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55Y1 - 휴대용 탁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3555Y1 KR200243555Y1 KR2020010010400U KR20010010400U KR200243555Y1 KR 200243555 Y1 KR200243555 Y1 KR 200243555Y1 KR 2020010010400 U KR2020010010400 U KR 2020010010400U KR 20010010400 U KR20010010400 U KR 20010010400U KR 200243555 Y1 KR200243555 Y1 KR 2002435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plate
- support
- leg
- plate membe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탁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탁자의 상판을 말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자는 상판이 두께가 작으며 강성이 적은 상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판을 말수 있으며, 상판을 말았을 때 부피가 적고 탁자의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판의 밑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지지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상판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판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상판이 쳐지거나 무너지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탁자의 다리는 고정각부와 상기 고정각부에 대해 입출 가능한 변형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서, 야외에서 사용될 때 지면이 고르지 않아도 상기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평평한 상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탁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탁자의 상판을 말거나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음식을 먹을 때, 바닥에 직접 음식을 놓거나 신문지나 야외용 자리를 깔고 음식을 놓게 되는데 이때 야외의 바닥에 놓여 있는 음식물에는 흙이나 먼지 혹은 각종벌레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하고 빈번하게 발생하여 위생에 좋지 않으며 심지어는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지면이 고르지 않거나 경사면에 놓인 그릇에 담긴 음식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업질러지며, 바닥의 온도가 그대로 음식물에 전도되어 음식이 빨리 식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탁자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 때문에 야외에서 식사를 할 때는 탁자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탁자가 국내 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1996-0007165)에 게재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접철 탁자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쪽판(1, 1')의 양측과 갓쪽판(1a, 1a') 내측에는 구멍(3a')을 가진 힌지축(2, 2')과 토막형 관체(3,3')를 일정간격으로 각각 돌출성형하고 상기 중간부에 나사축(6)으로 고정케 된 연결힌지(4,4')를 돌출 성형하여 상기 나사축(6)으로 조립고정토록 하였다. 그리고, 중간의 쪽판(1,1')과 갓쪽판(1a,1a')간의 연결조립은 쪽판(1,1')의 힌지축(2,2')이 갓쪽판(1a)의 관체(3,3')의 구멍(3a)의 일단에 삽입 연결되어 상판(10)을 구성시키며, 관체(3), 구멍(3a) 및 힌지축(2,2')의 구멍(3a)의 타단에 고정핀이 끼워져 조립된다. 또한, 상기 상판(10) 저면 모서리부에는 공지의 접철다리(8)를 설치하여 탁자를 접을 때 접철다리를 접어 넣고 탁자 사용시는 상판(10)을 펼치고 접철다리(8)를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2는 종래에 휴대용 접철 탁자의 말아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구성의 탁자에 따르면 여러개의 단위 쪽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판을 형성하게 되는데, 각각의 단위 쪽판에 힌지 결합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제작이 복잡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에 제시된 탁자에 따르면 힌지 결합된 단위 쪽판을 말아접게되면, 말려진 쪽판은 이웃하는 쪽판이 서로 밀착되면서 말려지는 것이 아니어서 여전히 부피가 크고, 쪽판이 무거워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말아서 보관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한 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판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판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탁자의 다리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으로 탁자를 경사진 곳에서 사용하더라도 수평한 상판을 가질 수 있는 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접철탁자의 말아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자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탁자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사용에 따른 분해 조립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자의 말아접은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탁자 110 : 상판부재
120 : 보강부재 200 : 프레임
210 : 지지부재 220 : 수납부
230 : 체결홈 240 : 마개
250 : 고정돌기 300 : 다리
310 : 고정각부 320 : 지지각부
330 : 연결부재 340, 350 : 체결공
360 : 접철부 370 : 고정부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자는 사용시 테이블면을 형성하며, 비사용시 말아서 보관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대향측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탁자는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부피를 작게 하기 위하여 다리를 접어서 보관하며 특별히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한 탁자는 휴대나 보관시 탁자의 부피와 무게가 작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탁자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상판부재로 보관시에 일측의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상판부재를 말아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탁자의 부피와 무게가 작아져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탁자 상판으로 사용되는 상판부재는 잘 말려질 수 있는 두께가 얇은 매트나 섬유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시 테이블면을 형성하며, 비사용시 말아서 보관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대향측부를 지지하며, 대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시켜 양측단부를 체결홈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판부재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판부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한 쌍의 대향하는 지지프레임의 체결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판부재를 지지하므로 상판을 형성하는 상판부재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지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부재나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지프레임의 무게가 가벼워져 탁자의 휴대가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판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는 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하중이 테이블 면에 가해질 때 상기 상판부재가 처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자에서, 상기 다리는 지지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각부와 하면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각부 및 상기 고정각부와 지지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각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면이 고르지 않는 야외에서 상기 탁자를 사용할 때 상기 다리의 길이를 각각 조절하여 지면의 요철이나 경사에도 불구하고 평평한 테이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탁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탁자(100)는 상판으로 상판부재(110)가 사용되며, 상기 상판부재(110)를 말아서 보관하므로 탁자의 보관 부피를 극소화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부재는 말렸을 때 부피가 크지 않도록 섬유물이나 얇은 매트가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탁자(100)의 상판으로 사용되는 상판부재(110)는 비사용시 탁자가 말아지기 위해서, 일반적인 탁자의 상판이 가지는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큰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상판부재(110)가 처지거나 상판을 형성하지 못하고 탁자가 무너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판부재(110)에 강성을 부여하여 큰 하중이 가해져도 쳐지거나 무너지지 않게 하면서 상판부재(110)가 말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부재(110)의 내부에 강성을 지닌 다수개의 보강부재(120)를 삽입하되 상기 상판부재(110)가 말아질 수 있도록, 삽입되는 보강부재(120)의 길이 방향과 상기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은 평행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보강부재(120)는 상판부재(110) 내부에 삽입할 수도 있으나, 상기 상판부재(110) 저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상판부재(11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판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열로 구비된 고리에 상기 보강부재(120)를 삽입하여, 보강부재(120)가 상판을 가로지르게 하여 상판부재(110)에 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재(110)의 대향측부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상판부재(110)가 상판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양측에는 다리(300)가 설치되어 상기 탁자(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다리(300)는 접철부(36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탁자(100)를 보관할 때는 탁자(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다리(300)를 접어서 보관한다. 