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80030Y1 -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030Y1
KR200280030Y1 KR2020020009892U KR20020009892U KR200280030Y1 KR 200280030 Y1 KR200280030 Y1 KR 200280030Y1 KR 2020020009892 U KR2020020009892 U KR 2020020009892U KR 20020009892 U KR20020009892 U KR 20020009892U KR 200280030 Y1 KR200280030 Y1 KR 200280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rotrusion
branch
hous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혁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9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030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시트본체(1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4)와, 상기 시트본체(10)의 위치이동시 상기 돌출부(14)에 간섭되도록 그 돌출부(14)에 대응하는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그 돌출부(14)에 간섭되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시트본체(10)가 이동된 전후방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 및 에어백장치(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센서부(20)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에어백장치(A)에 제공하여 그 에어백장치(A)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C)를 포함하여 차량이 정면 충돌하는 경우 및 추락하는 사태에도 에어백의 전개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탑승자는 착용한 안전벨트 만으로도 충분히 보호받게 되며, 전개되는 에어백의 충격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질식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Seat-position sensor for controlling air-bag apparatus}
본 고안은 시트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시트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외력에 의한 파손방지는 물론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성이 배제된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 및 승객을 차량의 정면충돌이나 추락에 의한 쇼크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로서 에어백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장치는 선택사양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운전자를 차량의 정면충돌 및 추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운전자용 에어백장치는 거의 모든 차량에 의무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승객용 에어백장치나, 측면충돌로부터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장치는 그 이용 추세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전후방으로 유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시트하부에 고정설치된 시트레일과, 시트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레버로 구성된 슬라이딩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그 충돌을 판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순간작동하게 되어 있어, 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유아가 차량에 탑승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시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로 에어백장치가 작동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면, 운전자 또는 유아는 에어백과의 간격이 좁아 그에어백이 전개되는 충격으로부터 부상을 입거나, 질식하게 되는 경우를 초래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마그네트에 의한 리드스위치의 온-오프 방식으로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는 시트 위치 감지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 위치 감지장치는 센서본체(2)와 트랙(6)을 구비하고 있는데, 센서본체(2)는 전후이동가능한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며, 하향개방된 "ㄷ"자 형상을 취하고, 내면에 리드스위치부(3)와 마그네트(4)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랙(6)은 시트(1)의 슬라이딩장치와는 별도로 시트(1)의 이동경로를 따라 센서본체(2)의 내부영역에 배치되고, 그 시트(1)가 이동됨에 따라 마그네트(4)의 자력을 차단하거나 소통시킬 수 있도록 단차져 있다. 즉, 트랙(6)은 마그네트(4)의 자력을 소통되게 하여 리드스위치부(3)가 접지되도록 하는 온(On)구간과, 마그네트(4)의 자력을 차단하여 리드스위치부(3)가 단락되도록 하는 오프(Off)구간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리드스위치부(3)는, 시트(1)가 트랙(6)의 온-오프구간으로 이동됨에 따라, 에어백장치에 온-오프신호를 제공하여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시트(1)가 트랙(6)의 오프구간에 위치되는 만큼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으면 차량에 충돌이 있더라도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오프시키고, 시트(1)가 트랙(6)의 온구간에 위치되어 있어야만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 위치 감지장치는 트랙(6)을 시트(1)의 슬라이딩장치와는 별도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공간을 더 차지하고, 작업공정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리드스위치부(3)가 쉽게 파손됨으로써 빈번한 교체작업 및 오작동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센서본체(2)가,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경우, 마그네트(4)의 자력이 리드스위치부(3)에 미치지 못하거나, 리드스위치부(3)의 접지가 불량하여 오작동됨에 따라 시트(1)가 트랙(6)의 온구간에 위치되어도 에어백장치에 온신호를 제공하지 못해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본체 및 그 시트본체를 전후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장치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외력에 의한 파손방지는 물론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성이 배제되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초기상태시 접지부와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이 접점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 시트본체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에 있어서, 시트본체가 후방향으로 이동될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센서부에 있어서,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과 접지부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그리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본체 11... 가이드레일
12... 시트레일 13... 지지브라켓
14... 돌출부 20... 센서부
21... 하우징 22... 힌지홈
23a... 원호장공 24... 분지체
23b... 가이드홈
25... 제1분지구 26... 제2분지구
27... 힌지돌기 28... 걸림돌기
29... 제1전도성 접지라인 30... 제2전도성 접지라인
31... 접지부 A... 에어백장치
