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0009765A -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 Google Patents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9765A
KR20030009765A KR1020010044380A KR20010044380A KR20030009765A KR 20030009765 A KR20030009765 A KR 20030009765A KR 1020010044380 A KR1020010044380 A KR 1020010044380A KR 20010044380 A KR20010044380 A KR 20010044380A KR 20030009765 A KR20030009765 A KR 2003000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input
output
alignment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837B1 (ko
Inventor
권오달
강희춘
송정환
송영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837B1/ko
Priority to US10/093,000 priority patent/US6839492B2/en
Priority to EP02009778A priority patent/EP1279979A3/en
Priority to JP2002177635A priority patent/JP2003057487A/ja
Publication of KR2003000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8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0Optical coupling means for use between fibre and thin-film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패키징 장치는 (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동일면에 배치되는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출력 도파로의 외곽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더미 도파로가 구비되고, 상기 더미 도파로의 출력 포트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와 동일면에 배치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 및 (b)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와 정렬 결합되도록 다수의 포트들을 각각 구비한 단일 광섬유 블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번의 정렬 과정으로 광도파로 소자의 입출력 포트와 단일 광섬유 블럭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PACKAGING DEVICE FOR WAVEGUIDE ELEMENT}
본 발명은 파장분할 다중화/역다중화(MUX/DEMUX)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광통신 모듈의 평면 광도파로 소자(PLC:Planar Lightguide Circui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도파로 소자와 블럭간을 정렬하여 하나의 광통신 모듈로 제작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파장분할 다중화 (WDM:Waveguide Division Multiplexing)) 통신 시스템에서는 한 가닥의 광섬유를 통해 N개의 파장을 갖는 광 신호를 동시에 전송한다.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기 위해서는 수신단에서 이를 각각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로 분리해야 한다. 단일 모드 광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파장 다중화 통신 시스템의 수신단에서는 여러 개의 파장을 갖는 광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주로 광도파로열 격자(AWG:Arrayed Waveguide Grating)를 이용한다.
이러한 광도파로열 격자를 이용한 광도파로 소자의 동작은 광 도파로열 격자를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로 간주하고, 입사하는 광의 회절에 따른 분산 특성을 공지의 격자 방정식을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광 신호의 분기, 변조, 스윗칭, 신호 다중화 등의 광신호 처리를 목적으로 평면 도파로 기술(PLC)을 이용하여 평면 기판(substrate)상에 광 도파로를 제작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직접화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도파로 소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로는 도파로의 설계, 제작 및 패키지 등을 예로 들수 있다. 일반적인 광도파로는 입력된 빛을 가두고 길이방향으로 손실이 적게 전파시키는 광 전송로로서, 굴절률이 큰 코아(core)와, 코아를 둘러싸고 있는 굴절률이 낮은 클래딩(cladd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도파로 소자는 실리콘(silicon)이나 쿼츠(quartz) 기판에 여러 층의 실리카(silica) 또는 폴리머(polymer) 박막을 증착하여 코아와, 코아를 감싸는 클래딩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빛을 분할하거나, 빛의 경로를 변경시키거나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접착제(B)를 삭제하였다. 도 2에 도시된평면 광도파로 소자는 WDM 통신에 사용되는 광소자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평면 광도파로 소자(10)(PLC)는 빛을 입력하고, 출력하기 위하여 광섬유 블럭(20,30)(optical fiber block)과의 정렬되고,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10)의 입력 포트(12a)와 출력 포트(18a)에 각각 정렬되는 입력측 및 출력측 광섬유 블럭(20,30)은 광섬유[단일 광섬유(F1)나 리본 광섬유(F2)]를 지지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보통의 실리콘 기판(silicon substrate)에 V-형 홈(V-groove)(미 도시됨)들을 형성하여 단일 광섬유(F1)나 리본 광섬유(F2)를 각각 배열하고, 접착제(B)(또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단일 광섬유(F1)(single optical fiber) 또는 리본 광섬유(F2)(ribbon-type optical fiber)를 고정하여 제작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10)는 파장을 다중화하는 기능(multiplexing)을 수행하는 칩으로서, 여러 개의 파장이 입력 도파로(12)로 입력되고, 각각의 파장이 각각의 출력 도파로(18)들로 출력되어 필요로 하는 다 채널에 대응한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10)는 광도파로열 격자(AWG)를 중심으로 일단으로 입력 도파로(12)(input waveguide)가 위치하고, 타단으로 출력 도파로(18)(output waveguide)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도파로(12)와 출력 도파로(18)들사이에 제1,2성형 결합기(14,16)(star coupler)가 배열된다. 상기 광도파로열 격자(AWG)는 하나의 중심 파장에 대하여 각각의 광도파로열 격자를 구성하는 광도파로들로 진행하는 광파들 사이의 광로 정차들이 상기 중심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디자인을 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진행하는 광신호는 각각의 디자인된 광로를 따라서 전진하고, 각각의 디자인된 위치에 제작되는 출력 도파로들로 입사되어 출력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광로 정차는 광파들이 진행한 거리들에의 차에 그 진행 매질의 굴절율을 곱한 것을 말한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12a)(input port)에 입력측 광섬유 블럭(20)이 정렬(미 도시된 정밀 위치제어장치를 이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18a)(output port)들에 출력측 광섬유 블럭(20)이 정렬(미 도시된 정밀 위치제어장치를 이용)되어 고정되며, 미 도시된 하우징에 밀봉되어 패키징이 완료된다.
