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09321Y1 -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321Y1
KR200309321Y1 KR20-2003-0000342U KR20030000342U KR200309321Y1 KR 200309321 Y1 KR200309321 Y1 KR 200309321Y1 KR 20030000342 U KR20030000342 U KR 20030000342U KR 200309321 Y1 KR200309321 Y1 KR 200309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heating cooking
container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20-2003-000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32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 H05B6/6494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for coo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고주파를 이용한 발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 으로,
발열조리용기는 고주파가 투사되면 흡수하여 발열하는 산화철(금속 스케일)을 내열점토와 함께 배합,성형하여 소성한 후 일라이트 유약으로서 표면 처리하고,
뚜껑을 고주파가 투과되지 않는 금속성의 소재로서 성형하고 절열체로서 표면을 피복함으로서,
조리용기에 담겨 가열되는 피조리물은 부분적으로 투과된 고주파에 의한 가열과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한 발열용기의 복사열 및 용기에서 발산되는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 의해 가열되도록 하고,
조리시 피조리물이 고주파에 전량 노출됨을 차단하여 수분탈수를 줄일 수 있게하며 계란후라이 등의 조리때 부풀림을 줄여주어,
종래의 고주파 단독에너지에 의한 가열보다 조리적성이 좋아지고 맛과 향을 높일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이다.
그리고 발열용기의 고열로 부터 사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하기위한 것으로,
발열 조리용기의 굽은 발열성분인 산화철을 함유시키지 않은 내열점토를 소재로 상부에 공간부를 두어 바닥으로의 열전도를 줄여 줄수 있도록 하고,
발열 조리용기의 받침대나 부착형 손잡이 또는 결합형 손잡이를 겸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계란찜,계란중탕,계란후라이,찌게,돌솥밥,전골 등 직불의 고열에서 조리하여야 고유의 맛이 좋아지는 조리를 전자렌지로서도 고열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조리 및 찻물도 편리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편의지향적이고 시간지향적인 현대인의 식문화에 부합되도록 하여 가정용 간편식조리나 냉동식품,편의식품,기호식품의 조리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조리용기의 발열을 위해 함유되는 발열체는 제철공장이나 철가공공장에 금속을 고온으로 가열하였을때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물층(철스케일)으로 대다수 폐기물로서 버려지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이용되면 폐자원을 재활용 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발열조리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heating bowl for microwave oven}
전자레인지 조리는 다른 조리 가열수단에 비해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조리시간이 짧고 비교적 조리 에너지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유전가열에 의한 조리로서 조리 중 수분 탈수현상이 발생하고,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고열로 가열 하여야 조리적성에 맞는 식품을 고열로 조리 할 수 없는 단점을 동시에 겸비한 조리 가열 수단으로,
현재는 가정에서 간편식의 데움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편의점 등에서 반조리 가공식품이나 냉동식품의 조리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현황으로 향후 편의 지향적인 식문화에 부응하여 전자레인지 이용도가 더욱 높아 질 것이며 전자레인지 조리의 단점을 줄이기 위해 기능이 개선된 전자레인지 오븐의 연구가 지속되지만 한계가 있기때문에 전자렌지 조리의 단점을 보완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될 것 이다.
