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689Y1 - 아기 포대기 - Google Patents
아기 포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5689Y1 KR200335689Y1 KR20-2003-0028867U KR20030028867U KR200335689Y1 KR 200335689 Y1 KR200335689 Y1 KR 200335689Y1 KR 20030028867 U KR20030028867 U KR 20030028867U KR 200335689 Y1 KR200335689 Y1 KR 2003356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by
- space
- opening
- seated
- suppor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의 둔부가 공간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의 상부에 아기에게 밀착하는 밀착면을 개폐가 가능하도록 2겹으로 성형하여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개폐면을 접어 통풍면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통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어 아기의 몸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땀을 식혀주므로 아기의 상쾌한 기분을 유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은 가을이나 겨울철에는 통풍면을 개폐면으로 차단시켜 공기의 흐름을 막아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기의 하중이 가랑이 사이가 아닌 둔부를 통해 안착부재에 집중되므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업을 수 있음과 아울러, 안착부재의 하부에 다리지지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착부재에 안착된 아기의 다리를 안정감있게 지지하기 때문에 아기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자가 업은 아기를 지지하는 안착부를 적어도 2겹으로 형성하여 여름과 겨울철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거나 펼치면서 착탈시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아기를 돌볼 때 보호자로 하여금 행동의 제약을 덜 받게 함과 아울러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보호자의 등에 아기를 밀착시켜 아기를 업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예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대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와 보호자의 몸을 동시에 감싸줄 수 있는 크기의 덮개(11)가 구성되고, 이 덮개(11)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결속력을 제공하는 결속끈(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대기(10)는, 보호자가 아기를 등에 업고, 포대기(10)의 덮개(11)를 아기의 등에 밀착시킨 후, 덮개(11)로 몸을 감싸고, 결속끈(12)을 사용하여 보호자의 허리와 아기 몸의 엉덩이 부분을 둘러 감아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아기의 체중이 대부분 보호자의 허리에 집중되므로 허리부분이 쉽게 피로를 느껴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결속끈에 압박된 아기의 몸과 다리 부분은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아기의 성장 발육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자의 등에 업힌 아기의 시선은, 보호자의 등만 바라보게 되므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아기들이 금방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은, 2002년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668호로 출원하여 제274753호로 등록 받은 개량형 아기 포대기가 사용되었다.
선 출원된 개량형 아기 포대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 벨크로테잎(21)과 후크(22)로 고정하는 보호대(20)가 구성되고, 상기 보호대(20)의 후방으로 고정되어 안착되는 아기를 지지하는 지지대(31)가 구비되며, 이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측에 아기의 배와 등을 감쌀 수 있는 지지면(32)(32')이 구비되고, 이 지지면(32)(32')의 양측에 아기의 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한 쌍의 후크(33)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면(32')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대(34)가 구비되는 아기지지부(30)가 구성되고, 상기 보호대(20)의 양단부와 아기지지부(30)를 연결하며, 보호자의 어깨에 안착되어 길이를 조절하는어깨끈(40)이 구성되고, 상기 머리지지대(34)의 양측과 어깨끈(4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50)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근래의 개량형 포대기는, 한 번 만들어진 포대기의 구조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더운 여름에 사용할 경우 아기의 등으로 바람이 유입되지 못해 땀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기의 다리를 포대기에서 지지할 수 없어 아기의 다리가 처진 상태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아기가 피로를 쉽게 느끼며,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안한 마음을 갖게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기의 하중이 가랑이 사이인 생식기 및 항문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보호자의 등에 업힌 아기가 불편함을 느끼며, 장시간 업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아기의 둔부가 공간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의 상부에 아기에게 밀착하는 밀착면을 개폐가 가능하도록 2겹으로 성형하여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개폐면을 접어 통풍면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통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어 아기의 몸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땀을 식혀주므로 아기의 상쾌한 기분을 유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은 가을이나 겨울철에는 통풍면을 개폐면으로 차단시켜 공기의 흐름을 막아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기의 하중이 가랑이 사이가 아닌 둔부를 통해 안착부재에 집중되므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업을 수 있음과 아울러, 안착부재의 하부에 다리지지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착부재에 안착된 아기의 다리를 안정감있게 지지하기 때문에 아기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아기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기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재와;
