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533Y1 - 종이클립 - Google Patents
종이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8533Y1 KR200298533Y1 KR2019970022963U KR19970022963U KR200298533Y1 KR 200298533 Y1 KR200298533 Y1 KR 200298533Y1 KR 2019970022963 U KR2019970022963 U KR 2019970022963U KR 19970022963 U KR19970022963 U KR 19970022963U KR 200298533 Y1 KR200298533 Y1 KR 2002985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ortions
- paper
- clip
- bent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8—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with symmetrical generally U-shaped clamp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개방 조작을 종래보다 매우 약한 힘으로 행할 수 있으며, 최대 철 두께에 가까운 시이트형 부재를 고정하여도 변형이 적은 클립을 제공한다.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에 최대 철 두께에 거의 상당하는 두께의 배부(背部)를 설치하며, 이 배부로부터 양 단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들 양 단부의 끝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켜서 이들 끝가장자리 사이에 종이의 가장자리를 끼워두기 위한 접촉부를 설치한 본체와, 이들 접촉부의 각각의 상기 끝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부에 각각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접촉부를 열기 위한 2개의 손잡이 부재를 갖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배부는, 상기 배부의 양단과 이것에 계속되는 상기 각각의 접촉부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와, 상기 배부의 거의 중앙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 절곡부의 4개의 절곡부로 이루어진 거의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이들 4개의 절곡부에 의해 양 단부의 끝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여러 장의 종이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 말하면, 2개의 손잡이에 의해 서로 접하는 단부를 눌러 열고, 단부 사이에 여러 장의 종이를 고정시키는 종이 클립에 관한 것이다.
낱장의 종이를 모을 경우에, 종래부터 더블 클립이라 칭하는 클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클립은, 중앙부에 최대 철(綴)두께에 거의 상당하는 두께의 배부(背部)를 형성하고, 이 배부로부터 양 단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들 양 단부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킨 접촉부를 형성한, 띠형의 강철과 같은 탄성판으로 만들어진 본체와, 이들 접촉부 각각의 끝가장자리를 링형으로 구부려 구성된 걸림부에 각각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 경질의 금속선으로 만들어진 2개의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를 합쳐서 고정할 경우, 2개의 손잡이의 자유단 측을 배부측으로 회전 이동시키고, 손가락으로 2개의 손잡이의 자유단 측을 서로 접하도록 잡아서,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를 눌러 넓히고, 그 사이에 서류 등을 끼워두도록 되어 있다.
이 클립에 있어서의 서류 등을 실질적으로 끼워두는 부분은, 본체의 한 쌍의 접촉부의 끝가장자리이고, 끝가장자리의 길이는 탄성판의 폭, 즉 배부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폭에 상당한다. 또한, 2개의 접촉부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작용하는 탄성력은, 배부와 한 쌍의 접촉부의 각각의 경계부를 굽혀서 접촉부의 끝가장자리끼리 탄성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발생되고 있다. 이 클립 본체를 측면에서 보면, 배부의 두께 방향을 밑변으로 하고, 나머지 2개의 변이 동일한 길이의 접촉부인 2등변 삼각형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단지 접촉부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2개의 경계부를 굽히는 것 만으로는,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전체가 확실히 서로 접촉하는 일이 없으며, 2,3장의 얇은 종이를 단단히 고정할 수 없다. 또한, 파지력(把持力)도 약해서 두꺼운 종이를 끼워둘 수 없다. 그래서, 배부를 그 폭을 따라서 끝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각 경계부의 내각을 예각으로 하고 있다. 예각으로 함으로써, 2개의 접촉부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가상 교점이 삼각형의 중심부로 이동하여,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는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어, 얇은 종이도 꽉 고정할 수 있으며, 파지력도 커져서 두꺼운 종이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본래는 경계부의 2개의 내각이 각각 65°정도가 되는 2등변 삼각형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배부를 만곡시킴으로써 내각이 40°정도가 되도록 하여, 강한 탄성력을 2개의 접촉부 끝가장자리사이에 발생시키고 있다. 