교반장치(16)에 의해 순환 및 배출되며, 건조 용량만큼의 곡물이 통기마루(15)에 이르게 되면 송풍팬에 의해 강제 송풍된 공기가 통기마루(15)를 통해 곡물을 연직 상향으로 통과하면서 곡물이 가진 수분이 제거되며, 하부이송장치(17)에 의해 배출된다.
그리고, 호퍼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20)는 상술한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10)의 구조와 유사하며 건조기의 하부에 곡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호퍼(26)가 형성되고, 호퍼(26)의 중심부에는 고수분에 곡물 덩어리를 붕괴시키기 위한 교반장치(25)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10) 또는 호퍼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20)는 고수분의 곡물이 적층 되어 있으면서 정체된 부분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로서 이의 대안으로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10)에서는 원형 사일로의 통기마루(15)의 원주를 공전하면서 회전되는 스크루가 중앙의 배출구로 곡물을 이송시켜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호퍼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20) 에서는 하부의 형태를 호퍼형상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배출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작업자가 일일이 곡물의 순환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확인을 한다 하더라도 곡물이 균일하게 순환되는 듯 하나 건조기 내부에서는 정체된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10)나 호퍼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20)는 곡물의 균일한 순환이 어렵기 때문에 건조중 순환 자체가 완전하지 못하며, 강제적인 순환을 하더라도 정체 부분의 미순환으로 인한 수분편차를 가져와 건조기의 건조성능 및 곡물의 저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그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온통풍건조기의 외형 단면을 사각 빈 타입으로 설계하고 하측면의 정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평행한 다수의 배출장치를 배열하여 동일 높이에 적층된 곡물이 동시에 붕괴될 수 있도록 하고, 감시창을 두어 곡물의 유하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곡물이 균일하게 순환될 수 있는 균일 순환 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퍼타입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나타낸 간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구조를 나다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구조를 나다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주요부인 균일 순환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본체 31 : 투입호퍼
32 : 승강기 33 : 상부 이송장치
35 : 투시창 36 : 제어장치
40 : 균일 순환장치 42 : 배출덕트
43 : 경사면 44 : 조출장치
46 : 제 1하부 이송장치 48 : 제 2하부 이송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는, 4각기둥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는 건조기 본체와,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 투입된 곡물이 이송되는 승강기, 승강되는 곡물을 건조기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이송장치, 상기 상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을 건조기의 내부에 골고루 적재되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장치 및 상기 건조기에 적재된 곡물을 균일하게 순환시키는 순환장치가 마련되는 상온통풍식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는, 상기 건조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역삼각형의 배출단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덕트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덕트의 하부에 배출되는 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는 로터리형 조출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조출장치의 하부에는 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제 1하부이송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 1하부 이송장치의 하부에는 이송되는 곡물을 상기 승강기 측으로 이송하는 제 2하부 이송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건조기의 내측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고 삼각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1분리덕트와; 상기 제 1분리덕트의 양측에 상기 제 1분리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분리덕트에 비하여 다소 작은 단면의 크기로 마련되는 한쌍의 제 2분리덕트와; 상기 건조기의 일면과 타면에 인접한 양면에서 상기 제 2분리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경사덕트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출장치는, 상기 배출덕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각 배출덕트의 사이로 배출되는 곡물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배출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는 다수의 조출날개가 형성되는 로터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하부 이송장치는, 상기 배출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모아주도록 중앙부에 절곡면이 형성되는 경사판이 마련되고, 상기 경사판의 중앙 상부에는 경사판으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스크루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하부 이송장치는, 상기 제 1하부 이송장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곡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형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 마련되어 곡물을 이송시키는 제 2스크루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를 나다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구조를 나다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는 곡물이 저장되고 4각기둥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35)이 형성된 건조기 본체(30)와,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31)와 투입된 곡물이 이송되는 승강기(32)와, 상기 승강기(32)에 의해 승강되는 곡물을 건조기(30)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이송장치(33), 상기 상부 이송장치(33)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을 건조기(30)의 내부에 골고루 적재되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장치(미도시), 상기 건조기(30)에 적재된 곡물을 균일하게 배출시키는 균일 순환장치(40) 및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6)로 구성된다.