상기 접철부(360)는 통상의 상다리의 접철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정편의 동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다리가 지지되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이때 상기 다리(300)의 접철되는 방향은 프레임(200)과 평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접철된 다리(300)와 일측의 프레임(200)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상판부재(110)를 말아서 보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탁자(100)를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면이 평평한 곳을 찾아야 하는데, 야외에서 이러한 지면을 찾는 것은 어려울 때가 많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면의 경사나 지면에 형성된 요철에 상관없이 평평한 상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탁자(100) 다리(300)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다리(300)는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각부(310)와 상기 다리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지지각부(320) 및 연결부재(3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각부(310)의 일단은 상기 지지각부(320)가 내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각부(320)에 상기 고정각부(310)가 내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입되는 정도에 따라 다리(300)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고안의 탁자는 상판이 평평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다리가(300) 적정한 높이가 되도록 지지각부(320)를 고정각부(310)에 내입시키거나 반대로 상기 고정각부(310)가 지지각부(320)에 내입시킨다. 이러한 내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각부(310)와 지지각부(320)에는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330)에 의해 내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330)로는 볼트나 너트 및 핀(pin)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로 볼트가 사용될 경우 상기 고정각부에 마련된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340)에 볼트를 회전 삽입하므로 볼트의 일단이 지지각부(320)에 압착되어마찰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으며, 무거운 하중을 견디기 위해 좀더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요하는 탁자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각부(310)에 하단과 지지각부(320)의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340, 350)을 각각 구비하고 적절한 다리의 높이가 되도록 상기 체결공(340, 350)을 일치시킨 후 볼트나 핀등을 상기 체결공에 관통시켜 다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탁자(10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상판부재(110)의 처짐을 방지하면서도, 휴대나 보관시 탁자(100)의 부피를 크게 하지 않을 수 있는 지지부재(210)가 상판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도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사용에 따른 분해 조립도로서, 상기 지지부재(210)가 프레임(200)에 체결되어 상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판으로 사용되는 상판부재(110)에 상기 지지부재(210)가 밀착되기 위하여, 상기 상판부재는 양측단의 두께가 얇도록 양측 하단이 단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10)의 양단이 직접 지지프레임(200)의 체결홈(230)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으나, 양단에 고정돌기(250)가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250)가 상기 프레임(200)의 체결홈(230)에 삽입 고정되므로 상판인 상판부재를 지지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부재(2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50)의 길이는 대향하는 지지프레임(200) 사이의 길이보다 조금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부재(2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50)를 상기 체결홈(230)에 삽입할 때는 일측의 프레임(200)에 대향하게 위치한 프레임(200)의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200) 간격을 넓힌 후 삽입하면 된다. 또한 휴대용 탁자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작용하는 외력이 다리(300)에 발생시키는 모멘트를 지지하는 고정부재(3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370)는 지지부재(210)와 유사한 형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다리(300)에 체결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7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이 체결공(34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에 볼트가 체결되어 다리(30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지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체결공(340)은 다리(300)의 길이 조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370)의 체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쌍의 프레임(200)은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210)가 삽입되기 위한 수납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10)는 프레임(200)의 수납부(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부재(110)와 함께 말려지므로 탁자(100)의 보관시 부피가 증가하지 않으며 프레임의 무게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탁자가 가벼워지므로 더욱 휴대가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200)의 직경은 상기 지지부재(2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도록 정도로 큰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수납부(220)는 상기 프레임(200) 일단이 개방된 중공의 부재의 내부 공간이나, 상기 프레임(200)의 일측에 지지부재(210)가 삽입되기 위한 골이 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220)에 삽입된 지지부재(210)는 상기 탁자(100)의 운반시에 상기 수납부(2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일단을 막는 마개(2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240)는 탄성체로 별다른 체결 수단 없이 상기 프레임(200)의 일단을 막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개(240)의 일단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지지프레임(200)의 개구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견고하게 막아 상기 지지부재(210)가 수납부(220)에서 안정적인 보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탁자의 보관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을 중심축으로 상판부재(110)가 말려 있으므로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용 주머니에 넣어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자는 상판이 두께가 작으며 강성이 적은 상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판을 말수 있으며, 상판을 말았을 때 부피가 적고 탁자의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판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보강부재와 상판의 밑면에서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상판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판에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상판이 쳐지거나 무너지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탁자의 다리는 고정각부와 상기 고정각부에 대해 입출 가능한 변형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서, 야외에서 사용될 때 지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도 상기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평평한 상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 사용시 테이블면을 형성하며, 비사용시 말아서 보관하는 상판부재;상기 상판부재의 대향측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탁자.