이 내각은 클립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지만, 측면에서 봐서 2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계부의 2개의 굽힘각 즉 내각은 90° 이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6-79580호나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7-31374호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클립의 배부의 거의 중앙에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서 고정되어야 할 종이의 모서리를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종이의 모서리를 고정하기 쉽게 한, 소위 코너 클립이 제안되고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25866호에는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7-31374호의 코너 클립의 개량형으로서, 개구의 끝가장자리를 배부와 접촉부와의 경계부까지로 하여, 이것에 의해 개구의 형성에 의해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립은, 배부와 접촉부와의 경계부의 2개소의 굽힘에 의해서 접촉부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배부의 만곡에 의해 이들 절곡부의 내각을 더욱 작게 하여, 접촉부의 배부에 대한 탄성력을 강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에는 필요 이상으로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강한 탄성력이 발생해 버리고, 클립이 허용하는 최대 두께에 가까운 두께의 종이를 고정하기 위해서, 접촉부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눌러 넓히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대형의 클립의 경우는 매우 강한 힘이 요구된다. 또한, 종이를 고정한 경우, 클립 부분으로부터 들어 올려, 강한 쇼크를 부여하여도 종이가 빠지는 일이 없을 정도의 강한 파지력이 종이에 부가되어, 클립을 떼어냈을때에, 접촉부의 끝가장자리에 의한 자국이 종이에 생길 경우가 있다.
그러나, 철한 종이를 쥘 경우, 클립의 손잡이에 손가락을 걸어서 쥐거나, 클립의 손잡이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강한 쇼크를 종이에 부여하며 난폭하게 사용 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현 상태보다 파지력이 약하고 접촉부의 끝가장자리의 개방을 약한 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탄성력은 내각이 예각이면 어느 정도 강하게 되지만, 이 경우는, 경계부의 내각을 크게 하면 탄성력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를 개방할 때에는 내각 이상으로 넓어지게 되어, 이것을 몇 회나 반복하면 변형이 발생하고, 장기간 두꺼운 종이를 고정한 후, 클립을 떼어내면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다음에 얇은 종이를 고정하려고 하면, 간단히 종이가 이탈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6-79580호나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 7-31374호에 기재되어 있는 코너 클립에서는 배부에 개구를 설치하고 있지만, 단지 배부에 개구를 설치하는 것 만으로는 탄성력은 낮아지지 않으며, 반대로 특허 공개 공보 평8-25866호에 있어서, 개구의 부분만 배부와 접촉부의 경계부를 삭제하면 탄성력도 저하하고, 또한 개구를 접촉부까지 연장하도록 하면 클립 본체의 강도가 저하하여 파손하기 쉬워진다고 설명하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구는 배부와 접촉부의 경계부까지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배부의 개구는 단지 종이의 모서리를 돌출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고, 개구를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접촉부 사이가 거의 평행하게 열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저하시키려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개방 조작을 종래보다 매우 약한 힘으로 행할 수 있고, 최대 철두께에 가까운 시이트형 부재를 고정하여도 변형이 적은 종이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스프링 특성이 낮은 금속판이라도 최대 철두께에 가까운 두께의 모든 시이트형 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시이트형 부재를 떼어내어도, 접촉부가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복귀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의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의 저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의 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으로 서류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의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의 클립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류
11 : 제1 실시예의 클립
12 : 배부
13 : 접촉부
14 : 본체
15 : 양 걸림부
16 : 끝가장자리
17, 18, 19, 21, 32, 33, 34, 35 : 절곡부
22 : 개구
23 : 잘린 부분
25 : 손잡이
26 : 손잡이 본체부
27 : 단부
31 : 제2 실시 형태의 클립
α1, α2, β1, β2 : 내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수단은, 스프링성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에 최대 철두께에 거의 상당하는 두께의 배부를 설치하며, 이 배부에서 양 단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들 양 단부의 끝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켜서 이들 끝가장자리 사이에 종이의 가장자리를 끼워두기 위한 접촉부를 설치한 본체와, 이들 접촉부의 각각의 상기 끝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부에 각각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 상기 접촉부를 열기 위한 2개의 손잡이 부재를 갖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절곡부를 적어도 3개 가지며, 상기 배부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종이의 모서리를 