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834Y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8834Y1 KR200318834Y1 KR20030009848U KR20030009848U KR200318834Y1 KR 200318834 Y1 KR200318834 Y1 KR 200318834Y1 KR 20030009848 U KR20030009848 U KR 20030009848U KR 20030009848 U KR20030009848 U KR 20030009848U KR 200318834 Y1 KR200318834 Y1 KR 2003188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piston rod
- contents
- stem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버튼의 펌핑 동작 및 해제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이동되는 스템과 피스톤 로드에 의한 샤프트의 협지력을 통해 하우징의 내용물 흡입구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압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의 양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디스펜서 조립체는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구가 하부 중심에 형성된 하우징, 승강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샤프트를 통해 내용물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체크밸브, 승강수단 외부를 고정시키는 승강수단 고정부재, 상하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진공압 및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샤프트를 억지끼움하는 샤프트 협지돌기, 피스톤 로드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어 그 하단을 통해 씰링부재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하우징 캡, 피스톤 로드와 노즐을 연통되게 하는 스템, 하우징 캡과 스템 사이에 설치되어 스템을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탄성스프링의 치우침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 목욕용품 용기 및 기타 내용물을 충진하는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작용을 통해 가압력과 진공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라 함은 액상이나 젤 상태의 화장품을 충진하는 화장품 용기, 샴프나 세안액과 같은 목욕용품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목욕용품 용기 및 기다 내용물을 충진하는 용기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펜서는 팁튜브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하여 토출하고 용기 내에는 그만큼의 공기가 유입되는 딥튜브 방식과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하여 내용물을 밀어올리는 에어리스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다음은 종래 에어리스 방식의 디스펜서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10)는 용기(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12), 일측에 흡입구(14a)가 형성되어 캡(12)의 내측 하부에 결합 유지되는 하우징(14), 일측에 유입구(16a)가 형성되어 하우징(14)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16), 피스톤 로드(16)를 하우징(14) 내부에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하우징(14)의 내주면과 사이를 밀봉시키는 씰링부재(18), 피스톤 로드(16)를 하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용물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스템(20), 스템(20)의 상단에 설치된 버튼(22), 버튼(22)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24), 버튼(22)의 가압 해제시 버튼(22)을 포함한 피스톤 로드(16)와 씰링부재(18) 그리고 스템(20)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26) 및 하우징(14)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흡입구(14a)를 개폐시키는 개폐 볼(28)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펜서(10)에는 씰링부재(18)의 위치가 최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템(20)의 하단과 씰링부재(18)의 상단 사이에 일정간격의 유격(A)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A)은 버튼(22)의 누름에 의해 스템(20)이 유격(A)만큼 하향 이동되었을 때 피스톤 로드(16)와 씰링부재(18) 사이가 열려 하우징(14) 내부의 내용물이 피스톤 로드(16)의 유입구(16a)를 통해 피스톤 로드(16)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버튼(20)이 눌리게 되면 스템(20)이 하향으로 가압되어 피스톤 로드(16)와 씰링부재(18)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유격(A)만큼 스템(20)과 피스톤 로드(16)가 이동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16)의 유입구(16a)가 개방되고, 하우징(14)의 하부측에 형성된 흡입구(14a)는 개폐 볼(28)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22)의 누름동작에 의해 피스톤 로드(16)와 씰링부재(18)이 하향으로 가압되면 하우징(14) 내부에는 큰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4) 내부의 내용물은 개방된 피스톤 로드(16)의 유입구(16a)를 통해 피스톤 로드(16)의 내부와 스템(20)의 내부를 경유하여 노즐(24)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22)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16)가 상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16)와 씰링부재(18) 사이가 밀착되어 피스톤 로드(16)의 유입구(16a)가 폐쇄된 상태로 씰링부재(18)과 함께 상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16), 씰링부재(18)이 상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14)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하우징(14) 하부의 흡입구(14a)를 통해 하우징(14)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내용물의 흡입되는 힘에 의해 개폐 볼(28)은 떠오르게 되고, 진공압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하우징(14) 내부의 흡입구(14a)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는 하우징 내부 하부의 유입구가 개폐 볼의 자중에 의해 개폐되므로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내용물에 의해 개폐 볼이 부유되어 유입구가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유실되기 때문에 사용시 펌핑을 여러 번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더구나, 개폐 볼의 자중을 통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동작은 정확한 제어가 어려우므로 내용물의 흡입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는 하우징 내부에서 금속재의 스프링과 개폐 볼이 내용물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의 부식과 이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로 인하여 소비자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와 더블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는 스프링을 정확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펌핑동작시 스프링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회전의 발생으로 인하여 오동작이나 구성부품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튼의 펌핑 동작 및 해제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이동되는 스템과 피스톤 로드에 의한 샤프트의 협지력을 통해 하우징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내용물 흡입구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압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의 양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튼의 펌핑 