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733Y1 -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가스버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7733Y1 KR200287733Y1 KR2020020017317U KR20020017317U KR200287733Y1 KR 200287733 Y1 KR200287733 Y1 KR 200287733Y1 KR 2020020017317 U KR2020020017317 U KR 2020020017317U KR 20020017317 U KR20020017317 U KR 20020017317U KR 200287733 Y1 KR200287733 Y1 KR 2002877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valve
- distributor
- burner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점화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과, 조작레버의 임의 회동이 없도록 하여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가스버너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버너부(2) 일측으로 버너부(2)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연결관(3)을 형성하고, 연결관(3)의 단부에는 가스공급관(5)과 연결 구성되며, 조작레버(6)가 달린 밸브(7)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분배기(4)를 결합한 가스버너(1)에 있어서, 버너부(2)에 점화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점화수단(8)과, 밸브(7)를 개폐하는 조작레버(6)의 임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밸브 안전수단(9) 및 연결관(3) 상측과 분배기(4) 상측에 씌워지는 일체형의 커버(10)로 구성되며, 점화수단(8)으로는 연결관(3) 상측에 위치하는 점화노즐(11) 및 스파크수단(12)과, 분배기(4) 내부에 위치하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구멍(17a)과 점화노즐(11)과 관체(13)로 연결되는 배출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7) 내측의 결합공(17c)에 공급구멍(17a) 측에서 차단구멍(17b) 측으로 스프링(18)에 탄지되는 패킹(19)이 결합된 차단구(20)를 내장하고 차단구(20)의 전방으로는 분배기(4)에 결합되어 있는 브래킷(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비틀림스프링(22)에 의해 복원되는 스위칭돌기(15a)가 형성된 회전식푸싱레버(15)의 푸싱축(15b)을 위치시켜 회전식푸싱레버(15)를 눌릴 때만 가스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가스공급부(14)와, 스파크수단(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식푸싱레버(15)의스위칭돌기(15a)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분배기(4) 하측의 스위치(16)로 구성하여 버너부(2)의 점화가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밸브 안전수단(9)은 밸브(7)에 달린 조작레버(6) 상하에 한 쌍의 결합돌기(6a)를 형성하고 이에는 밸브(7) 상측의 걸림돌부(7a)와 연접하는 걸림편(23a)이 형성된 스토퍼(23)를 결합하고 조작레버(6)와 스토퍼(23)의 가장자리 측에는 스프링(24)을 삽입하여 집게와 같이 작동되게 하여 임의로 조작레버(6)가 회동됨이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화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과, 조작레버의 임의 회동이 없도록 하여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가스버너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과 같은 업소에서 조리를 위해 사용하는 가스버너의 경우 버너부 일측으로 버너부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연결관을 형성하고 연결관의 단부에는 가스공급관과 연결 구성되며, 조작레버가 달린 밸브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분배기가 마련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버너의 경우 하기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1.버너부로 가스가 공급될 시 별도의 점화수단이 없어 라이터나 성냥 등을 이용하여 점화를 행하여야 함으로 화상의 위험이 있었다.
2.밸브에 달린 조작레버가 임의로 쉽게 회동함으로 부주의 등으로 인한 가스 누출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3.밸브를 포함하는 분배기에 음식물이 엉겨 붙어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가스버너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점화의 불편, 조작레버의 임의 회동에 의한 위험, 연결관과 분배기 등의 오손으로 인한 청결성 문제를 해결함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연결관 상측에 점화노즐과 스파크수단을 위치시키고 분배기에는 점화노즐과 관체 연결되는 가스공급수단과 스파크수단관 전기적으로 연결된스위치를 마련하여 버너부의 점화가 원터치 식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밸브의 조작레버에는 조작레버에 핀결합되고 스프링 탄지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조작레버의 임의 회동이 없도록 하며, 연결관과 분배기 상측으로는 커버를 결합하여 오물(음식물 찌꺼기)에 의한 분배기 등의 오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점화수단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가스가 차단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점화수단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가스가 공급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밸브 안전수단을 보이기 위한 요부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가스버너 2:버너부
3:연결관 4:분배기
5:가스공급관 6:조작레버
6a:결합돌기 7:밸브
7a:걸림돌부 8:점화수단
9:밸브 안전수단 10:커버
11:점화노즐 12:스파크수단
13:관체 14:가스공급부
15:회전식푸싱레버 15a:스위칭돌기
15b:푸싱축 16:스위치
17:몸체 17a:공급구멍
17b:배출구멍 17c:결합공
18:스프링 19:패킹
20:차단구 21:브래킷
22:비틀림스프링 23:스토퍼
23a:걸림편 24:스프링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4는 본 고안의 점화수단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밸브 안전수단을 보이기 위한 요부 발췌 확대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버너부(2) 일측으로 버너부(2)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연결관(3)을 형성하고, 연결관(3)의 단부에는 가스공급관(5)과 연결 구성되며, 조작레버(6)가 달린 밸브(7)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분배기(4)를 결합한 가스버너(1)를 집중적으로 개량 고안한 것으로써, 기존 사용하고 있는 가스버너(1)의 버너부(2)에 점화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점화수단(8)과, 밸브(7)를 개폐하는 조작레버(6)의 임의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밸브 안전수단(9) 및 연결관(3) 상측과 분배기(4) 상측에 씌워지는 일체형의 커버(10)로 구성된다.