종래에는 고열로 조리하여야 제맛이 나며 조리적성이 맞는 식품의 조리를 전자렌지 조리용기에서는 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 가스렌지나 전열기로서 조리 되어왔으며, 대다수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전자렌지를 100% 활용하지 못하고 전자렌지 조리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었고,
발열체를 함유시킨 종래의 전자렌지 조리용기의 고안들은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 및 효율성에서 불편하여 실용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구조 및 사용방법이 복잡하여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이 사용함에 안전성의 문제와 발열용기 제작비용이 본고안에의한 제작비용 보다 비싸게 제작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있고 간편하고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다양한 조리를 할 수있으며, 종래의 전자렌지 조리용기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전자렌지조리의 장점을 겸비하도록 한 조리용기로서, 편의지향적이고 시간지향적인 현대인의 식문화에 부합되도록 하여 가정용 간편식조리나 냉동식품,편의식품,기호식품의 조리에 사용자의 기호와 조리적성을 충족시킬수 있도록 안출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전자렌지 조리용기로서 고열을 낼 수 없기에 다양한 조리를 할 수없는 불편함을 해소하며, 전자렌지로서도 식품의 조리적성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 및 실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안출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발열 조리용기는 일반 조리 용기에 의해 조리하는 것보다 더 높은 고열로서 조리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게 하며 안전하고 실용성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발열조리용기의 소재를 내열점토와 산화물을 혼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성형적성이 좋으면서 열충격과 용기의 강도가 강하고,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열지속성과 표면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가스렌지나 전열기 등의 다른 열원으로서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가열에너지는 발열조리용기에 함유시킨 산화철이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되도록 함으로서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피조리물 깊숙히 익혀질수 있도록 하고, 발열용기에 흡수되지않고 투과된 고주파는 피조리물의 수분에 투사되어 피조리물이 유전가열이 되게 하여 조리 적성을 높이며 조리시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뚜껑은 금속성을 소재로 성형하고 절연물로 코팅함으로서 상부로부터 피조리물이 고주파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탈수 현상을 줄이고 발열 조리 용기에서 발산되는 복사열과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을 주력의 가열에너지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위해 발열용기의 굽을 상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내열점토(발열 조리용기에 함유시킨 산화철을 함유시키지 않은 소지)를 소지로 성형하여 발열용기의 하단부에 부착하여 소성함으로서 바닥으로의 열전도를 줄여 안전하게 전자렌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굽에 실리콘 고무 등으로 팩킹을하여 열전도를 더욱 더 줄이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발열용기 받침대를 발열용기와 함께 겸비하도록 하여 바닥으로의 고열 전달을 줄이고 사용과 이동에 있어서 편리함을 부여 하거나, 또는 산화철을 함유시키지 않은 내열 점토 소지를 사용하여 성형한 손잡이를 발열용기에 부착 후 소성시켜 손잡이에서 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 또는 금속성이나 내열수지로서 별도로 제작한 손잡이를 발열용기의 측면에 결합하여 이동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고안의 발열 조리용기 받침대를 이용한 발열 조리용기 안착 예시도.
도2는 발열 조리 용기 받침대 구조 예시도 .
도3은 본 고안의 부착형 손잡이로 부착한 발열 조리용기와 뚜껑의 예시도.
도4는 본 고안 도3의 발열 조리용기 예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결합형 손잡이로 결합한 발열 조리용기와 뚜껑의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구이팬형 발열 조리 용기 예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물 주전자형 발열 조리용기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발열 조리용기
1a:구이팬형 발열 조리용기 1b:물주전자형 발열 조리용기
2:부착형 손잡이 2a:결합형 손잡이
3:발열 조리용기 굽 4:굽 공간부 5:뚜껑
6:뚜껑 손잡이
7:발열 조리 용기 받침대 7a:받침대 다리 7b:받침대 손잡이
7c:받침대 손잡이 팩킹 7d:발열 조리용기 지지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의 발열 조리용기 받침대를 이용한 발열 조리용기 안착 예시도.
도2는 발열 조리용기 받침대 구조 예시도 .
도3은 본 고안의 부착형 손잡이로 부착한 발열 조리용기와 뚜껑의 예시도.
도4는 본 고안 도3의 발열 조리용기 예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결합형 손잡이로 결합한 발열 조리용기와 뚜껑의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구이판형 발열조리용기 예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물 주전자형 발열 조리용기 예시도 로서,
본 고안은 피조리물에 고온의 복사열과 원적외선 그리고 부분적인 고주파를 전달하기위해, 고주파가 투사되면 고열이 발생되도록 내열점토 재질과 금속스케일을 혼합하여 발열 조리용기를 형성하고,
조리 후 고열이 된 발열 조리 용기의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위해
발열 조리 용기 받침대를 구성하여 사용하게 하거나,
또는 산화철을 함유시키지 않은 발열조리용기 굽(3)과 부착형 손잡이(2)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하거나,
또는 금속성 이나 내열 수지 소재로서 별도로 제작된 결합형 손잡이(2a)를 발열 조리 용기(1)에 결합시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리고 뚜껑(5)은 고주파가 투과되지 않는 금속성 소재를 사용하여 탈수현상을 줄이고 조리적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열점토 소재에 금속 스케일을 혼합하여 소성시킨 발열 조리 용기(1)는,
전자렌지의 고주파를 흡수하여 피조리물을 고열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적인 고주파가 투과될수 있도록 하며,
열보지력을 높이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 방출되도록 5-15mm의 두께로 성형시켰다.