C... 컨트롤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 가이드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시트본체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시트본체의 위치이동시 상기 돌출부에 간섭되도록 그 돌출부에 대응하는 시트본체의 일측면과 가이드레일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그 돌출부에 간섭되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시트본체가 이동된 전후방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및 에어백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센서부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에어백장치에 제공하여 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시트본체의 일측면과 가이드레일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시트본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에 간섭되어 일정각도 만큼 회동되도록 그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분지된 분지체와, 상기 분지체의 일측면과 그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며 각각에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있는 원호상의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과, 상기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에 대향하도록 상기 분지체의 일측면과 그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분지체가 회동됨에 따라 그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에 접점 또는 비접점되며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과의 접점감지신호 및 비접점감지신호를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접지부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분지체는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 만큼 분지된 제1 및 제2분지구와, 하우징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도록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은 분지체의 제1 및 제2분지구를 가이드하는 원호장공이 형성되어, 그 분지체의 회동거리가 원호장공의 길이에 의해 제어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지체는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분지체의 걸림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그 분지체의 회동거리가 가이드홈의 길이에 의해 제어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센서부가 파손될 염려가 없고,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성이 배제될 뿐만 아니라, 센서의 감지구간을 원하는 대로 분할할 수 있어 시트본체의 이동거리에 대한 에어백의 전개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시트본체(1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장치(A)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4)와, 상기 시트본체(10)의 위치이동시 상기 돌출부(14)에 간섭되도록 그 돌출부(14)에 대응하는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그 돌출부(14)에 간섭되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시트본체(10)가 이동된 전후방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 및 에어백장치(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센서부(20)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에어백장치(A)에 제공하여 그 에어백장치(A)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시트본체(10)는 일반적으로 그 저부에 슬라이딩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전후방으로 원하는 만큼 위치이동 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제시한 슬라이딩장치는 대개 차체 즉 차내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을 구비하고, 시트본체(1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그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직선왕복운동하는 시트레일(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시트레일(12)은 가이드레일(11)의 몸체에 걸려 슬라이딩되는 날개부(참조부호 미기재)를 가지고 있으며, 대략 하향개방된 "ㄷ"자 형상을 취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장치는 시트레일(12)의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통상적인 작동레버(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시트본체(10)의 일측면에는 지지브라켓(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브라켓(13)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센서부(20)의 분지체(24)를 간섭하는 돌출부(14)가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탑승하여 차량의 크래쉬 패드와 탑승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레버(미도시)를조작하여 시트레일(12)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후,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시트(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최적의 탑승조건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부로서, 상기 센서부(20)는, 종래와 달리, 시트본체(10)의 돌출부(14)와 대응하도록 상술한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전방과 후방을 구별할 수 있도록 시트(10)의 이동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그 이동위치에 따른 감지신호를 후술되는 컨트롤러(C)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술한 감지신호라 함은 후술되는 센서부(20)의 접지부(31)가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접점되어 폐쇄회로를 이룰 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접점신호와, 반대로 센서부(20)의 접지부(31)가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 비접점되어 개방회로를 이룰 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비접점신호를 말하는 것이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컨트롤러(C)는 센서부(20) 및 에어백장치(A)와 전기적인 신호체계로 연결되어 그 센서부(20)에 감지된 전기적인 접점신호 또는 비접점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신호로 전환하고, 그 제어신호를 에어백장치(A)에 제공함으로써 에어백장치(A)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에어백장치(A)는, 차량의 충돌시 그 충돌력을 판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에어백을 전개함으로써 탑승자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보호장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컨트롤러(C)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의 작동이 제어된다.
그러면 본 고안을 특징지우는 상기 센서부(2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본체(10)의 돌출부(14)와 대응하도록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시트본체(10)가 전후방으로 위치이동함에 따라 돌출부(14)에 간섭되는 분지체(24)와, 분지체(24)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각각에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있는 원호상의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대향하도록 하우징(21)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접지부(31)를 구비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1)은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호 조립 또는 분리가능한 각각의 몸체를 가지며, 그 몸체 각각의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분지체(24)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하우징(21)의 상측면에는 후술되는 분지체(24)의 제1 및 제2분지구(25,26)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그리고 그 분지체(24)가 회동됨에 따른 제1 및 제2분지구(25,26)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대략 130°의 원호를 가지는 장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분지체(24)의 회동거리는 원호장공(23a)의 길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전술한 분지체(24)는 시트본체(10)가 전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돌출부(14)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되는 것으로, 하우징(21)의 원호장공(23a)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 예컨대 대략 65°만큼 분지된 제1 및 제2분지구(25,26)를 가지며 그 제1 및 제2분지구(25,26)는 시트본체(10)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돌출부(14)에 각각 간섭된다. 그리고, 분지체(24)의 양측면에는 하우징 몸체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힌지홈(22)에 결합되는 힌지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분지체(24)는, 제1 및 제2분지구(25,26)가 돌출부(14)에 간섭됨에 따라, 힌지홈(22)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회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은 분지체(24)의 일측면에 그 분지체(24)의 회동경로를 따라 원호상으로 한 쌍이 부착되어 있으며, 전도성 소재 예컨대 동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각각에는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통전된 상태에 있다.