동작과 해제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이동되는 스템과 피스톤 로드에 의한 샤프트의 협지력을 통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압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로 역류하여 유실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과 금속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개선을 통해 금속재의 부식이나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스프링의 내경에 관계하는 리브를 형성하여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켜 스프링의 일방향으로 치우침을 방지하는 한편, 버튼의 펌핑 동작시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방지턱의 구성을 통해 구성부품의 오동작이나 구성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체크밸브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초기 가압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완전 가압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 6c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초기 진공압 발생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 6d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완전한 진공압의 발생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스펜서 110. 디스펜서 캡
120. 버튼 130. 노즐
200. 디스펜서 조립체 210. 하우징
214. 내용물 흡입구 220. 체크밸브
222. 샤프트 224. 지지구
226. 탄성편 230. 승강수단 고정부재
240. 피스톤 로드 242. 내용물 유입구
250. 씰링부재 260. 하우징 캡
270. 스템 280. 탄성스프링
290.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 292. 캡측 회전방지턱
294. 스프링 지지판 296.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
298. 스템측 회전방지턱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 역시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용기 상단의 내용물 충진구에 결합 고정되는 디스펜서 캡, 디스펜서 캡의 상부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버튼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노즐, 디스펜서 캡의 내측에 설치되어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노즐을 통해 토출시키는 한편 버튼의 누름해제 동작에 의해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그 내부로 흡입하는 디스펜서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본 고안은 디스펜서 조립체의 구성이 하부 중심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내용물 흡입구가 형성되어 디스펜서 캡의 내측 하부에 결합 유지되는 하우징; 일정높이로 직립 형성되어 내용물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체크밸브; 체크밸브의 승강수단 외부를 고정시키는 승강수단 고정부재;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하우징 내부에 진공압 및 가압력의 발생시 샤프트를 승강시켜 내용물 흡입구가 개폐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의 관통공 내주면에 샤프트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의 상하 이동시 샤프트의 승강범위만큼 이동시키는 샤프트 협지돌기; 피스톤 로드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어 그 하단을 통해 씰링부재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하우징 캡; 씰링부재 상단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피스톤 로드의 상부와 결합되는 한편 상부측을 통해 버튼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와 노즐을 연통되게 하는 스템; 하우징 캡과 스템 사이에 설치되어 스템을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 탄성스프링의 치우침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편 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체크밸브의 승강수단은 외경이 승강수단 고정부재의 내경에 관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하우징의 내용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지지구; 및 샤프트의 하부측 외주면과 지지구의 내주면 사이를 수평방향의 절곡된 구조로 탄성 가능하게 연결되어지되 지지구의 상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샤프트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체크밸브의 샤프트는 탄성편의 상부면으로부터 승강수단 고정부재의 하부면 사이의 유격만큼 승강된다.
전술한 구성의 스프링 고정수단은 하우징 캡의 상단 플랜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각각을 연결하는 원의 지름이 탄성스프링의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 각각의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하부측 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캡측 회전방지턱; 스템의 상부측 외주면에 탄성스프링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의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캡과의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판; 스프링 지지판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각각을 연결하는 원의 지름이 탄성스프링의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 및 각각의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의 상부측 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스템측 회전방지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유격은 스템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씰링부재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하우징 캡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유격은 버튼의 누름과 누름해제에 따라 없어지거나 발생되어 피스톤 로드의 하부 외주면과 씰링부재의 씰링턱 사이를 이격 혹은 접촉되게 함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내용물 유입구가 개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의 상부와 스템의 내주면과의 결합은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과 피스톤 로드의 상부측 외주면에 결합홈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의 결합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스템에 결합 고정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체크밸브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용기(30) 상단의 내용물 충진구(32)에 결합 고정되는 디스펜서 캡(110), 디스펜서 캡(110)의 상부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120),버튼(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노즐(130), 디스펜서 캡(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버튼(120)의 누름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노즐(130)을 통해 토출시키는 한편 버튼(120)의 누름해제 동작에 의해 용기(30)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그 내부로 흡입하는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구성이 종래의 기술과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용기(30)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구(214)가 하부 중심에 형성된 하우징(210), 승강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샤프트(222)를 통해 내용물 흡입구(214)를 개폐시키는 체크밸브(220), 승강수단 외부를 고정시키는 승강수단 고정부재(230), 상하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에 진공압 