내열점토에 철스케일을 혼합하는 원료 함유비와 발열조리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발열 조리용기의 원료 함유비는 중량 기준으로 내열 점토 20~60%, 10~300메시의 산화철(금속 스케일)40~80% 혼합하고 성형적성에 맞도록 수분을 함유시킨 소지를 사용하여 성형, 건조한 후 800~900도 에서 초벌구이하여 식힌 후 유약을 시유한 다음 가마의 온도를 900~1200도로 소성하거나,
중량 기준으로 내열 점토 20~60%, 10~300메시의 산화철(금속 스케일)40~80%로 혼합하고, 성형적성에 맞도록 수분을 함유시킨 소지를 사용하여 성형, 건조한 후 1100~1300도 에서 초벌구이 때 소성하여 식힌 후 유약을 시유한 다음 가마의 온도를 800~1000도에서 유약을 소성시켜 발열 조리용기를 제조하며.
시유되는 유약은 일라이트,게르마늄,옥분,맥반석 등을 한종류 이상 함유시켜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의 방출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하였다.
위 발열 조리용기 제조방법 중 내열점토50%와 산화철50%를 혼합하여 소성시킨 용기(도1)의 발열 실시예로서 용기표면의 최고 표면 온도는 다음과 같이나타났다.
(전자렌지 700W.용기중량 480g.피조리물 없음.뚜껑을 닫지않은 상태)
가동시간 1분 2분 3분 4분 5분
용기 바닥온도 140도 210도 270도 315도 350도
용기 측면온도 55도 105도 135도 160도 175도
따라서 종래의 전자렌지 용기로서는 고온에서 조리하여야 조리적성에 맞는 피조리물을 만족하게 조리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고온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발열용기가 두껍게 성형되어 열 보지력을 높이고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이 오랫동안 다량 방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발열 조리 용기(1)는 조리 중 고열 발생으로 인해 사용 중 화상의 방지와 고열로 인해 전자렌지의 원형 조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 조리용기 받침대(7)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발열조리용기 받침대는 내열성을 위해 금속성이나 내열수지 재료로서 고주파가 잘투사되도록 공간이 확보되는 거물형으로 제작하며, 받침대 다리(7a)와 받침대 손잡이(7b),받침대 손잡이 팩킹(7c) 그리고 발열 조리용기 지지대(7d)로 구성되며, 받침대 손잡이 팩킹(7c)은 뜨거워진 받침대의 이동과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실리콘 고무나 내열 수지를 재료로 하여 결합하고 용기의 모양에 따라 발열 조리 용기 받침대(7)의 형상을 구성시키면 된다.
