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222Y1 -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물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222Y1 KR200275222Y1 KR2020020002293U KR20020002293U KR200275222Y1 KR 200275222 Y1 KR200275222 Y1 KR 200275222Y1 KR 2020020002293 U KR2020020002293 U KR 2020020002293U KR 20020002293 U KR20020002293 U KR 20020002293U KR 200275222 Y1 KR200275222 Y1 KR 20027522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key
- ruled
- locking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쇠를 끼워 밀지 않고, 열쇠를 열쇠구멍에 넣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탄성력에 의해 괘지봉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괘지봉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 돌출된 괘지봉을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상단부에 소정크기로 절취형성되는 괘지부와, 상기 괘지부의 측면부에 동축상에 형성되는 괘지봉조립공과, 하단부측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형성되는 괘지통공과, 타측단면에 상기 괘지통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열쇠통공을 구비하는 자물쇠 본체와; 상기 괘지봉조립공 및 괘지통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괘지봉부재로 구성되는 통상의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본체는 상기 괘지통공의 열쇠통공측 단부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부재지지돌부와, 상기 괘지통공의 입구측 내측면에 괘지통공의 길이방향과 직각되게 돌출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열쇠통공의 입구 상측에 수직으로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발부재고정공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괘지봉부재는 소정크기를 갖는 판형상으로써,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자물쇠 본체의 스토퍼와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공과, 상단부와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괘지봉조립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괘지봉부와, 상면에 갈고리형상의 걸림요부를 갖고 일단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일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수납공을 일체로 구비하며;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편으로써, 하단부에 상기 걸림돌부의 걸림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작동되는 걸림부와, 상단부에 상기 탄발부재고정공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체결부와, 상기 괘지봉부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 상방으로 눌려져 상기 걸림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중간부에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누름부를 일체로 갖는 탄발부재와;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자물쇠 본체의 탄성부재지지돌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괘지봉부재의 탄성부재수납공에 수납되어 상기 괘지봉부재가 자물쇠 본체의 괘지통공에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괘지봉부재를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돌림쇠끼움공을 측방으로 갖고 관통형성되는 열쇠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물쇠본체의 열쇠통공측 단면부에 장착되는 덮판과, 끝단 외주면에 돌림쇠를 일체로 갖고 상기 덮판의 열쇠공을 통하여 상기 열쇠통공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림쇠가 상기 탄발부재의 누름부를 상방으로 눌러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열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쇠를 끼워 밀지 않고 열쇠를 열쇠구멍에 넣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탄성력에 의해 괘지봉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괘지봉이 본체에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 돌출된 괘지봉을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가구들에는 괘지형 자물쇠를 사용하여 가구의 문을 단속하였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물쇠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물쇠(a)는 자물쇠 본체(b)와 괘지봉부재(c)와, 열쇠부재(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 본체(b)는 상단부에 소정크기를 갖고 절취형성된 괘지부(b5)와, 괘지통공(b1)과, 열쇠통공(b6)과, 괘지봉조립공(b2)(b3)과, 걸림홈(b4)을 일체로 갖는다.
상기 괘지부(b5)는 상기 자물쇠 본체(b)의 상단부 중간에 크기를 갖고 절취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괘지봉조립공(b2)(b3)중 괘지봉조립공(b2)은 상기 자물쇠 본체(b)의 일단면 상측에 관통형성되고, 괘지봉조립공(b3)은 상기 괘지봉조립공(b2)과 동축으로 괘지부(b5)의 대향되는 절취면에 요부지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괘지통공(b1)은 상기 자물쇠 본체(b)의 일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고, 상기 열쇠통공(b6)은 상기 자물쇠 본체(b)의 타단면 하부에 상기 괘지통공(b1)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b4)은 상기 괘지통공(b1)의 내측 상면 양단부측에 각각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괘지봉부재(c)는 상기 괘지통공(b1)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상면부와 소정간격져서 괘지봉부(c1)가 평행하게 일체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괘지통공(b1)의 상면 양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b4)에 각각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괘지봉부재(c)를 괘지통공(b1)과 체결/해제상태시키는 탄발부재(c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열쇠부재(d)는 상기 열쇠통공(b6)에 조립되는 일단부가 소정직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열쇠부재(d)의 조립단부를 상기 열쇠통공(b6)에 끼움조립하면, 상기 괘지봉부재(c)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열쇠통공(b6)측 걸림홈(b4)에 조립되어 있는 탄발부재(c2)의 전단부가 상기 열쇠부재(d)의 조립단부 내측으로 끼움조립되면서 상방으로 벌려져 있는 