이로써 상기 단일 광섬유(F1)를 통과하는 다수의 광신호들은 입력 포트(12a), 입력 도파로(12), 제1성형 결합기(14), 광도파로열 격자(AWG), 제2성형 결합기(16), 출력 도파로(18)들 및 출력 포트(18a)들을 거쳐 리본 광섬유(F2)로 향하여 출력된다. 부가적으로, 평면 광도파로 소자(10)나 입력측 또는 출력측 광섬유 블럭(20,30)의 가공성을 위하여 유리 상판(G1,G2,G3,G4)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평면 기판(S)상에 광도파로열 격자(AWG)를 제작하고자 할 때, 종래에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10)의 입출력 포트(12a,18a)들에 입력측/출력측 광섬유 블럭(20,30)을 각각 정렬시키고, 광대역 레이져 신호를 입력한 후, 다음 소자에 출력되는 빛을 광학 렌즈(미 도시됨)를 이용하여 각 도파로의 신호를 광 파워메타로 측정함으로써, 소망하는 광도파로열 격자(AWG)를 제작하여 왔다.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평면 광도파로 기슬을 이용한 빔 스플리터(110)의 패키징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조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패키징 장치는 빔 스플릿터(110)와, 상기 빔 스플릿터(110)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정렬되어 결합되는 입출력측 광섬유 블럭(120,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빔 스플릿터(110)는 입력 도파로(112)와, 상기 입력 도파로(112)로부터 두번 Y형으로으로 분기된 출력 도파로(114)들이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입력측 광섬유 블럭(120)은 단일 광섬유(122)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광섬유 블럭(130)은 리본형 광섬유(132)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빔 스플릿터(110)는 입력 포트(112a)와 출력 포트(114a)가 각각 대향하는 면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빔 스플릿터(110)의 입력 포트(112a)는 상기 입력측 광섬유 블럭(120)과 대면하고, 상기 빔 스플릿터의 출력 포트들(114a)은 상기 출력측 광섬유 블럭(130)과 대면한 상태로 정렬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광도파로 소자(빔 스플릿터 포함)의 서로 대향하는 이격된 입출력 포트에 각각 입력측 및 출력측 광섬유 블럭이 정렬되어 고정되는 구조는 복잡하여 조립성이나 생산성 또는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입력측 및 출력측 광섬유 블럭을 각각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 정렬시키는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입출력측 광섬유 블럭을 각각 순차적으로 평면 광도파로 소자에 정렬하는 과정이 두 번 소요되었다. 이러한 광섬유 블럭의 정렬 과정은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정렬 시간의 증가는 소자의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특히 정렬 과장 중, 접착제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과정에서 열변형이 발생하여 정렬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과정은 단 한번에 수행될 수 있는 정렬 장치가 요구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광도파로 소자의 정렬 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이격된 두 개의 광섬유 블럭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듈 자체의 크기나 부피가 커지는 문제도 있다. 통상적인 모듈의 크기는 소형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면에 설계함으로써,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블럭과의 정렬 시간 및 접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 및 구조 단순화에 유리한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가 절감에 유리한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블럭간을 연결하는 패키징 장치에 있어서,
(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동일면에 배치되는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외곽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더미 도파로들이 구비되고, 상기 더미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이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동일면에 배치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 및
(b)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와 대면하여 정렬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다 수의 포트들을 구비한 단일 광섬유 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블럭을 연결하는 패키징 장치에 있어서,
(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포트를 구비한 정렬 도파로를 포함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 및