또한 발열 조리 용기 굽(3)은 조리실 내의 바닥으로의 열전도를 줄이기 위해 산화철을 혼합 시키지 않은 내열 점토 소지(발열 조리용기의 수축율과 물성이 비슷한소지)를 사용하여 높이 10-30mm로 성형한 후 발열 조리용기(1)의 하단부에 부착 후 유약을 바르고 소성하며 ,
발열 조리 용기 굽(3)의 상부에는 높이 3-10mm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발열조리용기의 하단부에 발열조리용기 굽(3)을 부착하면 굽 공간부(4)가 자연적으로 형성 되도록하여 발열조리용기에서 바닥으로의 열전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열전도를 더욱 더 효과적으로 줄이고 미끄럼 방지를 하기위해 굽에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한 팩킹을 결합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발열 조리 용기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동과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손잡이가 발열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열 조리 용기의 손잡이를 산화철을 혼합 시키지 않은 내열 점토 소지(발열 조리용기의 수축율과 물성이 비슷한 소지)를 사용하여 성형한 후 발열 조리용기의 한쪽 이상의 측면에 부착 후 유약을 바르고 소성함으로서, 발열 조리 용기와 같이 고열이 발열되지 않도록 하는 부착형 손잡이(2)를 구성하거나,(발열 조리용기의 수축율과 물성이비슷한 소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건조나 소성 공정 중 발열 조리용기 굽이나 손잡이가 떨어지거나 부착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임 )
또는 발열 조리 용기의 손잡이를 별도로 제작된 금속성이나 내열 수지를 소재로 벨트형 등으로 손잡이를 성형한 후 결합한 결합형 손잡이(2a)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발열용기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뚜껑(5)은 상부로부터 피조리물에 고주파가 직접 투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금속성 재질로 성형하여 절연체로서 피복한 것으로,
피조리물에 고주파의 상부로 부터의 직접투사를 차단시켜 발열용기에서 발생되는 피조리물이 복사열과 원적외선 그리고 부분적으로 발열용기를 투과한 고주파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하여 수분탈수를 줄이고 다양한 조리에 적용될수 있도록 하였고, 표면의 피복은 일라이트나 게르마늄,옥분 등이 함유된 유약으로 코팅을 하여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높이도록 하거나 테프론이나 실리콘 고무로서 표면을 코팅하여 절연효과와 유지관리성을 높일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발열용기의 용도에 따라 뚜껑의 소재를 산화철을 혼합시킨 발열 조리용기와 같은 소재로 사용하여 발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거나,
탈수 현상에 문제가 없는 물을 끓이기 위한 발열용기(예:커피,녹차,우유등의 가열용도)는 내열 점토 만을 사용한 소재로 제작한 뚜껑을 사용하여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뚜껑 손잡이(6)를 금속성 손잡이로서 부착할 때는 뚜껑과 용접 결합 후 뚜껑과 같은 소재의 절연재로서 피복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자 재질로서 성형,결합하여 실리콘 고무등으로 팩킹을 끼워 조리 후 뜨거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발열 조리용기를 활용한 방법으로서,
용기의 모양을 구이팬 형상을 한 구이팬형 발열 조리용기(1a)는 냉동식품이나 계란이나 어류,육류 등의 간편 구이조리에 사용될 수 도 있고,
물 주전자 형상을 한 물주전자형 발열조리 용기(1b)로서 데운 물로 커피,분유,녹차나 홍차 등을 먹을 수 있으며,
용기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효과로 물이 부드러워져서 차 고유의 향과 맛을 느낄수 있으며 용기의 열 지속효과로 인해 찻물을 오래동안 따뜻하게 온도를 유지하면서 먹을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주파와 발열 조리용기에 의한 고온의 복사열과 용기소재의 산화물 및 황토와 일라이트 성분에 의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조리되는 원리로 인해,
전자렌지의 고주파로서 가스렌지나 전열기로 조리한 것과 같이 고열로 조리 할 수 있고 내용물을 부드럽게 깊숙히 익힐 수 있으며 식품 고유의 향 과 맛을 높일 수 있는 고안이다.