탄발부재(c2)의 전단부를 하방으로 누름으로 상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걸림홈(b4)에 조립되어 있는 조립부가 하방으로 눌려지며 걸림홈(b4)과의 조립이 해제됨으로 체결상태가 해제될수 있는것이며, 체결상태가 해제된 괘지봉부재(c)를 상기 열쇠부재(d)를 밀면 그 힘에 의해 상기 괘지통공(b1)의 입구측으로 밀려나가고 상기 괘지통공(b1)의입구측에 형성된 걸림홈(b4)에 다시 탄발부재(c2)의 조립부가 체결됨으로 괘지봉부재(c)는 자물쇠 본체(b)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자물쇠의 체결상태만 해제되고, 재차 자물쇠를 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괘지봉부재(c)를 열쇠통공(b6)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입구측 걸림홈(b4)과 탄발부재(c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괘지봉부재(c)는 괘지통공(b1)에 완전히 끼움조립되고, 탄발부재(c2)가 괘지통공(b6)측 걸림홈(b4)에 조립됨으로써 자물쇠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물쇠는 열쇠부재로 탄발부재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열쇠부재를 계속밀어 괘지봉부재를 괘지통공으로부터 밀어내어야 자물쇠의 체결상태가 완전히 해제됨으로 조작이 번거롭고 작동도 원활하기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열쇠를 끼워 밀지 않고 열쇠를 열쇠구멍에 넣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탄성력에 의해 괘지봉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괘지봉이 본체에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 돌출된 괘지봉을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부에 소정크기로 절취형성되는 괘지부와, 상기 괘지부의 측면부에 동축상에 형성되는 괘지봉조립공과, 하단부측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형성되는 괘지통공과, 타측단면에 상기 괘지통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열쇠통공을 구비하는 자물쇠 본체와; 상기 괘지봉조립공 및 괘지통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괘지봉부재로 구성되는 통상의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본체는 상기 괘지통공의 열쇠통공측 단부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부재지지돌부와, 상기 괘지통공의 입구측 내측면에 괘지통공의 길이방향과 직각되게 돌출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열쇠통공의 입구 상측에 수직으로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발부재고정공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괘지봉부재는 소정크기를 갖는 판형상으로써,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자물쇠 본체의 스토퍼와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공과, 상단부와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괘지봉조립공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괘지봉부와, 상면에 갈고리형상의 걸림요부를 갖고 일단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일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수납공을 일체로 구비하며;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편으로써, 하단부에 상기 걸림돌부의 걸림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작동되는 걸림부와, 상단부에 상기 탄발부재고정공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체결부와, 상기 괘지봉부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 상방으로 눌려져 상기 걸림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중간부에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누름부를 일체로 갖는 탄발부재와;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자물쇠 본체의 탄성부재지지돌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괘지봉부재의 탄성부재수납공에 수납되어 상기 괘지봉부재가 자물쇠 본체의 괘지통공에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괘지봉부재를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돌림쇠끼움공을 측방으로 갖고 관통형성되는 열쇠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물쇠본체의 열쇠통공측 단면부에 장착되는 덮판과, 끝단 외주면에 돌림쇠를 일체로 갖고 상기 덮판의 열쇠공을 통하여 상기 열쇠통공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림쇠가 상기 탄발부재의 누름부를 상방으로 눌러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열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물쇠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자물쇠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괘지봉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괘지봉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탄발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의 덮판구조 및 덮판측에서 본 탄발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물쇠 11: 자물쇠 본체
12: 괘지통공 13: 열쇠통공
14: 탄성부재지지돌부 15: 스토퍼
16, 17: 괘지봉조립공 18: 탄발부재고정공
19: 괘지부 20: 괘지봉부재
21: 안내공 22: 괘지봉부
23: 걸림돌부 24: 탄성부재수납공
30: 탄발부재 31: 체결부
32: 누름부 33: 걸림부
34: 탄성부재 35: 열쇠부재
36: 덮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물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자물쇠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괘지봉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괘지봉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중 탄발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의 덮판구조 및 덮판측에서 본 탄발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10)는 자물쇠 본체(11)와, 괘지봉부재(20)와, 탄발부재(30)와, 탄성부재(34)와 열쇠부재(35)와, 덮판(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물쇠 본체(11)는 괘지부(19)와, 괘지봉조립공(16)(17)과, 괘지통공(12)과, 열쇠통공(13)과, 탄성부재지지돌부(14)와, 스토퍼(15)와, 탄발부재고정공(18)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괘지부(19)는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상단부에 소정크기로 절취형성되고, 상기 괘지봉조립공(16)(17)은 대향되는 괘지부(19)의 내측면에 동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괘지봉조립공(16)은 자물쇠 본체(11)의 상부 측면과까지 관통형성된다.