및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240), 피스톤 로드(24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샤프트(222)를 억지끼움하여 협지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샤프트 협지돌기(240a), 피스톤 로드(240)와 하우징(210)의 내주면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부재(250),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어 그 하단을 통해 씰링부재(250)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하우징 캡(260), 피스톤 로드(240)와 노즐(130)을 연통되게 하는 스템(270), 하우징 캡(260)과 스템(270) 사이에 설치되어 스템(270)을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280) 및 탄성스프링(280)의 치우침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템(270) 하단과 씰링부재(250) 사이에는 일정간극의 유격(X)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자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스템(270)이 하향으로 가압되면서 피스톤 로드(240)와 씰링부재(250)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210) 내부에는 압력이 발생된다. 이때, 하우징(2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구(214)는 하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는 샤프트(222)의 하부면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한편, 버튼(120)의 누름동작에 따라 스템(270)이 하향 이동되는 가운데 유격(X)만큼 스템(270)이 이동하여 유격(X)이 없어지게 되면 씰링부재(250)의 내측 하단과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측 외주면이 이격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방된다. 이처럼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방되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은 하우징(210) 내부의 발생된 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측 외주면과 씰링부재(250)의 내측 하단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용물 유입구(242)로 유입되어 피스톤 로드(240)와 스템(270)을 경유 최종적으로 노즐(130)을 통해 토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20)의 누름작용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노즐(130)을 통해 토출된 후 버튼(12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스프링(280)의 복원력에 의해 스템(270)이 상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40)가 스템(270)에 이끌려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측 외주면과 씰링부재(250)의 내측 하단 사이가 밀착되어 결국,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는 폐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280)의 복원에 따라 스템(270), 피스톤 로드(240) 및 씰링부재(250)가 상향으로 이동되면 하우징(210)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240)는 상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 내부의 샤프트 압착돌기(240a)를 통해 체크밸브(220)의 샤프트(222)를 압착 슬라이딩 되면서 샤프트(222)를 상향으로 제한범위만큼 들어 올려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내용물 흡입구(214)가 열리게 되면 하우징(210)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 흡입구(214)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탄성스프링(280)이 완전히 복원되어 스템(270), 피스톤 로드(240) 및 씰링부재(250)가 원위치되면 샤프트(222)는 체크밸브(220)의 승강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그 하부면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를 폐쇄하게 된다. 이처럼 샤프트(222)에 의해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가 폐쇄됨으로써 하우징(210) 내부로 흡입된 내용물이 다시 용기(30) 내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버튼(120)의 누름작용에 따른 하우징(210) 내부에 발생된 압력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고, 버튼(120)의 누름해제에 따른 하우징(210)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용기(30)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흡입된다. 따라서,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은하우징(210) 내부로 흡입된 내용물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펜서 캡(110)은 본 고안의 디스펜서(100)를 용기(30)의 상단 충진구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디스펜서 캡(110)의 상부에는 버튼(12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공간부(11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 플랜지(114)가 형성된다.
버튼(120)은 내용물의 토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하우징(210)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의 가압기구로, 이러한 버튼(120)은 디스펜서 캡(110)의 상부측 공간부(112) 상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280)의 복원력과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공간부(112)에서 출몰된다.
노즐(130)은 버튼(120)의 누름작용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노즐(130)은 버튼(120)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스템(270)과 연통됨으로써 하우징(210)의 내부로부터 피스톤 로드(240)과 스템(270)을 경유하여 올라온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한편, 디스펜서 조립체(200)는 버튼(120)의 누름작용시 하우징(210)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을 통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 또한 버튼(120)의 누름해제시 탄성스프링(28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에 발생되는 진공압을 통해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을 하우징(2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조립체이다. 이러한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210)은 그 내부에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210)은 상부측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공간(212)이 형성되고, 하부 중심에는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내용물 흡입구(214)가 형성되며, 내용물 흡입구(214)의 상단면에는 밀봉턱(2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내주면 일측에는 고정돌기(216)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210)은 그 상부측이 디스펜서 캡(110)의 내측 고정 플랜지(114) 상에 결합 고정된다. 이처럼 디스펜서 캡(110)의 고정 플랜지(114) 상에 결합 고정된 하우징(210)은 고정 플랜지(114) 하부측 부위가 용기(3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용물과 직접 접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압력 발생시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은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를 통해 토출되고, 하우징(210) 내부에 진공압의 발생시에는 내용물 흡입구(214)를 통해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처럼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압력과 진공압의 발생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 및 흡입되어 상시 일정량의 내용물이 충진됨을 알 수 있다.
