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166Y1 - 변기설치용 링 - Google Patents
변기설치용 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2166Y1 KR200262166Y1 KR2020010027027U KR20010027027U KR200262166Y1 KR 200262166 Y1 KR200262166 Y1 KR 200262166Y1 KR 2020010027027 U KR2020010027027 U KR 2020010027027U KR 20010027027 U KR20010027027 U KR 20010027027U KR 200262166 Y1 KR200262166 Y1 KR 2002621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seat
- toilet
- ground
- ring
- installa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에 설치되는 좌변기, 소변기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면과 설치물의 사이에 탄성재질의 링을 설치함으로서 설치작업이 간단하도록하며 충격등에 의해 충격에 약한 상기 좌변기 혹은 소변기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변기설치용 링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좌변기, 양변기 혹은 소변기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대상물과 지면과의 접촉부에 상응하는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에는 연속되는 홈을 사이에 두고 두개의 립(110)이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점차 두께가 넓게 이루어지고 최하부면에는 상부로 함몰되어 지면과의 접촉시 흡착기능을 하는 흡착부(120)로 구성함으로서, 종래의 마감방법이었던 실리콘이나 백색시멘트를 사용함에 따른 조기 손상 및 충격에 의한 변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설치용 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장실이나 욕실용 변기를 설치하는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대상물과 지면과의 접합부에 탄성재질의 링을 설치함으로서 마감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중이나 설치중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설치대상물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변기설치용 링에 관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설치함에 있어서의 편리함 뿐 아니라, 유지.부수의 측면에서도 우수한 특징을 가지게 되며 기존의 설치되어있는 변기에도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욕실에 설치되는 변기뿐 아니라 욕조등에 대한 지면과의 마감처리작업에는 실리콘이나 백색시멘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첨부되는 도 1은 이에 대한 설치예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지면상에 변기(1)를 위치시키고 상기 변기(1)의 하면과 지면간에는 접착용시멘트등을 바른후 일차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변기를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변기(1)와 지면과의 경계부에는 여전히 미세한 틈이 발생하게되며, 이 상태로는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경계부에 대한 마감처리작업이 필요하게되며 그 방법으로 실리콘(2)이나 백색시멘트(2)를 바르게된다.
상기 실리콘이나 백색시멘트(2)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지만 지면과 변기와의 색상을 고려하여 설치함으로서 시각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필요성도 있다. 상기 실리콘이나 백색시멘트(2)는 설치후 어느 정도의 시간과 잦은 사용에 의해 그 부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게되며 이로인해 점차 크랙(3)이 발생하게되고 결국에는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떨어져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상 물과 접촉되고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된다는 특성상 상기 백색시멘트나 실리콘(2)은 쉽게 이물질이 끼게되고 변색이 발생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청소를 하게되면 접착부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마감처리방법은 설치된 후에도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좌변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변기로 전달되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고 지면과 변기(1)는 접착용시멘트와 직접 맞닿아 있음으로 인해 충격이 전혀 흡수되지 않음으로서 변기(1)에 크랙(3)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크랙발생이 더욱 진전되면 물이 누수되고 최종적으로는 파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변기를 설치함에 있어서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함께 사용시에 발생되는 변기의 파손문제 및 미관적인 측면도 고려될 수 있는 변기설치용 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라 변기가 설치된 예시도.
도 2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과 좌변기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변기설치용 링의 평면도(a), 저면도(b) 및 단면도(c).
도 4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해 좌변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도 5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의 사시도 및 설치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변기설치용 링 110 : 립
115 : 내측립 115a: 내측사이드면
116 : 외측립 116a: 외측사이드면
120 : 흡착부 130 : 보조판
135 : 고정못 200 : 좌변기
300 : 소변기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좌변기, 양변기 혹은 소변기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대상물과 지면과의 접촉부에 상응하는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에는 연속되는 홈을 사이에 두고 두개의 립이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점차 두께가 넓게 이루어지고 최하부면에는 상부로 함몰되어 지면과의 접촉시 흡착기능을 하는 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설치대상물의 설치작업을 용이토록함과 아울러 파손을 방지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변기설치용 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변기설치용 링은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시공이 이루어진 후, 지속적인 사용에도 변기자체는 상기 변기설치용 링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되므로 변기에 크랙이 생기는 등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되고 종래의 실리콘이나 백색시멘트에 있어서의 문제점이었던 변색 및 깨어짐등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로부터는 본 고안에 의한 변기설치용 링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도 2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과 좌변기에 대한 분리사시도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좌변기(200)의 하부 형상은 타원형을 이루게되며 지면상에 변기설치용 링(100)을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 좌변기를 설치하게된다.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의 하부 즉, 지면과 접촉되는 곳에는 오목하게 연속적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며 편평한 지면에 위치시키고 상당한 중량의 변기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변기설치용 링은 압착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변기설치용 링(100)의 상부에는 분리된 2개의 립(110)이 형성되며 외측에 형성되는 높은 립은 변기의 외측면과 긴밀하게 접촉을 이루게됨으로써 물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고, 내측의 낮은 립은 상기 외측립보다 두께가 얇고 탄성이 높아 변기가 올려져 설치되면 상기 내측립이 굽어지면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하중을 흡수하게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부터는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는 좌변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변기설치용 링을 적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변기설치용 링의 평면도(a)와 저면도(b)및 상기 에이(a)에 있어서의 디디(D-D)선 단면도(c)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탄성을 유지하게 되며, 좌변기(200)의 하부측 외곽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되고 바람직하게는 좌변기보다는 다소 작게 제작하여 상기 좌변기를 설치시 타이트하게 외측립(116)이 좌변기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3의 씨이(c)에 나타낸 변기설치용 링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그 두께가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부에는 2개의 립(110)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지면과 압착되도록 기능하는 흡착부(120)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2개의 립(110)을 외측립(116)과 내측립(115)으로 칭하기로 하며 상부면에 형성되는 함몰홈에 의해 상기 외측립과 내측립은 분리되어져 있다. 먼저, 상기 외측립(116)은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이루게되며 상기 함몰홈과 이어지는 면은 수직에 가까운 경사면을 이루게되고 외측사이드면(116a)과 이어지는 부위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게되어 좌변기에 설치될 시 상기 외측립(116)이 상기 좌변기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된다.
