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554Y1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9554Y1 KR200329554Y1 KR20-2003-0024134U KR20030024134U KR200329554Y1 KR 200329554 Y1 KR200329554 Y1 KR 200329554Y1 KR 20030024134 U KR20030024134 U KR 20030024134U KR 200329554 Y1 KR200329554 Y1 KR 2003295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ypt
- storage device
- ossuary
- storage
- box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묘에 설치되는 납골함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로 다단의 층을 형성하고 성묘 시에 납골함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납골함 보관실을 구비한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ypt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 bead cryp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ng cryp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ypt storage rooms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ed layer of stone and withdrawing the crypt to the outside during the graveyard. It is about a custody storage device.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단부(100); 상기 기단부(100)의 윗면에 구비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122)을 보관하는 납골함 보관실(124)을 포함하는 납골함 보관부(120); 상기 납골함 보관부(12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 보관실(124)의 천장이 되는 상판부(130); 상기 상판부(130)의 윗면에 구비되는 덮개부(140); 및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중앙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중공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ssuary storage device of the sealed crypts, the base end portion 100 which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ssuary storage device; A lower plate 11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end 100; A bin box storage unit 1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unit 110 and including a bin box storage room 124 for storing the bin box 122; An upper plate portion 13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rypt box storage unit 120 and serving as a ceiling of the crypt box storage room 124; A cover part 14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130; And it provides a crypt storage device comprising a hollow portion 150 formed up and dow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ypt storage device.
Description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묘에 설치되는 납골함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로 다단의 층을 형성하고 성묘 시에 납골함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납골함 보관실을 구비한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ypt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 bead cryp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ng cryp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ypt storage rooms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ed layer of stone and withdrawing the crypt to the outside during the graveyard. It is about a custody storage device.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장례 문화는 시신을 매장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 시체를 매장하는 풍습은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싹텄으며, 그 뒤 여러 가지 형태로 분묘를 만들게 되었다. 대표적인 분묘는 시신을 염한 후 관속에 넣고, 땅을 파고 하관한 후 그 위에 봉분을 쌓아 만들게 된다.Traditional Korean funeral cultures prefer to bury their bodies; customs to bury bodies in our country have already sprouted since the Neolithic period, and have since formed graves in various forms. A typical tomb is made by salting the body, placing it in a tube, digging and burying the ground, and then building up a bonbon on it.
매장식 장례 문화는 고인은 물론 후손들도 시신의 훼손됨을 원치 않고 조상을 공경하는 유교와 풍수 지리에 따른 도교의 영향을 받아 오랜 전통적인 문화로 자리 잡아 왔다. 특히, 흔히 명당이라 하여 풍수지리설에 근거한 좋은 묘자리를 택하면 후손들이 부귀와 영화를 누릴 수 있다는 믿음에서 매장식 장례 문화는 우리 사회에 깊게 뿌리내려져 있다.The burial funeral culture has long been established as a traditional culture under the influence of Taoism under the Confucianism and Feng Shui geography, which honors the ancestors and does not want the deceased as well as the descendants. In particular, the burial funeral culture is deeply rooted in our society in the belief that good graves based on feng shui geography, often called Myeongdang, can be rich and glorious.
그러나, 매장을 선호하는 장례 문화 때문에 아직까지 화장률은 극히 낮아 묘지난 가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여의도 면적의 1.2배가 묘지로 변하고 있고, 전국 묘지 수는 약 2천만기로 전 국토의 1%나 차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새로운 장례 문화로 납골당 시설을 늘리거나 화장을 통한 산골(散骨:유골을 뿌리는 장례법)로 전환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However, the burial rate is still very low due to funeral cultures that prefer burial. In Korea, 1.2 times of the area of Yeouido is transformed into a cemetery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graveyards in Korea is about 20 million, accounting for 1% of the whole country.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opinion that it is urge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such as increasing the facilities of the ossuary with new funeral culture or converting them into mountainous burial through cremation.
이런 가운데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납골묘이다. 납골묘는 한 기의 봉분에 통상 12~20명의 유골을 모실 수 있어 묘지보다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매장식 장례 문화와도 부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mong these is the ossuary grave. Ossuary graves can hold 12 to 20 people in a single bonbon,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land more efficiently than cemeteries, and to match traditional burial funeral cultures.