체크밸브(220)는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를 개방시켜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한편 내용물 흡입구(214)를 폐쇄시켜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30)의 내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체크밸브(220)는 일정높이로 직립 형성되어 내용물 흡입구(214)를 개폐시키는 샤프트(222)와 샤프트(222)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체크밸브(220)는 승강수단을 하우징(210) 내측 하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샤프트(222)가 상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샤프트(222)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은 외경이 승강수단 고정부재(230)의 내경에 관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지지구(224) 및 샤프트(222)의 하부측 외주면과 지지구(224)의 내주면 사이를 탄성 가능하게 연결하여 샤프트(222)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편(226)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수단의 구성에서 지지구(224)는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를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이고, 탄성편(226)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여러번 꺽인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각 끝단이 샤프트(222)의 하부측 외주면과 지지구(224)의 내주면에 연결된 구조이다. 이때, 탄성편(226)은 지지구(224)의 상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지지구(224) 내주면의 상하 중심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구(224) 내주면의 상하 중심에 연결된 탄성편(226)은 샤프트(222)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샤프트(222)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사라지게 되면 자체의 복원력(탄성력)을 통해 샤프트(222)를 원위치시킨다.
승강수단 고정부재(230)는 체크밸브(220)의 지지구(224)를 고정시키는 한편 샤프트(222)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승강수단 고정부재(23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면 중심에는 샤프트(222)가 관통되는 관통공(232)과 관통공(232)의 주위에 관통 형성되어 내용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경유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공(23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수단 고정부재(230)는 관통공(232)을 통해 샤프트(222)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안착 고정된다. 이때, 승강수단 고정부재(230)의 내부에는 체크밸브(220)의 지지구(224)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승강수단 고정부재(230)는 하우징(210)의 내측 바닥면과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216) 사이에서 고정돌기(216)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수단 고정부재(230)가 하우징(2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 고정됨으로써 체크밸브(220)의 탄성편(226) 상부면과 승강수단 고정부재(230)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유격(Y)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격(Y)은 샤프트(222)가 승강할 수 있는 범위이다. 즉, 샤프트(222)는 승강시 탄성편(226) 상부면과 승강수단 고정부재(230)의 내측 하부면 사이의 유격(Y) 범위 내에서만 승강된다.
피스톤 로드(240)는 씰링부재(250)와 함께 하우징(210) 내부에 압력과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피스톤 로드(240)는 상하로 관통된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져 샤프트(2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하우징(210) 내부에 진공압 및 가압력의 발생시 샤프트(222)를 승강시켜 내용물 흡입구(214)가 개폐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피스톤 로드(240)에는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내용물 유입구(242),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측 외주면상에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밀봉면(244) 및 피스톤 로드(240)의 상부측 외주면에 띠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46)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40)의 관통공 하부측 내주면에는 샤프트(22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샤프트(222)를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한편 피스톤 로드(240)의 상하 이동시 샤프트(222)의 승강범위만큼 협지력을 통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샤프트 협지돌기(240a)가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 내측으로는 체크밸브(220)의 샤프트(222)가 삽입되어 내주면 상에 형성된 샤프트 협지돌기(24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억지끼움 된다. 이처럼 피스톤 로드(2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샤프트(222)가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240)가 하향 이동되면 샤프트(222)는 피스톤 로드(240)의 협지돌기(240a)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222)의 하부면은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를 폐쇄시킨다. 반면, 피스톤 로드(240)가 상향으로 이동되면 샤프트(222)는 피스톤 로드(240)의 샤프트 협지돌기(240a)에 의해 상향으로 이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222)의 하부면은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의 밀봉턱(214a)으로부터 이격되어 결국 내용물 흡입구(214)가 개방된다.
물론, 피스톤 로드(240)가 하향 이동되면서 샤프트(222)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경우는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경우이고, 피스톤 로드(240)가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샤프트(222)를 상향으로 상승하게 하는 경우는 하우징(210) 내부로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경우이다.
전술한 내용물 유입구(242)는 하우징(210)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피스톤 로드(2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내용물 유입구(210)는 씰링부재(250)와의 이격과 밀착에 의해 개폐된다. 상세한 설명은 씰링부재(250)의 설명시 하기로 한다. 또한, 밀봉면(244)과 결합돌기(246) 역시 후술하는 씰링부재(250)와 스템(270)의 설명시 하기로 한다.
