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910A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1910A KR20030091910A KR1020030080728A KR20030080728A KR20030091910A KR 20030091910 A KR20030091910 A KR 20030091910A KR 1020030080728 A KR1020030080728 A KR 1020030080728A KR 20030080728 A KR20030080728 A KR 20030080728A KR 20030091910 A KR20030091910 A KR 200300919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 plate
- side plate
- plate
- multifunctional chair
- ch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131 children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0097 Megalonaias nerv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측판과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 등받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 또는 등받이판에 형성된 구동홈에 삽입되는 연결부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등받이판이 전후로 회동될 수 있는 다기능 의자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등받이판은 고정 등받이판과 이동 등받이판으로 별개의 구성을 가지도록 하여 등받이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판을 구비하여 샴푸용 의자, 유아용 변기, 물품 보관함 및 발판 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인간이 안착될 수 있는 시트와, 이 시트의 후단에 연결되는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단순히 착석할 수 있는 의자의 기능에 다른 기능을 첨가한 다기능 의자가 개시되어 있는데, 특히 성인용의 좌변기를 사용하기 곤란한 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하여 변기로 사용될 수 있는 의자가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163437호에서는 변기통과 회동 가능한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유아용 의자 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유아용 의자 변기는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된 유아용 의자에 변기통과 변기 커버를 단순히 결합시킨 것에 불과하고, 특히 등받이를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 접기 위해서는 등받이와 시트를 연결하는 체결부를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91801호에서는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변기 겸용 유아용 샴푸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는 등받이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조정하기 위하여 레버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어 조작이 복잡할 뿐 아니라 등받이를 전면으로 접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시트를 포함한 등받이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이를 운반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65462호에서는 식탁용 의자, 놀이용 자동차 및 흔들의자 기능을 동시에 갖춘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의자와 만곡되는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프레임의 위치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의자를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기능에서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의자와 프레임을 잇는 연결축을 제거하여야 할 뿐 아니라, 의자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특히, 상기에서 기술된 선행 등록실용신안은 공히 유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급속하게 성장하는 유아 또는 어린이의 발육 정도에 따라 별도의 의자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일반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하게 다양한 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운반성, 휴대성 및 경제성을 갖춘 의자를 개발할 필요성이 커지고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간이 착석할 수 있는 의자로 사용됨과 동시에 발판용 의자, 샴푸용 의자, 변기, 물품 보관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에서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속적인 성장에 맞추어 장기간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정에서 경제적 부담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구성 요소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측판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등받이판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판을 이루는 고정 등받이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은 도 5b의 Ⅵ - Ⅵ'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판을 이루는 이동 등받이판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판의 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등받이판 상부에 안착되는 경부 지지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0a의 ⅩⅠ - ⅩⅠ'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및 경부 지지부 상단으로 탄성부가 덮여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 후단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3a 및 도 13c는 각각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에 결합되는 부재의 하나인 변기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각각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의 용도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a, 210b : 측판212, 214, 215 : 연결부
220 : 제 1 결합축221a, 221b : 제 2 결합축
229 : 걸림턱230 : 시트
240 : 고정 등받이판249, 259 : 돌출단
250 : 이동 등받이판252 : 경부 받침부
260 : 발판270 : 지지부