상기 괘지통공(12)은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하부측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형성되고, 상기 열쇠통공(13)은 자물쇠 본체(11)의 타측면에 상기 괘지통공(12)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지지돌부(14)는 상기 괘지통공(12)의 열쇠통공(13)측 단부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5)는 상기 괘지통공(12)의 입구측 내측면에 괘지통공(12)의 길이방향과 직각되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탄발부재고정공(18)은 상기 탄발부재(30)의 조립부(31)가 고정게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열쇠통공(13)의 입구 상측에 수직으로 요부지게 형성된다.
상기 괘지봉부재(20)는 소정크기를 갖는 판형상으로써, 안내공(21)과, 괘지봉부(22)와, 걸림돌부(23)와 탄성부재수납공을 일체로 갖고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괘지통공(12)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안내공(21)은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스토퍼(15)와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괘지봉부재(20)의 하단부측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괘지봉부(22)는 상기 괘지봉조립공(16)(17)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상기 괘지봉부재(20)의 상단부와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23)는 상면에 갈고리형상의 걸림요부를 갖고 상기 괘지봉부재(20)의 일단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수납공(24)은 상기 탄성부재(34)가 탄발력을 갖고 수납되도록 상기 괘지봉부재(20)의 일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된다.
상기 탄발부재(30)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편으로써, 걸림부(33)와, 체결부(31)와 탄성부(32)를 일체로 갖고, 상기 걸림부(33)가 상기 괘지봉부재(20)의 걸림돌부(23)의 걸림요부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걸림작동되도록 상기 탄발부재고정공(18)에 체결부(33)가 고정되게 끼움조립된다.
상기 걸림부(33)는 탄발부재(30)의 하단부에 상기 걸림돌부(23)의 걸림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작동되도록 원통형상을 갖도록 절곡형성되고, 상기 체결부(31)는 탄발부재고정공(18)에 고정조립가능하도록 탄발부재(3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32)는 열쇠부재(35)를 여시통공(13)에 조립하였을 때 열쇠부재(35)의 끝단과 맞닿아 괘지통공(12)의 입구쪽으로 눌려져 상기 걸림부(33)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4)는 압축스프링으로써, 상기 괘지봉부재(20)가 자물쇠 본체(11)의 괘지통공(12)에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괘지봉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탄성부재지지돌부(14)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괘지봉부재(20)의 탄성부재수납공(24)에 수납된다.
상기 덮판(36)은 돌림쇠끼움공(36b)을 측방으로 갖고 관통형성되는열쇠공(36a)을 구비하고, 상기 자물쇠본체(11)의 열쇠통공(13)측 단면부에 장착된다.
상기 열쇠부재(35)는 끝단 외주면에 돌림쇠(35a)를 일체로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10)는 잠겨진 상태에서 상기 열쇠부재(35)를 상기 덮판(36)의 열쇠공(36a)을 통하여 상기 열쇠통공(13)에 조립시킨 후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열쇠부재(35)의 돌림쇠(35a)가 회전되면서 상기 탄발부재(30)의 누름부(32)를 상방으로 누르게되고, 열쇠부재(35)의 돌림쇠(35a)에 의해 누름부(32)가 상방으로 눌리면 상기 탄발부재(30)의 걸림부(33)가 시계방향(도면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돌부(23)의 걸림요부와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탄발부재(30)의 걸림부(33)와 걸림돌부(23)의 걸림요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괘지봉부재(20)는 압축되어진 상기 탄성부재(34)의 탄발력에 의해 괘지통공(12)의 입구측으로 이동됨으로 자물쇠(10)의 잠김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괘지봉부재(20)는 안내공(21)과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스토퍼(15)에 의해 정지됨으로 괘지통공(12)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재차 자물쇠(10)를 잠그기 위해서는 괘지통공(12)으로부터 돌출되어진 괘지봉부재(20)를 괘지통공(12)내로 밀어 넣으면, 신장된 상기 탄성부재(34)는 괘지봉부재(20)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걸림돌부(23)가 탄발부재(30)의 걸림부(33)까지 도달하면 상기 걸림부(33)가 걸림돌부(23)의 걸림요부에 걸려지게됨으로 상기 탄성부재(34)가 압축되어 있더라도 괘지봉부재(20)는 탄발부재(30)의 걸림부(33)에 의해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자물쇠(10)는 간단하게 잠겨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열쇠를 끼워 밀지않고 단지 열쇠구멍에 넣는 것만으로도 탄성력에 의해 괘지봉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괘지봉이 본체에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 돌출된 괘지봉을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 상단부에 소정크기로 절취형성되는 괘지부와, 상기 괘지부의 측면부에 동축상에 형성되는 괘지봉조립공과, 하단부측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형성되는 괘지통공과, 타측단면에 