씰링부재(250)는 피스톤 로드(240)와 하우징(210)의 내주면 사이를 씰링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씰링부재(250)는 그 중심에 피스톤 로드(240)가 상향으로 관통되게 피스톤 로드(24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그 하부에는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 외주면 상에 형성된 밀봉면(244)과 밀착 혹은 이격을 통해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폐되도록 하는 씰링턱(25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씰링부재(250)는 피스톤 로드(240)의 하향 이동시 그 하부의 씰링턱(252)이 피스톤 로드(240)의 밀봉면(244)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내용물 유입구(242)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처럼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방됨으로써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은 내용물 유입구(242)를 통해 피스톤 로드(2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경우는 내용물의 토출에 따른 작용이다.
반면, 피스톤 로드(240)의 상향 이동에 의해 씰링턱(252)과 피스톤 로드(240)의 밀봉면(244)이 밀착되면 내용물 유입구(242)는 폐쇄된다. 이러한 경우는 하우징(210) 내부에 진공압의 발생에 따른 경우이다.
하우징 캡(260)은 그 하단을 통해 씰링부재(250)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 캡(260)은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어 그하단과 씰링부재(250)의 상부측 외주면과의 접촉을 통해 씰링부재(250)가 상향으로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 캡(260)은 그 하단을 통해 씰링부재(250)가 상향으로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후술하는 스템(270)의 하단과의 사이에 유격(X)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이러한 설명은 후술하는 스템(270)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하우징 캡(260)의 중심에는 후술하는 스템(270)이 관통되어 피스톤 로드(240)의 상부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스템(270)은 버튼(120)의 누름에 따른 힘을 피스톤 로드(240)에 전달하는 한편 피스톤 로드(240)와 노즐(130)을 연통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템(270)의 상부측은 버튼(120)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노즐(130)과 연통되고, 하부측은 하우징 캡(260)을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240)의 상부측과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240)의 내측과 연통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240)는 스템(270)의 하부측으로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템(270)이 노즐(130)과 피스톤 로드(240) 사이에 연결되어 상호 연통시킴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작용시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을 피스톤 로드(240)와 스템(270)을 경유하여 노즐(1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240)와 스템(270)의 결합 고정은 스템(27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272)과 피스톤 로드(240)의 상부측 외주면에 결합홈(272)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24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스템(270)은 스템(270)의 하단과 씰링부재(250) 상단 사이에 일정간격의 유격(X)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스템(270)과 씰링부재(250)의 위치가 본래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템(270)의 하단과 씰링부재(250) 상단 사이에 일정간격의 유격(X)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유격(X)은 스템(270)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씰링부재(250)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하우징 캡(260)에 의해 유지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격(X)은 버튼(120)의 누름과 누름해제에 따라 없어지거나 발생되어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 외주면과 씰링부재(250)의 씰링턱(252) 사이를 이격 혹은 접촉되게 함으로써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폐되도록 하는데 기능한다.
탄성스프링(280)은 버튼(120)의 누름해제에 따라 이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탄성스프링(280)은 하우징 캡(260)과 스템(270) 사이에 설치되어 스템(270)을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전술한 스프링 고정수단은 탄성스프링(280)의 치우침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 고정수단은 스템(270)과 하우징 캡(260)의 사이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280)이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템(270)의 하향 이동이 원활하게 한다.