종래 다양한 형태의 납골묘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납골묘를 지하화하는 경향이 있는 관계로 공사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납골묘에 유골을 담은 납골함을 안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신분 서열에 따라 납골함을 안치하는고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Various types of crypts have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work is difficult due to the tendency to underground the conventional cryp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lacing the ossuary containing the ashes in the ossuary, there have been proposed proposals for placing the ossuary in accordance with the identity sequence, but in this cas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우리나라에서는 설 또는 추석 등의 명절이나 한식과 같은 때에 성묘를 하고 조상에게 제를 드리는 풍습이 있다. 한 기의 봉분에 한 분의 시신만을 모시거나 부부 합장을 하여 두 분을 모시는 경우에는 제를 모시는 대상이 당해 봉분에 모신 분이 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In Korea, there are customs to worship the ancestors and sacrifices to ancestors during festivals such as New Year's Day and Chuseok. If only one body is served in one meal, or if two people are served together as a married couple, the person serving the sacrificial meat becomes the person who served in the meal and does not matter.
그러나, 납골묘의 경우에는 다수의 유골을 한 기의 봉분에 모시게 되므로, 봉분 앞에서 제를 지내는 경우 과연 어느 분을 대상으로 제를 지내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납골묘는 통상 가족묘 또는 종중묘로 많이 사용되는데, 한 기의 봉분에 윗어른부터 손아래 사람의 유골까지 모신 경우에 윗어른을 대상으로 제를 지내고자 하여도 손아래 사람의 유골에 대해서도 절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ossuary seedlings, many ashes are enshrined in a single bonbun,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which a person is actually receiving an ointment when the ritual is made in front of the bonbon. Moreover, the ossuary graves are commonly used as family graves or as seedlings, but when one of them is pla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remains of the person under the hand, even if you want to spend the sacrifice for the upper part, you must bow to the remains of the person under your hand. This happen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를 모시고자 하는 분의 납골함을 찾아 그 납골함을 전면에 위치시킨 후 제를 지낼 수 있도록 회전식 납골묘가 제안된 바 있으나, 회전식 납골묘의 경우에는 납골함이 들어 있는 회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otary ossuary was proposed to find the ossuary of the person who wants to worship the ancestor and to place the ossuary in front, but in the case of the rotary ossuary, the rotating body containing the ossuary is rotat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be done.
또한, 납골묘는 인적이 드문 산 속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고 명절 등 특별한 때에만 찾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위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부가 부식이 되거나 회전 구조물이 망가진 경우에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rypts are usually located in rare mountains and are usually only found at special occasions such as holidays. Therefore, when the rotating part of the rotating body is corroded or the rotating structure is broken, the desired purpose cannot be achieved. have.
한편,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실에 각종 벌레나 뱀 등이 침입하여 유골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하여 망자(亡者)를 욕되게 하며 성묘객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줄뿐만 아니라, 특히 후손들에게는 조상에 대하여 죄송한 마음마저 들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bees and snakes invade the ossuary vaults of the ossuary to damage the ashes, causing disgrace to the deceased and giving considerable discomfort to the sepulchers, and especially to the descendants, who are sorry for their ancestors. There was a downsid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석재로 다단의 층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개폐 가능한 납골함 보관실을 구비하며, 상기 납골함 보관실을 외부와 차폐하여 벌레나 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ulti-stage layer of stone and includes a crypt storage room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outside, and a sealed type that can prevent the invasion of bees and snakes by shielding the crypt storage room from the out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ypt storage device for crypt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납골함 보관부를 나타낸 도면,3 is a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crypt storage unit,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보호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door in the storage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보호문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door is installed in a storage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납골함 보관부(120)를 2 단으로 구비하도록 한 납골함 보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ypt storage device having a crypt storage device 120 in two stages in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기단부 110 : 하판부100: proximal end 110: lower plate
120, 120a : 납골함 보관부 122 : 납골함120, 120a: crypt box storage unit 122: crypt box
124 : 납골함 보관실 126 : 보호문124: crypt box 126: protective door
130, 130a : 상판부 140 : 덮개부130, 130a: top plate 140: cover
150 : 중공부150: hollow part
202a, 202b, 202c, 202d :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 base end slab
204a, 204b, 204c, 204d :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 lower plate slab
206a, 206b, 206c, 206d : 상판부 석판206a, 206b, 206c, 206d: Top plate slabs
208a, 208b, 208c, 208d : 덮개부 석판208a, 208b, 208c, 208d: cover slabs
302, 304, 306, 308 : 내측벽302, 304, 306, 308: inner wall
310a, 310b, 310c, 310d : 모서리부 칸막이310a, 310b, 310c, 310d: corner divider
312 : 칸막이 314 : 사각 돌출부312: partition 314: square protrusion
402 : 상부 고정구 404 : 하부 고정구402: upper fixture 404: lower fixture
406 : 열쇠 구멍 408 : 시건 장치406: keyhole 408: lock device
410 : 자물쇠 뭉치 412 : 손잡이410: bundle of locks 412: handle
502 : 걸림턱502: jamming ja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단부(100); 상기 기단부(100)의 윗면에 구비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122)을 보관하는 납골함 보관실(124)을 포함하는 납골함 보관부(120); 상기 납골함 보관부(12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 보관실(124)의 천장이 되는 상판부(130); 상기 상판부(130)의 윗면에 구비되는 덮개부(140); 및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중앙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중공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ssuary storage device of the seal type gravel, proximal end portion 10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ssuary storage device; A lower plate 11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end 100; A bin box storage unit 1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unit 110 and including a bin box storage room 124 for storing the bin box 122; An upper plate portion 13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rypt box storage unit 120 and serving as a ceiling of the crypt box storage room 124; A cover part 14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130; And it provides a crypt storage device comprising a hollow portion 150 formed up and dow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ypt storage device.