상기 접지부(31)는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대향하도록 하우징(21)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두갈래로 분지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분지체(24)가 돌출부(14)에 간섭되어 회동됨에 따라,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접점 또는 비접점되며,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의 접점신호 및 비접점신호를 컨트롤러(C)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본체(10)가 위치이동하지 않고 초기위치에 있을 경우, 분지체(24)의 제1분지구(25)는 직립된 상태로 서 있으며, 제2분지구(26)는 원호장공(도 5의 23a)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에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때의 접지부(31)는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동시에 접점되어 폐쇄회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기적인 접점감지신호는 컨트롤러(C)에 제공되고, 상기 감지신호를 제공받은 컨트롤러(C)는 그 감지신호를 제어신호 즉, 에어백장치의 작동신호로 변환하여 에어백장치(A)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받은 에어백장치(A)는 차량에 기설정된 충돌력이 가해지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본체(10)를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미도시된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본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시트본체(10)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로킹이 해제되어,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레일(도 5의 12)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됨으로써 이동되고, 시트레일(12)의 이송거리는 가이드레일(11)의 길이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에어백장치(A)는, 돌출부(14)가 분지체(24)의 제1분지구(25)를 간섭하기 이전까지 항상 센서부(20)의 접지부(도 7의 31)가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도 7의 29,30)에 접점되어 폐쇄회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소정의 충돌력이 차량에 가해지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작동되는 상태에 있다. 만약, 시트본체(1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그 시트본체(10)가 기준점 즉, 돌출부(14)가 분지체(24)의 제1분지구(25)를 간섭하는 지점을 벗어나 전방으로 위치이동되면, 시트본체(10)의 이송 도중 돌출부(14)는 직립된 상태에 있는 제1분지구(25)를 간섭한다. 이와 같은 돌출구(14)의 간섭으로 분지체(24)는, 시트본체(10)의 진행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제1분지구(25)는 원호장공(도 5의 23a)의 타측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2분지구(26)는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부(31)는 분지체(24)가 회동되면서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 단락되고, 컨트롤러(도 8a의 C)는 접지부(31)의 비접점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이, 비접점감지신호를 제공받은 컨트롤러(C)는 이 감지신호를 제어신호 즉, 작동해제신호로 전환하여 에어백장치(A)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받은 에어백장치(A)는 차량에 기설정된 충돌력이 가해져도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게 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반대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본체(10)를 후방으로 위치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미도시된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본체(10)를 후방으로 위치이동시킨다. 즉, 시트본체(10)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로킹이 해제되어,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레일(도 5의 12)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됨으로써 위치이동되고, 시트레일(12)의 이송거리는 가이드레일(11)의 길이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에어백장치(A)는, 돌출부(14)가 분지체(24)의 제2분지구(26)를 간섭하기 이전까지 항상 센서부(20)의 접지부(도 8b의 31)가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도 8b의 29,30)에 비접점되어 개방회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소정의 충돌력이 차량에 가해져도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도록 작동이 해제된 상태에 있는 것이다. 만약, 시트본체(1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그 시트본체(10)가 기준점 즉, 돌출부(14)가 분지체(24)의 제2분지구(26)를 간섭하는 지점을 벗어나 후방으로 위치이동되면, 시트본체(10)의 이송 도중 돌출부(14)는 직립된 상태에 있는 제2분지구(26)를 간섭한다. 이와 같은 돌출구(14)의 간섭으로 분지체(24)는, 시트본체(10)의 진행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제2분지구(25)는 원호장공(도 5의 23a)의 일측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1분지구(25)는 다시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부(31)는 분지체(24)가 회동되면서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 접점되고, 컨트롤러(도 9a의 C)는 접지부(31)의 접점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이, 접점감지신호를 제공받은 컨트롤러(C)는 이 감지신호를 제어신호 즉,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로 전환하여 그 에어백장치(A)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받은 에어백장치(A)는 차량에 기설정된 충돌력이 가해지면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시트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그와 대응하는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이와 더불어, 센서부(20)는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의 돌출부(14)와 대응하도록 시트본체(1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작용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0)의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분지체(24)의 일측면에 마련되지 않고 이와 대면하는 하우징(21)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접지부(31) 또한 하우징(21)의 내측면에 마련되지 않고 이와 대면하는 분지체(24)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체(24)는 하우징(21)의 내측 방향 즉, 하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하우징(21)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형성된 걸림돌기(28)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21) 각각의 몸체 내측면에는 분지체(24)의 걸림돌기(28)를 가이드하는 원호상의 가이드홈(23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21)은 분지체(24)의 제1 및 제2분지구(25,26)의 회동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원호장공(도 4의 23a)이 배제되고 그 내측면 각각에 가이드홈(23b)이 형성되어, 걸림돌기(28)를 가이드홈(23b)이 안내함으로써 분지체(24)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분지체(24)의 회동거리가 가이드홈(23b)의 길이에 의해 제어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트 위치 감지장치는, 시트본체(10)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소정위치에 도달할 때, 돌출부(14)가 센서부(20)의 분지체(24)를 간섭하여 센서부(20)의 접지부(31)가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접점되지 않게 