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09939Y1 -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939Y1
KR200309939Y1 KR20-2002-0037337U KR20020037337U KR200309939Y1 KR 200309939 Y1 KR200309939 Y1 KR 200309939Y1 KR 20020037337 U KR20020037337 U KR 20020037337U KR 200309939 Y1 KR200309939 Y1 KR 200309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ll
plug
slide coupler
plu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성진씨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씨앤티(주) filed Critical 성진씨앤티(주)
Priority to KR20-2002-0037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9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기존의 나사결합방식의 커넥터 장치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시의 나사회전 조작으로 인한 신속하지 못한 불편함과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하여 쉽게 풀림되어 전기적 개방이 발생 되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분리시에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부 케이블에 연결되는 플러그커넥터(40)와 장비에 부착되는 리셉터클커넥터(30)가 한 쌍을 이루며, 플러그커넥터(40)에는 측방향으로 다수의 홀(42)이 형성된 플러그몸체(41)가 구비되고, 플러그몸체(41)에 형성된 다수의 홀(42)에는 볼(43)이 안착되어 플러그몸체(41)의 외벽으로 구비된 슬라이드 커플러(44)가 후퇴하면 볼(43)이 상승하여 리셉터클커넥터에(30) 에 원활히 결합 되며, 완 결합 후에 볼(43)은 리셉트클커넥터몸체(31)에 형성된 볼안착홈(32) 에 안착되며, 이때, 슬라이드 커플러(44)는 전진 하여 볼(43)의 상승을 억제하고, 슬라이드커플러(44)와 플러그몸체(41) 사이에 제공된 코일스프링(45)은 슬라이드커플러(44)의 후퇴를 탄압하여 결합을 유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본 고안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기존의 나사결합방식의 커넥터 장치에 대하여 결합 및 분리시의 나사회전 조작으로 인한 신속하지 못한 불편함과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하여 쉽게 풀림되어 전기적 개방이 발생 되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분리시에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을 접속하는 커넥터장치나 전기적접속 터미널, 접촉단자와 절연을위한 절연체가 구비된 커넥터장치 등은 플러그몸체와 이 플러그몸체의 외측에 결합된 너트형태의 커플러와, 플러그몸체 내측에 삽입된, 접점을 수용하고 있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플러그커넥터와, 외측에 수나사가 형성고, 접점을 수용하고있는 절연체가 삽입된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의 결합을위해 너트형태의 커플러를 수 회 또는 수십 회 이상 나사회전 조작을 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커넥터 장치의 전형적인 형태도는 도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즉, 플러그커넥터(20)는 원통형의 플러그몸체(21)와 그 외측으로 너트형태의 커플러(22)가 결합되어있고, 내측 으로는 접점(23)을 수용하고 있는 절연체(24)가 삽입 되어 있으며, 리셉터클커넥터(10)는 외경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리셉터클 몸체(11)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점(13)을 수용하고 있는 절연체(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러그커넥터(20)와 리셉터클커넥터(10)는 플러그커넥터(20)의 외측에 결합되어있는 너트형태의 커플러(22)와 리셉터클몸체(11)의 외경에 형성되었는 수나사가 나사결합을 이룰때, 플러그커넥터(20)와 리셉터클커넥터(10)의 내측에 삽입된 절연체에 수용되어있는 접점들이 상호 접촉함으로서 결합을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장치는 나사결합을 이룰때, 상기 커플러(22)를 수회 또는 수십회 이상 회전 조작을 이루어야 하기에 신속한 결합 및 분리가 어렵고, 결합부위가 단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적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외력에 의해 나사가 풀림되면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있는 접점들이 상호 분리되어 전기적 개방상태에 이르게 되어 커넥터 장치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커넥터장치에 대하여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신속히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으며, 결합후에 외부적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풀림되지 않고 결합특성을 양호히 유지 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넥터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의 커넥터장치가 분리되어진 상태를 나타낸 제 1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플러그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커넥터장치가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제 2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커넥터장치가 완전 결합을이룬 상태를 나타낸 제 3 실시예도
본 고안은 특히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 할 수 있도록 결합방법을 개선하여, 외부 케이블에 연결되는 플러그커넥터와 장비에 부착되는 리셉터클커넥터가 한 쌍을 이루며, 플러그커넥터에는 측방향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된 플러그몸체가 구비되고, 플러그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는 볼이 안착되어 플러그몸체의 외벽으로 구비된 슬라이드 커플러가 후퇴하면 볼이 상승 할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리셉터클커넥터에 에 원활히 결합 되며, 완 결합 후에 볼은 리셉트클커넥터몸체에 형성된 볼안착홈 에 안착되며, 이때, 슬라이드 커플러는 전진 하여 볼의 상승을 억제하고, 슬라이드커플러와 플러그몸체 사이에 제공된 코일스프링은 슬라이드커플러의 후퇴를 탄압하여 결합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따른 코넥터 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플러그커넥터(40)의 플러그몸체(41)에 측방향으로 다수의 홀(42)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홀(42)에는 볼(43)이 도 3과 같이 안착되어있으며, 그 외곽으로는 슬라이드커플러(44)가 결합되어있다. 또한, 슬라이드커플러(44)와 플러그몸체(41)사이에 코일스프링(45)이 구비되고, 플러그몸체(41) 전면 외곽으로는 멈춤링(48)이 형성되어 슬라이드커플러(44)의 이탈을 막고 있으며, 리셉터클커넥터(30)의 리셉터클몸체(31) 외곽으로는 볼안착홈(32)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플러그커넥터(40)와 리셉터클커넥터(30)의 내측으로는 접점(33,46)을 수용하고 있는 절연체(34,47)가 삽입되어져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결합시 도 4와 같이 슬라이드커플러(44)를 후퇴시켜 리셉터클커넥터(30)에 밀어 넣으면, 볼(43)은 상승하여 원활히 리셉터클커넥터(30)와 결합을 이루고, 완결합 위치에 이르게 되면 볼안착홈(32)에 안착되며, 이때, 슬라이드커플러(44)를 놓으면 슬라이드커플러(44)는 코일스프링(45)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여 볼(43)의 상승을 막아 도 5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어 유지되는것이다.