또한,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부가 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122)을 보관하는 납골함 보관실(124)을 포함하는 납골함 보관부(120); 상기 납골함 보관부(12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 보관실(124)의 천장이 되는상판부(130); 및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중앙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중공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ypt box storage device of the sealed crypt, the lower plate portion 110 to be a lower portion of the crypt box storage device; A bin box storage unit 1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unit 110 and including a bin box storage room 124 for storing the bin box 122; An upper plate portion 13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rypt storage compartment 120 and serving as a ceiling of the crypt storage compartment 124; And it provides a crypt storage device comprising a hollow portion 150 formed up and dow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ypt storage device.
또한, 본 고안은,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단부(100); 상기 기단부(100)의 윗면에 구비되는 하판부(110); 상기 하판부(11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122)을 보관하는 납골함 보관실(124)을 포함하는 납골함 보관부(120); 상기 납골함 보관부(12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 보관실(124)의 천장이 되는 상판부(130); 상기 상판부(130)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122)을 보관하는 납골함 보관실(124)을 포함하는 납골함 보관부(120a); 상기 납골함 보관부(120a)의 윗면에 구비되고, 상기 납골함 보관실(124)의 천장이 되는 상판부(130a); 상기 상판부(130a)의 윗면에 구비되는 덮개부(140); 및 상기 납골함 보관 장치의 중앙부에 상하로 형성되는 중공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단 납골함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ypt box storage device of the sealed pilgrimage, proximal end portion (10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rypt box storage device; A lower plate 11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end 100; A bin box storage unit 1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unit 110 and including a bin box storage room 124 for storing the bin box 122; An upper plate portion 13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rypt box storage unit 120 and serving as a ceiling of the crypt box storage room 124; A bin box storage unit 120a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unit 130 and including a bin box storage room 124 for storing the bin box 122; An upper plate portion 130a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rypt storage part 120a and serving as a ceiling of the crypt storage room 124; A cover part 14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130a; And a hollow portion 150 formed vertically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ypt storage devi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는 기단부(100), 하판부(110), 납골함 보관부(120), 상판부(130) 및 덮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avity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end 100, a lower plate portion 110, a crypt box storage portion 120, the top plate portion 130 and the cover portion 140.
기단부(100)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부 지지를 위한 것으로서, 전체 모양을 돋보이게 하고, 납골함 보관 장치의 침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단부(100)는 4 개의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을 서로 맞대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한다.The proximal end 100 is for supporting the lower box of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rings out the entire shape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ttlement of the crypt storage device. The proximal end 100 is arranged so that the four proximal end slabs 202a, 202b, 202c, and 202d face each other to form a rectangular shape.
하판부(110)는 후술하는 납골함 보관부(120)를 받쳐 주는 기능을 한다. 하판부(110)도 4 개의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을 서로 맞대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한다.The lower plate 110 serves to support the ossuary storage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plate part 110 also arrange | positions four lower plate part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so that they may form a rectangular shape.