삽입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는 상기 접촉부 안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배부가, 상기 배부의 양단과 이 양단에 이어지는 상기 각 접촉부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와, 상기 배부의 거의 중앙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 절곡부를 갖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3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4 절곡부의 각각의 내각이 직각보다 큰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4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의 제3 및 제4 절곡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내각을,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를 구성하는 내각보다 둔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5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의 사다리꼴을 구성하는 변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6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의 종이를 끼워두는 파지력이 상기 제3 및 제4의 절곡부의 내각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7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다리부가, 적어도 상기 배부의 모서리에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배부의 개구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8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금속판은 스테인레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등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각 부에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먼저, 도 1에서 도 5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그 평면도, 도 3은 제1 클립의 저면도, 도 4는 제1 클립의 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클립으로 서류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클립(11)은, 강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띠형의 판재를 절곡하여 만들어진 본체(14)와, 경질의 금속선으로 만들어진 손잡이(25)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4)는, 최대 철두께에 거의 상당하는 폭을 가지며 그 거의 중앙에 정점 부분이 평탄하고 또한 외측으로 돌출한 사다리꼴형을 한 배부(12)와, 이 배부(12)로부터 길이 방향 양 단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여 이들 양 단부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킨 한 쌍의 접촉부(13)가 절곡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의 양 측부에는, 링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걸림부(15)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걸림부(15) 사이에 위치하는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16)도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클립과 같이 절곡되어 있다.
각각의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각 접촉부(13)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배부(12)의 폭 방향 양단과 이것에 이어지는 각 접촉부(13)와의 경계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17, 18)와, 배부(12)의 평탄한 정점부와 이 정점부에서 접촉부(13)에 이어지는 양측의 경사변과의 경계부에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 절곡부(19, 21)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내각(α1, β1)은 모두 90°보다 큰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절곡부(17, 18)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내각(α1)이, 제3 및 제4 절곡부(19, 21)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내각(β1)보다도 예각이 되도록 구성하여, 제1 및 제2 절곡부(17, 18)에 의한 탄성력은 강하게, 제3 및 제4 절곡부(19, 21)에 의한 탄성력은 약하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체(14)의 배부(12)의 거의 중앙부에는 개구(22)가 뚫려 있다. 각 접촉부(13)의 배부(12)측의 거의 중앙에는 개구(22)에 연결되는 잘린 부분(23: 切缺)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부(13)의 걸림부(15)에는 경질의 금속선으로 만들어진 손잡이(25)의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있다. 손잡이(25)는 중앙부가 거의 컵형으로 구부러진 손잡이 본체부(26)와, 이 손잡이 본체부(26)의 양단을 거의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2개의 단부(27)로 이루어지고, 한 쪽 손잡이(25)의 양 단부(27)를 한 쪽 면측의 접촉부(13)의 양(兩) 걸림부(15)에 삽입하고, 다른 쪽 손잡이(25)의 양 단부(27)를 다른 쪽 면측의 접촉부(13)의 양 걸림부(15)에 삽입한다. 