전술한 스프링 고정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우징 캡(260)의 상단 플랜지면(262)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각각을 연결하는 원의 지름이 탄성스프링(280)의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290), 각각의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29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280)의 하부측 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캡측 회전방지턱(292), 스템(270)의 상부측 외주면에 탄성스프링(28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의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캡(260)과의 사이에 탄성스프링(280)이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판(294), 스프링 지지판(294)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각각을 연결하는 원의 지름이 탄성스프링(280)의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296) 및 각각의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296)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280)의 상부측 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스템측 회전방지턱(298)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 고정수단은 탄성스프링(280)이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290)와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296) 사이에 지지되는 것만으로 탄성스프링(280)의 치우침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캡측 회전방지턱(292)과 스템측 회전방지턱(298) 각각의 어느 하나에 탄성스프링(280)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걸림으로써 탄성스프링(280)의 회전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 조립체(2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체크밸브(220)가 설치되고, 체크밸브(220)의 샤프트(222)를 통해 승강수단 고정부재(230)가 끼움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어, 피스톤 로드(240)의 외주면에 씰링부재(250)가 끼워진 상태로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 내측을 통해 하우징(210)내부의 샤프트(222)로 끼움 결합한다. 이처럼 하우징(210)의 내부에 체크밸브(220), 승강수단 고정부재(230), 피스톤 로드(240) 및 씰링부재(250)가 삽입 설치된 후에는 하우징 캡(260)을 하우징(210)의 상부측으로 결합 고정시키고, 스템(270)의 외주면에 탄성스프링(280)을 끼운 상태에서 스템(270)의 내측에 피스톤 로드(240)의 상부측이 결합되도록 하여 디스펜서 조립체(200)를 완성한다.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초기 가압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완전 가압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 6c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초기 진공압 발생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 6d 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완전한 진공압의 발생시 디스펜서 조립체의 작용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2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도 6a 와 같이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스템(270)이 가압되면서 하향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240)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템(270)이 유격(X)만큼 하향 이동되면 피스톤 로드(240)의 밀봉면(244)과 씰링부재(250)의 씰링턱(252) 사이가 이격되어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는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 유입구(242)를 통해 피스톤 로드(2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템(270)의 하향 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240)가하향 이동되면 하우징(21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구(214)는 피스톤 로드(240)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는 샤프트(222)의 하부면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전술한 도 6a 에서와 같이 스템(270)이 유격(X)만큼 하향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6b 와 같이 버튼(120)의 누름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면 버튼(120)의 가압되는 힘에 의해 피스톤 로드(240)와 씰링부재(250)가 하향 이동되면서 하우징(210)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키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 내부에 발생된 압력은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을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로 밀어내게 되고, 내용물 유입구(242)로 유입된 내용물은 압력이 작용되는 동안 피스톤 로드(240)와 스템(270)의 내부를 경유하여 노즐(1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용은 스템(27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유격(X)이 없어지면서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열리는 순간부터 피스톤 로드(240)의 하부가 하우징(210) 내부의 하부로 완전히 하향 이동될 때까지 지속된다. 즉, 피스톤 로드(240)와 씰링부재(25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압력이 발생되는 동안에는 하우징(210)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토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하우징(210)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피스톤 로드(240)와 씰링부재(250)가 하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하우징(210)의 하부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구(214)는 폐쇄된 상태로 있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20)의 누름작용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의 내용물이 노즐(130)을 통해 토출된 후 버튼(12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280)의 복원력에 의해 스템(270)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240)를 상향으로 이끌게 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240)가 상향으로 피스톤 로드(240)의 밀봉면(244)과 씰링부재(250)의 씰링턱(252) 사이의 간격만큼 이동되면 피스톤 로드(240)의 밀봉면(244)과 씰링부재(250)의 씰링턱(252) 사이가 밀착되어 피스톤 로드(240)의 내용물 유입구(242)가 폐쇄된다.
전술한 피스톤 로드(240)가 상향으로 이동되면 피스톤 로드(2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압축 결합된 체크밸브(220)의 샤프트(222)가 도 6c 에서와 같이 피스톤 로드(240)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222)의 하부에 의해 폐쇄된 하우징(210)의 내용물 흡입구(214)가 약간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6d 에서와 같이 탄성스프링(280)의 복원력에 의해 내용물 유입구(242)가 폐쇄된 상태로 피스톤 로드(240), 씰링부재(250)가 상향으로 이동되면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샤프트(222)는 승강수단 고정부재(230)의 하부면이 승강 제한범위까지 상승하여 내용물 흡입구(214)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하우징(210)으로는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내용물 흡입구(214)를 통해 흡입된다. 이처럼 용기(30) 내부의 내용물이 하우징(2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은 하우징(210) 내부에 진공압이 있는 동안 계속 이루어진다.