발열 조리용기는 두껍게 기공이 형성되게 소성된 내열점토의 보온력으로 인해 공기 중으로 열 발산을 줄일 수 있어 식사시간 동안 비교적 오래동안 음식을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열지속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조리 방법의 예로서,
통상 계란찜이나 계란중탕을 맛있게 조리하기 위한 요령은 먼저 뚝배기 용기를 가스불에 달군 후 계란물을 뚝배기에 넣어 적당시간 가열하면 계란물이 잘 부풀며 고유의 향미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수준높은 조리사들이 즐겨 이용하는 조리방법이었으나, 대다수 사람들은 많은 경험이 없으면 요령은 알아도 만족 할 만한 계란찜이나 계란 중탕이 잘 되지 않는 실정이지만,
본 고안을 이용하면 조리 용기 전체가 고주파를 흡수 하여 조리 초기에 고열로 도달되어 용기를 사전에 달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계란물 전체에 고온이 전달되고 고주파와 복사열 및 원적외선에 의해 조리물의 중심부까지 동시에 가열되는 효과로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고난도의 계란찜이나 계란중탕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있고,
종래의 전자렌지 조리 용기에서는 계란 후라이를 할 수 없었던 조리로서 발열 조리 용기에 계란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가열하면 계란 후라이가 손쉽게 될 수 있으므로 식용유 등의 기름을 붓지 않고도 향미가 높은 계란후라이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돌솥에 밥을 지어 먹으면 밥맛이 좋아지고 누룽지가 형성되므로 밥이 구수해지며 식후 누룽지 숭늉을 먹을 수 있어 사람들은 돌솥밥을 즐겨 먹지만,
종래의 전자렌지 조리용기로서는 돌솥밥을 취반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지만
본 고안의 발열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불린쌀이나 밥을 발열 조리용기에 담고 가열을 하면 돌솥에서 취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어 간편하고 편리하게 누룽지가 형성되는 돌솥밥을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찌게나 국을 끓일때도 호박이나 감자,고기 등 비교적 두껍고 단단한 재질도 부드럽게 익혀질 수 있기때문에 효과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이팬 형상의 발열 조리용기(도6)를 사용하여 냉동식품이나 어류,육류 등의 간편 구이조리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물 주전자 형상의 발열 조리용기(도7)에서 데운 물로 녹차나 홍차 등을 우려내면용기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효과로 물이 부드러워져서 차 고유의 향과 맛을 느낄수 있으며 용기의 열 지속효과로 인해 찻물을 오래동안 따뜻하게 온도를 유지하면서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 조리용기의 받침대를 구비 시킴으로서 조리 중 발열 조리용기에서 발생된 고열이 전자렌지의 원형 바닥 조리대에 전달되는 열을 줄여 줌으로서 고열로 인해 전자렌지 바닥 회전 조리대의 열충격 파손을 방지하며 조리 후 이동할 때와 식사 때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내열점토에 금속 산화물인 금속 스케일(흑피)을 혼합하여 전자렌지용 조리용기의 소재를 구성함으로서,
조리 후 고열로 상승된 용기를 갑자기 차가운 물에 넣어도 깨어지거나 변형이 오지않는 열충격이 강하며, 내열점토에 함유된 황토와 일라이트 코팅,산화물에 의해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음식의 맛과 향을 함유한 채 부드럽고 깊숙히 조리할 수 있고, 표면처리를 유리 성분의 유약으로 코팅하여 사용 중 쇠 수세미도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강도가 강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점토재질이기 때문에 성형적성이 양호하여 다양한 형상의 용기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열 지속력이 좋고 제조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직불이나 전자렌지,전열기 등 거의 모든 열원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의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조리용기의 발열을 위해 함유되는 발열체는 제철공장에서 금속을 고온으로 가열하였을 때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물층으로 많은량이 폐기물로서 버려지고있으나 본 고안에 이용되면 폐자원을 재활용 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발열 조리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발열 조리용기(1)와 뚜껑(5)이 1조로 구성된 전자렌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발열 조리 용기는 내열점토와 금속 스케일(산화철)을 혼합한 소재를 사용하여 5~15mm 두께로 용기 형상을 성형하고,
    바닥으로의 고열 전달이 줄어 들게 하기 위해 금속 스케일을 혼합시키지 않고 수축율과 물성이 발열 조리용기(1)와 비슷한 내열 점토를 소재로서, 높이 3-10mm의 굽 공간부(4)가 형성된, 높이 10-30mm의 발열 조리 용기 굽(3)을 발열 조리용기(1)의 하단부에 부착시켜 유약을 바르고 소성시킨 것이며,
    뚜껑(5)은 상부로 부터 피조리물에 고주파가 직접 투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금속성 재질로 성형하여 표면을 절연체로서 피복하여,
    발열 조리용기(1)에 고주파가 투사되면 발열 조리용기에 함유된 금속스케일이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생된 복사열과 음이온이 함유된 원적외선 그리고 발열 조리용기를 투과한 일부분의 고주파에 의해,
    피조리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발열 조리용기(1)를 안전하게 사용 및 이동할 수 있도록,