또한, 분리시에는 슬라이드커플러(44)를 손으로 잡고 후퇴시킴과 동시에 플러그커넥터(40)를 잡아당김으로 인하여 분리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커플러(44)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쉽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으며, 결합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45)에 의하여 슬라이드커플러(44)는 항상 전진하여 볼(43)의 상승을 막고 있으므로, 분리하고자하는 조작을 취하기 전에는 외부적 충격이나 진동등과 같은 외력에의한 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나사결합방식의 커넥터는 결합 및 분리시 수회 또는 수십회의 나사회전 조작을 해야함으로 인하여 신속한 결합 및 분리가 어렵고, 결합부위가 나사결합만으로 유지되어야 하기에 예기치않은 외부적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결합부의 풀림현상에 대한 대책이 없었으나, 본 고안은 슬라이드커플러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결합 및 분리가 될수있어 작업시 신속성을 확보하고, 슬라이드커플러를 강제 후퇴시키지않는한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전진하여 볼의 상승을 막아 풀림을 방지하게 되어 있어 이러한 커넥터의 결합 특성면에서 신뢰성을 양호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플러그몸체(41)에 측방향으로 다수의 홀(42)이 형성되어 있고, 각 홀(42)에는 볼(43)이 안착되어 있으며, 그 외곽으로는 슬라이드커플러(44)가 코일스프링(45)과 함께 구비되어 멈춤링(48)으로 이탈방지 되어 있는 플러그커넥터(40)와, 리셉터클몸체(31) 외곽으로 볼안착홈(32)이 형성된 리셉터클커넥터(30)가 쌍을 이루어 PUSH-PULL동작으로 결합 및 분리하는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장치
KR20-2002-0037337U 2002-12-14 2002-12-14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09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37U KR200309939Y1 (ko) 2002-12-14 2002-12-14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37U KR200309939Y1 (ko) 2002-12-14 2002-12-14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939Y1 true KR200309939Y1 (ko) 2003-04-08

Family

ID=4940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337U Expired - Lifetime KR200309939Y1 (ko) 2002-12-14 2002-12-14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9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99Y1 (ko) 2008-05-27 2010-12-02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이 방지되고 잠금해제가 용이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1965807B1 (ko) * 2017-11-13 2019-04-05 주식회사 엘스콤 선육간 통신 시스템의 방폭용 멀티 커넥터
KR20200025513A (ko) * 2018-08-30 2020-03-10 옵티시스 주식회사 접속용 커넥팅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99Y1 (ko) 2008-05-27 2010-12-02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풀림이 방지되고 잠금해제가 용이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1965807B1 (ko) * 2017-11-13 2019-04-05 주식회사 엘스콤 선육간 통신 시스템의 방폭용 멀티 커넥터
KR20200025513A (ko) * 2018-08-30 2020-03-10 옵티시스 주식회사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2173220B1 (ko) * 2018-08-30 2020-11-03 옵티시스 주식회사 접속용 커넥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726B2 (en) Push-on connector interface
US7758370B1 (en) Quick release electrical connector
US7347727B2 (en) Push-on connector interface
USRE41044E1 (en)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to coaxial cable without using tool
US7335058B1 (en) Snap-fit connector assembly
US9172157B2 (en) Post-less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formable outer conductor
EP2497156B1 (en) Integrally conductive locking coaxial connector
US8021181B2 (en) Locking phono plug
US6619876B2 (en)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4012105A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8221161B2 (en) Break-away adapter
CN110718820B (zh) 集束式同轴连接器组件
US5167520A (en) Cup fit plug connector
US8657623B2 (en) Connect/disconnect connector for coaxial cable
MX2008007713A (es) Conector de cable coaxial de fuerza constante.
CN110277704B (zh) 同轴偏置t型连接器
KR200309939Y1 (ko)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US10950994B2 (en) Quick connect/disconnect coaxial cable connector
US10218122B1 (en) Circular connector and method of retaining components
CN118765468A (zh) 通过在其某些外周部分处保持导体销接触来提供更可靠的信号传播的连接器
CN113113816B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射频同轴连接器
CN214013189U (zh) 推拉接合式同轴连接器
CN208093889U (zh) 同轴偏置t型连接器
KR200496820Y1 (ko) 알에프 커넥터
CN112993638A (zh) 射频连接器及其公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2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3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