280 : 경부 지지부380 : 변기대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후단 내측에 각각 구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좌측판 및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측에서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 양측 하단에 형성된 제 2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구동홈에 내입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대적 위치 변동에 따라 각도 조절될 수 있는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전후로 회동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에 변기대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변기 덮개로 사용될 수 있으며,측판의 후단으로 등받이판이 뒤쪽으로 회동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측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등받이판의 상단 중앙은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의자가 샴푸용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아 또는 어린이의 경부가 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판이 전면으로 완전히 회동되어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경우 등받이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측판 내측에도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측판을 연결하는 결합부와 접촉하는 변기대 또는 물품 보관함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측에서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 양측 하단에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측판과 연결되는 고정 등받이판과, 상기 고정 등받이판 상단의 연결홈에 내입되는 이동 등받이판으로 구성되는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고정 등받이판은 배면을 향하여 돌출된 양측단을 갖는 제 1 고정 등받이판과,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돌출된 양측단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 2 고정 등받이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은 돌출된 양측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은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최초 절곡된 면에 접촉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 또는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내면에 높이 고정 부재가 내입되고, 상기 이동 등받이판의 전면과 배면 중 선택되는 부분에는 상기 높이 고정 부재사이의 면 접촉을 통하여 이동 등받이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이동 등받이판의 중앙 상단에는 기술한 것과 같은 경부 받침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경부 받침부의 전단과 후단이 수평상태가 아니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소정의 단차를 주어 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면에 경부 지지부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등받이판 상단에 안착되는 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면으로 탄성부가 덮여질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판의 배면으로 요철 형상의 등받이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단에 측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내측에서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 상기 측판의 후단과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홈이 하단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홈에 대한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대적 위치 변동에 전후 각도 조절될 수 있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로서 이를 동시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상단과 하단이 결합축(220, 221a, 221b)으로 연결되는 좌측판(210a)과 우측판(210b)으로 구성되는 측판(210)과, 상기 측판(210)의 후단 내측에 형성된 제 1 연결대 삽입홈(212)을 통하여 연결되는 시트(230)와, 상기 시트(230)의 배면에서 상기 측판(210)에 형성된 구동홈(214)으로 연결되는 등받이판(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측판(210)을 이루는 좌측판(210a) 및 우측판(220b)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내측으로 각각 상기 시트(230)와 등받이판(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좌측판(210a) 및 우측판(210b)을 연결하는 결합축(220, 221a, 221b)은 측판(210)의 하단과 상단에 연결된다. 이때, 측판(210)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 1 결합축(220)은 측판(210) 하단의 제 1 결합홀(222)과, 측판(210)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 2 결합축(221a, 221b)은 측판(210) 상단의 제 2 결합홀(224a, 224b)에 각각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결합축(221)이 측판(210)의 전단에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측판(210)의 후단에도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결합축(220) 및 제 2 결합축(221a, 221b)이 각각 삽입되는 상기 제 1 결합홀(222) 및 제 2 결합홀(224a, 224b)의 외측으로는 각각 상기 결합축(220, 221a, 221b)을 측판(2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223, 225a, 225b)이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를 구성하는 상기 시트(230)는 측판(210)의 후단 내측에 형성된 제 1 연결대 삽입홈(212)을 통하여 측판(210)과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시트(230)의 양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제 1 연결대(2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대(232)와 시트(230)의 연결을 위하여 시트(230)의 측면에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으나, 시트(230)와 제 1 연결대(232)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 2 결합축(221a, 221b)의 상단으로 변기대(도 13a 참조)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변기 덮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제 2 결합축(221a, 221b)에 아무런 부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결합축(221a, 221b)의 상면으로 회동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가 안착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시트(230)를 변기 덮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시트(230)는 상기 등받이판(300)의 