내측립(115)의 경우는 상기 외측립(11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그 두께도 얇게 제작된다. 상기 내측립(115)도 그 단부는 뾰족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함몰홈과 이어지는 부위는 수직에 가깝게 구성되고 내측사이드면(115a)과 이어지는 부위는 외측으로 경사진 면을 이루게된다. 좌변기(200)가 설치될 시 상기 내측립(115)에는 상기 좌변기(200)의 하면부가 위치되며 그 하중에 의해 상기 내측립(115)은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좌변기의 하중을 지지하게된다. 즉, 상기 내측립(115)은 충분한 탄성을 유지하게됨으로써 상기 좌변기에 발생되는 충격 및 사용에 따른 가변적인 하중으로 인해 상기 좌변기의 손상을 방지하게된다.
이어서는,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의 하면부에 형성되는 일련의 흡착부(12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흡착부(120)는 변기설치용 링의 하면 중간부에 연속적으로 상부로 함몰되어져 있으며,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설치되고 좌변기(200)가 상부에 얹혀짐으로서 그 하중에 의해 지면에 상기 흡착부(120)가 압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기능하며 이와 동시에 쿠션기능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은 타원형의 밴드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는 빈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부(120)는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되나, 이것만으로는 완전하게 유동이 억제되는것이 아닌바, 내측사이드면(115a)의 전후방측 저면에 고정못(135)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보조판(130)이 구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으로 좌변기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 4는 좌변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먼저 배수구(250)가 형성되어있는 지면상에 설치하고자 하는 좌변기(200)에 맞는 변기설치용 링(100)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보다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상기 보조판(130)에 다수의 고정못(135)으로 지면과 견고히 부착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의 상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좌변기를 위치시키고 상기 변기설치용 링의 외측립(116)이 상기 좌변기(200)의 하측부 외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삽입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좌변기(200)의 하면중 일부는 상기 내측립(115)과 닿으면서 설치된다. 상기 좌변기가 변기설치용 링(100)의 상부에 얹혀지게되면 상기 좌변기(2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변기설치용 링의 하부는 지면과 압착되며, 외측립(116)은 좌변기의 외측면을 타이트하게 감싸게 되고 내측립(115)은 부분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좌변기를 지지하게된다. 즉, 상기 내측립(115)은 좌변기에 발생되는 하중과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상기에 언급한 충격흡수 기능은 내측립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변기설치용 링 자체가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바, 설치대상물인 상기 좌변기와지면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충격흡수기능을 하게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좌변기에 상기 변기설치용 링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어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소변기를 시공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이 소변기(300)에 적용됨에 있어서도 그 단면형상은 동일하게 되며, 다만 설치위치와 소변기의 형상에 따라 상기 변기설치용 링의 전체적인 형태만 달라진다.
첨부되는 도5의 에이(a)는 상기 소변기에 설치되는 변기설치용 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비이(b)는 소변기가 설치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소변기(300)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벽면에 소변기의 배면이 접하여 설치되며, 따라서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의 형상을 일체를 이루는 밴드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배면부를 생략하고 개구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게된다.
