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306275Y1 - 홍삼액 추출기 - Google Patents

홍삼액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275Y1
KR200306275Y1 KR20-2002-0036684U KR20020036684U KR200306275Y1 KR 200306275 Y1 KR200306275 Y1 KR 200306275Y1 KR 20020036684 U KR20020036684 U KR 20020036684U KR 200306275 Y1 KR200306275 Y1 KR 200306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eating plate
red ginseng
extraction tank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전기전자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전기전자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한국전기전자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02-0036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27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홍삼과 같은 약재를 달여서 고농도의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달여진 약재의 농축액을 밸브개폐조작으로 추출조에서 보온조로 이동시켜 일정한 온도로 유지보관함으로서 사용자가 최적온도로 유지된 농축액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홍삼액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배출공(11)이 형성되고 가열판(61)이 설치된 상부몸체(10), 상하면에 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열판(61)에 착탈되는 추출조(20), 바닥면에 상기 투입구(21)와 소통되는 증기출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조(20)에 착탈되는 증기회수조(30), 윗면에 상기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고 일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42)의 바닥면에 가열판(62)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10)의 아랫쪽에 설치결합되는 하부몸체(40) 및, 상기 가열판(62)에 착탈되는 보온조(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홍삼액 추출기{a red ginseng extractor}
본 고안은 홍삼과 같은 약재를 달여서 고농도의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달여진 약재의 농축액을 밸브개폐조작으로 추출조에서 보온조로 이동시켜 일정한 온도로 유지보관함으로서 사용자가 최적온도로 유지된 농축액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홍삼액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건강식품 및 비타민 등을 복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용식품 중에는 전통적으로 애용되었던 한약이 빠지지 않는데, 최근 들어서는 인삼 및 홍삼과 같이 오랫동안 음용되어 그 효능이 입증된 한약재를 집적 구입하여 집에서 손수 달여 먹을 수 있도록 된 약탕기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약탕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기(65)가 설치된 몸체(10)에 추출조(20)와 증기응결기(35)가 상하로 설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추출조(20) 내부에 소정량의 물과 약재를 적재하고 증기응결기(35)의 내부에 일정량의 냉각수를 채운 후 몸체(10)에 설치된가열기(65)를 이용하여 추출조(20)를 가열하는 것이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약탕기는 약재가 다 달여진 후 사용자가 탕약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뜨거운 증기응결기(35)를 추출조(20)에서 이탈시키고, 타공판(25)에 얹어진 약재를 걸어낸 후 추출조(20)에 달여진 탕약을 별도의 그릇에 옮겨 담아야하므로 평상시 약탕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가정주부와 노약자에게는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였다.
또한, 별도의 그릇에 옮겨진 탕약은 한번 복용된 후 상온에서 그대로 방치보관되다가 재복용시 주전자와 같은 일반용기에서 가열되므로, 금속물질에 약한 한약이 변질되거나 그 약효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추출조(20)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일부가 상기 증기응결기(35)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지 않고 증기응결기(35)의 배출구(36)를 통해 배출되어 냉각수와 혼합되므로 사용자가 처음에 의도하였던 양의 탕약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약탕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가정주부와 노약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추출조와 보온조를 분리형성하고 증기회수조를 냉각하는 냉각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홍삼액 추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 요부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약탕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몸체 11 : 배출공
20 : 추출조 21 : 투입구
22 : 배출구 30 : 증기회수조
31 : 증기출입구 32, 52 : 뚜껑
40 : 하부몸체 42 : 개방부
50 : 보온조
61, 62 : 가열판 70 : 냉각장치
71 : 패킹 75 : 스프링
80 : 밀폐부재 90 : 수평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가열판이 설치된 상부몸체, 상하면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열판에 착탈되는 추출조, 바닥면에 상기 투입구와 소통되는 증기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조에 착탈되는 증기회수조, 윗면에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고 일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의 바닥면에 가열판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의 아랫쪽에 설치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가열판에 착탈되는 보온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몸체(10)의 일측에는 추출조(20) 및 증기회수조(30)가 탈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방부(12)의 바닥면에는 가열판(61)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하로 소통되는 배출공(11)이 형성되어 있다.