각 손잡이 본체부(26)의 대향하는 다리부의 간극은, 배부(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22)의 폭보다 넓게 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부(26)의 자유단 측을 배부(12) 측으로 회전 운동시킬 때, 손잡이 본체부(26)가 제1 및 제2 절곡부(17, 18)의 외면에 닿아서, 이 부분이 손잡이(25)의 지지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클립(11)에 의해 시이트형 부재인 여러 장의 서류(10)를 고정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부(26)의 자유단 측을 배부(12) 측으로 회전 운동시켜, 손잡이 본체부(26)의 거의 중앙부를 배부(12)와접촉부(13)와의 모서리에 접촉시키고, 손가락으로 2개의 손잡이 본체부(26)의 자유단을 잡아서, 배부(12)와 접촉부(13)와의 모서리를 지지점으로 하여 손잡이 본체부(26)의 단부(27) 측에 의해 본체(14)의 접촉부(13) 사이를 넓히고, 그 사이에 서류를 끼워 넣으면 된다. 또한, 서류(10)의 모서리를 고정할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10)의 모서리를 개구(22)로부터 돌출하도록 클립(11)내에 삽입하고,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에서 서류를 끼워둔다. 개구(22)를 설치함으로써,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는 종래의 이와 같은 종류의 클립에 비하여 서류(10)의 모서리 정점으로부터의 누름 위치를 깊게 할 수 있으며, 두꺼운 서류를 넘기고 있더라도 항상 끼워둔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접촉부(13)의 배부(12)측의 거의 중앙에는 개구(22)에 연결되는 잘린 부분(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류(10)의 모서리의 드러난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서류(10)의 모서리가 클립(11)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더욱 확실히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배부(12)는 거의 사다리꼴을 형성하고 있으며, 클립 전체는 오각형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내각(α1, β1)은 90°보다 큰 각도로 하여도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를 서로 밀접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탄성력을 종래의 클립보다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절곡부(19, 21)를 구성하는 각각의 내각(β1)이 제1 및 제2 절곡부(17, 18)를 구성하는 내각(α1)보다 둔각으로 형성되어 제3 및 제4 절곡부(19, 21)에 의해 각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강한 탄성력을 부여하여, 제1 및 제2 절곡부(17, 18)에 의해서 제3 및 제4 절곡부(19, 21)보다는 약하지만 더욱 확실하게 각각의 접촉부(13)가 서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쪽의 접촉부(13)에는 제1 및 제3 절곡부(17, 19)에 의한 2단계의 탄성력이, 그리고 다른쪽의 접촉부(13)에는 제2 및 제4 절곡부(18, 21)에 의한 2단계의 탄성력이 각각 부여되고, 접촉부(13)를 열 때에는 이들 절곡부(17, 18, 19, 21)를 각각 완전히 열지 않아도, 배부(12)의 두께에 의해 규제되는 최대 철두께에 거의 동일한 두께까지 포개어진 시이트형 서류(10)를 끼워두기에 충분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절곡부(17, 18)에 의해,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는 부드러운 탄성력을 갖고 시이트형 서류(10)의 표면을 누를 수 있으며, 상처를 내는 일없이 시이트형 서류(10)를 끼워둘 수 있다.
또한, 개구(22) 및 잘린 부분(23)을 설치함으로써, 2개의 접촉부(13)가 서로 접하도록 작용하는 탄성력은 개구(22)나 잘린 부분(23)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해지지만, 손가락으로 2개의 손잡이 본체부(26)의 자유단을 잡아서 접촉부(13) 사이를 눌러 여는 힘은 적어서 좋다. 한편, 서류를 끼워두는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부, 즉 걸림부(15) 측의 폭 방향 길이는 종래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개구(22)나 잘린 부분(23)에 의한 탄성력의 저하로 서류를 끼워두는 힘도 작아지지만, 넘겨 올려도 클립(11)으로부터 서류가 빠지는 일은 없으며, 서류를 끼워두는데에는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철두께에 거의 같은 두께까지 포개어진 시이트형 서류(10)를 끼워두기 위해서, 각 접촉부(13)가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접촉부(13)를 열어도, 각 절곡부(17, 18, 19, 21)는 여유를 갖고서 개방됨으로써, 각 절곡부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 접촉부(13)를 최대로 열어도 각 절곡부가 변형되지 않는 것은, 넓히는 힘을 해제하면 즉시 원래의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최대 철두께에 거의 같은 두께의 시이트형 서류(10)를 끼워둔 후에 떼어내어도 클립(11)의 각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는 다시 확실히 서로 접하여, 그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변형 없는 종이 클립을 강철보다 탄성력이 낮지만 후처리가 편한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염가에 제공할 수 있다. 클립(11)의 본체(14)는 종래와 동일하게 강철로 만들어도, 또는 인청동과 같은 탄성 금속판으로 만들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각(α1)은 모두 약 95°이고, 내각(β1)은 모두 약 155°이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그 측면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클립(31)은, 각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각 접촉부(13)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절곡부를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배부(12)의 양단과 이것에 이어지는 각 접촉부(13)와의 경계에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절곡부(32, 33)와, 이들 제1 및 제2 절곡부(32, 33)로부터 각각 같은 간격을 두고 각 접촉부에 형성된 제3 및 