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60676Y1 -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 Google Patents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76Y1
KR200260676Y1 KR2020010030715U KR20010030715U KR200260676Y1 KR 200260676 Y1 KR200260676 Y1 KR 200260676Y1 KR 2020010030715 U KR2020010030715 U KR 2020010030715U KR 20010030715 U KR20010030715 U KR 20010030715U KR 200260676 Y1 KR200260676 Y1 KR 200260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able
mold
mold vibration
extraction
ji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건
Original Assignee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7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부 어셈블리 교체작업시 심출작업이 용이하도록 진동테이블의 상단면과 대응되는 박판 형태를 갖는 심출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대략 'Ⅰ'형상의 박판 구조를 가지며, 중앙에 몰드 진동테이블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각 테두리에는 볼트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 상부 어셈블리의 교체작업시 심출용 지그를 이용하여 진동테이블의 상부면과 상부 어셈블리의 변형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고, 상부 어셈블리와 진동테이블의 상부면 심출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변형 및 이상 유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 세팅을 위한 심출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a jig for setting of mold table}
본 고안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부 어셈블리의 교체작업시 심출작업에 요구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오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 제조시 이용되는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 몰드(mould)에 구성된 수냉동벽(water-cooled wall)에 주강(cast steel)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조 몰드(casting mould)에 상하 진동을 주기 위한 진동테이블(oscillating table)이 사용된다.
종래 몰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 설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11)와, 하부 베이스(11)에 안착 설치되고 냉각수 통로(13)가 배관되며 모터(17)와 편심부(19)에 의해 상,하 진동되는 진동테이블(10)과, 진동테이블(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턴디쉬(turndish ; 미도시)가 결합되는 상부 어셈블리(1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몰드 진동테이블(10)은 모터(17)와 편심부(19)에 의해 상,하 진동되어 몰드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몰드 진동테이블은 통상적으로 설치 및 제작가공 오차가 ±1㎜내의 범위로 정밀 설비로서, 변형 발생시 제품의 불량, 용강의 주입불량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강 연주설비에서 용강이 유출되거나, 테이블 변형이 발생될 경우, 몰드 진동테이블로부터 상부 어셈블리를 분해한 후에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 진동테이블의 상부 어셈블리 교체작업시 그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부에 임시로 지지물을 설치한 후에 줄자와 별도의 공기구를 이용하여 센터링을 위한 심출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교체작업시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단면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들을 일치하도록 센터링하고 다시 재 세팅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큰 오차가 발생하여 조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부 어셈블리 교체작업시 변형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출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몰드 진동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몰드 진동테이블 20 : 심출용 지그
22 : 축공 25 : 냉각수 구멍
27 : 브라켓 27a : 통공
28 : 고정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상단면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중앙에 몰드 진동테이블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과 적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몰드 진동테이블의 스톱퍼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각 테두리에 볼트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함과 아울러 도 1을 부분 참조하면,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중앙에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축공(22)이 형성되고, 각 테두리에는 볼트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28)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심출용 지그(20)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Ⅰ'형상의 박판으로 구성되고, 몰드 진동테이블(10)의 냉각수 통로(13)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구멍(25)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 중앙에는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단면에 형성된 스톱퍼(미도시)에 대응되는 결합공(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7'는 축공(22)으로부터 적정 거리 이격된 연장선상의 양측에 수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기중기와의 운반을 위한 와이어부재와 연결되는 통공(27a)이 마련된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 어셈블리(15) 교체작업시 먼저, 본 고안의 심출용 지그(20)를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면에 일치하도록 안착시켜, 축공(22)과 각각의 냉각수 구멍(25)들이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면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면,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 변형상태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심출용 지그(20)를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면에 운반하는 작업은 브라켓(27)의 통공(27a)에 와이어등의 연결부재를 연결한 후에 기중기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물없이 먼저 심출용 지그(20)를 이용하여 심출작업을 수행한 후에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어서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부 어셈블리(15)의 변형검사후 몰드 진동테이블(10)에 상부 어셈블리(15)를 안착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때,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스톱퍼(미도시)와 중심축(14)등이 심출용 지그(20)의 결합공(24)과 축공(22)에 각각 끼움 결합되면서 이상 유무의 판단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재 셋팅을 위한 심출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이 가지는 정신 및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심출용 지그는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단면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결합공(24) 및 브라켓(27)등의 위치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작업이 용이하도록 진동테이블의 상단면과 대응되는 박판 형태의 심출용 지그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몰드 진동테이블의 변형 및 이상 유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 세팅을 위한 심출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상단면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중앙에 몰드 진동테이블(10)의 중심축과 대응되는 축공(22)이 형성되고,
    각 양측 테두리에 상기 몰드 진동테이블(10)의 냉각수 통로(13)와 대응되는 냉각수 구멍(25)이 복수개 형성되고,
    각 양측 테두리 단부에 볼트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28)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22)과 적정 거리 이격된 양측에 와이어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통공(27a)을 갖는 브라켓(27)이 각각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KR2020010030715U 2001-10-09 2001-10-09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Expired - Lifetime KR200260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15U KR200260676Y1 (ko) 2001-10-09 2001-10-09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15U KR200260676Y1 (ko) 2001-10-09 2001-10-09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76Y1 true KR200260676Y1 (ko) 2002-01-16

Family

ID=7308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715U Expired - Lifetime KR200260676Y1 (ko) 2001-10-09 2001-10-09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0676Y1 (ko) 몰드 진동테이블의 심출용 지그
CN206784912U (zh) 一种建筑模板及建筑模具
JP2556197Y2 (ja) 射出成形金型の自動調芯機構
CN209902194U (zh) 一种设置有砂型铸造冷铁的模具
CN111136224B (zh) 砂芯在金属模具的固定方法
CN221715614U (zh) 差压铸造模架组件和模具结构
CN114226647A (zh) 一种铸造装置及砂箱
CN113118397A (zh) 一种立式连铸机轻压模块的整体式底座及其调整方法
CN104646636A (zh) 一种分型铸造用防跑火造型装置及其造型方法
JP2987906B2 (ja) 連続鋳造機の組み立てモールド
CN220029392U (zh) 一种用于叉车配重铸件加工的定位工装
CN114535508A (zh) 一种铸造用双浇口定位装置
CN216461622U (zh) 铸铁件模具双面安装板
CN205929166U (zh) 注塑机快速装模辅助装置
JP2003136158A (ja) プレス機のパンチ位置決め機構
CN210498318U (zh) 一种新型浇注模具
CN114211703B (zh) 带骨架衬套无边模具
CN212398117U (zh) 一种连铸中间包水口与结晶器对中标尺板
CN221475354U (zh) 一种塑料盖板高精度打孔定位工装
CN217167222U (zh) 焊接工装
CN208557292U (zh) 一种差速器止动工装
CN118935129A (zh) 一种三通管以旧换新的制作方法
JPS5941077Y2 (ja) 射出成形機の金型案内及び位置決め装置
KR100384180B1 (ko) 실린더 블록 금형의 코어 정렬장치
JPS63147835A (ja) 金型の芯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0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0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10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