홍삼과 같은 한약재와 물이 저장되는 추출조(20)는 윗면에 홍삼과 물이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커다란 투입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랫면에는 상기 개방부(12)에 형성된 배출공(11)과 소통되는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출조(20)의 투입구(21)에 결합설치되는 증기회수조(30)는 상하면에 증기출입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증기회수조(30)의 내측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뚜껑(32)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추출조(20)와 증기회수조(30) 및 뚜껑(32)의 접합부분에는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패킹(71)이 결합되며, 개방부(12)의 전면에는 추출조(20)와 증기회수조(30)가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대(72)가 끼워진다. 상기 보호대(72)는 사용자가 홍삼액이 달여지는 추출조(20)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10)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하부몸체(40)의 전면에는 상부몸체(10)의 개방부(12)와 수직연장선상에 있는 개방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상기 추출조(20)의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고 개방부(42)의 바닥면에는 가열판(62)이 설치결합된다. 아울러, 하부몸체(40)의 개방부(42) 측면으로는 상기 상부몸체(10)의 가열판(61)과 하부몸체(20)의 가열판(62)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부(42)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일측에 손잡이(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구멍(53)이 형성된 뚜껑(52)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보온조(5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약탕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몸체(10, 40)의 개방부(12, 42)에 추출조(20)를 중심으로 증기회수조(30)와 보온조(50)가 수직선상에 상하로 위치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할 뿐만 아니라, 홍삼이 달여지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홍삼액의 농축상태를 순간순간마다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추출조(20)에 소정량의 홍삼과 물이 채워진 후 상부몸체(10)에 설치된 가열판(61)에 의해 가열되면 가열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증기출입구(31)를 통해 추출조(20)에서 증기회수조(30)로 이동되며, 증기회수조(30)로 이동된 수증기는 상부몸체(10) 상부에 설치된 냉각장치(70)에 의해 냉각되어 다시 추출조(20)로 재유입된다.
한편, 상기 증기회수조(30)에 형성되는 증기출입구(31)는 고열량의 수증기가 다량으로 증기회수조(30)에 유출되어 추출조(20)의 열량이 증기회수조(30)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주 작게 형성되며, 증기출입구(31)의 둘레는 냉각된 수증기가 용이하게 추출조(20)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향경사져 있다.
도 4a는 평상시 추출조(20)의 배출구(22)가 밀폐부재(80)에 의해 막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밀폐부재(80)는 결합공(81)에 끼워진 활형태의 스프링(75)에 의해 위로 향하는 탄성력을 받으며 수평부재(90)는 바닥면의 돌출부(95)에 걸쳐진 스프링(75)에 의해 외측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받는다.
그러나, 상기 수평부재(90)를 누르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90)에 하향돌출형성된 돌기(92)가 상기 밀폐부재(80)의 개구부(82)를 지나면서 밀폐부재(80)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리어 상기 배출구(22)를 개방시키게 되어, 추출조(20)에 담겨져 있던 홍삼액이 개방된 배출구(22)를 통해 배출공(11)으로 유출되어 하부몸체(40)에 구비되어 있는 보온조(50)로 흘러내리게 된다.