전면으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시트(230)의 저면으로 끼움홈(238)이 형성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등받이판(300)은 상기 측판(210)의 후단 상부 내측에 형성된 구동홈(214)에 삽입되는 제 2 연결대(244)를 통하여 측판(210)과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대(244)의 이동을 통하여 등받이판(300)을 전후로 회동시키거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홈(214)은 상기 제 2 연결대(214)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구동홈(214)은 전체적으로 측판(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그 중앙 하단은 아래쪽으로 만곡 또는 절곡되는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대(244)가 상기 구동홈(214)의 전단과 후단 및 중앙 하단에 놓여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등받이판(300)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에 용도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4a 내지 도 14b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제조 공정의 편의성을 고려한다면 상기 제 2 연결대(244)는 상기 등받이판(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형으로서 나사결합, 볼트결합, 힌지결합 등의 수단을 통하여 제 2 연결대(244)를 등받이판에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시트(230)가 상기 제 2 결합축(221, 221b)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대(244)를 수동 조작하여 상기 등받이판(300)이 전면으로 완전히 회동되어 상기 시트(230)의 상면으로 안착되어 발판용 의자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등받이판(300)이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게 되고, 등받이판(300)의 상부에서 발을 디디고 있는 사람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등받이판(300)이 완전히 전면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와 같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판(3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단(249, 259)이 설치되고, 상기 돌출단(249, 259)과 상응될 수 있도록 측판(210)의 상단 내측에는 걸림턱(229)이형성되어 등받이판(300)이 시트(230)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경우 상기 돌출단(249, 259)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등받이판(200)의 중앙 상단(252)은 아래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의자에 착석한 유아, 어린이의 경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경부 받침부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판(300)은 측판(21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측면에 제 2 연결대(244)가 구비되는 고정 등받이판(240)과,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251)을 통하여 고정 등받이판(240)과 접촉되는 이동 등받이판(250)으로 구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등받이판(300)의 중앙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상단으로 실질적으로 유아, 어린이의 경부가 안착되는 경부 지지부(280)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전단 또는 후단을 관통하는 제 1 결착홀(253)이 바람직하게는 좌우 대칭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결착홀(253) 주변 내면에는 결착돌기(254)가 형성되며, 상기 경부 지지부(280)에는 상기 제 1 결착홀(253)과 연통될 수 있는 제 2 결착홀(283)과 상기 결착돌기(254)가 삽입될 수 있는 결착홈(284)이 형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230) 및 등받이판(300)이 연결되는 측판(210)의 후단 내면에 형성된 제 3 연결대 삽입홀(216)을 통하여 상기 측판(210)과 연결되는 등받이판 지지부(270)를 가질 수있다. 상기 등받이판 지지부(27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끼움단 삽입홈(275)과 제 3 연결대(276)를 구비하여 측판(210) 후단부에 형성된 끼움홈(215)과 제 3 연결대 삽입홀(216)에 내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 3 연결대 삽입홀(216)의 외측으로 체결수단(217)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대(232) 또는 제 2 연결대(244)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상기 끼움돌기(275) 또는 제 3 연결대(27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받이판 지지부(2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 결합, 나사결합, 볼트결합, 힌지 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측판(210)의 하단 내측으로는 제 4 연결대 삽입홈(218)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4 연결대 삽입홀(218)에 내입되는 제 4 연결대(268)가 측면에 형성된 발판(260)이 측판(210)과 연결된다.
특히, 도시한 것과 같이 결합홀(222, 224a, 224b), 삽입홈(212, 215, 218), 구동홈(214) 및 삽입홀(216)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측판(210)의 외측에는 오목부(219)가 형성되어 측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측판의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 3a에서는 측판의 하단 전면에 결합되는 제 1 결합축(220)과 측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 2 결합축 중 후면에 결합되는 제 2 결합축(221b)만을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측판을 이루는 좌측판(210a) 및 우측판(210b)이 실질적으로 대칭 형상임을 고려하여 도 3b에서는 좌측판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측판의 하단 전면에는 발판이 연결될 수 있는 제 4 연결대 삽입홈(218) 및 제 1 결합축(222)이 내입될 수 있는 제 1 결합홀(2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대략적으로 측판의 중간 높이에서 제 2 결합축이 내입될 수 있는 제 2 결합홀(224a, 224b)이 측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시트, 등받이판 및 등받이판 지지부를 측판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측판(210a, 210b)의 후단에는 각각 제 1 연결대 삽입홈(212), 구동홈(214), 제 3 연결대 삽입홀(216) 및 끼움홈(215)이 구비되어 있다. 기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연결대 삽입홈(212), 구동홈, 제 3 연결대 삽입홀(216) 및 끼움홀(215)로는 각각 시트의 제 1 연결대(232), 등받이판의 제 2 연결대(244), 등받이판 지지부의 제 3 연결대(276) 및 끼움단(275)이 내입된다.