한편, 탄성스프링(280)에 완전히 복원되어 하우징(210) 내부로의 내용물 흡입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샤프트(222)는 탄성편(22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하우징(210) 하부의 내용물 흡입구(214)를 폐쇄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의 토출량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다시 용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버튼의 펌핑 동작 및 해제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이동되는 스템과 피스톤 로드에 의한 샤프트의 협지력을 통해 하우징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내용물 흡입구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압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의 양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버튼의 펌핑 동작과 해제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이동되는 스템과 피스톤 로드에 의한 샤프트의 협지력을 통해 하우징의 유입구를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압 발생시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로 역류하여 유실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는 내용물과 금속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개선을 통해 금속재의 부식이나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술한 효과들 이외에 스프링의 내경에 관계하는 리브를 형성하여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켜 스프링의 일방향으로 치우침을 방지하는 한편, 버튼의 펌핑 동작시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방지턱의 구성을 통해 구성부품의 오동작이나 구성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 용기 상단의 내용물 충진구에 결합 고정되는 디스펜서 캡, 상기 디스펜서 캡의 상부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노즐, 상기 디스펜서 캡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시키는 한편 상기 버튼의 누름해제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그 내부로 흡입하는 디스펜서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상기 디스펜서 조립체는 상부측이 개구된 상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 중심에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내용물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캡의 내측 하부에 결합 유지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일정높이로 직립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하로 일정범위 승강 가능하게 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체크밸브;상기 체크밸브의 샤프트 외주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체크밸브의 승강수단 외부를 고정시키는 승강수단 고정부재;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의 하부 내측을 통해 상기 샤프트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일측에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내용물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진공압 및 가압력의 발생시 상기 샤프트를 승강시켜 상기 내용물 흡입구가 개폐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상기 피스톤 로드의 관통공 하부측 내주면에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하 이동시 상기 샤프트의 승강범위만큼 이동시키는 샤프트 협지돌기;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피스톤 로드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를 씰링하되 내측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부 외주면과의 밀착과 이격을 통해 상기 내용물 유입구가 개폐되도록 하는 씰링턱이 형성된 씰링부재;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로 결합 고정되어 그 하단을 통해 상기 씰링부재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 고정시키는 하우징 캡;상기 씰링부재 상단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유격(X)이 형성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와 결합되는 한편 상부측을 통해 상기 버튼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와 노즐을 연통되게 하는 스템;상기 하우징 캡과 스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템을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 및상기 탄성스프링의 치우침을 방지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한편 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승강수단은 외경이 상기 승강수단 고정부재의 내경에 관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내용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내용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지지구; 및상기 샤프트의 하부측 외주면과 지지구의 내주면 사이를 수평방향의 절곡된 구조로 탄성 가능하게 연결되어지되 상기 지지구의 상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샤프트는 상기 탄성편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승강수단 고정부재의 하부면 사이의 유격(Y)만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캡의 상단 플랜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각각을 연결하는 원의 지름이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상기 각각의 캡측 스프링 고정리브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부측 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캡측 회전방지턱;상기 스템의 상부측 외주면에 상기 탄성스프링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의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캡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판;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각각을 연결하는 원의 지름이 상기 탄성스프링의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 및상기 각각의 스템측 스프링 고정리브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부측 단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 스템측 회전방지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하단과 상기 씰링부재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X)은 상기 스템이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씰링부재의 상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하우징 캡에 의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X)은 상기 버튼의 누름과 누름해제에 따라 없어지거나 발생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씰링부재의 씰링턱 사이를 이격 혹은 접촉되게 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용물 유입구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와 상기 스템의 내주면과의 결합은 상기 스템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홈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측 외주면에 상기 결합홈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스템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09848U KR200318834Y1 (ko) | 2003-04-01 | 2003-04-01 | 디스펜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09848U KR200318834Y1 (ko) | 2003-04-01 | 2003-04-01 | 디스펜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8834Y1 true KR200318834Y1 (ko) | 2003-07-04 |