도 2를 참조하면, 기단부 석판(202a, 202c)의 양 끝단은 기단부 석판(202b, 202d)의 측면에 접하도록 한 반면에, 하판부 석판(204a, 204c)은 그 측면에 하판부 석판(204b, 204d)의 양 끝단이 접하게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과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전체 안정성이 향상된다. 즉, 하판부 석판(204a)은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에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중을 고르게 전달하고, 하판부 석판(204c)은 기단부 석판(202b, 202c, 202d)에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하중을 고르게 전달하게 됨으로써 기단부(100)의 일부분이 침하되거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2, both ends of the proximal end slabs 202a and 202c are in contact with the sides of the proximal end slabs 202b and 202d, while the lower slabs 204a and 204c have lower slabs 204b on their sides. , 204d) at both ends. Thus, the base end slabs 202a, 202b, 202c, and 202d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lower plate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thereby improving overall stability. That is, the lower plate slab 204a evenly transmits the load of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ase plate slabs 202a, 202b, and 202c, and the lower plate slab 204c to the base plate slabs 202b, 202c, and 202d. By evenly transferring the load of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portion of the proximal end 100 to sink or rise.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기단부(100)와 하단부(110)를 이루는 석판의 개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ㄱ"자 모양의 석판과 "ㄴ"자 모양의 석판을 맞대어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slabs constituting the proximal end 100 and the lower end 110 is not limited to four as described above, and in some cases it is produced in one piece or "a" shaped slabs and It can also be built up against a "b" shaped slab.
또한, 기단부(100)와 하단부(110)의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과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의 배치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의 배치를 도 2의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의 배치 방식으로 하고,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의 배치를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의 배치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base end slabs 202a, 202b, 202c, and 202d and the lower plate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of the base end 100 and the lower end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In some cases, the base plate slabs 202a, 202b, 202c, and 202d may be arranged in a manner of arranging the lower plate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of FIG. 2, and the lower plate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 May be arranged in a manner of arranging the proximal end slabs 202a, 202b, 202c, and 202d.
납골함 보관부(120)에는 납골함(122)이 보관되는 납골함 보관실(124)이 구비된다. 납골함 보관실(124)은 납골함 보관부(120)의 장방향에 각 4 개씩 구비되고 단방향에 각 2 개씩 구비되어 총 12 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장방향은 하판부(110)의 하판부 석판(204a, 204c)이 있는 방향을 말하고, 단방향은 하판부(110)의 하판부 석판(204b, 204d)이 있는 방향을 말한다.The ossuary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with an ossuary storage room 124 in which the ossuary box 122 is stored. The crypt storage room 124 is provided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crypt storage unit 120 in each of the four and provided in each of the two in one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total of 12. Here, the long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late slabs 204a and 204c of the lower plate part 110 are located, and the short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late slabs 204b and 204d of the lower plate part 110 are located.
그러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납골함 보관부(120)에 구비되는 납골함 보관실(124)의 개수는 상기한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장방향과 단방향에 구비되는 납골함 보관실(124)의 개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전체 납골함 보관실(124)의 개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납골함 보관실(124)이 16개가 필요한 경우에는 장방향에 각 5 개, 단방향에 각 3 개씩 납골함 보관실(124)을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Howev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bin box storage chamber 124 provided in the bin box storage unit 1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alues. In some cases,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crypt storage box 124 provided in the long direction and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the number of the entire crypt storage room 124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For example, when 16 bins are required for the storage box storage chamber 124, five each in the long direction and three storage boxes 124 in the short direction may be provided.
각 납골함 보관실(124)에는 납골함 보관실(124)에 보관된 납골함(12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문(126)이 구비된다. 보호문(126)은 외부의 침입에 의해 납골함(122)이 파손되거나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해 줄 뿐 아니라 뱀이나 곤충 등이 납골함 보관실(124)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Each crypt box 124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door 126 for protecting the crypt box 122 stored in the bin box 124. The protective door 126 not only prevents the robbery box 122 from being damaged or stolen by an external intrusion, but also prevents snakes and insect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robbery storage room 124.
납골함 보관부(120)의 상부에는 상판부(130)가 구비된다. 상판부(130)는 납골함 보관부(120)의 윗면을 덮음과 동시에 각 납골함 보관실(124)의 천장 역할을 한다. 상판부(130)는 상판부 석판(206a, 206b, 206c, 206d)으로 이루어지는데, 상판부 석판(206a, 206b, 206c, 206d)의 배치는 전술한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의 배치 방식과 동일하게 한다.The upper plate 13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rypt storage unit 120. The upper plate 13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rypt storage unit 120 and serves as a ceiling of each crypt storage room 124. The upper plate portion 130 is composed of the upper plate slabs 206a, 206b, 206c, and 206d, and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plate slabs 206a, 206b, 206c, and 206d is the arrangement of the lower plate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described above. Do the same with the method.