특히 상기 좌측판(210a) 및 우측판(210b)의 전면과 후면의 하단으로는 측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판 미끄럼 방지부(228)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측판의 전면과 후면의 가운데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후면의 하단은 뒤쪽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측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축(220, 221a, 221b)의 양 끝단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축을 측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측판의 결합홀(222, 224a, 224b)의 내면에도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등받이판(300)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판은 크게 하단에 형성되어 측판과 연결되는 고정 등받이판(240)과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상부에 연결되는 이동 등받이판(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측면 하단에는 제 2 연결대(244)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측판의 후단 내면에 형성된 구동홈(214, 도 2 참조)에 내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과 측판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연결대(244)는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 등받이판(240)과 일체형으로 하여 제조과정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2 연결대(244)와 고정 등받이판(240)은 축 결합, 나사 결합, 볼트 결합 및 힌지 결합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전면의 제 1 고정 등받이판과 후면의 제 2 고정 등받이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들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홀(245)과 고정단(247)이 고정 등받이판(240)에 형성된다.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성장에 따른 등받이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상단 중앙은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취함으로써, 경부(脛部)가 자연스럽게 안착될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등받이판(250)의 상단 중앙의 경부 받침부(252, 도 2 참조)의 전단과 후단을 동일한 높이로 하지 않고, 전단과 후단의 높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부 받침부의 전단(252a)에 비하여 후단(252b)이 위쪽에 형성되도록 하여 등판이 배면으로 기울어져 샴푸용 의자로 사용되는 경우 경부가 자연스럽게 경부 받침부의 후단(252b)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부 받침부의 전단(252a)과 후단(252b)사이에 소정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거나 후단(252b)에 단차를 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전단(252a)과 후단(252b) 중 수직 방향으로 보다 연장되는 후단(252b)의 전면 중앙에는 결착돌기(254)가 전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착돌기(254)의 주변으로 제 1 결착홀(253)이 관통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상단으로 경부 지지부(280)가 안착되는 경우 경부 지지부(28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측면 상단과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측면 하단에는 각각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돌출단(249)과 제 2 돌출단(259)이 구비되어 등받이판이 전면으로 완전히 회전하여 시트(230, 도 2 참조)의 상면으로 안착하여 발판 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판(300)이 완전히 전면으로 회동되어 눕혀지게 되면, 등받이판의 배면이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가 발판으로 사용될수 있다. 이 때 상면에 위치하는 배면에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엠보싱을 주면 등받이판의 상면에 발을 디디고 있는 사람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등받이판의 배면은 전체적으로 요철 형상의 등받이판 미끄럼 방지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등받이판 미끄럼 방지부는 독립적으로 상기 등받이판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등받이판의 배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등받이판(240)은 크게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과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으로 구분된다. 도면에서는 전면에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이 위치하고, 후면에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으로 구성하였으나, 이 둘의 위치를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측단(342)은 후단을 향하여 돌출 또는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측단(342)으로부터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단(324)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 절곡면(344) 및 제 2 절곡면(345)을 형성,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배면 중앙은 측면에서 볼 때 전면으로 돌출되는 요입면(345)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연결되는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측단(343)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측단 인근에 형성되는제 1 절곡면(344)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 상부의 측단은 각각 배면 방향으로 확장/돌출되어 있으나, 하부(도면번호 미부여)는 전체적으로 배면을 향하여 확장되도록 하여,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하부의 상면으로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이 안착된 채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제 1 절곡면(344)의 상단과 후단에는 체결홈(245a)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체결구(247a)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측단(343) 상단과 후단을 관통하는 체결홀(245b)과 전면으로 돌출되는 체결단(257b)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352)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과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과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를 결합시키면,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중앙 배면에 형성된 제 2 절곡면(345)와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 사이는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데, 이 영역은 이동 등받이판(250)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241)이 된다.