(b)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상기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 및 상기 정렬 포트와 대면하여 정렬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다 수의 포트들을 구비한 단일 광섬유 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입출력측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스플릿터와 입출력측 광섬유 블럭간의 패키징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스플릿터와 입출력측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단일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단일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단일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빔 스플릿터와 단일 광섬유 블럭의 패키징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빔 스플릿터와 단일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평면광도파로 소자와 단일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의 정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 따른 정렬 장치는 동일면(S1)에 위치하고,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 입출력 포트(41a,44a)를 포함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와,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의 복수 개의 도파로의 포트들에 정렬되어 접착제(B1)(에폭시 수지나 열경화형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단일 광섬유 블록(50)(single optical fiber block)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50)은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의 입력 도파로(41)의 입력 포트(41a)와, 출력 도파로(44)의 출력 포트(44a)들과 정렬되어 결합되어져야 하며,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는 입력 포트(41a)와 출력 포트(44a)들이 동일한 방향, 구체적으로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의 동일면(S1)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도파로(41)의 입력 포트(41a)와 출력 도파로(44)의 출력 포트(44a)들은 단일 광섬유 블럭(50)과 정렬되어 결합되어 질 수 있는 위치, 즉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의 거리가 상기 광섬유 블록의 결합면내에 제공된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는 광신호가 진행하는 광섬유와 정렬된 상태로 결합되기 위하여 광섬유 블럭을 필요로 한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는 실리콘이나 퀄츠 기판(S)에 여러 층의 실리카 또는 폴리머 박막을 증착하여 코아와, 이를 감싸고 있는 클래딩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도파로라고 불리는 코어의 설계에따라서 빛이 진행하도록 설계되는 소자이다. 공지의 코아와 클래딩 및 광도파로열 격자에 대해서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와 단일 광섬유 블럭(50)을 상호 정렬 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의 입출력 포트(41a,44a)들과 단일 광섬유 블럭(50)은 대면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는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와 단일 광섬유 블럭(50)간의 정렬 시, 상호간의 초기 정렬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도파로(45)(aligning waveguide)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출력 도파로(44)의 양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도파로(46)(dummy waveguide)들을 추가하여 버어니어 형식의 소자를 구비한다. 도 5, 도 6에는 한 개의 정렬 도파로(45)와 한 개의 더미 도파로(46)가 제공된 평면 광도파로 소자가 도시되었다.
이때, 상기 정렬 도파로(45)는 입력 정렬 포트(45a)(input aligning port)와 출력 정렬 포트(45b)(output aligning port)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 정렬 포트(45a)는 단일 광섬유 블럭(50)과 정렬되어 결합되지만, 상기 출력 정렬 포트(45b)는 상기 입력 정렬 포트(45a)와 동일한 면(S1)에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출력 정렬 포트(45b)는 상기 면(S1)에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면(S2)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정렬 도파로(45)는 직선 도파로로 구성되어 서로 상이한 면에 위치하는 각각의 입출력 정렬 포트(45a,45b)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입력 정렬 포트(45a)는 단일 광섬유 블럭(50)과 대면하여정렬 결합되고, 상기 출력 정렬 포트(45b)는 단일 광섬유 블럭(50)과 대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입력 정렬 포트(45a)는 다수 개의 포트들 중, 최 외곽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도파로(45)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에 필요에 따라서 직선 도파로로 구성되며, 상기 더미 도파로(46)도 적어도 한 개 이상 출력 도파로(44)의 외곽에 구비되어진다.