상판부(130)의 상부에는 덮개부(140)가 구비된다. 덮개부(140)는 상판부(130)를 눌러 주어 상판부(130)가 납골함 보관부(120)의 상부에 잘 밀착하도록 한다. 또한, 상판부(130)와 덮개부(140)의 상부에는 봉분이 형성되게 되므로 봉분을 이루는 흙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The cover part 14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part 130. The cover part 140 presses the upper plate part 130 so that the upper plate part 130 closely adher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rypt box storage part 120. In addition,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30 and the cover portion 140 is formed with a rod powder serves to prevent the soil forming the rod flows down.
덮개부(140)를 이루는 덮개부 석판(208a, 208b, 208c, 208d)의 배치는 기단부 석판(202a, 202b, 202c, 202d)의 배치 방식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이 때, 덮개부(140)를 이루는 덮개부 석판(208a, 208b, 208c, 208d)의 배치는 상판부 석판(206a, 206b, 206c, 206d)의 배치와 엇갈리게 하여, 덮개부(140)가 상판부(130)를 잘 눌러 줄 수 있도록 한다.The arrangement of the lid slabs 208a, 208b, 208c, and 208d constituting the lid 14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base end slabs 202a, 202b, 202c, and 202d.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lid slabs 208a, 208b, 208c, and 208d constituting the lid 140 is staggered from the arrangement of the top slabs 206a, 206b, 206c, and 206d, so that the lid 140 is the top plate ( 130) to be pressed well.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판부 석판(206a, 206b, 206c, 206d)의 배치 방식과 덮개부 석판(208a, 208b, 208c, 208d)의 배치 방식을 서로 바꾸어도 무방하다.However, in some cases, the arrangement of the top plate slabs 206a, 206b, 206c, and 206d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ver slabs 208a, 208b, 208c, and 208d may be interchanged.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중앙부에는 위와아래가 뚫려 있는 중공부(150)가 형성된다. 중공부(150)는 봉분을 조성할 때 봉분토를 가득 채워서 이 채워진 봉분토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가 땅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봉분의 표면에 잔디 등을 심는 경우 봉분의 표면과 봉분 아래의 흙이 연결되므로 잔디 등의 생육이 양호해지고,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 있어서도 빗물이나 눈 녹은 물이 흙 속으로 잘 빠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1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portion 150 is open and up and down. The hollow part 150 is filled with bonbun soil when forming the bonbun so that the ossua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by the stuffed bonbun soil. In addition, when planting grass on the surface of the bee powder, the surface of the bee powder and the soil under the bee powder are connected, so that the growth of the grass is improved, and even when rain or snow falls, rain water or melted water can fall into the soil well. do.
다음으로 납골함 보관부(1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ssuary storage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납골함 보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crypt storage unit.
전술한 바와 같이 납골함 보관부(120)는 총 12 개의 납골함 보관실(124)을 구비한다. 납골함 보관부(120)에는 각 납골함 보관실(124)의 내벽으로 기능하는 내측벽(302, 304, 306, 308)이 구비된다. 내측벽(302, 304, 306, 308)은 하판부(110) 위에 세워진다. 내측벽(302, 304, 306, 308)의 일면에는 납골함 보관실(124)을 구획하게 되는 칸막이(312)가 구비된다. 한편, 납골함 보관부(120)의 각 모서리 위치에는 모서리부 칸막이(310a, 310b, 310c, 310d)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ssuary storage unit 120 includes a total of twelve ossuary storage rooms 124. The crypt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with inner walls 302, 304, 306, and 308 serving as inner walls of each crypt storage chamber 124. The inner walls 302, 304, 306, 308 stand on the bottom plate 110. One surface of the inner walls 302, 304, 306, and 308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312 that divides the ossuary storage room 124. On the other hand, the corner compartments 310a, 310b, 310c, 310d are provided at each corner position of the crypt storage portion 120.
칸막이(312)는 사각 돌출부(314)를 구비하는데, 사각 돌출부(314)에 의해 형성된 각홈(316)에 보호문(126)의 내면이 접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내부로 곤충이나 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각홈(316)의 일면과 보호문(126)이 접하는 부분에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료나 스폰지 등의 차폐층(미도시)을 부착하여 보호문(126)이 닫힌 경우 외부와의차폐가 더 잘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artition 312 includes a square protrusion 31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door 126 is in contact with the angular groove 316 formed by the square protrusion 314, thereby preventing insects or snakes from invading from the outside. have. Furtherm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elding layer (not shown) such as a rubber or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the like is attached to a portion where one surface of the groove 316 contacts the protective door 126. It is also possible to better shield the outside when closed.