특히,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에는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후단을 향하여 패인 요입부(346)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부재가 삽입되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b의 Ⅵ - Ⅵ'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우선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하부는 배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확장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이 재치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측단 주변에 형성되는 제 1 절곡면(344)과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측단(343)은 서로 접촉하고 있으나,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 배면의 중앙부분인 제 2 절곡면(345)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 전면 중앙부분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홈(24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에 형성된 요입부(346)의 내부에 이동 등받이판(250)과 접촉되는 높이 고정부재(360)가 삽입되는데, 상기 높이 고정부재(360)의 대부분은 상기 요입부(346)가 형성되는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에 형성되는 연결홈(241)까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홈(241)의 상부에서 삽입되는 이동 등받이판(250)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고정부재(360)의 중앙은 후단쪽으로 만곡되는 형상의 오목부(364)이고, 양측단은 서로 대칭되도록 전면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부(366)이며, 그 사이에는 전면을 향하여 만곡되는 형상의 볼록부(362a, 362b)를 갖는다(362a, 362b).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등받이판(250)의 배면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와의 접촉을 통하여 이동 등받이판(2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고정부재(360)는 적당한 힘을 주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판을 이루는 이동 등받이판(250)의 배면도 및 측면도로서,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하단은 상단과 비교할 때 그 폭이 좁은 높이 조절대(25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홈(241)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상단 중앙은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경부 받침부가 형성되며, 후단 경부 받침부(252b)에 제 1 결착홀(253)과 결착돌기(254, 도 4a 참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제 2 돌출단(259)이 확장되어 있음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높이 조절대(251)의 배면 중앙에는 마치 빨래판과 같이 연직 방향으로 다수의 요철 형상을 갖는 높이 조절부(25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높이 조절부(256)가 전술한 바 있는 높이 고정부재(36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내면에 형성되는 높이 고정부재(360)와 이동 등받이판(250)의 배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부(256)의 조작에 따른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높이 조절 상태를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는 고정 등받이판(240a, 240b)과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이 완전히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고정 등받이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홈(241, 도 5b 참조)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하단이 후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하단 상면에 안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배면에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256)의 상단이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높이 고정부재(360)와 접촉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높이 조절부(256)는 연직 방향으로 다수의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다수의 요철 영역 중에서 제 1 요철 영역(256a, 256b)은 높이 고정부재(360)의 상단에 형성된 제 1 볼록부(362a)에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요철 영역(256a, 256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요철 영역(257a, 257b)은 상기 높이 고정부재(360)의 하단에 형성된 제 2 볼록부(362b)에 접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 높이를 수동으로 적당한 높이로 들어 올리면, 상기 높이 고정 부재(360)는 전체적으로 배면을 향하여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볼록부(362a)에 접촉하고 있던 제 1 요철 영역(256a, 256b)은 제 1 볼록부(362a)의 상부로 이탈되고, 상기 제 2 볼록부(362b)와 접촉하고 있던 제 2 요철 영역(257a, 257b)이 제 1 볼록부(362a)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요철 영역(257a, 257b)의 하부에 있는 다른 요철 영역(도면번호 미부여)이 상기 제 2 볼록부(362a)에 접촉하여 이동 등받이판(25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의 하단(257)은 배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이동 등받이판(250)이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이동 등받이판의 하단(257)이 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으로 확장되어 있는 높이 고정부재(360)의 하단에 걸리기 때문에, 그 높이 이상으로 이동 등받이판(250)을 들어 올릴 수 없어, 이동 등받이판(250)이 고정 등받이판(240)의 내면에 형성된 연결홈(24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c)
도면에서는 상기 높이 고정부재(360)가 고정 등받이판(240)의 후단에서 결합되는 제 2 고정 등받이판(240b)의 전면에 삽입되며, 이에 접촉하는 높이 조절부(256)는 이동 등받이판(250)의 배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계사항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만약 높이 고정부재(360)가 고정 등받이판(240)의 전단을 이루는 제 1 고정 등받이판(240a)의 배면에 삽입된다면 이에 접촉하는 높이 조절부(256)는 이동 등받이판(25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도 10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경부 받침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경부 지지부(280)를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경부 받침부의 전단(252a)과 후단(252b)의 높이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상기 경부 지지부(280)의 전단(280a)과 후단(280b) 역시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그 높이를 달리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경부 받침부(252)에 형성되는 제 1 결착홀(253) 및 결착돌기(254)와 각각 접촉되는 제 2 결착홀(283) 및 결착홈(284)이 형성되어 있어, 경부 지지부(280)와 경부 받침부(25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결착홈(284)을 포함한 경부 지지부(280)의 구성과 관련하여 도 10a의 ⅩⅠ- ⅩⅠ'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인 도 11a와 상기 경부지지부(280)의 상면으로 탄성부가 덮여진 절단면도인 도 11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경부 지지부의 후단(280b)은 그 전단(280a)에 비하여 상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경부 지지부(280)의 전단(280a)과 후단(280b)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단면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후단(252b)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결착돌기(254)가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경부 지지부(280)의 후단(280b)의 하단 배면으로 결착홈(28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착돌기(254)와 결착홈(284)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상면으로 상기 경부 지지부(280)가 안착되며, 상기 경부 지지부(280)를 상기 경부 받침부(252)에 완전히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부 받침부에 형성된 제 1 결착홀(253)과 상기 경부 지지부에 형성된 제 2 결착홀(283)을 체결수단(미도시)이 연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결착홀(283) 대신에 소정의 깊이로 전단을 향하여 패인 다른 결착구를 상기 제 1 결착홀(253)과 일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경부 지지부(280)가 경부 받침부(252) 상단에 결합되면, 상기 경부 지지부(280)가 실질적으로 어린이나 유아의 경부가 안착되는 부분임을 감안한다면, 상기 경부 받침부(280)는 소정의 탄력을 갖춘 탄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상기 경부 지지부(280)가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경부 지지부(280)의 상면에 별도의 탄성부를 씌울 수 있다. 