상기 괘지통공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열쇠통공을 구비하는 자물쇠 본체와; 상기 괘지봉조립공 및 괘지통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괘지봉부재로 구성되는 통상의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본체(11)는 상기 괘지통공(12)의 열쇠통공(13)측 단부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탄성부재지지돌부(14)와, 상기 괘지통공(12)의 입구측 내측면에 괘지통공(12)의 길이방향과 직각되게 돌출형성되는 스토퍼(15)와, 상기 열쇠통공(13)의 입구 상측에 수직으로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발부재고정공(18)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괘지봉부재(20)는 소정크기를 갖는 판형상으로써,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스토퍼(15)와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공(21)과, 상단부와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괘지봉조립공(16)(17)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괘지봉부(22)와, 상면에 갈고리형상의 걸림요부를 갖고 일단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부(23)와, 일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는 탄성부재수납공(24)을 일체로 구비하며;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탄성편으로써, 하단부에 상기 걸림돌부(23)의 걸림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걸림작동되는 걸림부(33)와, 상단부에 상기 탄발부재고정공(18)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체결부(31)와, 상기 괘지봉부(22)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자 할때 상방으로 눌려져 상기 걸림부(33)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중간부에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누름부(32)를 일체로 갖는 탄발부재(30)와; 압축스프링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자물쇠 본체(11)의 탄성부재지지돌부(14)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괘지봉부재(20)의 탄성부재수납공(24)에 수납되어 상기 괘지봉부재(20)가 자물쇠 본체(11)의 괘지통공(12)에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괘지봉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4)와; 돌림쇠끼움공(36b)을 측방으로 갖고 관통형성되는 열쇠공(36a)을 구비하고 상기 자물쇠본체(11)의 열쇠통공(13)측 단면부에 장착되는 덮판(36)과; 끝단 외주면에 돌림쇠(35a)를 일체로 갖고 상기 덮판(36)의 열쇠공(36a)을 통하여 상기 열쇠통공(13)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림쇠(35a)가 상기 탄발부재(30)의 누름부(32)를 상방으로 눌러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열쇠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2293U KR200275222Y1 (ko) | 2002-01-24 | 2002-01-24 | 자물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2293U KR200275222Y1 (ko) | 2002-01-24 | 2002-01-24 | 자물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222Y1 true KR200275222Y1 (ko) | 2002-05-17 |
Family
ID=7307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2293U KR200275222Y1 (ko) | 2002-01-24 | 2002-01-24 | 자물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222Y1 (ko) |
-
2002
- 2002-01-24 KR KR2020020002293U patent/KR2002752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01085Y1 (ko) | 끈 고정구 | |
JP3484398B2 (ja) | プラスチック製挟持具 | |
WO2012049739A1 (ja) | カムロックバックル | |
US6367628B2 (en) | Tool holder device for hexagonal wrenches | |
US6260245B1 (en) | Clamping member for at least one support pin for belt conveyor components | |
KR910000192Y1 (ko) | 카아드 자물쇠 | |
US10786048B2 (en) | Cord lock | |
US6352290B1 (en) | Child safety lock | |
US20160354943A1 (en) | Mandolin slicer | |
EP1228721B1 (en) | Ouick-on shelf support for furniture and the like | |
KR200275222Y1 (ko) | 자물쇠 | |
US6679168B1 (en) | Portable stamp | |
KR200453382Y1 (ko) | 혁대용 버클 | |
KR960020838A (ko) | 버클장치 | |
JP2019198414A (ja) | コードストッパー | |
US6729340B2 (en) | Umbrella with switch for folding and opening umbrella automatically | |
KR100821533B1 (ko) | 이중 창문 잠금장치 | |
JPH10295484A (ja) | ヘッドレストステー支持部構造 | |
JP5355806B1 (ja) | 紐係止具 | |
KR200194167Y1 (ko) | 도어 잠금장치의 연결구 | |
JPH11325013A (ja) | ヒンジ兼用ロック具 | |
KR200327772Y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체결구조 | |
JP7279094B2 (ja) | ラッチ装置 | |
KR200213070Y1 (ko) | 청소걸레 고정구 | |
JP2002120483A (ja) | バインダーの綴じ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