여기서, 투입호퍼(31), 승강기(32), 상부 이송장치(33), 분산장치 등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주요부분인 균일 순환장치(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주요부인 균일 순환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 순환장치(40)는, 4각 기둥형상의 상기 건조기(30)의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개방되는 삼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덕트(42)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덕트(42)의 하부에는 배출덕트(42)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는 로터리형 조출장치(44)가 마련되며, 상기 조출장치(44)의 하부에는 조출장치(44)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제 1하부이송장치(46)가 마련되고, 상기 제 1하부 이송장치(46)의 하부에는 이송되는 곡물을 상기 승강기(32) 측으로 이송하는 제 2하부 이송장치(48)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덕트(42)는, 상기 건조기(30)의 내측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고 삼각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1분리덕트(42a)가 마련되고, 상기 제 1분리덕트(42a)의 양측에는 상기 제 1분리덕트(42a)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1분리덕트(42a)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분리덕트(42a)에 비하여 다소 작은 단면의 크기를 갖는 한쌍의 제 2분리덕트(42b)가 마련되며, 상기 각 제 2분리덕트(42b)의 외측으로는 상기 건조기(30)의 내벽에서 연장되어 상기 각 제 2분리덕트(42b)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역삼각형의 곡물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경사덕트(42c)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 덕트(42a, 42b, 42c)의 양측단부에는 각 덕트(42a, 42b, 42c)의 사이로 자중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경사면(43)이 형성되며, 각 경사면(43)의 사이에는 배출되는 곡물이 일정한 양으로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로터리형 조출장치(44)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조출장치(44)는 상기 각 덕트(42a, 42b, 42c)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면(43)에 인접하도록 다수의조출날개(44b)가 형성되는 로터리(44a)가 마련되며, 각 로터리(44a)는 동력연결수단(예를 들어 체인, 벨트 등)에 의해 하나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2분리덕트(42b)의 하부에는 상기 제 2분리덕트(42b)의 양측 하부의 상기 조출장치(44)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교반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제 1하부 이송장치(46)가 마련되며, 상기 제 1하부 이송장치(46)는 상기 조출장치(44)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출장치(44)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모아주도록 중앙부에 절곡면이 형성되는 경사판(46a)이 마련되고, 상기 경사판(46a)의 중앙 상부에는 경사판(46a)으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스크루(46b)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 1하부 이송장치(46)의 일단에는 이송되는 곡물을 상기 승강기(32)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하부 이송장치(48)가 마련되며, 상기 제 2하부 이송장치(48)는 곡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형의 이송관(48a)과, 상기 이송관(48a)의 내부에 마련되어 곡물을 이송시키는 제 2스크루(48b)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건조기(30)의 투입호퍼(31)를 통하여 곡물이 투입되면 투입되는 곡물은 상기 승강기(32)에 의해 상기 건조기(30)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건조기(3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곡물은 상기 승강기(32)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상부 이송장치(33)에 의해 상기 건조기(3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건조기(3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곡물은 상기 건조기(30)의 내부 상측에 마련된 분산장치(미도시)에 의해 건조기(30)에 내부에 균일한 높이로 적재된다.
이때, 적재되는 곡물은 자중에 의해 제 1분리덕트(42a), 제 2분리덕트(42b) 및 경사덕트(42c)에 의해 형성되는 역삼각형의 배출경로에 적재된다.
이후, 건조기(30)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장치(36)를 조작하여 균일 순환장치(40)를 작동시키면, 각 덕트(42a, 42b, 42c)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경로에 적재된 곡물이 상기 조출장치(44)의 작동에 따라 각 덕트(42a, 42b, 42c)의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곡물들은 상기 로터리에 형성된 조출날개(46a)에 의해 상기 로터리(44a)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일정한 양으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곡물은 조출장치(44)의 하부에 마련된 제 1하부 이송장치(46)로 매출된다.
그리고, 제 1하부 이송장치(46)로 배출된 곡물들은 제 1하부 이송장치(46)의 제 1스크류(46b)에 의해 제 2하부 이송장치(48)로 이송되며, 제 2하부 이송장치(48)로 이송된 곡물은 상기 제 2하부 이송장치(48)의 제 2스크루(48b)에 의해 상기 승강기(32) 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승강기(32)로 이송된 곡물들은 상기 승강기(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이송장치(33)로 이송된다.