즉, 경부 지지부(280)가 경부 받침부(252)의 상면으로 완전히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갖춘 탄성부(290)를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상면을 덮도록 하면 어린이나 유아의 경부가 안착되는 경우에도 경부에 큰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부 지지부(280)의 저면과 상기 경부 받침부(252)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그 사이로 상기 탄성부(290)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탄성부(290)가 견고하게 상기 경부 지지부(28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측판의 최후단에 연결되어 등받이판(300)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등받이판 지지부(270)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등받이판 지지부(270)의 측면에는 측판 후단에 형성된 끼움홈(215, 도 2 참조) 및 제 3 연결대 삽입홀(216)로 내입될 수 있는 끼움단(275)과 제 3 연결대(276)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끼움단(215) 및 제 3 연결대(276)는 상기 등받이판 지지부(2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로 구성되어 나사결합, 축 결합, 볼트 결합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연결대(276)의 말단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연결대 삽입홀(216)의 내면에도 이에 상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판(210)의 상단 후면이 소정의 각도로 전면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등받이판 지지부(270) 역시 전면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부(27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측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합축 중 측판의 상단을 연결시키는 제 2 결합축(221a, 221b)의 상단에 다른 부재가 결합되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도 13a 및 도 13b는 그 일례로서 제 2 결합축(221a, 221b)과 접촉되어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변기대(380)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우선, 상기 변기대(38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382, 383)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382, 383)의 하단은 대략 반원 형태의 돔 형상으로 위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부 하단은 상단이 만곡되는 반원 형태의 고리 형상을 갖는 걸림홈(382a, 383a)으로서, 측판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결합축(221a, 221b, 도 2 참조)의 상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결합축과 접촉한 채로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에 연결되는 변기대는 상기 걸림홈(382a, 383a)의 저면으로부터 손쉽게 제 2 결합축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변기대(380)의 중앙으로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용변홀(384)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으로 용변함(385)이 안착되는데, 특히 상기 용변함(385)은 상기 변기대(380)로부터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용변홀(384) 상단 주변에는 용변함(385)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집을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된 끼움턱(386)이 설치된다. 또한, 남아의 경우 상기 배변대를 두고 소변을 볼 수 있는데, 이 때 소변이 외부로 튀어 누출되지 않도록 소변막이대(388)가 수직 돌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제 2 결합축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는 부재로서 변기대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변기대의 걸림부(382, 38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제 2 결합축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이 중공되어 있는 물품 보관함을 상기 제 2 결합축의 상면에 접촉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물품 보관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측판에 각각 연결되는 등받이판(300), 시트(230) 및 발판(260)의 전후 회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에서는 위치가 고정된 측판을 기준으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하여, 측판은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제 2 결합축의 상단으로 변기대가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가 통상의 의자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우선 시트(230)는 제 1 연결대(232)의 조작에 의해 전면으로 완전히 회동되어 제 2 결합축의 상단에 거치되어 있는 변기대(38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다. 고정 등받이판(240) 및 이동 등받이판(250)은 연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제 2 연결대(244)는 측판 후단에 형성된 구동홈(214) 중 아래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중앙 하단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판은 전후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발판(260)은 연직 방향으로 세워 올려져서, 그 단부가 제 2 결합축의 직하부에 놓이게 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발판(260)을 전면을 향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가 발판 또는 작업용 의자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의 의자로 사용할 경우 등을 지지하는 후단의 등받이판(240, 250)이 전면으로 완전히 회전하여 시트(23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종래 등받이판을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레버나 기어와 같은 특정 구동 수단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측판의 후단에 형성된 구동홈(214)에 내입되는 제 2 연결대(244)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손쉽게 등받이판을 전면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상의 의자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연결대(244)는 측판 후단에 형성된 구동홈(214) 중 아래 방향으로 만곡되는 중앙 하단에 내입되어 있는 반면에, 등받이판을 전면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홈의 중앙 하단에 내입되어 있는 제 2 연결대(244)를 인위적으로 들어올려 측판을 따라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홈의 후단부에 삽입되도록 하면 등받이판을 용이하게 전면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 및 그 상면에 결속되어 있는 이동 등받이판(250)이 전면으로 완전히 회동되면 등받이판의 배면이 위쪽에 형성된다. 이 경우 등받이판의 배면에 엉덩이를 대고 작업용 의자로 사용하거나 배면의 상부에 발을 대로 높은 곳에 위치한 물건을 꺼내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기술한 것과 같이 등받이판의 배면에 요철 형상의 등받이판 미끄럼 방지부를 더욱 형성하여 미끄럼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등받이판 자체가 전후좌우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등받이판(240) 및 이동 등받이판(250)의 측면으로 각각 제 1 돌출단(249) 및 제 2 돌출단(259)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상기 돌출단(249, 259)이 내삽될 수 있는 걸림턱(229)이 측설되어 있다.