제4 절곡부(34, 35)의 4개의 절곡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7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배부(12)의 사다리꼴 부분의 높이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보다 높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절곡부(32, 33)의 각 내각(α2)을 제3 및 제4 절곡부(34, 35)의 각 내각(β2)보다도 예각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내각(α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내각(α1)보다 둔각으로 하고, 반대로 내각(β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내각(β1)보다 예각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각 내각(β2)의 각도가 너무 커져서, 탄성력의 부여 기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로부터 제1 절곡부(32) 사이, 제1 절곡부(32)와 제3 절곡부(34) 사이,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로부터 제2 절곡부(33) 사이, 제2 절곡부(33)와 제4 절곡부(35) 사이의 4개의 부분은, 각각 내측으로 돌출하는 원호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3 및 제4 절곡부(34, 35) 사이도 원호형으로 형성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절곡부(32, 33)의 각 내각(α2)을 예각으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절곡부(32, 33)에 의한 각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상접(相接)하기 위한 탄성력이 강해지고, 종이에 대한 파지력이 강해진다. 한편, 제3 및 제4 절곡부(34, 35)의 각 내각(β2)를 크게 함으로써, 각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제3 및 제4 절곡부(34, 35)에 의한 탄성력은 상기 제1 실시 형태보다는 약해지고, 종이에 대한 각 접촉부(13)의 끝가장자리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각(α2)는 모두 약 110°이고, 내각(β2)는 모두 약 130°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접촉부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절곡부를 적어도 3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절곡부에 의해서 접촉부가 서로 접하기 위한 탄성력이 부여되고, 각 절곡부에는 절곡부의 수 분의 1의 탄성력이 있으면 좋고, 각 절곡부를 거의 굽힘부의 수 분의 1의 탄성력이 생기도록 절곡해 두면, 각 접촉부에 대하여 그것들이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는 넓힘력이 가해지더라도, 각 절곡부는 여유을 갖고 넓히기 때문에, 각 절곡부에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배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의 모서리를 고정할 경우에, 종이의 모서리를 이 개구에 삽입함으로써, 종이의 모서리 정점으로부터의 누름 위치를 종래의 클립보다 깊은 곳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견고하게 모서리를 누를 수 있다. 또한, 개구는 이 개구에 인접하는 접촉부 내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의 모서리의 드러난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종이의 모서리가 클립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실히 관찰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배부의 거의 중앙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절곡부와, 배부의 양단과 이것에 이어지는 각 접촉부와의 경계에 형성된 2개의 절곡부의 합계 4개의 절곡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탄성력은 4개로 분산될 수 있으며, 각 접촉부에 대하여 그것들이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는 넓힘력이 가해지더라도, 각 절곡부는 더욱 여유를 갖고 넓혀질 수 있으며, 절곡부에 있어서의 변형의 발생도 더욱 확실히 억제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절곡부의 각 내각을 직각보다 큰 각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가 서로 접하기 위한 탄성력은 종래의 클립보다 약해져서, 약한 힘으로도 접촉부의 끝가장자리 사이를 용이하게 열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제3 및 제4 절곡부를 구성하는 각 내각은 제1 및 제2 절곡부를 구성하는 내각보다 둔각이며, 이것에 의해 접촉부의 끝가장자리는 부드러운 탄성력을 갖고 철해야 되는 시이트형 부재의 표면을 파손시키는 일없이 누를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사다리꼴을 구성하는 변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절곡부의 내각을 예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사다리꼴의 높이가 높아져도 필요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종이를 끼워두는 파지력을 제3 및 제4 절곡부의 내각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판 두께의 금속판이라도 파지력이 다른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7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각 손잡이의 한 쌍의 다리부는, 적어도 배부의 모서리에 접촉하는 부분이 개구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각 손잡이의 다리부는 배부의 모서리부에 확실히 접촉하여, 접촉부를 확실히 열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금속판은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부식에 강하고, 또한 도금등 표면 처리를 행하는 일없이 제품으로서 출하될 수 있으며, 염가에 제공될 수 있다.
