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79409Y1 -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409Y1
KR200279409Y1 KR2020020006569U KR20020006569U KR200279409Y1 KR 200279409 Y1 KR200279409 Y1 KR 200279409Y1 KR 2020020006569 U KR2020020006569 U KR 2020020006569U KR 20020006569 U KR20020006569 U KR 20020006569U KR 200279409 Y1 KR200279409 Y1 KR 200279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skin
photographing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복
박재훈
정재선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케이엘
박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케이엘, 박래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케이엘
Priority to KR2020020006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4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키입력부, 카메라제어부, 중앙처리부, 표시부, 데이터 저장부, 전원공급부, 커넥터 및 메모리 스틱이 구비된 개인휴대단말기 본체; 일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내부에 촬상소자와 신호변환부, 제어부, 영상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는 건 형상의 촬영부와 전기 접속되는 FPC; 및 상기 촬영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상소자에 대해 촬영된 물품을 송신하는 렌즈부로 구비된다.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피부관리사 또는 성형외과 의사들이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어린이들이 물품의 구조와 곤충 등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현미경 대용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한다.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Image machine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고안은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피부관리사 또는 성형외과 의사들이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어린이들이 물품의 구조와 곤충 등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현미경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 정밀 검사를 요구하는 반도체 등 첨단부품들의 조립검사용으로도 사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피부관련 업체 및 직업에 종사하는 피부관리사 또는 성형외과 의사들은 피 측정인의 피부상태 또는 노화상태 및 조직상태를 면밀히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와 화상표시장치 등이 조합된 별도의 정밀검사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피부 검사장치의 설치를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피 측정인의 피부상태 등을 면밀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측정하기 위한 피부 검사장치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고, 또 그 시설물들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고가의 피부 검사장치 시스템을 구입하고 또 그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하므로 정밀검사 시스템을 구입하거나 또는 설치하기 위한 시설물들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은 이용자인 피 측정인들의 부담으로 되돌아오고 있는 실정이다.
또 피부 검사장치 시스템은 규모가 크고 장비가 고가이므로 일반 수요자들이 구입할 수 없으므로 피부 검사장치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를 찾아가 피부의 검사를 받아야 하는 기동성을 제약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은 결국 피부 등을 측정하기 위한 많은 이용객들에게 돌아와 소비자들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그와 같은 모든 결과는 피부를 측정 및 디스플레이시키는 시스템이 고가인 원인에 기인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가의 피부 검사장치 시스템은 그 기능 및 사용처에 따른 활용범위가 인체의 피부로 한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피부 검사장치 시스템의 가격이 고가인 반면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호환성 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피 측정인들의 피부의 상태 등을 면밀히 검토하기 위한 피부검사장치 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피부관리사 또는 성형외과 의사들이 부담 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피부 검사장치의 휴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반 수요자가 쉽게 구입하여 자신의 피부 상태를 직접 검사함은 물론, 수요층을 직접 찾아가며 검사를 해 주는 편의도 부여할 수 있는 개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의 상태만을 한정하여 검사하지 않고 특히 어린이들이 물품의 구조와 곤충 등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현미경 대용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등의 첨단 정밀부품들의 조립상태 등을 면밀하게 검사하며 사용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한 후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촬영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개인휴대단말기 본체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촬영부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촬영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커넥터
12;다이얼 20;FPC
30;촬영부 40;렌즈부
41;회전관체 41a;나사홈
42;고정관체 43;가이드홈
44;홀더 45;가이드 돌기
46;제1 렌즈 47;결합부
48;램프 49;캡
50;제2 렌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입력부, 카메라제어부, 중앙처리부, 표시부, 데이터 저장부, 전원공급부, 커넥터 및 메모리 스틱이 구비된 개인휴대단말기 본체; 일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내부에 촬상소자와 신호변환부, 제어부, 영상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는 건 형상의 촬영부와 전기 접속되는 FPC; 및 상기 촬영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상소자에 대해 촬영된 물품을 송신하는 렌즈부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는 상기 촬영부의 내측에 관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내주면에는 나사홈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관체; 상기 회전관체의 내측에 고정되며 수평선 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 홈이 평행하게 절결된 중공의 고정관체; 상기 고정관체의 내측에 이격 설치되며 그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외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회전관체의 나사홈에 지지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측에 장착된 제1 렌즈; 상기 고정관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램프가 구비되며 그 일측면은 상기 회전관체의 일측면과 이격 구비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캡; 및 상기 촬영부의 외측에 장착되며 상기 램프와 전기 접속되어 상기 램프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의 개방된 전방에는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2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촬영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개인휴대단말기와 촬영부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10)는 그 내부에 키입력부와 카메라 제어부, 중앙처리부, 표시부, 데이터 저장부 그리고 충전 베터리와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된다.