함으로써, 차량이 정면 충돌하는 경우 및 추락하는 사태에도 에어백의 전개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탑승자는 착용한 안전벨트 만으로도 충분히 보호받게 되며, 전개되는 에어백의 충격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질식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는 시트본체의 전후방 이동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와 센서부를 시트본체 또는 그 시트본체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가이드레일에 장착하므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그 센서부가 파손될 염려가 없고,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의 위험성이 배제되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와 센서부의 설치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센서부의 감지구간을 원하는 대로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본체의 이동거리에 대한 에어백의 전개시점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차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1)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그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는 시트본체(1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장치(A)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트 위치 감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4)와, 상기 시트본체(10)의 위치이동시 상기 돌출부(14)에 간섭되도록 그 돌출부(14)에 대응하는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그 돌출부(14)에 간섭되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시트본체(10)가 이동된 전후방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 및 에어백장치(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센서부(20)로부터 제공받은 감지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에어백장치(A)에 제공하여 그 에어백장치(A)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돌출부(14)에 대응하는 시트본체(10)의 일측면과 가이드레일(11)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시트본체(10)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후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14)에 간섭되어 일정각도 만큼 회동되도록 그 하우징(21)의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분지된 분지체(24)와,
    상기 분지체(24)의 일측면과 그에 대면하는 하우징(21)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며 각각에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있는 원호상의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
    상기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대향하도록 상기 분지체(24)의 일측면과 그에 대면하는 하우징(21)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분지체(24)가 회동됨에 따라 그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에 접점 또는 비접점되며, 상기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도성 접지라인(29,30)과의 접점감지신호 및 비접점감지신호를 컨트롤러(C)에 제공하는 접지부(3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체(24)는 하우징(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정각도 만큼 분지된 제1 및 제2분지구(25,26)와, 하우징(21)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도록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힌지돌기(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은 분지체(24)의 제1 및 제2분지구(25,26)를 가이드하는 원호장공(23a)이 형성되어, 그 분지체(24)의 회동거리가 원호장공(23a)의 길이에 의해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체(24)는 하우징(21)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돌기(28)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면에는 분지체(24)의 걸림돌기(28)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3b)이 형성되어, 그 분지체(24)의 회동거리가 가이드홈(23b)의 길이에 의해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KR2020020009892U 2002-04-02 2002-04-02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KR200280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92U KR200280030Y1 (ko) 2002-04-02 2002-04-02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92U KR200280030Y1 (ko) 2002-04-02 2002-04-02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030Y1 true KR200280030Y1 (ko) 2002-06-27

Family

ID=7312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892U KR200280030Y1 (ko) 2002-04-02 2002-04-02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0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202A (ko) 2017-10-16 2019-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가변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202A (ko) 2017-10-16 2019-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가변제어장치
US10596992B2 (en) 2017-10-16 2020-03-24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control apparatus for airbag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1232B1 (en) A safety arrangement
CN112265513B (zh) 车顶安全气囊装置
EP1140575B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EP2173586B1 (en) Seat occupancy detection unit
CN112810564B (zh) 车用前气囊装置
WO2005035310A2 (en) Upward deploying inflatable knee bolster with mechanical guides
KR20190068218A (ko) 차량용 에어백
CN111619502A (zh) 带有可选择性释放的外部排气孔的安全气囊
WO2003104041A1 (en) Airbag deployment system with seat position sensors
KR200280030Y1 (ko)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KR200280029Y1 (ko)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US6270112B1 (en) Mechanism for securing passenger side air bag door
WO1998029889A1 (en) Electro-mechanical accelerometer
EP1718502B1 (en) Airbag assembly
JP6872389B2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JPH03193536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KR10025454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전개 단속장치
JP2004276677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08265376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H10100764A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412839B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에어백장치
KR100521129B1 (ko) 에어백 작동 차단을 위한 접이식 시트
KR100422534B1 (ko) 자동차의 충돌감지센서
KR200160059Y1 (ko) 에어백 구조
KR0114534Y1 (ko) 접점을 갖는 시트벨트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