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33811Y1 - 전선접속구 - Google Patents

전선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811Y1
KR200333811Y1 KR20-2003-0026834U KR20030026834U KR200333811Y1 KR 200333811 Y1 KR200333811 Y1 KR 200333811Y1 KR 20030026834 U KR20030026834 U KR 20030026834U KR 200333811 Y1 KR200333811 Y1 KR 20033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present
insertion ho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riority to KR20-2003-0026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착식, 나사조임식, 트위스트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편리하고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는 삽입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피복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에서 동선(銅線)들간의 접속과 일반전선들간의 접속 작업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선접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피복을 벗기지 않고 축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전선들을 연결하되, 상기 전선들의 공극에 삽입되는 도체 재질의 삽입구(11, 111)와; 상기 삽입구(11, 111)의 중간 부위에 고정된 부도체 재질의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 122)를 갖는 몸체(10, 100)를 포함하여 전선들을 통전 가능케 함으로써 연결 방법이 쉽고 연결부위가 깨끗하며,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공구나 전선을 절단하는 공구가 필요 없고, 연결부위가 표시 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Description

전선접속구{ELECTRIC WIRE COUPLER}
본 고안은 전선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 사무실 등의 각종 전기 배선에 사용되는 실축 와이어 단면의 동선(銅線), 세밀한 와이어다발을 갖는 일반전선 등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전선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내 배선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선과, 각종 전기 장치, 조명 장치, 배선반 등을 연결하는 제어용 배선과, TV 안테나 및 케이블 등을 위한 케이블 배선 및, 홈네트워크용 통신 배선 등이 있다.
특히, 이들 배선은 벽면 내부나 전력선 통로에 설치된 후 그의 끝단 접속 부위들이 스위치 접속부위 내지 전기 기구 접속부위 또는 전원 콘센트, 분전함, 전선 접속함 등에서 외부로 표출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작업자가 전기 기구와 전선 및 전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동선이나 일반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이에 따라 외부로 표출된 동선의 와이어코어 또는 와이어다발을 서로 트위스트 시켜서 연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천장 등에 위치하여 고공 배선 작업이 요구되는 형광등이 고장나 형광등 전체를 교체하는 등의 전기 배선 작업시, 작업이 매우 힘들고, 정확한 배선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가정내 측벽, 천장 등의 배선은 통상 직경이 굵어 건장한 성인이 쉽게 손가락으로 변형시키기 어려운 두께의 실축 와이어 단면의 동선이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손에 자국이 남을 정도로 작업이 어렵고, 전문 배선 기술자가 아닌 비전문가가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접속구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90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을 종단으로 절단하여 내면에 접속용 복수의 바늘을 장착시켜 단면이 '' 형으로 형성된 전선 연결접속용 금속편과, 이런 금속편을 전선 삽입용 홈의 중앙부에 각각 고정하고 있는 한 쌍의 상판과 하판을 제공한다. 상판과 하판에서 전선 삽입용 홈의 중앙부의 양측에는 전선 물림용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런 상판과 하판은 접시머리 나사로 결속될 때, 상기 금속편을 서로 맞닿게 압착시킨다.
따라서, 전선들의 끝단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금속편의 사이에 개재될 경우, 압착되는 금속편의 바늘이 각각 전선의 끝단을 뚫고 들어가 통전 상태로 만듦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선들이 피복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전선접속구는 금속편, 상판, 하판, 접시머리 나사 등과 같이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필수 구성들을 구비함과 동시에, 피복을 벗기는 작업에 대응할 만큼의 나사 조립 작업 및 시간이 소요되고, 비전문가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천장 등의 고공에서 나사 조임 작업을 하는 경우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선접속구는 나사를 힘을 들여 꽉 조이지 않을 경우 접속 부위가 벌어지게 되어 연결 부위가 지저분해질 수 있고, 습기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물론, 종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압착식, 나사조임식, 트위스트방식 일반전선(동선)의 접속구의 경우 힘이 많이 들어가고 특정 공구가 필요한 단점이 있으며, 연결부위가 일반전선(동선)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지저분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반전선(동선)의 축심방향(전기 배선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저항 증가율이나 열 발생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은 압착식, 나사조임식, 트위스트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편리하고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는 삽입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피복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에서 동선(銅線)들간의 접속과 일반전선들간의 접속 작업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선접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접속구의 종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접속구를 이용하여 동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전선접속구를 이용하여 일반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1 : 삽입구 12, 122 :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
13 :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 10, 100 : 몸체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피복을 벗기지 않고 축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전선들을 연결하는 전선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들의 공극에 삽입되는 도체 재질의 삽입구와; 이런 삽입구의 중간 부위에 고정된 부도체 재질의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여 전선들을 통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삽입구는 중공형으로서 중간 부위의 내경에 도체재질의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를 고정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삽입구는 실축형으로서 상기 전선의 와이어 다발 사이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양쪽 끝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조립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접속구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접속구를 이용하여 동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택,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 배선된 동선들간의 전기적 통전 상태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고 심플한 몸체(10)를 갖는다.