즉 본체(10)는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가 갖추어야하는 모든 구성을 갖추고 있다.
또 본체(10)의 일 측에는 커넥터(11)가 구비되며 분리 및 결합 가능한 메모리 스틱이 갖추어진다.
상기 커넥터(11)에는 전기적으로 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FPC(Flexible Printed Circuit)(20)가 연결되며 그 타측에는 내부에 촬상소자와 신호변환부, 제어부, 영상신호 저장부가 구비된 건 형상의 촬영부(30)가 구비된다.
또 상기 촬영부(30)의 전방에는 상기 촬상소자에 대해 촬영된 물품을 송신하는 렌즈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부(40)는 상기 촬영부(30)의 내측에 관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내주면에는 나사홈(41a)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관체(4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관체(41)의 내측에는 수평선 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 홈(43)이 평행하게 절결된 중공의 고정관체(42)가 구비된다. 또 상기 고정관체(42)의 내측에는 그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43)의 외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회전관체(41)에 형성된 나사홈(41a)에 지지되는 홀더(44)가 배치되고, 상기홀더(44)의 내측에는 제1 렌즈(46)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42)의 일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램프(48)가 구비되며 그 일측면은 상기 회전관체(41)의 일측면과 이격 구비되어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램프(48)와 상기 촬영부(30)와 전기 접속된 전선이 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48)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47)의 외측에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캡(49)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램프(48)는 상기 촬영부(30)의 외측에 구비된 다이얼(12)과 도면표현을 생략한 전선에 의해 전기 접속되며, 그 전선은 상기 회전관체(41)와 상기 고정관체(4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전기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 1과 같이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배열된 다수의 버튼 중 전원 버튼을 동작시키면 개인휴대단말기 본체(1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11)에 상기 FPC(20)의 일측을 결합하면 상기 본체(10)로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는 FPC(20)를 통하여 상기 촬영부(30)로 공급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촬영부(30)의 내측에 구비된 렌즈부(40)의 램프(48)는 빛을 발하게 되고 동시에 그 렌즈부(40)의 전방에 구비된 캡(49)을 피 촬영지점인 피부의 적당한 곳에 근접시킨다.