사용자가 수평부재(90)의 누름동작을 멈추게 되면 밀폐부재(80)와수평부재(90)는 각기 결합된 스프링(75)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추출조(20)의 배출구(22)는 다시 폐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추출조(20)의 배출구(22)는 유체가 흘러내릴정도의 크기로 형성하여 홍삼이 홍삼액과 함께 보온조(50)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해 보온조(50)로 이동된 홍삼액은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언제든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40)에 설치된 가열판(62)에 의해 일정온도로 보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추출조와 보온조를 분리형성하여 약탕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용이하게 홍삼액을 달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다 달여진 홍삼액을 보온조에서 일정온도로 계속 보관시킴으로서 홍삼액의 약효를 오랫동안 지속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바닥면에 배출공(11)이 형성되고 가열판(61)이 설치된 상부몸체(10), 상하면에 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열판(61)에 착탈되는 추출조(20), 바닥면에 상기 투입구(21)와 소통되는 증기출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조(20)에 착탈되는 증기회수조(30), 윗면에 상기 배출구(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고 일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42)의 바닥면에 가열판(62)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10)의 아랫쪽에 설치결합되는 하부몸체(40) 및, 상기 가열판(62)에 착탈되는 보온조(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추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의 일측상부에 상기 증기회수조(30)를 냉각하는 냉각장치(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액 추출기.
KR20-2002-0036684U 2002-12-09 2002-12-09 홍삼액 추출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06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684U KR200306275Y1 (ko) 2002-12-09 2002-12-09 홍삼액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684U KR200306275Y1 (ko) 2002-12-09 2002-12-09 홍삼액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275Y1 true KR200306275Y1 (ko) 2003-03-03

Family

ID=4933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6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6275Y1 (ko) 2002-12-09 2002-12-09 홍삼액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27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00B1 (ko) 2006-03-23 2007-10-04 김갑수 온냉 탕약용 약탕기
KR100775994B1 (ko) 2006-03-22 2007-11-15 김갑수 약탕기
KR100807839B1 (ko) 2007-02-20 2008-02-27 성이제 홍삼액 추출기
KR102467578B1 (ko) * 2021-11-17 2022-11-16 김금성 원스톱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KR102478511B1 (ko) * 2021-11-17 2022-12-16 김금성 역류 방지 가능한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94B1 (ko) 2006-03-22 2007-11-15 김갑수 약탕기
KR100760500B1 (ko) 2006-03-23 2007-10-04 김갑수 온냉 탕약용 약탕기
KR100807839B1 (ko) 2007-02-20 2008-02-27 성이제 홍삼액 추출기
KR102467578B1 (ko) * 2021-11-17 2022-11-16 김금성 원스톱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KR102478511B1 (ko) * 2021-11-17 2022-12-16 김금성 역류 방지 가능한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5121A (en) Apparatus for use in preparing infusions
US8424448B2 (en) Beverage dispenser
CA2516417C (en)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can, also usable for the extemporaneous preparation of beverages by extraction and/or infusion
US528178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in a microwave oven
CN102178455A (zh) 全自动饮料泡制机
KR200306275Y1 (ko) 홍삼액 추출기
KR102594064B1 (ko) 설정온도에서의 구동되는 비전기식 커피 추출기구
CN107048913B (zh) 一种三合一多用途的功夫茶杯
CN202051531U (zh) 全自动饮料泡制机
KR101930624B1 (ko) 응축 진공을 이용한 식물 성분 축출 장치
US6170387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eated beverage
KR102166346B1 (ko) 응축 진공의 흡입력 필터링에 의한 커피 추출 장치
CN205923631U (zh) 一种保温杯盖内塞及保温杯盖
KR200242434Y1 (ko) 다목적 가열식 초음파 약탕기
CN206651658U (zh) 具有挡板的壶具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KR100525405B1 (ko) 커피 메이커
KR100691343B1 (ko) 한약재의 증숙액 추출기
JPS6331625A (ja) 飲料抽出機
CN217592563U (zh) 一种蒸汽式煮茶器
KR20070095676A (ko) 약탕기
JP7221776B2 (ja) 飲料メーカー
KR910001222Y1 (ko) 증기유출 방지 포트
TWM539872U (zh) 具有擋板的壺具
KR100760500B1 (ko) 온냉 탕약용 약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2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10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