한편,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와 정렬되어 결합되는 단일 광섬유 블럭(50)도 상기 복수 개의 포트(41a,44a,45a,46a)와 정렬되어 접착제(B)를 이용하여 결합되기 위하여 상응하는 포트(P)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50)은 광섬유(F3)를 지지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보통 실리콘 기판 또는 쿼츠 기판(S)에 V-홈(V-groove)(미 도시됨)을 형성하여 광섬유, 바람직하게 리본형 광섬유(F3)를 배열하고, 접착제(B)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6에는 이해를 돕기위하여 접착제(B)를 삭제하여 도시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입력 포트(41a)를 경유하여 상기 입력 도파로(41)로 입사한 빛은 제1성형 결합기(42), 광도파로열 격자(AWG1) 및 제2성형 결합기(43)와 출력 도파로(44)를 경유하여 출력 포트(44a)로 출력되는 광경로를 가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40)의 가공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광학용 유리 상판(G5,G6)을 부착할 수 도 있고, 상기 광섬유 블럭(50)에 정렬된 리본 광섬유(F3)를 정렬한 후, 우수한 가공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리 상판(G7)을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정렬 도파로(45b)의 직전에 미 도시된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정렬 과정 전, 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파워를 측정한 후에 단일 광섬유 블럭(50)의 초기 정렬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입력 도파로(41)에 빛을 입사하고, 이어서 더미 도파로(46)의 광파워를 측정함으로써, 광도파로열 격자(AWG1)와 단일 광섬유 블럭(50)간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단일 광섬유 블럭간의 정렬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60)의 정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평면 광도파로 소자(60)의 정렬 장치는 입력 도파로(61)의 입력 포트(61a)와, 복수 개의 출력 도파로(64)의 출력 포트(64a)들과, 입출력 포트(61a,64a)들과 동일한 면(S3)에 제공되는 정렬 도파로(65)의 입출력 정렬 포트(65a,65b)를 포함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60)와,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정렬되어 결합되는 광섬유 블럭(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70)은 상기 입력 도파로(61)의 입력 포트(61a)와, 출력 도파로(64)의 출력 포트(64a)와, 정렬 도파로의 입출력 포트(65a,65b)와 정렬되어 접착제(B2)를 이용하여 결합되기 위하여 다수의 포트들(P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렬 도파로(65)는 입출력 도파로(61,64) 및 제1,2성형 결합기(62,63)와 광도파로열 격자(AWG2)를 따라서 근접하게 디자인되며, 특히 직선 도파로와 곡선 도파로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60)는 단일 광섬유 블럭(70)과의 상호 결합 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60)의 입출력 포트(61a,64a)와,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70)의 입출력 정렬 포트(65a,65b)들이 대면하여 결합되며, 특히 상기 입출력 정렬 포트(65a,65b)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60)와 광섬유 블럭(70)간의 초기 정렬을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다수 개의 포트들의 배열 순서를 평면 광도파로 소자(60)의 상측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정렬 도파로의 출력 정렬 포트(65b), 더미 도파로의 포트(66b),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64a), 더미 도파로의 포트(66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61a), 정렬 도파로의 입력 정렬 포트(65a)가 위치한다. 특히, 상기 입력 정렬 포트(65a)와 출력 정렬 포트(65b)는 각각 최외각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정렬 장치는 제1실시 예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상기 정렬 도파로의 출력 정렬 포트(65b)가 입력 정렬 포트(65a)와 동일한 면(S3)에 제공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렬 도파로(65)는 단 한 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70)도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다수 개의 포트들과 정렬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기 위하여 상응하는 포트들(P1)과 리본 광섬유(F4)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광섬유(F4)는 다 수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 리본 광섬유가 바람직하며,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60)는 가공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양측에 각각 유리 상판(G8,G9)이 접착제(B2)를 이용하여 부착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광섬유블럭(70)은 정렬된 광섬유(F4)를 고정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리 상판(G1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 따른 정렬 장치는 동일면(S4)에 구비된 입출력 포트(81a,84a)를 포함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와,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의 복수 개의 도파로에 정렬되어 접착제(B1)(에폭시 수지나 열경화형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단일 광섬유 블록(90)(single optical fiber block)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90)은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의 입력 도파로(81)의 입력 포트(81a)와 출력 도파로(84)의 출력 포트(84a)들과 정렬되어 결합되어져야 하며,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는 입력 포트(81a)와 출력 포트(84a)들이 동일한 방향, 구체적으로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의 동일한 면(S4)에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도파로(81)의 입력 포트(81a)와 출력 도파로(84)의 출력 포트(84a)들은 단일 광섬유 블럭(90)과 정렬되어 결합되어 질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에 제공된 광도파로열 격자(AWG3)는 실리콘이나 퀄츠 기판(S)에 여러 층의 실리카 또는 폴리머 박막을 증착하여 코아와, 이를 감싸고 있는 클래딩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도파로라고 불리는 코어의 설계에 따라 일정한 디자인으로 형성된다. 공지의 코아와 클래딩 및 광도파로열 격자에 대해서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와 단일 광섬유 블럭(90)을 상호 정렬 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의 입출력 포트(81a,84a)들과 단일 광섬유 블럭(90)은 대면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입력 도파로(81)의 입력 포트(81a)는 출력 도파로(84)들의 출력 포트(84a)들 사이에 위치한다. 즉,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81a) 외곽으로 출력 도파로의 출력 포트(84a)들이 배열된다.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는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와 단일 광섬유 블럭(90)간의 정렬 시, 상호간의 초기 정렬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도파로(85)(aligning waveguide)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출력 도파로(84)의 양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도파로(86)(dummy waveguide)들을 추가하여 버어니어 형식의 소자를 구비한다. 도 9, 도 10에는 한 개의 정렬 도파로(85)와 한 개의 더미 도파로(86)가 제공된 평면 광도파로 소자가 도시되었다.