상기 점화수단(8)으로는 연결관(3) 상측에 점화노즐(11)과 스파크수단(12)을위치시키고 분배기(4) 내부에는 점화노즐(11)과 관체(13)로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가스공급부(14)를 내장 설치하여 회전식푸싱레버(15)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고, 분배기(4) 하측으로는 스파크수단(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16)를 마련하여 회전식푸싱레버(15)에 형성된 스위칭돌기(15a)에 의해 푸싱 작동되게 하여 버너부(2)의 점화가 원터치 식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분배기(4)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가스공급부(14)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4) 내부의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구멍(17a)과 점화노즐(11)과 관체(13)로 연결되는 배출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7) 내측의 결합공(17c)에는 공급구멍(17a) 측에서 배출구멍(17b) 측으로 스프링(18)에 탄지되는 패킹(19)이 결합된 차단구(20)를 내장하고 차단구(20)의 전방으로는 분배기(4)에 결합되어 있는 브래킷(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비틀림스프링(22)에 의해 복원되는 스위칭돌기(15a)가 형성된 회전식푸싱레버(15)의 푸싱축(15b)을 위치시켜 회전식푸싱레버(15)를 눌릴 때만 가스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버너부(2)로의 가스공급을 제어하는 상기 밸브(7)에 달린 조작레버(6)의 상하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6a)를 형성하고 이에는 밸브(7) 상측의 걸림돌부(7a)와 연접하는 걸림편(23a)이 형성된 스토퍼(23)를 결합하고 조작레버(6)와 스토퍼(23)의 가장자리에는 스프링(24)을 삽입하여 마치 집게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밀폐용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가스버너(1)는 대형 업소 등에서 조리용 버너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으로 조리를 하고자 할 시에 먼저 한 손으로 회전식푸싱레버(15)를 눌린 상태로 회동시켜 점화노즐(11)에 불을 켠 다음 밸브(7)의 조작레버(6)를 작동하여 버너부(2)에 가스를 공급하면 간편하게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회전식푸싱레버(15)를 눌리게 되면 분배기(4)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가스공급부(14)의 차단구(20)가 밀려지면서 분배기(4) 내부의 가스가 공급구멍(17a)과 배출구멍(17b) 및 관체(13)를 통해 점화노즐(11)로 분사되고 회전식푸싱레버(15)의 회동작동에 의해 분배기(4) 하측에 마련되는 스위치(16)가 눌려지면서 점화노즐(11) 측에 있는 스파크수단(12)에 전기 스파크가 발생하여 점화된다. 이와 같이 점화수단(8)으로 불을 켠 다음 밸브(7)의 작동레버(6)를 회동시켜 버너부(2)로 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점화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버너부(2)의 점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점화를 한 다음 회전식푸싱레버(15)를 파지하고 있는 손을 해지하게되면 회전식푸싱레버(15)는 비틀림스프링(22)에 의해 원상 복원되며, 가스공급부(14)의 차단구(20) 또한 스프링(18)의 탄지력에 의해 원상 복원되어 공급구멍(17a) 측에서 배출구멍(17b) 측으로의 가스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밸브 안전수단(9)에 의하면 가스를 공급코자 할 시에는 조작레버(6)에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23)를 파지한 경우에만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조작레버(6)에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23)의 단부를 파지하게 되면 밸브(7)의 걸림돌부(7a)와 연접되어 있는 걸림편(23a)이 회동되어 걸림돌부(7a)와 이완시킨 다음 조작레버(6)를 회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스토퍼(23)를 파지하지 않고 조작레버(6)를 회동하게되면 걸림편(23a)이 걸림돌부(7a)에 걸려 회동이 불가능하며, 가스공급을 차단코자 할 시에는 상기와는 달리 조작레버(6)를 단순히 역 회동시키기만 하면 걸림돌부(7a)에 면접되는 스토퍼(23)의 걸림편(23a)이 외향 회동하게 되므로 조작레버(6)의 회동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레버(6)에 의해 가스 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회동은 가능하나 가스가 차단된 상태에서의 조작레버(6)의 임의회동이 방지되므로 부주의로 인해 조작레버(6)가 회동되어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가스 누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연결관(3)과 분배기(4) 상측으로 커버(10)가 결합되므로 연결관(3)과 분배기(4)가 조리중인 음식물 등에 의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성도 보장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가스버너(1)에 의하면 기존 사용하고 있는 가스버너의 분배기만 교환하면 되는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을 널리 사용할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화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고, 조작레버(6)의 임의 회동을 없앨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 