상기 공간에 안착된 아기에게 밀착되는 밀착면을 2겹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시키도록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상단부를 벨크로테잎이나 똑딱이단추로 고정하고, 상기 안착부재의 공간에 안착된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와;
상기 머리지지부재의 양측으로 보호자의 어깨에 길이를 조절하여 위치시키도록 고정되고, 보호자의 어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가 장착되며, 하단부에 다수개의 결합구가 장착된 어깨걸이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공간에 안착된 아기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안착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걸이부재의 단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다리지지부재와;
상기 다리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감싸거나, 상기 어깨걸이부재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지지구가 장착된 허리지지부재와;
상기 다리지지부재의 상단과 안착부재의 하단을 연결하여 아기의 크기에 따라 측면에서 감싸는 공간을 조절하도록 대향하게 형성된 공간조절부재와;
상기 아기의 크기에 따라 안착되는 공간을 조절하는 후크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안착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고정되는 고리가 다리지지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 아기포대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포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포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보호자의 등에 아기가 업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보호자의 배쪽으로 아기를 업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개폐부재를 개폐시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길이조절부재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에 보호자와 아기의 시선이 동일하게 전방으로 향하도록 업은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아기 포대기 110: 안착부재
120: 개폐부재 130: 머리지지부재
140: 어깨걸이부재 150: 다리지지부재
160: 허리지지부재 170: 공간조절부재
180: 길이조절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아기 포대기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아기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공간(111)이 형성된 안착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111)에 안착된 아기에게 밀착되는 밀착면(121)을 2겹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시키도록 형성된 개폐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120)의 상단부를 벨크로테잎이나 똑딱이단추로 고정하고, 상기 안착부재(120)의 공간에 안착된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머리지지부재(130)의 양측으로 보호자의 어깨에 길이를 조절하여 위치시키도록 고정되고, 보호자의 어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141)가 장착되며, 하단부에 다수개의 결합구(142)가 장착된 어깨걸이부재(140)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에 안착된 아기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안착부재(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어깨걸이부재(140)의 단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다리지지부재(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지지부재(150)의 내측에 위치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감싸거나, 상기 어깨걸이부재(140)의 결합구(142)에 결합되는 지지구(161)가 장착된 허리지지부재(160)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지지부재(150)의 상단과 안착부재(110)의 하단을 연결하여 아기의 크기에 따라 측면에서 감싸는 공간을 조절하도록 대향하게 형성된 공간조절부재(170)가 구비되며, 상기 아기의 크기에 따라 안착되는 공간을 조절하는 후크(181)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안착부재(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181)가 고정되는 고리(182)가 다리지지부재(150)의 하단에 고정되는 길이조절부재(180)가 구비된 아기포대기(1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부재(120)는, 상기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에 둔부가 안착된 아기의 등부분으로 밀착되는 밀착면(121)의 내부에 일정 배열로 관통된 다수의 통공(123)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수용공간(124)이 형성된 통풍면(122)이 구비되고, 상기 통풍면(122)의 둘레에 지퍼로 고정되어 통풍면(122)을 개폐시키는 개폐면(125)이 상기 밀착면(121)의 상부에 고정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개폐부재(120)의 통풍면(122)에 개폐면(125)이 지퍼에 의해 고정되고, 다리지지부재(150)가 어깨걸이부재(14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아기의 둔부를안착부재(110)의 공간(111)에 앉혀 보호자의 등에 밀착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의 배부분이 보호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보호자의 허리에 허리지지부재(160)의 지지구(161)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보호자가 팔을 어깨걸이부재(140)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어깨걸이부재(140)를 보호자의 어깨에 밀착시킨 후, 고정구(141)를 고정하여 보호자의 상체를 세우면 된다.