도 14c는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가 변기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시트(230)와 등받이판(240, 250)은 연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우선, 상기 등받이판은 전면으로 회동될 때와 반대로 후면으로 회동되어야 하는데, 상기 구동홈(214)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있던 제 2 연결대(214)를 다시 구동홈(214)의 중앙 하단으로 삽입함으로써 손쉽게 등받이판을 후면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230)는 그 전단 저면에 형성된 끼움홈(238)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쉽게 연직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통상의 좌변기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유아나 어린이는 제 2 결합축 상단에 접촉하는 변기대(380)에서 용변을 볼 수 있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의자가 샴푸용 의자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230)는 다시 전면으로 회동하여 변기대(38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등받이판(240, 250)은 소정 각도로 뒤쪽으로 경사져 있는데, 이는 구동홈(214)에 대한 제 2 연결대(2440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가능하다. 즉, 도 14c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홈(214) 중 중앙 하단에 삽입된 제 2 연결대(244)를 들어서 구동홈(214)의 전면으로 확장되는 전단부에 내입시키기만 하면 등받이판을 뒤쪽으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뒤쪽으로 등받이판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아이가 시트(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머리를 감길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구성 요소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결합사시도로서, 상기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달리하였을 뿐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결합축(420, 421, 422, 423)을 통하여 연결되는 좌측판(410a)과 우측판(410b)으로 구성되는 측판(410)과, 상기 측판에 형성된 제 1 연결대 삽입홀(412)과 연결되는 시트(430)와, 측면 하단에 형성된 구동홈(422)에 내입되는 제 2 연결대(444)를 통하여 측판 후단에 형성된 제 2 연결대 삽입홀(414)과 연결되는 고정 등받이판(440)과 상기 고정 등받이판(440)의 상면에 결속하는 이동 등받이판(420)으로 구성되는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가 제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이루는 상기 시트(430)의 후단 중앙은 전면을 향하여 패여진 요입부(436)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등받이판(440)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데, 특히 그 전면에는 끼움홈(4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447)으로는 측판의 후단에 형성된 끼움대 삽입홀(416)에 그 일단이 내입되는 끼움대(446)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 있는 시트(430)의 후단에형성된 요입부(436)와 등받이판의 하단으로 돌출된 부분은 등받이판의 회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공간적 유격을 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등받이판(440)과 이동 등받이판(450)을 관통하는 관통홀(455)에 삽입된 고정핀을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이동 등받이판(45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등받이판을 전후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기어, 구동축, 구동 레버와 같은 복잡한 구성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정에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잔고장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특히, 누구나 손쉽게 등받이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통상의 의자는 물론, 작업용 발판, 작업용 의자, 물품 보관함, 변기, 샴푸용 의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특히, 등받이판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성장에 따라별도의 자재를 구입할 필요 없이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Claims (22)
-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후단 내측에 각각 구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좌측판 및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과;상기 측판의 내측에서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양측 하단에 형성된 제 2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구동홈에 내입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대적 위치 변동에 따라 각도 조절될 수 있는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시트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측판의 후단으로 상기 등받이판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욱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등받이판의 상단 중앙은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경부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측판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판이 전면으로 회동하여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턱에 내입될 수 있는 돌출단이 상기 등받이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측판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결합부로 구성되며,상기 제 2 결합부의 상단과 탈착될 수 있는 변기대를 더욱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변기대는 중앙 용변홀의 주변에 형성된 끼움턱에 의하여 상기 변기대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변기통과, 상기 변기통의 전면에 형성되는 소변막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는 측판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측판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결합부로 구성되며,상기 제 2 결합부의 상단과 탈착될 수 있는 물품 보관함을 더욱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과;상기 측판의 내측에서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양측 하단에 형성된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측판과 연결되는 고정 등받이판과, 상기 고정 등받이판 상단의 연결홈에 내입되는 이동 등받이판으로 구성되는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시트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의자.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등받이판은 전면의 제 1 고정 등받이판과,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배면에 접하는 제 2 고정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측단은 배면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측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며,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은 상기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최초 절곡된 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고정 등받이판 또는 제 1 고정 등받이판의 내면에 높이 고정 부재가 내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다기능 의자.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높이 고정 부재에 접촉될 수 있도록 요철 형상의 높이 조절부가 상기 이동 등받이판의 전면과 배면 중 선택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다기능 의자.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등받이판 및 상기 이동 등받이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각각 제 1 걸림단 및 제 2 걸림단이 형성되고,상기 등받이판이 회동되어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경우 사기 제 1 걸림단 및 상기 제 2 걸림단이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측판의 내측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이동 등받이판의 중앙 상단은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형상의 경부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경부 받침부의 전단과 후단이 수평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경부 받침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경부 지지부를 더욱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경부 받침부의 전단과 후단의 일 내면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경부 지지부의 전면과 후면의 일 외면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는 다기능 의자.
