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25150Y1 -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150Y1
KR200325150Y1 KR20-2003-0015090U KR20030015090U KR200325150Y1 KR 200325150 Y1 KR200325150 Y1 KR 200325150Y1 KR 20030015090 U KR20030015090 U KR 20030015090U KR 200325150 Y1 KR200325150 Y1 KR 200325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belt conveyor
soft
groun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최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귀봉 filed Critical 최귀봉
Priority to KR20-2003-0015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1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가 중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임의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연약층에 직접 하중을 주지 않고도 지반보강재의 포설이 가능하고, 컨베이어 단부에서 분사 방식으로 모래를 포설하므로 초연약지반에서도 소성변형이나 연약층 밀림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균질한 포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materials for reinforcing the ground for approach of equipments to the soft ground}
본 고안은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약지반 처리시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처리에 필요한 장비진입이 불가능할 경우 장비진입을 위한 주행성(trafficability) 확보를 위한 것으로, 접지압이 최소화 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 및 지반보강재(모래, 슬래그, 토석 등)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향후 압밀 진행시 사용될 수평배수층 지반보강재를 사전에 균질하게 포설함으로써 지반 강도를 보강하는, 연약지반에의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탈수공법에 의해 개량하는 경우 약 50∼150 톤급 정도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을 박아 지반을 개량하게 되는데, 대상 지반이 해성점성토이거나 해성점성토로 매립된 지역과 같이 초연약지반인 경우 장비 진입이 불가능하여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 방법으로는 현재 주로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과 표층 고화 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 토층 상단에 토목 섬유(101)를 깐 후, 그 위에 소형 습지 도저(102)를 이용하여 1회에 약 50cm 정도로 수차례 반복하여 소정의 두께만큼 토사를 포설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연약토층 위에서 소형 도저(102)로 반복 주행하여 토사를 포설함에 따라 도저 중량 및 잦은 반복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의 변형 또는 연약토층이 밀리게 되며, 따라서 단거리 포설의 작은 면적은 가능하나 비교적 장거리를 포설하는 경우는 연약층의 밀림이 누적됨에 따라 토목섬유 (101)가 터져 복토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토목섬유(101)가 터지지 않더라도 복토층 두께가 균질하게 포설되지 않아 후속 공정인 드레인 타입이 곤란하거나 관입 지연에 따른 지층 연약화로 드레인 장비의 전복의 위험성이 커진다. 뿐만 아니라, 작업 능력이 작은 소형 도저(102)의 사용이 불가피하여 토사 포설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표층 고화 처리방법은 연약토층 상층부의 일정 부분에만 시멘트 등을 주입,믹싱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우선 공사비가 고가이고, 고화된 지층과 연약토층 간의 토질 특성이 달라 불규칙한 하중 전달로 후속 공정인 하부 연약토층 개량시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접지압이 최소화 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와 지반보강재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향후 압밀 진행 시 사용될 수평배수층 지반보강재를 사전에 균질하게 포설하여 지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연약층의 변형 및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와 그 공급장치에 지반보강재를 원활히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시공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습지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시공 과정에 있어서, 지반의 변형 또는 연약토층의 밀림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운송수단(덤프 트럭)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적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지반보강재의 포설 및 벨트 컨베이어의 주행시의 벨트 컨베이어, 지반보강재 공급수단 및 받침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반보강재 분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발췌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의 지반보강재 분사장치의 다수의 회전판 날개를 갖는 수차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벨트 컨베이어 310h,331h,336...힌지
320...지반보강재 분사장치 320w...회전판 날개
330...지반보강재 공급수단 331...주호퍼
332...보조호퍼 333...실린더
334...받침판 335,350...와이어 로프
340...운송수단 360...기둥