Family
ID=4150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30009848U KR200318834Y1 (ko) | 2003-04-01 | 2003-04-01 | 디스펜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8834Y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05597A1 (en) * | 2004-04-29 | 2005-11-10 | Chong Woo Co., Ltd. | Improved small hand-operated pump |
KR100737283B1 (ko) | 2005-11-11 | 2007-07-09 | 안종원 | 펌프 디스펜서 |
KR100889050B1 (ko) * | 2007-09-17 | 2009-03-20 | 주식회사 다린 | 디스펜서 펌프 |
KR101337069B1 (ko) * | 2013-07-05 | 2013-12-06 | 정상열 |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
WO2018164370A1 (ko) * | 2017-03-09 | 2018-09-13 | (주)연우 | 비드 토출용 펌프 용기 |
KR102139302B1 (ko) * | 2020-02-07 | 2020-07-30 | 우성인팩(주) | 내용물 토출용 비금속 펌핑 장치 |
KR102172237B1 (ko) * | 2020-04-29 | 2020-10-30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KR102172655B1 (ko) * | 2020-04-29 | 2020-11-02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KR102186042B1 (ko) * | 2020-04-29 | 2020-12-03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CN114786821A (zh) * | 2019-12-12 | 2022-07-22 | 株式会社衍宇 | 弹性部件及包括该弹性部件的泵组件 |
-
2003
- 2003-04-01 KR KR20030009848U patent/KR2003188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05597A1 (en) * | 2004-04-29 | 2005-11-10 | Chong Woo Co., Ltd. | Improved small hand-operated pump |
EP1755975A1 (en) * | 2004-04-29 | 2007-02-28 | Chong Woo Co., Ltd. | Improved small hand-operated pump |
CN100509579C (zh) * | 2004-04-29 | 2009-07-08 | [株]钟宇实业 | 改进的小型手操作泵 |
US7938298B2 (en) | 2004-04-29 | 2011-05-10 | Chong Woo Co., Ltd. | Small hand-operated pump |
EP1755975A4 (en) * | 2004-04-29 | 2013-07-03 | Chong Woo Co Ltd | IMPROVED SMALL HAND-HELD PUMP |
KR100737283B1 (ko) | 2005-11-11 | 2007-07-09 | 안종원 | 펌프 디스펜서 |
KR100889050B1 (ko) * | 2007-09-17 | 2009-03-20 | 주식회사 다린 | 디스펜서 펌프 |
KR101337069B1 (ko) * | 2013-07-05 | 2013-12-06 | 정상열 |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
CN110418589A (zh) * | 2017-03-09 | 2019-11-05 | 株式会社衍宇 | 用于吐出珠状物的抽吸容器 |
CN110418589B (zh) * | 2017-03-09 | 2022-04-22 | 株式会社衍宇 | 用于吐出珠状物的抽吸容器 |
WO2018164370A1 (ko) * | 2017-03-09 | 2018-09-13 | (주)연우 | 비드 토출용 펌프 용기 |
KR101906979B1 (ko) * | 2017-03-09 | 2018-10-11 | (주)연우 | 비드 토출용 펌프 용기 |
US11006725B2 (en) | 2017-03-09 | 2021-05-18 | Yonwoo Co., Ltd. | Bead discharge pump container |
EP3593669A4 (en) * | 2017-03-09 | 2021-01-06 | Yonwoo Co.,Ltd | PUMP CONTAINER FOR BALL EVACUATION |
CN114786821A (zh) * | 2019-12-12 | 2022-07-22 | 株式会社衍宇 | 弹性部件及包括该弹性部件的泵组件 |
CN114786821B (zh) * | 2019-12-12 | 2023-09-12 | 株式会社衍宇 | 弹性部件及包括该弹性部件的泵组件 |
KR102139302B1 (ko) * | 2020-02-07 | 2020-07-30 | 우성인팩(주) | 내용물 토출용 비금속 펌핑 장치 |
KR102186042B1 (ko) * | 2020-04-29 | 2020-12-03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KR102172655B1 (ko) * | 2020-04-29 | 2020-11-02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KR102172237B1 (ko) * | 2020-04-29 | 2020-10-30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KR20210133851A (ko) * | 2020-04-29 | 2021-11-08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KR102425870B1 (ko) * | 2020-04-29 | 2022-07-27 | (주)연우 |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
US11773840B2 (en) | 2020-04-29 | 2023-10-03 | Yonwoo Co., Ltd. |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16899B2 (ja) |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 |
KR101487191B1 (ko) |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 |
KR200318834Y1 (ko) | 디스펜서 | |
KR100586431B1 (ko) | 액체주입특성을 가진 이중스프링 예압축펌프 | |
EP3476243B1 (en) |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 |
KR920700779A (ko) | 액체 분출기 | |
KR102123187B1 (ko) | 펌프 용기 | |
JPS6251150B2 (ko) | ||
KR102017318B1 (ko) | 디스펜서 펌프 | |
JPS6013666A (ja) | 分配ポンプ | |
KR20120004976U (ko) | 액체용기용 펌핑디스펜서 | |
KR101138983B1 (ko) |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 |
US6913169B2 (en) | Low profile, fine mist, finger-operated, precompression-type spray pump | |
KR200466221Y1 (ko) | 화장품용기 | |
CN109661276B (zh) | 防水型泵分配器 | |
KR102125725B1 (ko) | 펌프 디스펜서 | |
KR200281525Y1 (ko) |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 |
KR20200118548A (ko) |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 |
KR200166433Y1 (ko) | 디스펜서펌프 | |
KR200187929Y1 (ko) |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 |
KR200406686Y1 (ko) |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 |
KR200295744Y1 (ko) |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 |
KR102111273B1 (ko) | 화장품 용기용 디스펜서 | |
KR102421135B1 (ko) | 펌프 디스펜서 | |
KR200217928Y1 (ko) | 용기의 펌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