상기 도5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소변기의 배면에 상응하는 부위를 개구시킨 형태로 설치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변기(300)의 하부형상과 동일하게 상기 변기설치용 링(100')을 형성시키게 되며 상부에는 2개의 립(110)이 구비되고 하부면에는 흡착부(120)가 역시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100')에 있어서는 일측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설치 후 양측면으로 유동될 가능성이 높은 바, 변기설치용 링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내측립(115) 부위에 상기 보조판(130)을 형성시키고 고정못으로 지면과 고정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의 시공방법은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소변기가 위치될 지역에 상기 변기설치용 링을 지면에 위치시키고 양측면에 형성되는 보조판에 고정못을 박아 지면과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소변기를 상기 변기설치용 링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하부측을 상기 변기설치용 링의 상부에 형성되는 2개의 립에 끼워지도록 하면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설치용 링은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재래식 좌변기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게되고 또한 상기 립의 갯수나 흡착부의 형상 및 갯수도 적절히 조절가능함을 밝혀둔다. 다시말해서, 상기 립의 개수 및 흡착부의 단순한 구조변경등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변기등을 설치할 시에 작업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설치시 부주위로 인한 변기의 파손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후 지속적인 사용시에도 변기와 지면은 탄성질의 변기설치용 링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서 충격이 흡수되어지므로 변기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조기손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게된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변기설치용 링은 고무재질도 이루어지므로 깨어질 염려가 없게되고 사용상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하여도 간단하게 문질러 청소함으로서 원래의 색을 유지케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측면에서도 편리하다는 우수한 효과가있게된다.
이에 더해서, 종래의 실리콘이나 백색시멘트등으로서 마감처리된 변기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으로 실제적인 적용가능성도 높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 좌변기, 양변기 혹은 소변기등을 설치함에 있어서,설치대상물과 지면과의 접촉부에 상응하는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에는 연속되는 홈을 사이에 두고 두개의 립(110)이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점차 두께가 넓게 이루어지고 최하부면에는 상부로 함몰되어 지면과의 접촉시 흡착기능을 하는 흡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설치대상물의 설치작업을 용이토록함과 아울러 파손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설치용 링(10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립(110)은외측사이드면(116a)과 연결되며 내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으로 뾰족한 단부를 이루게되는 외측립(116)과;내측사이드면(115a)과 연결되며 상기 외측립(116)보다는 낮고 얇은 두께를 이루게되는 내측립(11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설치용 링(100).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사이드면(115a)에는,전방측과 후방측에 지면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못(135)을 설치하는 보조판(1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설치용 링(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7027U KR200262166Y1 (ko) | 2001-09-04 | 2001-09-04 | 변기설치용 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7027U KR200262166Y1 (ko) | 2001-09-04 | 2001-09-04 | 변기설치용 링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3314A Division KR20010090054A (ko) | 2001-08-31 | 2001-08-31 | 변기설치용 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2166Y1 true KR200262166Y1 (ko) | 2002-03-18 |
Family
ID=7310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7027U KR200262166Y1 (ko) | 2001-09-04 | 2001-09-04 | 변기설치용 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216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1759B1 (ko) * | 2002-03-11 | 2005-05-27 |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 양변기 설치좌대 |
KR100653202B1 (ko) | 2005-06-08 | 2006-12-01 | 장재혁 | 양변기 시공방법 및 양변기 바닥링 |
-
2001
- 2001-09-04 KR KR2020010027027U patent/KR2002621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1759B1 (ko) * | 2002-03-11 | 2005-05-27 |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 양변기 설치좌대 |
KR100653202B1 (ko) | 2005-06-08 | 2006-12-01 | 장재혁 | 양변기 시공방법 및 양변기 바닥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5492B2 (en) | Domestic appliance with friction foot and method of forming | |
KR200262166Y1 (ko) | 변기설치용 링 | |
KR20010090054A (ko) | 변기설치용 링 | |
KR200440496Y1 (ko) | 조립식 바닥 판넬 연결구 | |
KR100491759B1 (ko) | 양변기 설치좌대 | |
KR100465195B1 (ko) | 화변기 고정틀 | |
CN213417991U (zh) | 一种壁挂马桶 | |
KR20190106285A (ko) | 소변기용 칸막이 | |
KR200386318Y1 (ko) | 초음파 세척장치를 갖는 씽크 | |
JP4308973B2 (ja) | 洗面化粧台 | |
USD515303S1 (en) | Portion of a shoe upper | |
CN215802081U (zh) | 一种快拆可升降智能马桶固定底座 | |
KR100999859B1 (ko) | 양변기용 바닥부재 | |
KR20100100095A (ko) | 진공 흡착장치 | |
JP3940522B2 (ja) | 側溝の防音構造 | |
JP2002070113A (ja) | 洋式便器用の小便飛散防止装置 | |
KR100505951B1 (ko) | 내구성이 향상된 당구대 | |
KR200403303Y1 (ko) | 초음파 세척기 | |
KR200301123Y1 (ko) | 수세변기 배수소음 완화장치 | |
KR200375831Y1 (ko) | 좌변기의 변기커버 | |
KR200291489Y1 (ko) | 초음파 진동자가 부설된 씽크보울 | |
JP6952553B2 (ja) | 便器 | |
KR200233360Y1 (ko) | 싱크대용 식기세척기 | |
KR960005417Y1 (ko) | 배수트랩설치 개구부의 받침판구조 | |
JP2003278210A (ja) | 便器洗浄用タン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