이때, 아기의 둔부가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에 안착됨과 동시에 아기의 다리는 다리지지부재(150)의 상면에 허벅지가 밀착되면서 무릎의 하부인 종아리는 허리지지부재(140)와 다리지지부재(15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아기의 머리는 머리지지부재(130)에 밀착한 상태로 보호자가 이동할 수 있고, 아기의 하중은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을 통해 어깨걸이부재(140)와 허리지지부재(160)로 분산되면서 보호자가 편안하게 업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기의 성장으로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이 작아지면, 공간조절부재(170)를 조절하여 아기의 크기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자와 아기의 배가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아기를 업어 이동할 때, 온도가 높은 여름철일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20)의 개폐면(125)을 고정한 지퍼를 이동시켜 개폐면(125)을 밀착면(121)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개폐면(125)을 감아 머리지지부재(130)의 하부에 벨크로테잎이나 똑딱이단추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개폐면(125)이 밀착면(121)에서 분리되어 통풍면(122)을 개방하면,통풍면(122)의 통공(123)으로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어 아기의 몸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땀을 식혀주므로 아기의 기분을 상쾌하게 해줄 수 있으며, 아기에게 필요한 물건을 수용공간(124)에 넣어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중에 아기가 잠이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길이조절부재(180)의 후크(181)를 고리(182)에서 이탈시켜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아기의 둔부가 확장된 공간(111)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아기의 몸이 하부로 이동하여 머리지지부재(150)에서 아기의 머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20)의 개폐면(125)을 밀착면(121)에서 착탈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자의 배부분에 아기의 등을 밀착시켜 보호자의 시선과 아기의 시선이 동일한 방향을 주시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허리지지부재(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지지부재(160)의 지지구(161)를 어깨걸이부재(140)의 결합구(142)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아기 포대기는, 아기의 둔부가 공간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의 상부에 아기에게 밀착하는 밀착면을 개폐가 가능하도록 2겹으로 성형하여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개폐면을 접어 통풍면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통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어 아기의 몸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땀을 식혀주므로 아기의 상쾌한 기분을 유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은 가을이나 겨울철에는 통풍면을 개폐면으로 차단시켜 공기의 흐름을 막아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기의 하중이 가랑이 사이가 아닌 둔부를 통해 안착부재에 집중되므로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업을 수 있음과 아울러, 안착부재의 하부에 다리지지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착부재에 안착된 아기의 다리를 안정감있게 지지하기 때문에 아기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아기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공간(111)이 형성된 안착부재(110)와;상기 공간(111)에 안착된 아기에게 밀착되는 밀착면(121)을 2겹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시키도록 형성된 개폐부재(120)와;상기 개폐부재(120)의 상단부를 벨크로테잎이나 똑딱이단추로 고정하고, 상기 안착부재(120)의 공간에 안착된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130)와;상기 머리지지부재(130)의 양측으로 보호자의 어깨에 길이를 조절하여 위치시키도록 고정되고, 보호자의 어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141)가 장착되며, 하단부에 다수개의 결합구(142)가 장착된 어깨걸이부재(140)와;상기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에 안착된 아기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안착부재(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걸이부재(140)의 단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다리지지부재(150)와;상기 다리지지부재(150)의 내측에 위치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감싸거나, 상기 어깨걸이부재(140)의 결합구(142)에 결합되는 지지구(161)가 장착된 허리지지부재(160)와;상기 다리지지부재(150)의 상단과 안착부재(110)의 하단을 연결하여 아기의 크기에 따라 측면에서 감싸는 공간을 조절하도록 대향하게 형성된 공간조절부재(170)와;상기 아기의 크기에 따라 안착되는 공간을 조절하는 후크(181)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안착부재(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181)가 고정되는 고리(182)가 다리지지부재(150)의 하단에 고정되는 길이조절부재(180)가 구비된 아기포대기(1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20)는,상기 안착부재(110)의 공간(111)에 둔부가 안착된 아기의 등부분으로 밀착되는 밀착면(121)의 내부에 일정 배열로 관통된 다수의 통공(123)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수용공간(124)이 형성된 통풍면(122)이 구비되고, 상기 통풍면(122)의 둘레에 지퍼로 고정되어 통풍면(122)을 개폐시키는 개폐면(125)이 상기 밀착면(121)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20)는,밀착면(121)에서 개폐면(125)을 착탈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21520 | 2003-07-04 | ||