이 때, 상기 정렬 도파로(85)는 입력 정렬 포트(85a)(input aligning port)와 출력 정렬 포트(85b)(output aligning port)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 정렬 포트(85a)와 출력 정렬 포트(85b)는 동일한 면(S2)에 배치된다. 상기 정렬 도파로(85)는 직선형 도파로와 곡선형 도파로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입력 정렬 포트(85a)와 출력 정렬 포트는는 단일 광섬유 블럭(90)과 대면하여 정렬 결합되고, 상기 입출력 정렬 포트(85a,85b)는 다수 개의 포트들 중, 최 외곽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도파로(85)는 적어도 한 개 이상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에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더미 도파로(86)도 적어도 한 개 이상 출력 도파로(84)의 외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평면 광도파로 소자(80)는 광신호를 다중화하는 소자로서, 입력광이 입력되는 입력 도파로(81), 제1성형 결합기(82), 광도파로열 격자(AWG3), 제2성형 결합기(83), 출력 도파로(84)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도파로(81)는 출력 도파로(84)들 사이에 위치하여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광도파로열 격자(AWG3)와 제1,2성형 결합기(82,83)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와 정렬되어 결합되는 단일 광섬유 블럭(90)도 상기 복수 개의 포트(81a,84a,85a,85b,86a,86b)와 정렬되어 접착제(B3)를 이용하여 결합되기 위하여 상응하는 포트(P2)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90)은 광섬유(F5)를 지지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보통 실리콘 기판 또는 쿼츠 기판에 V자형-홈(V-groove)(미 도시됨)을 형성하여 광섬유, 바람직하게 리본형 광섬유(F5)를 배열하고, 접착제(B)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10에는 이해를 돕기위하여 접착제(B)를 삭제하여 도시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입력 포트(81a)를 경유하여 상기 입력 도파로(81)로 입사한 빛은 제1성형 결합기(82), 광도파로열 격자(AWG3) 및 제2성형 결합기(83)와 출력 도파로(84)를 경유하여 출력 포트(84a)로 출력되는 광경로를 가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80)의 가공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광학용 유리 상판(G11,G12)을 부착할 수 도 있고, 상기 광섬유 블럭(90)에 정렬된 광섬유(F5)를 고정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리 상판(G13)을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정렬 도파로(85b)의 직전에 미 도시된 렌즈를 제공함으로써,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파워를 측정한 후, 이어서 단일 광섬유 블럭(80)의 초기 정렬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입력 도파로(81)에 빛을 입사하면서 더미 도파로(86)의 광파워를 측정함으로써, 광도파로열 격자(AWG3)와 단일 광섬유 블럭(90)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평면 광도파로 소자는 빔 스플릿터(220)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빔 스플릿터(220)의 패키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 따른 빔 스플릿터(210)의 패키징 장치는 동일면(S5)에 위치하고,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 하나의 입력 포트(210a)와, 다수의 출력 포트(210b))를 포함하는 빔 스플릿터(210)와, 상기 평빔 스플릿터(210)의 대면하는 면(S5)에 정렬되어 접착제(B1)(에폭시 수지나 열경화형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단일 광섬유 블록(220)(single optical fiber block)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일 광섬유 블럭(220)은 평면 빔 스플릿터(210)의 입력 도파로(212)의 입력 포트(210a)와, 출력 도파로(214)의 출력 포트(210b)들과 이격된 상태에서 정렬되어 결합되어져야 하며, 상기 빔 스플릿터(210)는 입력 포트(210a)와 출력 포트(210b)들이 동일한 방향, 구체적으로 빔 스플릿터(2100)의 동일면(S5)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도파로(212)의 입력 포트(210a)와 출력 도파로(214)의 출력 포트(210b)들은 단일 광섬유 블럭(220)과 정렬되어 결합되어 질 수 있는 위치, 즉 상기 입력 도파로(212)의 입력 포트(201a)와 출력 도파로(214)의 출력 포트(210b)의 거리가 상기 광섬유 블록(220)의 대면하는 결합면내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빔 스플릿터(210)는 단일 광섬유 블럭(220)간의 정렬 시, 상호간의 초기 정렬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도파로(216)(aligning waveguide)들을 더 구비한다. 도 11, 도 12에는 한 개의 정렬 도파로(216)가 도시되었다.