    금속성이나 내열수지 소재로 형성시킨 발열 조리용기 받침대(7)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
    바닥 및 손잡이로의 열전달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발열 조리용기의 손잡이는 별도로 제작된 금속성이나 내열 수지를 소재로 성형한 후 용기의 측면에 1곳 이상 결합한 결합형 손잡이(2a)로서,
    안전하게 발열 조리용기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발열 조리 용기의 손잡이는 금속스케일을 혼합시키지 않고 발열조리용기와 수축율과 물성이 비슷한 내열 점토를 소재로 발열 조리용기의 측면에 1곳 이상 부착하여 발열 조리용기와 함께 유약을 발라 소성시킨 부착형 손잡이(2)로서, 손잡이에 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발열 용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발열 조리용기(1)의 원료 함유비는 중량 기준으로 내열 점토 20~60%, 10~300메시의 산화철(금속 스케일)40~80% 혼합하고 성형 적성에 맞도록 수분을 함유시킨 소지를 사용하여, 성형, 건조한 후 800~900도 에서 초벌구이하여 식힌 후 일라이트 성분이 함유된 유약을 시유한 다음 가마의 온도를 900~1200도로 소성한 발열 조리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발열 조리용기(1)의 원료 함유비는 중량 기준으로 내열 점토 20~60%, 10~300메시의 산화철(금속 스케일)40~80%로 혼합하고, 성형적성에 맞도록 수분을 함유시킨 소지를 사용하여, 성형, 건조한 후 1100~1300도 에서 초벌구이 때 소성하여 식힌 후 일라이트 성분이 함유된 유약을 시유한 다음 가마의 온도를 800~1100도에서 유약을 입힌 발열 조리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7. 제1항에 있어서,발열 조리용기는 구이팬 형상을 하고 구이조리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이팬형 발열 조리용기(1a)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8. 제1항에 있어서,발열 조리용기는 물 주전자 형상을 하고 물을 가열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물주전자형 발열 조리용기(1b)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9. 제8항에 있어서,물주전자형 발열 조리용기(1b)의 뚜껑(5)은 내열점토를
    소재로 성형 및 소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발열 조리용기.
KR20-2003-0000342U 2003-01-07 2003-01-07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09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42U KR200309321Y1 (ko) 2003-01-07 2003-01-07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42U KR200309321Y1 (ko) 2003-01-07 2003-01-07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321Y1 true KR200309321Y1 (ko) 2003-03-31

Family

ID=4933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34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9321Y1 (ko) 2003-01-07 2003-01-07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3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586B2 (en) 2016-07-29 2019-03-26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abl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586B2 (en) 2016-07-29 2019-03-26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abl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1985B1 (en) High temperature non-stick cookware
JP3208490U (ja) 炊飯土釜
JP4993058B2 (ja) 電子レンジのマイクロ波を利用し、陶磁器に熱交換の機能性を持たせ、調理、加熱、解凍を行う技術
KR20050080036A (ko) 전자렌지용 발열 복합 조리기
KR200309321Y1 (ko)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KR200300270Y1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 용구
KR20040028471A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용구
KR200298123Y1 (ko) 전자레인지용 구이팬
JP2004241177A (ja) 電磁調理器用土鍋
CN207940656U (zh) 一种珐琅汤锅
KR200298129Y1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 용구
KR200346523Y1 (ko) 전자렌지용 조리기
TWM607241U (zh) 快速燒烤裝置
JP2003325298A (ja) 電子レンジ用耐熱皿
KR102285636B1 (ko) 단열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H0556965B2 (ko)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CN212878906U (zh) 蒸烤器
CN218243862U (zh) 一种新型非金属扒类煎烤器
CN212234105U (zh) 一种双层蒸烤锅
CN215127544U (zh) 用于无水烘烤烹饪的砂锅
TWM470622U (zh) 熱石能量烹飪容器
CN215272103U (zh) 烘烤装置
KR200179529Y1 (ko) 전열식 구이기용 세라믹 히터구조
CN208129919U (zh) 一种多功能意粉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4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