연결관(3)과 분배기(4)가 커버(10)에 의해 보호됨으로이들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청소 등도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 실익이 보장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버너부(2) 일측으로 버너부(2)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연결관(3)을 형성하고, 연결관(3)의 단부에는 가스공급관(5)과 연결 구성되며, 조작레버(6)가 달린 밸브(7)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분배기(4)를 결합한 가스버너(1)에 있어서,버너부(2)에 점화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점화수단(8)과, 밸브(7)를 개폐하는 조작레버(6)의 임의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밸브 안전수단(9) 및 연결관(3) 상측과 분배기(4) 상측에 씌워지는 일체형의 커버(10)로 구성되며,상기 점화수단(8)으로는 연결관(3) 상측에 위치하는 점화노즐(11) 및 스파크수단(12)과, 분배기(4) 내부에 위치하며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구멍(17a)과 점화노즐(11)과 관체(13)로 연결되는 배출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7) 내측의 결합공(17c)에는 공급구멍(17a) 측에서 차단구멍(17b) 측으로 스프링(18)에 탄지되는 패킹(19)이 결합된 차단구(20)를 내장하고 차단구(20)의 전방으로는 분배기(4)에 결합되어 있는 브래킷(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비틀림스프링(22)에 의해 복원되는 스위칭돌기(15a)가 형성된 회전식푸싱레버(15)의 푸싱축(15b)을 위치시켜 회전식푸싱레버(15)를 눌릴 때만 가스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가스공급부(14)와, 스파크수단(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식푸싱레버(15)의 스위칭돌기(15a)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분배기(4) 하측의 스위치(16)로 구성되며,상기 밸브 안전수단(9)은 밸브(7)에 달린 조작레버(6) 상하에 한 쌍의 결합돌기(6a)를 형성하고 이에는 밸브(7) 상측의 걸림돌부(7a)와 연접하는 걸림편(23a)이 형성된 스토퍼(23)를 결합하고 조작레버(6)와 스토퍼(23)의 가장자리 측에는 스프링(24)을 삽입하여 집게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7317U KR200287733Y1 (ko) | 2002-06-05 | 2002-06-05 | 가스버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7317U KR200287733Y1 (ko) | 2002-06-05 | 2002-06-05 | 가스버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7733Y1 true KR200287733Y1 (ko) | 2002-09-09 |
Family
ID=7307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7317U KR200287733Y1 (ko) | 2002-06-05 | 2002-06-05 | 가스버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7733Y1 (ko) |
-
2002
- 2002-06-05 KR KR2020020017317U patent/KR200287733Y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51061B2 (en) | Safety device for a gas burner | |
KR200287733Y1 (ko) | 가스버너 | |
EP0939279A1 (fr) | Dispositif de surveillance et de sécurité pour appareil de cuisson ou de chauffage à gaz | |
KR200442459Y1 (ko) | 산업용 가스레인지의 버너 점화장치 | |
KR101364728B1 (ko) | 업소용 가스버너 점화장치 | |
KR200391646Y1 (ko) | 가스버너 | |
KR100762515B1 (ko) |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 |
KR20010084871A (ko) | 전자식 타이머에 의한 개방시간이 조절가능한 밸브 조립체 | |
KR101260792B1 (ko) | 자동점화용 밸브 | |
KR200473068Y1 (ko) | 업소용 렌지에 설치되는 가스밸브장치 | |
KR200197962Y1 (ko) |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 |
KR950005451Y1 (ko) | 휴대용 가스라이터 | |
FR2745066A1 (fr) |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appareil de cuisson ou de chauffage a gaz | |
KR200290644Y1 (ko) | 조리기구의 점화장치 | |
KR200154401Y1 (ko) | 타이머식 가스밸브장치 | |
KR200185649Y1 (ko) | 가스 자동차단기의 밸브 개폐장치 | |
KR200347293Y1 (ko) | 가스공급량 조절기능을 갖는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 | |
KR200249599Y1 (ko) |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안전조작장치 | |
KR100960024B1 (ko) | 2구버너로 가스를 분배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 제어장치 | |
KR200399890Y1 (ko) | 가스레인지용 가스유량조절 코크 | |
KR20130020260A (ko) | 가스기기용 밸브장치 | |
KR900009722Y1 (ko) | 2개의 주가스분출구를 가지는 코크 | |
KR200458376Y1 (ko) | 볼밸브에 설치되는 가스공급 겸용 점화장치 | |
KR200177943Y1 (ko) | 작동레버를 갖는 레버식 가스밸브 | |
KR200199483Y1 (ko) | 휴대용 가스렌지의 레버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