상기와 같이 캡(49)을 피부에 근접시키게 되면 제1 렌즈(46)는 캡(49)이 향하고 있는 지점의 피부를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부위는 촬영부(30)의 촬상소자와 신호 변환부 그리고 제어부와 영상신호 저장부 및 상기 본체(10)의 카메라 제어부와 중앙처리부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의 신호를 통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메모리스틱과 키 입력부에 의해 정지된 상태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저장되거나 또는 도면표현을 생략한 별도의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므로 피부의 조직상태 또는 노화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본체(10)에 구비된 다이얼(12)을 회전시키며 램프(48)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며 촬영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관체(41)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관체(41)는 상기 고정관체(42)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회전하지만 상기 고정관체(42)의 내측에 설치된 홀더(44)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45)가 상기 고정관체(42)에 형성된 가이드 홈(4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관체(41)에 형성된 나사홈(41a)에 지지된 구조에 의해 상기 홀더(44)는 상기 나사홈(41a)을 따라 도 2와 같이 전,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를 저배율 또는 고배율로 조절하며 촬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49)의 전방에 제2 렌즈(50)를 장착하게되면 상기 촬영부(30)는 더욱 고배율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개인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은 정적이거나 동적인 피사체의 촬영특성에 따라 캡(49)을 분리한 상태에서 촬영하거나 또는 캡(49)을 장착한 상태에서 촬영이 가능하고, 또 고배율로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캡(49)의 전방에 제2 렌즈(50)를 분리하거나 장착하며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캡(49)은 관축 방향의 길이를 길거나 짧은 것을 종류별로 다량으로 제작함으로써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관축 방향의 길이가 긴 캡과 짧은 캡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캡(49)을 신축가능한 벨로우즈관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임의로 캡의 관축 방향 길이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확대 영상기에 의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피부관리사 또는 성형외과 의사들이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피부 검사장치의 휴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반 수요자가 쉽게 구입하여 자신의 피부 상태를 직접 검사함은 물론, 수요층을 직접 찾아가며 검사를 해 주는 편의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부의 상태만을 한정하여 검사하지 않고 특히 어린이들이 물품의 구조와 곤충 등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현미경 대용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기초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캡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율을 선택적으로 고배율, 저배율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키입력부, 카메라제어부, 중앙처리부, 표시부, 데이터 저장부, 전원공급부, 커넥터 및 메모리 스틱이 구비된 개인휴대단말기 본체;
    일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내부에 촬상소자와 신호변환부, 제어부, 영상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는 건 형상의 촬영부와 전기 접속되는 FPC; 및
    상기 촬영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상소자에 대해 촬영된 물품을 송신하는 렌즈부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촬영부의 내측에 관축 방향으로 구비되되 그 내주면에는 나사홈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관체;
    상기 회전관체의 내측에 고정되며 수평선 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 홈이 평행하게 절결된 중공의 고정관체;
    상기 고정관체의 내측에 이격 설치되며 그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외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회전관체의 나사홈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를 갖춘 홀더;
    상기 홀더의 내측에 장착된 제1 렌즈;
    상기 고정관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램프가 구비되며 그 일측면은 상기 회전관체의 일측면과 이격 구비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캡; 및
    상기 촬영부의 외측에 장착되며 상기 램프와 전기 접속되어 상기 램프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개방된 전방에는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2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KR2020020006569U 2002-03-06 2002-03-06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79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69U KR200279409Y1 (ko) 2002-03-06 2002-03-06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569U KR200279409Y1 (ko) 2002-03-06 2002-03-06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409Y1 true KR200279409Y1 (ko) 2002-06-24

Family

ID=7311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5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9409Y1 (ko) 2002-03-06 2002-03-06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4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50B1 (ko) * 2002-12-28 2009-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50B1 (ko) * 2002-12-28 2009-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1035B2 (en) Ear ailment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US7986987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observing a typ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body
US6186944B1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US5427103A (en) MRI apparatus for receiving nuclear-magnetic resonance signals of a living body
US20030050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characteristic of body typology
US20090082626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KR100781235B1 (ko) 피부측정기가 결합된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를 구성하는피부측정기와 개인휴대단말기
JP2001286436A (ja) 内視鏡
JP4503734B2 (ja) 電子内視鏡
KR200279409Y1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영상기
US20130271589A1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201123808Y (zh) 牙医用手持器械
JP3225023B2 (ja) 皮膚状態評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皮膚状態カウンセリング方法
KR20110121900A (ko) 얼굴 피부 촬영용 카메라장치
EP3791773A1 (en) Integrated handheld battery-powered oct system for point of care diagnostics
US20100039132A1 (en) Probing Apparatus
CN102309310B (zh) 便携式检耳镜
RU2429779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ов человека или животног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TW201903385A (zh) 毛髮觀察方法、相位差顯微鏡系統及標本
US20110037842A1 (en) Cosmetic and Dermatologic Measurement Apparatus
CN221711933U (zh) 拉伸标尺及具有该拉伸标尺的弹性电极带
JP2003140056A (ja) 計測内視鏡装置
EP4424229A2 (en) Optical apparatus
TWM392637U (en) A portable otoscope
JPH11164293A (ja) 拡大観察ユニットおよび拡大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07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1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