- 제 18항 또는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면에 덮여지는 탄성부를 더욱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 제 1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등받이판의 배면으로 요철 형상의 등받이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단에 측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다기능 의자.
- 결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구성되는 측판과;상기 측판의 내측에서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과 연결되는 시트와;상기 측판의 후단과 제 2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홈이 하단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홈에 대한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대적 위치 변동에 전후 각도 조절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0728A KR100437271B1 (ko) | 2003-11-14 | 2003-11-14 | 다기능 의자 |
CNA2004100782734A CN1615772A (zh) | 2003-11-14 | 2004-09-21 | 多用椅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0728A KR100437271B1 (ko) | 2003-11-14 | 2003-11-14 | 다기능 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1910A true KR20030091910A (ko) | 2003-12-03 |
KR100437271B1 KR100437271B1 (ko) | 2004-06-24 |
Family
ID=3238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0728A KR100437271B1 (ko) | 2003-11-14 | 2003-11-14 | 다기능 의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437271B1 (ko) |
CN (1) | CN161577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149Y1 (ko) * | 2009-12-08 | 2012-08-27 | 김경식 | 유아용 변기겸용 샴푸의자 |
KR200461464Y1 (ko) * | 2010-05-28 | 2012-07-20 | 채규종 | 이동형 아동용 의자 |
JP6722854B2 (ja) * | 2015-09-18 | 2020-07-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ポータブルトイレ |
KR101699276B1 (ko) | 2016-06-14 | 2017-01-24 | 서준석 | 다기능 조립식 의자 |
KR102108859B1 (ko) | 2019-10-25 | 2020-05-11 | 조유진 | 다기능 의자 |
-
2003
- 2003-11-14 KR KR10-2003-0080728A patent/KR1004372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09-21 CN CNA2004100782734A patent/CN161577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15772A (zh) | 2005-05-18 |
KR100437271B1 (ko) | 2004-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63802B2 (ja) | 椅子 | |
US8844072B2 (en) | Infant supporting apparatus | |
JP5383103B2 (ja) | 2つの機能を兼ねる子供用椅子 | |
CN101297723A (zh) | 折叠式洗澡椅 | |
JPH0265804A (ja) | 背もたれ付椅子 | |
JP5529502B2 (ja) | 椅子 | |
KR100437271B1 (ko) | 다기능 의자 | |
US9642757B2 (en) |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 |
KR101060669B1 (ko) | 의자겸 베드형 자동 두발세척관리기 | |
JP2009268675A (ja) | 椅子 | |
KR101496727B1 (ko) | 접철식 좌식의자 | |
JP5529501B2 (ja) | 椅子 | |
KR100919043B1 (ko) | 절첩매트리스용 이중힌지장치 | |
CN209898872U (zh) | 儿童椅 | |
KR100991359B1 (ko) |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 |
JP3958045B2 (ja) | 椅子 | |
CN219813673U (zh) | 一种面板可调节的组合式儿童餐椅 | |
JPH0324109Y2 (ko) | ||
JP4081520B2 (ja) | 椅子 | |
KR101048067B1 (ko) | 높이 가변 의자 | |
CN218355923U (zh) | 俯仰可调的浴床及浴盆组合 | |
KR200461608Y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식 책상 | |
JP4486465B2 (ja) |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 |
KR200398836Y1 (ko) |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 |
CN211632561U (zh) | 婴儿摇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