한편, 모서리부 칸막이(310a, 310b, 310c, 310d)의 경우에는 배치되는 위치 특성상 칸막이(312)의 각홈(316)과 같은 형상의 모서리부 각홈(318, 320)이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며 구비되며, 일면에는 내측벽(302, 306)의 끝단을 조립하여 고정하기 위한 오목홈(322)을 구비한다. 모서리부 각홈(318, 320)은 칸막이(312)의 각홈(316)과 마찬가지로 보호문(126)의 설치시 보호문(126)의 내면의 일부가 접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모서리부 각홈(318)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호문(126)을 시건하기 위한 걸림턱(502)이 구비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orner partitions 310a, 310b, 310c, and 310d, corner corner grooves 318 and 32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orner grooves 316 of the partition 312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due to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rner partitions 310a, 310b, 310c, and 310d. , One surface is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322 for assembling and fixing the ends of the inner wall (302, 306). Corner grooves 318 and 320 are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door 126 when the protective door 126 is installed, similar to the angular groove 316 of the partition 312. On the other hand, the corner groove 318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502 for locking the protective door 126, as will be described later.
각 납골함 보관실(124)의 바닥에는 납골함(122)을 받치게 되는 받침판(314)이 구비된다. 받침판(314)을 구비하지 않고 납골함(122)을 하판부(110)에 올려놓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받침판(314)을 사용함으로써 납골함(122)을 올려 놓음에 있어서 후손들이 조상을 모시는 경외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판부(110)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납골함(122)은 받침판(314)에 의해 일정 높이에 올려져 있으므로 납골함(122)이 더럽혀질 염려가 없다.At the bottom of each crypt storage room 124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314 supporting the crypt box 122. It is also possible to put the ossuary box 122 on the lower plate 110 without having a supporting plate 314. However, by using the support plate 314, it is possible to make the descendants have awe in honor of their ancestors in placing the ossuary 122.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ater can flow in the lower plate portion 110, the crypt box 122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by the support plate 314, so there is no fear that the crypt box 122 is dirty.
또한, 보호문(126)을 닫는 경우에 있어서도 칸막이(312) 및 모서리 칸막이(310a, 310b, 310c, 310d)의 각홈(316, 318, 320)과 받침판(314)의 측면에 보호문(126)의 내측면이 닿게 되어 납골함 보관실(124)을 보다 완벽하게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홈(316)과 보호문(126)이 접하는 부분에 완벽한 차폐를 위하여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료나 스폰지 등의 차폐층을 부착한 것과 같이, 받침판(314)이 보호문(126)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에도 그와 같은 차폐층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door 126 is closed, the inner side of the protective door 126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grooves 316, 318, 320 and the support plate 314 of the partition 312 and the corner partitions 310a, 310b, 310c, and 310d. Th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scilloscope storage room 124 can be more completely shielded. 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31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door 126, such as attaching a shielding layer such as a sponge or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for perfect shielding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groove 316 and the protective door 126. It is preferable to attach such a shielding layer also to the part which touches.
보호문(126)을 설치하는 방법 및 보호문(126)을 시건(施鍵)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installing the protective door 126 and a device for locking the protective door 126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보호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보호문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door in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door is installed One drawing.
보호문(126)의 일단에는 보호문(126)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 고정구(402)와 하부 고정구(404)가 구비된다. 한편, 보호문(126)의 타단에는 보호문(126)을 닫은 후 시건하기 위한 시건 장치(408)가 구비되고, 시건 장치(408)를 개폐하기 위한 열쇠 구멍(406)이 구비된다.One end of the protective door 126 is provided with an upper fastener 402 and a lower fastener 404 for installing the protective door 126.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ve door 126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408 for closing and closing the protective door 126, a key hole 40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cking device 408 is provided.
보호문(126)의 상부 고정구(402)는 상판부(130) 즉, 상판부 석판(206a, 206b, 206c, 206d)에 형성된 암형 수용부에 수용되고, 하부 고정구(404)는 하판부(110) 즉, 하판부 석판(204a, 204b, 204c, 204d)에 형성된 암형 수용부에 수용된다.The upper fixture 402 of the protective door 126 is accommodated in the femal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130, that is, the upper plate slabs 206a, 206b, 206c, 206d, the lower fixture 404 is the lower plate portion 110, It is accommodated in the femal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plate slabs 204a, 204b, 204c, and 204d.
칸막이(312)의 사각 돌출부(314)의 일면에는 걸림턱(502)이 구비되어 시건 장치(408)가 이 걸림턱(50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호문(126)을 시건한다. 또한, 시건 장치(408)로 보호문(126)을 괘정한 후에는 열쇠 구멍(406)을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캡(미도시)으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미 등의 벌레가 열쇠 구멍(406)을 통해 납골함 보관실(124)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비바람에 의해 시건 장치(408)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locking jaw 502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quare protrusion 314 of the partition 312 so that the locking device 408 is locked by the locking jaw 502. In addition, after locking the protective door 126 with the lock device 408,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key hole 406 with a plastic or rubber cap (not show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insects such as ant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rypt box storage chamber 124 through the key hole 406, and to prevent the keying device 408 from being corroded by weathering.