이때, 상기 정렬 도파로(216)는 입력 정렬 포트(210c)(input aligning port)와 출력 정렬 포트(210d)(output aligning port)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 정렬 포트(210c)는 단일 광섬유 블럭(50)과 정렬되어 결합되지만, 상기 출력 정렬 포트(210d)는 상기 입력 정렬 포트(210c)와 동일한 면(S1)에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출력 정렬 포트(210d)는 상기 면(S5)에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면(S6)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정렬 도파로(216)는 직선 도파로로 구성되어 서로 상이한 면에 위치하는 각각의 입출력 정렬 포트(210c,210d))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입력 정렬 포트(210c)는 다수 개의 포트들 중, 최 외곽에 제공된다.
한편, 상기 빔 스플릿터(210)와 정렬되어 결합되는 단일 광섬유 블럭(50)도 상기 복수 개의 포트(210a,210b,210c)와 정렬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되기 위하여 상응하는 포트(220a)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입력 포트(210a)를 경유하여 상기 입력 도파로(212)로 입사한 빛은 출력 도파로(214)를 경유하여 출력 포트(210b)들로 출력되는 광경로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평면 광도파로 소자의 입출력 포트를 동일한 면에 구비하여 광섬유 블럭과 단 한번의 정렬 과정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출력 도파로의 입출력 포트를 단일 광섬유 블럭과 정렬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광통신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었고, 단 한번의 정렬 과정으로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단일 광섬유 블럭을 정렬 결합시키게 되어 정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21)

  1.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블럭간을 정렬하는 패키징 장치에 있어서,
    (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동일면에 배치되는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외곽측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더미 도파로가 구비되고, 상기 더미 도파로의 출력 포트가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동일면에 배치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 및
    (b)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대면하여 정렬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다 수의 포트들을 구비한 단일 광섬유 블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광도파로 소자는 초기 정렬을 위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정렬 도파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광파워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 도파로의 입력 정렬 포트는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동일면에 배치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상기 출력 도파로들과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출력 도파로들로부터 최외곽에 위치하는 직선 도파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의 출력 정렬 포트는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 및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동일면에 배치되지 않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는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8. 평면 광도파로 소자와 광섬유 블럭을 정렬하는 패키징 장치에 있어서,
    (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 포트를 구비한 정렬 도파로를 포함하는 평면 광도파로 소자; 및
    (b)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 및 상기 정렬 포트와 대면하여 정렬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다 수의 포트들을 구비한 단일 광섬유 블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포트는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는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출력 도파로들로부터 최외각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상기 입력 도파로와 출력 도파로를 따라서 근접하게 디자인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직선 도파로와 곡선 도파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도파로는 더미 도파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도파로는 출력 도파로들로부터 최외곽에 배치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6. 빔 스플릿터와 광섬유 블럭을 정렬하여 모듈로 제작하기 위한 패키징 장치에 있어서,
    (a)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와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정렬 포트를 구비한 정렬 도파로를 포함하는 빔 스플릿터; 및
    (b) 상기 입력 도파로의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도파로들의 출력 포트들 및 상기 정렬 포트와 대면하여 정렬 결합되도록 상응하는 다 수의 포트들을 구비한 단일 광섬유 블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포트는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는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렬 포트와 출력 정렬 포트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출력 도파로들로부터 최외각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상기 입력 도파로를 따라서 근접하게 디자인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도파로는 직선 도파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징 장치.