KR2020030021520 | 2003-07-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5689Y1 true KR200335689Y1 (ko) | 2003-12-11 |
Family
ID=4942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8867U KR200335689Y1 (ko) | 2003-07-04 | 2003-09-08 | 아기 포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5689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4156B1 (ko) | 2009-04-17 | 2009-12-29 | 유지호 | 아기 포대기 |
KR200447518Y1 (ko) | 2008-02-26 | 2010-01-28 | 김태헌 | 유아용 아기띠 |
KR200448684Y1 (ko) * | 2009-07-14 | 2010-05-07 | 임동규 |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
WO2011007962A2 (ko) * | 2009-07-14 | 2011-01-20 | Eem Dong-Kiu |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
KR101085983B1 (ko) | 2006-12-08 | 2011-11-22 | 이진섭 | 발열기능을 가지는 아기 포대기 |
KR200461609Y1 (ko) * | 2011-02-16 | 2012-07-25 | 임동규 | 아기띠용 발받침화 및 이를 구비한 아기띠 |
KR20160034547A (ko) * | 2014-09-22 | 2016-03-30 | (주)쁘띠엘린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KR101754164B1 (ko) * | 2015-10-06 | 2017-07-05 | 박민정 | 튜브형 아기띠 |
-
2003
- 2003-09-08 KR KR20-2003-0028867U patent/KR20033568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5983B1 (ko) | 2006-12-08 | 2011-11-22 | 이진섭 | 발열기능을 가지는 아기 포대기 |
KR200447518Y1 (ko) | 2008-02-26 | 2010-01-28 | 김태헌 | 유아용 아기띠 |
KR100934156B1 (ko) | 2009-04-17 | 2009-12-29 | 유지호 | 아기 포대기 |
KR200448684Y1 (ko) * | 2009-07-14 | 2010-05-07 | 임동규 |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
WO2011007962A2 (ko) * | 2009-07-14 | 2011-01-20 | Eem Dong-Kiu |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
WO2011007962A3 (ko) * | 2009-07-14 | 2011-03-31 | Eem Dong-Kiu | 발받침화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
KR200461609Y1 (ko) * | 2011-02-16 | 2012-07-25 | 임동규 | 아기띠용 발받침화 및 이를 구비한 아기띠 |
KR20160034547A (ko) * | 2014-09-22 | 2016-03-30 | (주)쁘띠엘린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KR101693079B1 (ko) * | 2014-09-22 | 2017-01-04 | (주)쁘띠엘린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KR101754164B1 (ko) * | 2015-10-06 | 2017-07-05 | 박민정 | 튜브형 아기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2221532B2 (en) | A Baby Carrier | |
JP3210531U (ja) |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 |
US5241706A (en) | Garment convertible from muffler to seat warmer | |
KR101812529B1 (ko)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
KR200477837Y1 (ko) | 힙시트 캐리어 세트 | |
JP2001070107A (ja) |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 |
US5715535A (en) | Apparatus for cradling a baby | |
US4811429A (en) | Unitary sleepwear | |
KR200335689Y1 (ko) | 아기 포대기 | |
CA1332928C (en) | Baby carrier | |
US20190246811A1 (en) | Infant carrier | |
KR200333788Y1 (ko) | 휴대 기능형 포대기 | |
ITPI20100022U1 (it) | Articolo indossabile per sostenere un neonato | |
CN111700318A (zh) | 一种可携带婴儿的羽绒服 | |
KR101955475B1 (ko) |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
KR20220000089U (ko) | 유아용 침구 겸 포대기 | |
KR20100007076U (ko) | 유아용 포대기 | |
KR200433802Y1 (ko) | 유아용 포대기 | |
KR20150004498U (ko) |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 |
US20120311764A1 (en) | Garment with protective flap | |
JP2005288107A (ja) | 子守帯 | |
KR101955476B1 (ko) |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 |
KR20130003771U (ko) | 아기띠용 보온덮개 | |
KR200345164Y1 (ko) | 조끼형 아기 포대기 | |
TWM517571U (zh) | 雙肩背嬰幼兒揹巾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