한편, 보호문(126)을 닫은 후 다시 열기 위해서는 손잡이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쇠 구멍(406)에 손잡이(412)가 달린 자물쇠 뭉치(410)를 삽입, 고정하여 손잡이(412)를 이용하여 보호문(126)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is attached in order to close the protective door 126 again.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and fix the lock bundle 410 with the handle 412 to the key hole 406 so that the protective door 126 can be opened and closed using the handle 412.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는 부식에 대한 염려를 불식시키고 납골묘의 품격을 높이는 차원에서 석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보호문(126)의 경우 제 3 자가 보호문(126)을 파괴하고 납골함 보관실(124)에 봉안된 납골함(122)을 훼손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문(126)은 석재로 제작할 수 있지만, 외부 충격에 의해 잘 부서지거나 깨지지 않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 Fiber Reinforced Plastics)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ssua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tone in order to dispel concerns about corrosion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ossuary.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door 126, a third person may destroy the protective door 126 and damage the crypt box 122 enclosed in the crypt box storage room 124. Thus, the protective door 126 may be made of stone, bu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that are not easily broken or broken by external impac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석재로 된 각 구성 요소를 기단부(100)부터 덮개부(140)까지 쌓아 가면 되나 각 부재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몰타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nstalling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de of stone may be stacked from the base end portion 100 to the cover portion 140, but in fixing each member, an adhesive made of mortar or silicone Can also be used.
특히, 납골함 보관부(120)의 경우, 납골함 보관실(124)은 내부가 외부와 완전히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칸막이(312)나 모서리 칸막이(310a, 310b, 310c, 310d) 등을 설치함에 있어, 몰타르나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torage box storage unit 120, since the interior storage box 124 is preferably completely shielded from the outside, in installing the partition 312 or corner partitions (310a, 310b, 310c, 310d), etc., mortar It is preferable that gaps do not occur using silicon or the like.
한편,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경우는 납골함 보관부(120)를 1 단으로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납골함 보관부(120)를 2 단으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orage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o provide the storage box storage unit 120 in one stage, in some cases it may be provided with the storage box storage unit 120 in two stages.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에 있어서, 납골함 보관부(120)를 2 단으로 구비하도록 한 납골함 보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ypt storage device having a crypt storage device 120 in two stages in the cryp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의 납골함 보관부(120)를 2 단으로 구비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납골함 보관부(120)를 1 단으로 한 납골함 보관 장치의 상판부(130)부 위의 덮개부(140)를 제거하고 납골함 보관부(120a)를 한 단 더 구비한다. 납골함 보관부(120a) 위에 상판부(130a)를 쌓은 후, 그 위에 덮개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납골함 보관부(120)가 2 단으로 되도록 하면, 1 단의 납골함 보관부(120)에 12 개의 납골함 보관실(124)이 있는 경우에는 총 24 개의 납골함 보관실(124)을 구비한 납골함 보관 장치가 완성된다.Cover plate 140 on the upper plate portion 130 of the bin box storage device having a bin box storage unit 120 as a first stage when the bin box storage unit 120 of the bin box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wo stages. Removed and provided with one more ossuary storage unit (120a). After stacking the upper plate portion 130a on the crypt storage portion 120a, and providing the cover portion 140 thereon so that the crypt storage portion 120 has two stages, the twelve stages are stored in one stage of the crypt storage portion 120. If there is a crypt storage room 124, a crypt storage device having a total of 24 crypt storage rooms 124 is completed.