KR10-2001-0044380A 2001-07-24 2001-07-24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8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380A KR100389837B1 (ko) 2001-07-24 2001-07-24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US10/093,000 US6839492B2 (en) 2001-07-24 2002-03-07 Packaging device for optical waveguide element
EP02009778A EP1279979A3 (en) 2001-07-24 2002-04-30 Packaged device for optical waveguide element
JP2002177635A JP2003057487A (ja) 2001-07-24 2002-06-18 光導波路素子のパッケージン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380A KR100389837B1 (ko) 2001-07-24 2001-07-24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765A true KR20030009765A (ko) 2003-02-05
KR100389837B1 KR100389837B1 (ko) 2003-07-02

Family

ID=1971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3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9837B1 (ko) 2001-07-24 2001-07-24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39492B2 (ko)
EP (1) EP1279979A3 (ko)
JP (1) JP2003057487A (ko)
KR (1) KR100389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137B1 (ko) * 2002-03-30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평면 도파로형 광소자를 이용한 이중 파장분할다중화/역다중화 장치
KR100442657B1 (ko) * 2002-03-29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도파로열 격자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348A1 (en) * 2002-03-15 2004-02-12 Marie-Claude Cote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optical devices
WO2003083535A1 (fr) * 2002-03-28 2003-10-09 Hitachi Chemical Co.,Ltd. Guide d'ondes optique et multiplexeur/demultiplexeur optique
US7352924B2 (en) * 2005-10-11 2008-04-01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Micro-optical device
WO2009063986A1 (ja) * 2007-11-15 2009-05-2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光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信号処理装置
US8452148B2 (en) 2008-08-29 2013-05-28 Corning Cable Systems Llc Independently translatable modules and fiber optic equipment trays in fiber optic equipment
US11294135B2 (en) 2008-08-29 2022-04-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High density and bandwidth fiber optic apparatuse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EP2221932B1 (en) 2009-02-24 2011-11-16 CCS Technology Inc. Holding device for a cable or an assembly for use with a cable
JP2010219227A (ja) * 2009-03-16 2010-09-30 Nec Corp 波長可変レーザとその製造方法
US8699838B2 (en) * 2009-05-14 2014-04-15 Ccs Technology, Inc. Fiber optic furcation module
US9075216B2 (en) 2009-05-21 2015-07-0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housings configured to accommodate fiber optic modules/cassettes and fiber optic panel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8712206B2 (en) 2009-06-19 2014-04-29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density fiber optic modules and module housings and related equipment
ES2793952T3 (es) 2009-06-19 2020-11-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Aparato de fibra óptica de ancho de banda y densidad altos
US8625950B2 (en) 2009-12-18 2014-01-07 Corning Cable Systems Llc Rotary locking apparatus for fiber optic equipment trays and related methods
US8992099B2 (en) 2010-02-04 2015-03-31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interface cards,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suited for installation and use in antenna system equipment
US8913866B2 (en) 2010-03-26 2014-12-16 Corning Cable Systems Llc Movable adapter panel
CN102884469B (zh) 2010-04-16 2016-09-28 Ccs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数据电缆的密封及应变消除装置
US8879881B2 (en) 2010-04-30 2014-11-04 Corning Cable Systems Llc Rotatable routing guide and assembly
US9075217B2 (en) 2010-04-30 2015-07-07 Corning Cable Systems Llc Apparatuse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for expanding capacity of fiber optic housings
US8660397B2 (en) 2010-04-30 2014-02-25 Corning Cable Systems Llc Multi-layer module
US9632270B2 (en) 2010-04-30 2017-04-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 optic housings configured for tool-less assembly,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8705926B2 (en) 2010-04-30 2014-04-2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 optic housings having a removable top,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9519118B2 (en) 2010-04-30 2016-12-1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Removable fiber management sections for fiber optic housing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9720195B2 (en) 2010-04-30 2017-08-01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Apparatuse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for attachment and release of fiber optic housings to and from an equipment rack
US8718436B2 (en) 2010-08-30 2014-05-06 Corning Cable Systems Llc Methods, apparatuses for providing secure fiber optic connections
US9279951B2 (en) 2010-10-27 2016-03-0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module for limited space applications having a partially sealed module sub-assembly
US8662760B2 (en) 2010-10-29 2014-03-04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onnector employing optical fiber guide member
US9116324B2 (en) 2010-10-29 2015-08-25 Corning Cable Systems Llc Stacked fiber optic modules and fiber optic equipment configured to support stacked fiber optic modules
CN203759315U (zh) 2010-11-30 2014-08-06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光纤装置