Claims (8)
-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에 최대 철(綴)두께에 거의 상당하는 두께의 배부(背部)를 설치하여, 이 배부로부터 양 단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하고, 이들 양 단부의 끝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켜서 이들 끝가장자리 사이에 종이의 가장자리를 끼워두기 위한 접촉부를 구비한 본체와, 이들 접촉부의 각각의 상기 끝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부에 각각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 상기 접촉부를 열기 위한 2개의 손잡이 부재를 갖는 종이 클립에 있어서,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에 끝가장자리가 서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절곡부를 3개 이상 가지며, 상기 배부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종이의 모서리를 삽입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는 상기 접촉부 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부는, 상기 배부의 양단과 이것에 이어지는 상기 각각의 접촉부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와, 상기 배부의 거의 중앙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 절곡부를 갖는 거의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부의 각각의 내각은 직각보다 큰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내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를 구성하는 내각보다 둔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을 구성하는 변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를 끼워두는 협지력(挾持力)은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의 내각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다리부는, 적어도 상기 배부의 모서리에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배부의 개구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스테인레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2963U KR200298533Y1 (ko) | 1997-08-25 | 1997-08-25 | 종이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2963U KR200298533Y1 (ko) | 1997-08-25 | 1997-08-25 | 종이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9663U KR19990009663U (ko) | 1999-03-15 |
KR200298533Y1 true KR200298533Y1 (ko) | 2003-02-06 |
Family
ID=4932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2963U KR200298533Y1 (ko) | 1997-08-25 | 1997-08-25 | 종이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853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52564B2 (en) | 2014-06-24 | 2019-04-09 | Keum Tae JANG | Paper clip |
KR20210040634A (ko) * | 2019-10-04 | 2021-04-14 | 한국전력공사 | 문서의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는 클립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88381A (zh) * | 2020-07-28 | 2020-09-22 | 冯文达 | 书夹 |
-
1997
- 1997-08-25 KR KR2019970022963U patent/KR2002985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52564B2 (en) | 2014-06-24 | 2019-04-09 | Keum Tae JANG | Paper clip |
KR20210040634A (ko) * | 2019-10-04 | 2021-04-14 | 한국전력공사 | 문서의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는 클립의 제조방법 |
KR102244269B1 (ko) * | 2019-10-04 | 2021-04-27 | 한국전력공사 | 문서의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는 클립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9663U (ko) | 1999-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0283A (en) | Clip | |
JP2575832Y2 (ja) | クリップ | |
CA2208619C (en) | Clip | |
EP0492815B1 (en) | Stamped and formed electrical tab | |
US10414198B2 (en) | Double clip | |
US4397577A (en) | Snap-action one-piece clamping device | |
JPS5833928B2 (ja) | クランプソウチ | |
KR200298533Y1 (ko) | 종이클립 | |
WO2011016503A1 (ja) | クリップ | |
US5008982A (en) | Clip | |
US20020095748A1 (en) | Clip | |
KR930006029B1 (ko) | 전기 터미날 | |
JP2917854B2 (ja) | クリップ | |
KR19980061632U (ko) | 종이 클립 | |
JPH10278464A (ja) | クリップ | |
JP3460599B2 (ja) | クリップ | |
JP2720949B2 (ja) | 接続端子装置 | |
AU729179B2 (en) | Clip | |
JP2519230Y2 (ja) | クリップ | |
KR19980077902A (ko) | 클립 | |
JP2724113B2 (ja) | クリップ | |
JPH0712047Y2 (ja) | クリップ | |
JP2519231Y2 (ja) | クリップ | |
JPH10236048A (ja) | 紙葉クリップ | |
JPH08282169A (ja) | クリ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