370...엔진 및 운전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연약지반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모래, 슬래그, 토석 등의 지반보강재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임의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후단부는 일정 영역만큼 소정 각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이 위치되는 부위의 벨트 컨베이어 부분은 힌지에 의해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1차적으로 공급받는 주호퍼와, 그 주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호퍼를 거쳐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지반보강재가 벨트 컨베이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호퍼와, 그 몸체의 일측은 벨트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호퍼에 설치되어 주호퍼의 힌지식 상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호퍼에는 운송수단이 주호퍼에 지반보강재를 적하하기 위해 주호퍼에 접근할 시, 그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받침판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이 받침판은 와이어 로프와 힌지에 의해 힌지식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운송수단(덤프 트럭)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적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지반보강재의 포설 및 벨트 컨베이어의 주행시의 벨트 컨베이어, 지반보강재 공급수단 및 받침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벨트 컨베이어(310),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 및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310)는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미도시)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임의의 운송수단(340)(예컨대, 덤프 트럭)에 의해 운송되어 적하된 지반보강재(예를 들면, 모래, 슬래그, 토석 등)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310)의 후단부는 일정 영역만큼 소정 각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30)이 위치되는 부위의 벨트 컨베이어 부분은 힌지(310h)에 의해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31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310)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한다. 이와 같은 지반보강재 분사장치(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회전판 날개(320w)를 갖는 수차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50)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310) 후단부에 설치되며, 운송수단(340)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벨트 컨베이어 (310)로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지반보강재 공급수단(330)은 운송수단(340)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1차적으로 공급받는 주호퍼(331)와, 그 주호퍼(3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호퍼(331)를 거쳐 벨트 컨베이어(310)로 공급되는 지반보강재가 벨트 컨베이어(310)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호퍼(332)와, 그 몸체의 일측은 벨트 컨베이어(310) 상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호퍼(331)에 설치되어 주호퍼 (331)의 힌지식 상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333)로 구성된다. 이 실린더 (333)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호퍼(331)에는 운송수단이 주호퍼(331)에 지반보강재를 적하하기 위해 주호퍼(331)에 접근할 시, 그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받침판(334)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이 받침판(334)은 와이어 로프(335)와 힌지 (336)에 의해 힌지식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번호 310p는 벨트 로울러 보호판, 331h는 힌지, 350은 벨트 컨베이어 고정용 와이어 로프, 360은 벨트 컨베이어 고정용 기둥, 370은 엔진 및 운전실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지반 보강 대상의 연약지반에 부등침하 최소화 및 지지력 보강을 위해토목섬유(미도시)를 포설하게 된다. 토목섬유 포설은 현장에서 적정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봉합하여 포설하되, 그 재질은 상재하중으로 간극 수압이 발생될 시, 연약층 상부에서 즉시 배수될 수 있고, 연약층의 변형과 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투수 능력이 큰 토목섬유를 이용한다.
이렇게 하여 토목섬유의 포설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지반보강재를 포설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수단(40)(덤프 트럭)이 지반보강재를 운송해오면, 우선 실린더(333)가 작동하여 주호퍼(331)의 후방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주호퍼(331)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334)을 힌지식으로 하강시켜 그 일단이 지면에 닿도록 한다. 그러면, 운송수단(40)은 그 받침판(334)을 이용하여 주호퍼(331)에 후진으로 접근하여 싣고온 지반보강재를 주호퍼(331) 내부로 적하한다.
주호퍼(331)를 통해 적하된 지반보강재는 그 하부의 보조호퍼(332)를 경유하여 바로 벨트 컨베이어(310)로 투하되고, 벨트 컨베이어(310) 상에 투하된 지반보강재는 벨트 컨베이어(310)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지반보강재는 벨트 컨베이어(31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320)에 의해 분산되어 지면으로 투하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지반보강재는 지면상에 균질하게 포설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벨트 컨베이어 단부가 캔티레버식으로 되어 있어, 일정 거리만큼 연약층에 직접 하중을 주지 않고도 지반보강재의 포설이 가능하고, 컨베이어 단부에서 분사 방식으로 모래를 포설하므로 초연약지반에서도 소성변형이나 연약층 밀림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균질한 포설이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특히 연약층이 뒤섞이지 않고 연약층 상단의 고결층이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보다 더 소성변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위와 같이 지반보강재의 균질한 포설이 가능하므로, 수평 배수층 유지가 가능하고, 인근 연약층과 비슷하게 침하됨에 따라 압밀도중에 압밀 배수가 용이하여 압밀의 품질관리가 용이하다.