WO2012106510A2 (en) 2011-02-02 2012-08-09 Corning Cable Systems Llc Dense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ies and related connectors and cables suitable for establishing optical connections for optical backplanes in equipment racks
US9008485B2 (en) 2011-05-09 2015-04-14 Corning Cable Systems Llc Attachment mechanisms employed to attach a rear housing section to a fiber optic housing,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EP2726928A1 (en) 2011-06-30 2014-05-0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equipment assemblies employing non-u-width-sized housings and related methods
US8953924B2 (en) 2011-09-02 2015-02-10 Corning Cable Systems Llc Removable strain relief brackets for securing fiber optic cables and/or optical fibers to fiber optic equipment,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9038832B2 (en) 2011-11-30 2015-05-26 Corning Cable Systems Llc Adapter panel support assembly
US9250409B2 (en) 2012-07-02 2016-02-02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optic-module trays and drawers for fiber-optic equipment
JP5785139B2 (ja) * 2012-07-26 2015-09-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集積型光モジュール
US9042702B2 (en) 2012-09-18 2015-05-26 Corning Cable Systems Llc Platforms and systems for fiber optic cable attachment
EP2725397B1 (en) 2012-10-26 2015-07-29 CCS Technology, Inc. Fiber optic management unit and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US8985862B2 (en) 2013-02-28 2015-03-24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density multi-fiber adapter housings
US9335480B1 (en) * 2015-03-17 2016-05-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alignment using multimode edge couplers
US10527792B2 (en) * 2016-04-29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iral optical waveguide termination
JP7309142B2 (ja) * 2019-02-13 2023-07-18 慶應義塾 光導波路デバイス、光モジュール、レーザ装置、及び光導波路デバイスの作製方法
US11543592B2 (en) * 2020-11-13 2023-01-03 Ii-Vi Delaware, Inc. Modular assembly for opto-electronic systems
CN113448011B (zh) * 2021-06-29 2022-07-05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热awg的设计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40A (ja) * 1991-07-22 1993-02-05 Nec Corp 光伝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51699B2 (ja) * 1995-05-18 2001-04-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回路部品の作製方法
JPH09127365A (ja) * 1995-10-30 1997-05-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導波路モジュール
JPH1039150A (ja) * 1996-07-24 1998-02-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導波型光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2870499B2 (ja) 1996-08-02 1999-03-17 日立電線株式会社 光波長合分波器
FR2770307B1 (fr) 1997-10-27 1999-11-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a reseau de phase ou phasar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KR100277356B1 (ko) * 1997-12-08 2001-01-15 윤종용 광도파로소자와광섬유어레이모듈간의부착방법
JP2000298219A (ja) * 1999-04-14 2000-10-24 Fujikura Ltd Awgモジュール
US6456758B1 (en) 2000-05-23 2002-09-24 Jds Uniphase Corporation Chip for separating light into different wavelengths
JP2002014245A (ja) 2000-06-28 2002-01-18 Nec Corp アレイ導波路回折格子、アレイ導波路回折格子を用いた光合分波システム及び光合分波装置
KR100357852B1 (ko) * 2000-12-26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가 도파로를 이용한 광 도파로열 격자 소자의 측정 및정렬 방법 및 그 광 도파로열 격자 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57B1 (ko) * 2002-03-29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도파로열 격자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
KR100421137B1 (ko) * 2002-03-30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평면 도파로형 광소자를 이용한 이중 파장분할다중화/역다중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837B1 (ko) 2003-07-02
EP1279979A2 (en) 2003-01-29
US6839492B2 (en) 2005-01-04
US20030021539A1 (en) 2003-01-30
EP1279979A3 (en) 2004-06-16
JP2003057487A (ja)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837B1 (ko) 광도파로 소자의 패키징 장치
US6445849B2 (en) Wavelength multiplexer and optical unit
JP3092499B2 (ja) 導波路型光合波分波モジュール
WO2013046696A1 (ja) 光合流分岐器、双方向光伝播器、及び光送受信システム
JP3784701B2 (ja) 光回路部材および光トランシーバ
JPH04212110A (ja) 光ファイバ電子・光モジュール
US6788848B2 (en) Arrayed waveguide grating devic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rrayed waveguide modul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91289A1 (en) Planar lightwave circuit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059684A (ko) 광섬유 블럭
JP3151699B2 (ja) 光回路部品の作製方法
KR100421137B1 (ko) 하나의 평면 도파로형 광소자를 이용한 이중 파장분할다중화/역다중화 장치
GB2245080A (en) Intergrated optical circuit.
KR100357852B1 (ko) 부가 도파로를 이용한 광 도파로열 격자 소자의 측정 및정렬 방법 및 그 광 도파로열 격자 소자
KR100416983B1 (ko) 평면 광도파로 소자 모듈의 정렬 장치
KR100487216B1 (ko) 정렬성이 향상된 온도 무의존형 파장분할 다중화/역다중화장치 및 그 정렬방법
KR101226704B1 (ko) 경사각을 이용한 광 파워 감시 모듈
US20040086221A1 (en) Low cost, hybrid integrated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demultiplexer for fiber optical networks
JP3985576B2 (ja) 光コネクタ、光配線システム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501140B1 (ko) 광 파워 모니터 구조를 개량시킨 평판형 광도파로 소자 모듈
JPS62100742A (ja) マツハツエンダ干渉計形光合分波器
KR100485888B1 (ko) 단일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 평면 광도파로 소자 모듈
KR100403740B1 (ko) 광섬유 정렬장치의 구조
KR100442657B1 (ko) 광도파로열 격자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
JP2009025322A (ja) 光ファイバアレイおよびその光ファイバアレイを用いた多チャンネル光モジュール
KR100424649B1 (ko) 광섬유들 간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광섬유 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