- 사용시 테이블면을 형성하며, 비사용시 말아서 보관하는 상판부재;상기 상판부재의 대향측부를 지지하며, 대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시켜 양측단부를 체결홈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탁자.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는 지지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탁자.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상판부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탁자.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다리는 지지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각부와 하면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각부와 상기 고정각부와 지지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탁자.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다리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400U KR200243555Y1 (ko) | 2001-04-13 | 2001-04-13 | 휴대용 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400U KR200243555Y1 (ko) | 2001-04-13 | 2001-04-13 | 휴대용 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3555Y1 true KR200243555Y1 (ko) | 2001-10-11 |
Family
ID=7309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0400U KR200243555Y1 (ko) | 2001-04-13 | 2001-04-13 | 휴대용 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3555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7502A2 (ko) * | 2008-10-20 | 2010-04-29 | Kim Mi-Kwang | 조립식 다용도 평상 |
KR100967053B1 (ko) * | 2007-12-27 | 2010-06-29 | 주식회사 포스코 | 레이저 가공장치 |
KR20160072596A (ko) | 2014-12-15 | 2016-06-23 | 구명화 |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
KR20160104202A (ko) | 2015-02-26 | 2016-09-05 | 구명화 |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
KR20160104201A (ko) | 2015-02-26 | 2016-09-05 | 구명화 | 높이 조절 테이블 |
KR20170000471A (ko) | 2015-06-24 | 2017-01-03 | 구명화 |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
CN115378858A (zh) * | 2022-08-18 | 2022-11-22 | 重庆大学 | 一种通信设备的多环境信号测试器 |
-
2001
- 2001-04-13 KR KR2020010010400U patent/KR20024355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053B1 (ko) * | 2007-12-27 | 2010-06-29 | 주식회사 포스코 | 레이저 가공장치 |
WO2010047502A2 (ko) * | 2008-10-20 | 2010-04-29 | Kim Mi-Kwang | 조립식 다용도 평상 |
WO2010047502A3 (ko) * | 2008-10-20 | 2010-08-19 | Kim Mi-Kwang | 조립식 다용도 평상 |
KR20160072596A (ko) | 2014-12-15 | 2016-06-23 | 구명화 | 수납선반을 구비하는 테이블 높낮이 조절형 이동 테이블 |
KR20160104202A (ko) | 2015-02-26 | 2016-09-05 | 구명화 |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
KR20160104201A (ko) | 2015-02-26 | 2016-09-05 | 구명화 | 높이 조절 테이블 |
KR20170000471A (ko) | 2015-06-24 | 2017-01-03 | 구명화 | 테이블 높이조절장치 |
CN115378858A (zh) * | 2022-08-18 | 2022-11-22 | 重庆大学 | 一种通信设备的多环境信号测试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10888A (en) | Portable tent--cot | |
US6179374B1 (en) | Collapsible reclining beach chair | |
RU2389423C2 (ru) | Детская кроватка | |
US5564140A (en) | 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a mattress | |
US5421273A (en) | Collapsible table | |
US10806246B1 (en) | Retainers and foldable table having same | |
US6283314B1 (en) | Foldable rack | |
US20040020484A1 (en) | Convertible grill and fireplace | |
EP0123687A1 (en) | Adjustable enclosure | |
US4135691A (en) | Folding leg assembly | |
CA2566774A1 (en) | T-shaped side rails for bed frame | |
KR200243555Y1 (ko) | 휴대용 탁자 | |
US6513178B1 (en) | Cot assembly | |
US20040108291A1 (en) | Bedding storage device | |
US20040144413A1 (en) | Collapsible canopy and framework therefor | |
US6575422B1 (en) | Foldable frame | |
US6865985B2 (en) | Foldable panel supporter | |
CA2276827C (en) | Banquet table | |
KR102476491B1 (ko) | 낚시용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 |
KR200296016Y1 (ko) | 절첩식 간이 테이블 | |
KR200361198Y1 (ko) | 야외용 절첩 침대 | |
KR200221902Y1 (ko) | 파라솔지지장치 | |
KR100586923B1 (ko) | 가구용 절첩식 지지 다리 | |
KR920004723B1 (ko) | 빨래걸이 장대 받침장치 | |
AU2010256073A1 (en) |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