셋째,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 온 지반보강재를 적하와 동시에 포설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전초작업으로서 연약지반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모래, 슬래그, 토석 등의 지반보강재를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약지반 위에 포설된 토목섬유 위에 접지압이 최소화되며 응력분포도가 충첩되지 않도록 광폭의 궤도와 궤도간 간격이 최대화되도록 설치되며, 지반보강재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분산 포설하기 위한 지반보강재 분사장치;
    상기 벨트 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며, 임의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공급받아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후단부는 일정 영역만큼 소정 각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이 위치되는 부위의 벨트 컨베이어 부분은 힌지에 의해 힌지식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보강재 공급수단은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되어온 지반보강재를 1차적으로 공급받는 주호퍼와, 그 주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호퍼를 거쳐 벨트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지반보강재가 벨트 컨베이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호퍼와, 그 몸체의 일측은 벨트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호퍼에 설치되어 주호퍼의 힌지식 상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호퍼에는 운송수단이 주호퍼에 지반보강재를 적하하기 위해 주호퍼에 접근할 시, 그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받침판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와이어 로프와 힌지에 의해 힌지식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20-2003-0015090U 2003-05-16 2003-05-16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2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090U KR200325150Y1 (ko) 2003-05-16 2003-05-16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090U KR200325150Y1 (ko) 2003-05-16 2003-05-16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150Y1 true KR200325150Y1 (ko) 2003-09-02

Family

ID=4933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0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5150Y1 (ko) 2003-05-16 2003-05-16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1B1 (ko) * 2008-08-04 2009-12-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20250023768A (ko) 2023-08-10 2025-02-18 이재옥 각도조절이 가능한 연약지반용 지반 보강재 포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1B1 (ko) * 2008-08-04 2009-12-15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20250023768A (ko) 2023-08-10 2025-02-18 이재옥 각도조절이 가능한 연약지반용 지반 보강재 포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0259B2 (en) Cable-laying device and method
CN101333801A (zh) 装配式支架原位现浇制梁施工方法
US6312194B1 (en) Device for excavating and redepositing earth
CZ279331B6 (cs) Sanační mechanizovaný stroj
CN101748715A (zh) 一种地基处理方法
CN106192898A (zh) 混凝土面板堆石坝面板防沉降变形的接缝施工方法
JP6529378B2 (ja) インバート施工方法、トンネル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用テルハクレーン
KR200325150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100467174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20080105213A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RU2532311C1 (ru) Комплекс строительный путевой
JP2017048588A (ja) 掘削物の搬出システムおよび搬出方法
KR100898806B1 (ko) 연약지반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시공방법
US9884301B2 (en) Mixing system for mixing soil with an additive in a batch mode
KR200314956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공급장치
KR200296438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100423384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 강도 보강방법 및 그장치
RU2263175C2 (ru) Допол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 дорожной отделочной машине
KR200247018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 강도 보강장치
KR102244335B1 (ko) 작업대차를 이용한 도상용 충전보강재 혼합주입 장비 및 그 시공방법
JP2006342574A (ja) 枕木
JP2004060261A (ja) 法面遮水工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装置、ならびに機器搬送装置
KR100652508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그를 이용한 지반보강재 포설방법
KR200395566Y1 (ko) 지반보강재 분산 포설용 회전체를 갖는 지반보강재포설장치
KR200356942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5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5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22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7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