즉, 몸체(10)는 도체 재질의 중공형 삽입구(11)와, 부도체 재질의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 및, 도체 재질의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를 포함한다.
예컨대, 중공형 삽입구(11)는 얇은 동판을 동선 굵기에 상응한 직경을 갖게 여러 번 감아서 동관 형상 또는 중공형관 형상으로 제작한 것이다.
중공형 삽입구(11)의 길이와 직경(내경)의 사이즈는 적용하려는 동선의 규격 또는 사용처에 따라 상이한 규격을 갖는다. 다만, 중공형 삽입구(11)의 길이는 예를 들어,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형 삽입구(11)의 내원주면과 외원주면 사이의 두께는 소정 규격의 동선에서 동선 피복의 내원주면과 동(구리)재질의 와이어코어의 외원주면 사이에 공극 또는 약간의 유격에 삽입 가능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형 삽입구(11)의 외부 중간 부위에는 동선들의 삽입 길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가 삽입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다.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는 일종의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부도체로서, 일반 동선의 피복을 소정 길이, 예컨대 약 0.5㎝ 로 절단하여 제작하여 접착제 등에 의해 중공형 삽입구(11)의 외부 중간 부위의 원주면에 고정된다.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도 상기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와 동일한 역할을 중공형 삽입구(11)의 내부에서 수행하는 것으로서,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에 대등한 길이를 갖고, 중공형 삽입구(11)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도체이다. 예컨대,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는 미리 갖은 규격의 동선을 길이 0.5㎝로 절단하여 만든 동선 조각 등이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제작된 몸체(10)의 양측 끝단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 시키려는 동선들의 각각의 끝단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연결방법을 하기의 도 3a와 도 3d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동선에서 피복을 벗겨내지 않으나 연결 부위를 깔끔하게 절연 처리하기 위해서 열 감응식 피복재 또는 절연테이프 등과 같은 외부 피복부재(20)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즉, 동선을 연결하려는 작업자는 피복(2, 2')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의 동선(1, 1')들 중 제1동선(1)에 외부 피복부재(20)를 끼운다.
이때, 상기 동선(1, 1')들은 동선 피복(2, 2')의 내원주면과 동(구리)재질의 와이어코어(3, 3')의 외원주면 사이에 공극 또는 약간의 유격(4, 4')을 갖고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몸체(10)의 양쪽 끝단은 중공형 삽입구(11)의 형상에 따라 와이어코어(3, 3')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있다.
작업자는 각각의 축심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 제2동선(1, 1')를 몸체(10)의 중공형 삽입구(11)의 양쪽 끝단에 삽입하고, 피복(2, 2')의 끝단이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까지, 그리고 와이어코어(3, 3')의 끝단이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까지 끼워 넣는다. 이때의 연결상태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 보이듯이, 동선(1, 1')은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 및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의 양측에 배열되어 동선(1, 1')의 축심방향과 몸체(10)의 축심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이때, 전기는 동선(1, 1')의 와이어코어(3, 3')와 면접촉하고 있는 중공형 삽입구(11) 또는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를 통해 통전 가능하다.
작업자는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와 동선(1, 1')의 피복(2, 2') 간의 근접 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와이어코어(3, 3')가 얼마만큼 중공형 삽입구(11)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심플한 연결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실제 전류가 확률적으로 가장 많이 전달되는 외원주면 접촉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열 발생률이나 저항 증가율이 작게 된다.
특히, 피복(2, 2')를 와이어코어(3, 3')로부터 전혀 벗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용이한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c와 도 3d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미리 끼워놓았던 외부 피복부재(20)를 몸체(10) 쪽으로 이동시킨 후, 전기 헤어 드라이어 등과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열 기구(30)를 이용하여 외부 피복부재(20)를 가열시킴으로써, 외부 피복부재(20)가 피복(2, 2')에 밀착하도록 하여 동선(1, 1')의 연결작업을 마무리한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일반전선용으로 끝단이 뾰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5c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며, 또한, 일측이 중공형 삽입구 형상을 갖고 타측이 뾰족한 형상을 갖는 등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조합한 형상에 대한 설명도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선접속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전선접속구를 이용하여 일반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몸체(100)는 동선 등과 같이 도체 재질로서 실축 와이어 단면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소정 길이(약 3㎝ 정도)를 갖게 제작된 후, 그의 양측 끝단이 뾰족하게 가공된 실축형 삽입구(111)와, 이런 실축형 삽입구(111)의 중간 부위에 소정 길이(약 0.5㎝ 정도)와 높이를 갖고 부도체 재질로 형성된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2)를 포함한다.