이 경우에는 상판부(130)는 아래쪽의 납골함 보관부(120)의 천장 역할을 하면서 위쪽의 납골함 보관부(120a)의 바닥 역할도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pper plate 130 serves as a ceiling of the lower crypt storage unit 120 and also serves as a bottom of the upper crypt storage unit 120a.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 보관 장치를 이용하여 봉분형 납골묘를 조성함에 있어서, 납골묘가 설치되는 장소의 사정에 따라 기단부(100)나 덮개부(140)은 생략하고, 하판부(110)와 납골함 보관부(120) 및 상판부(130)만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납골묘를 설치할 장소의 기반이 튼튼하다면 굳이 기단부(100)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판부(130)를 충분한 두께로 한 경우에는 덮개부(140)를 생략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forming a bead-shaped crypts using the ossua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place where the ossuary graves are installed, the proximal end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140 are omitted,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10 and the ossuary box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only the storage portion 12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30. That is, if the base of the place to install the crypt is strong, dare not need to install the proximal end 100, if the upper plate 130 is a sufficient thickness may be carried out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the cover 140.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납골함을 봉안한 후 성묘나 제를 드리는 경우에 있어서 납골함 보관실에 안치되어 있는 납골함을 인출하여 납골묘 앞에 마련된 상석으로 모셔 와서 성묘나 제를 드릴 수 있게 되므로 후손들이 제를 드리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offering a graveyard or a temple after sealing the ossuary, the descendants are brought out to the upper floor provided in front of the ossuary to give the graveyard or temple.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specify the subject of the offering.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납골함을 하나의 납골묘에 봉안할 수 있게 되어 묘지난 해소에도 도움이 되며, 납골함 보관부를 2 단으로 할 경우에는 더 많은 납골함을 봉안할 수 있게 되어 가족묘나 종중묘로서 손색이 없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al a large number of ossuary boxes in one ossuary, which is helpful in resolving graveyards. No inferiority
또한, 납골함 보관실을 외부와 차폐함으로써 뱀이나 곤충 등에 의한 납골함의 손상을 방지하고, 성묘객 등이 납골함 보관실을 열고 납골함을 인출할 때, 뱀이나 곤충 등으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거나 조상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hielding the crypt box from the outside to prevent damage to the crypt by snakes and insects, and when the sepulchers open the crypt box and withdraw the crypt, they do not feel uncomfortable or guilty about their ancestors. It is effective to avoid.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중공부에 봉분토를 넣어 봉분을 형성하는 경우 봉분의 표면과 지표가 서로 연결이 되므로 상부의 잔듸 등의 생육이 좋아지며, 비나눈 녹은 물이 지표로 배수될 수 있도로 함으로써 납골함 보관 장치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nbon is put into the hollow portion to form the bonbun, the surface of the bonbun and the ground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growth of the residue on the upper part is improved, and the molten water divided by the rain may be drained to the ground surface.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bility of the ossuary storage device is secured.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납골함 보관실의 보호문을 석재로 하는 외에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는 바, 외부의 침입에 의한 납골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door of the crypt storage room as a stone can be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crypts due to external intrusion.
Claims (2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4134U KR200329554Y1 (en) | 2003-07-25 | 2003-07-25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4134U KR200329554Y1 (en) | 2003-07-25 | 2003-07-25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9554Y1 true KR200329554Y1 (en) | 2003-10-10 |
Family
ID=4933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4134U KR200329554Y1 (en) | 2003-07-25 | 2003-07-25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9554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3424B1 (en) * | 2020-03-26 | 2021-07-06 | (재)실로암공원묘원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
2003
- 2003-07-25 KR KR20-2003-0024134U patent/KR20032955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3424B1 (en) * | 2020-03-26 | 2021-07-06 | (재)실로암공원묘원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39776B2 (en) | Modular columbarium system | |
US3230674A (en) | Combination burial liner and vault and method of burial | |
US3978627A (en) | Burial facility | |
KR200329554Y1 (en)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
US20070130736A1 (en) |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 |
US20140311056A1 (en) | Grave marker assembly | |
KR100761485B1 (en) | Anti-dewing enshrinement tomb burying without making a mound on the grave | |
KR10030449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eedling | |
JP7397515B2 (en) | Urn burial type cemetery structure | |
KR200216704Y1 (en) | Prefabricated charnel house | |
JPH074297Y2 (en) | Grave marker | |
KR100304491B1 (en) | Urn burying method | |
KR100337374B1 (en) | A charnel grave of tunnel style | |
KR200172615Y1 (en) | A tomb for the bones jar of a deceased person | |
KR100647129B1 (en) | Burial charnel chest | |
KR200291918Y1 (en) | A charnel house | |
GB2264962A (en) | A cinerarium | |
KR200392056Y1 (en) | Charnel tomb | |
KR200310014Y1 (en) | Airtight and enshrinement as possible a charnel house | |
KR200227846Y1 (en) | Family ossuary | |
KR100353310B1 (en) | A stone-tomb for constructing | |
KR200185323Y1 (en) | Charnel tomb with water-drain and air vent | |
KR200392040Y1 (en) | the burial type charnel tomb structure | |
KR100337370B1 (en) | A charnel grave of mound style | |
KR200322828Y1 (en) | Charnel 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