이후, 상기 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건조기에 적재된 곡물을 이송시키면서 건물의 건조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는, 정체현상에 의해 순환되지 못하는 곡물이 없도록 균일 순환을 가능케 함으로써, 고수분대의 곡물이나 수분의 편차가 큰 곡물을 건조할 경우에도 정체되는 곡물층이 없이 균일 순환되어 건조 후 수분 편차가 줄게 되어 건조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건조도중 순환이 가능하여 저장중 수분조절을 위한 순환시에도 건조기 내의 모든 곡물이 교반되어 곡물저장에 대한 위험이 한층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4각기둥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는 건조기 본체와,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 투입된 곡물이 이송되는 승강기, 승강되는 곡물을 건조기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이송장치, 상기 상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을 건조기의 내부에 골고루 적재되도록 분산시키는 분산장치 및 상기 건조기에 적재된 곡물을 균일하게 순환시키는 순환장치가 마련되는 상온통풍식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는,상기 건조기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역삼각형의 배출단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배출덕트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덕트의 하부에 배출되는 곡물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하는 로터리형 조출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조출장치의 하부에는 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제 1하부이송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 1하부 이송장치의 하부에는 이송되는 곡물을 상기 승강기 측으로 이송하는 제 2하부 이송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는,상기 건조기의 내측 일면에서 타면으로 연장되고 삼각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제 1분리덕트와;상기 제 1분리덕트의 양측에 상기 제 1분리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분리덕트에 비하여 다소 작은 단면의 크기로 마련되는 한쌍의 제 2분리덕트와;상기 건조기의 일면과 타면에 인접한 양면에서 상기 제 2분리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경사덕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장치는,상기 배출덕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각 배출덕트의 사이로 배출되는 곡물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경사면과;상기 배출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는 다수의 조출날개가 형성되는 로터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제 1하부 이송장치는,상기 배출덕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곡물을 모아주도록 중앙부에 절곡면이 형성되는 경사판이 마련되고,상기 경사판의 중앙 상부에는 경사판으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스크루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제 1항에 있어서, 제 2하부 이송장치는,상기 제 1하부 이송장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곡물이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원형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 마련되어 곡물을 이송시키는 제 2스크루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0228U KR200346140Y1 (ko) | 2004-01-06 | 2004-01-06 |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0228U KR200346140Y1 (ko) | 2004-01-06 | 2004-01-06 |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6140Y1 true KR200346140Y1 (ko) | 2004-03-31 |
Family
ID=4934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0228U KR200346140Y1 (ko) | 2004-01-06 | 2004-01-06 |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614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2975B1 (ko) | 2021-11-23 | 2022-11-30 | 김공배 | 곡물 연속 건조 장치 |
-
2004
- 2004-01-06 KR KR20-2004-0000228U patent/KR2003461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2975B1 (ko) | 2021-11-23 | 2022-11-30 | 김공배 | 곡물 연속 건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531380U (zh) | 一种饲料烘干装置 | |
EP3040666B1 (en) | Drying method, drying device, and drying system making use of temperature differential | |
RU2382304C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 |
KR200346140Y1 (ko) |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순환식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
EP1245919A1 (en) |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unpackaged food products, in particular vegetables | |
US7261208B2 (en) | Method and installation for drying sludge | |
KR200363075Y1 (ko) |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원통형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 |
CN210580774U (zh) | 一种双模式电热粮食烘干机 | |
JP2019080518A (ja) | 通気乾燥機 | |
CN106035641A (zh) | 一种谷物自动干燥系统 | |
EP0206069A2 (en) |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 |
CN214665845U (zh) | 一种新型非隧道式微波干燥设备 | |
CN210382482U (zh) | 一种茶叶萎凋处理设备 | |
JP2598669B2 (ja) | 鶏糞乾燥機構付養鶏舎 | |
CN213020831U (zh) | 一种多用途烘干机 | |
RU2472691C2 (ru) |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транспортер для зерна | |
KR101549688B1 (ko) | 곡물 건조 장치 | |
JPH10229744A (ja) | 穀物貯蔵設備 | |
CN216745173U (zh) | 一种谷物干燥农机装置 | |
KR20000040206A (ko) | 곡물 및 고추 건조장치 | |
RU267146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ернового вороха | |
JP3806715B2 (ja) | 乾燥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乾燥方法 | |
JPS6333112Y2 (ko) | ||
KR20150089178A (ko) | 곡물 건조기 | |
JP3480491B2 (ja) |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