예컨대,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2)는 일반전선의 피복에 사용되는 피복이나, 절연 재질인 경우 어떠한 형태의 몰딩 재료라도 사용 가능하다.
도 5a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실축형 삽입구(111)의 양측 끝단은 축심을 일치한 상태로 양측에 배치된 일반전선(5, 5')의 와이어다발(7, 7')에 삽입된다. 이때, 일반전선(5, 5')의 와이어다발(7, 7')은 피복(6, 6')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 있다.
통상 일반전선(5, 5')의 와이어다발(7, 7')은 수많은 공극이나 유격(8, 8')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몸체(100)의 실축형 삽입구(111)가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힘들이지 않고 실축형 삽입구(111)를 일반전선(5, 5')의 와이어다발(7, 7')에 각각 끼워 넣을 수 있다.
실축형 삽입구(111)의 삽입 길이는 육안으로 확인되면서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2)에 의해 제한된다.
그리고, 일반전선(5, 5') 내부의 공극이나 유격(8, 8')은 실축형 삽입구(111)의 삽입 길이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축소되고, 와이어다발(7, 7')은 더욱 밀집된다.
이때, 전기는 일반전선(5, 5')의 와이어다발(7, 7')과 접촉하고 있는 실축형 삽입구(111)를 통해 통전 가능케 된다.
이후, 작업자는 일반전선 연결 전에 미리 삽입한 외부 피복부재(20) 등을 몸체(100) 쪽으로 이동시킨 후, 전기 헤어 드라이어 등과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열 기구(30)를 이용하여 외부 피복부재(20)를 가열시킴으로써, 일반전선(5, 5')을 마감처리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압착식, 나사조임식, 트위스트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편리하고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는 삽입방식에 의해서, 피복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에서 동선, 일반전선 등과 같은 배선 부재들간의 접속을 신속하고 편리하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선접속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배선 방향으로 배선 부재들을 접속시킬 수 있어서, 외관상 연결부위가 매우 깔끔하고 상대적으로 저항 증가율이나 열 발생률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선접속구는 피복을 벗기거나 와이어코어를 트위스트 시키거나 연결 나사 등을 조이는 소정의 공구가 필요 없어서 배선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피복을 벗기지 않고 축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전선들을 연결하는 전선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들의 공극에 삽입되는 도체 재질의 삽입구(11, 111)와
    상기 삽입구(11, 111)의 중간 부위에 고정된 부도체 재질의 외부 삽입 길이 제한부(12, 122)를 갖는 몸체(10, 100)를 포함하여 전선들을 통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1)는 중공형으로서 중간 부위의 내경에 도체 재질의 내부 삽입 길이 제한부(13)를 고정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11)는 실축형으로서 상기 전선의 와이어 다발 사이에 삽입되도록 뾰족한 양쪽 끝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KR20-2003-0026834U 2003-08-21 2003-08-21 전선접속구 KR200333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834U KR200333811Y1 (ko) 2003-08-21 2003-08-21 전선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834U KR200333811Y1 (ko) 2003-08-21 2003-08-21 전선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811Y1 true KR200333811Y1 (ko) 2003-11-17

Family

ID=4941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834U KR200333811Y1 (ko) 2003-08-21 2003-08-21 전선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938A (en) Quick connect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 conductor insulated cable wiring
AU2003273622B2 (en) Electrical wiring for buildings
US4487997A (en) Electric cable
EP0258377A1 (en) CABLE TERMINAL.
US2709246A (en) Connectors for lamp cords
US7888597B2 (en) Fixture box enclosure
KR200333811Y1 (ko) 전선접속구
KR102264859B1 (ko)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JP2597397B2 (ja) 電線配線コネクタ
JPH08264209A (ja) 配電用分岐器
KR101847008B1 (ko) 카본히터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31234Y1 (ko) 전선 연결 멀티 터미널
KR200400489Y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JP3954061B2 (ja) 多相低圧ケーブル用接続スリーブ
KR100720980B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PL197279B1 (pl) Urządzenie rozdzielcze
CN110600895A (zh) 一种电线连接头
JP2007294155A (ja) 計器端子スリーブ
CN219591663U (zh) 一种内接线线缆接头
JPH0139408Y2 (ko)
JP3414716B2 (ja) ケーブル接続具
CN108597663B (zh) 无接头母线槽芯体及母线槽及取电结构
CN105119063B (zh) 电气接点快速连接器
JPH0743955Y2 (ja) 集中結線コネクタ
KR101143682B1 (ko) 커넥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