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782Y1 - 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2782Y1 KR200242782Y1 KR2020010007398U KR20010007398U KR200242782Y1 KR 200242782 Y1 KR200242782 Y1 KR 200242782Y1 KR 2020010007398 U KR2020010007398 U KR 2020010007398U KR 20010007398 U KR20010007398 U KR 20010007398U KR 200242782 Y1 KR200242782 Y1 KR 20024278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sleeve
- reinforcing
- coupl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 및 건축공사시 건축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의 상호 결속력을 높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한쌍의 노브(3)과 슬리브(8) 및 커플러(10)로 구성되며,
상기 노브(3)의 내측면상(2)에는 고정홈(7)을 형성하여 한쌍의 노브(3)로 철근(5)의 외측면에 형성된 마디부분(15)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구조로서 좌,우측노브(3)을 구성한다.
상기 슬리브(8)의 내측에는 경사면(9)이 형성되는 중공체의 구조로서, 외주면(14)에는 나사부(4)를 형성하여 커플러(10)를 체결하는 구조로이며, 상기 커플러(10)는 슬리브(8)의 외주면(14)에 형성되는 나사부(4)에 체결되어 좌,우측슬리브(8)을 상호연결고정하는 것이다. 특히, 철근의 방향성과 직진성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 철근연결구로서, 양측철근의 절단면이 상호접촉상태에서 조립되어 압축 및 인장하중이 우수하며 외측면에 형성된 요철면은 콘크리트와의 밀착강도를 높여주어 실사용시 건축물의 강도는 물론 작업안전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근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및 건축공사시 건축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의 상호 결속력을 높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에는 철근부재가 통상적으로 봉상의 축으로 제작되어지며 이는 제작상의 문제와 운반상의 문제로 인해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철근의 사용시에는 다수의 철근을 수직 혹은 수평으로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여 상호연결하여 사용하게되며, 각각의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는 겹이음, 전기슬래그 이음, 용접이음, 나사내기식 이음법등의 다양한 구조의 형태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겹이음은 두개의 철근을 그 일단이 서로 겹치게 하여 철선등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형태이며, 전기슬래그이음은 두개의 철근을 맞닺게 하여 스파크를 발생시켜 슬래그에 의한 결속방법이다.
기타, 용접이음은 두개의 철근을 접촉시켜 전기용접 또는 가스용접에 의해 결속시키는 형태이다.
이러한 철근을 결속형태외에 진보된 형태로서 별도의 결속기구를 이용하여 사용되어지는 형태로는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예를 제시한다.
먼저, 도 1, 도 2, 도 3 에서 사용되어지는 철근의 연결구조에서는 결합편(25)과 슬리브(20)를 이용하여 철근(5)을 고정하는 구조로서, 철근(5)의 마디(15)부분을 결합편(25)의 내측으로 형성된 계지(繫止)홈(23)에 결속되는 구조로서 양측방향으로 철근(5)의 마디(15)부분을 잡아주어 결합편의 외주면(27)을 가압하는 슬리브(20)를 나사식으로 양측에서 조립하여 철근(5)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와는 별도로 도 4, 도 5 에서와 같이 상하로 분리구성된 결속구(31,32)를 통하여 철근(5)을 고정하는 형태로서,
상기 결속구(31,32)는 자웅체(雌雄體)의 힌지부(35)를 형성하며, 힌지부(3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단결속구(32)와 하단결속구(31)를 가지며 상,하단단결속구
(31,32)의 형태는 반원형으로서 내측으로는 체결홈(37)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철근의 마디(15)부와 체결됨으로 양측의 철근(5)을 상호연결하도록 함이다.
상기하는 종래의 체결수단을 가지고 실사용시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하는 일 실시예는 결합편(25)과 슬리브(20)를 이용한 철근결속구조 및 힌지부(35)를 중심으로 자웅체를 이루는 철근결속구조의 경우 도 1 에서와 같이 양측철근(5)을 잡아주어 철근(5)의 마디(15)부와 결합편(25)의 계지홈(23)과 일체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항상 양측철근이 일정거리(B)를 유지하여야 정상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며 ,
양측철근이 동일한 축선상에 놓여있다고 하나 도 3 에서와 같이 양측철근의 마디(15)부분이 거리(E)가 일정치 않거나 동일한 각도(단면 회전각)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 결합편(25)의 계지홈(23)에 양측철근(5)의 마디(15)부분을 동시에 체결할 수가 없으며,
특히 결합편(25)에 형성된 계지홈(23)과 철근마디(15)부의 체결편차(T)가 심한 관계로 인장 및 압축하중에 단점을 보인다.
이는 체결력이 약하거나 무리한 체결로 부실공사의 우려가 있어 실질적인 건설현장에서 사용이 어려운 구조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측철근의 결속함에 있어서 철근의 결합편을 양측에 별도로 형성하여 철근의 방향성 및 직진성과 무관하게 어떤 각도에서도 철근을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이며, 조립시간 및 공정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경제적 이익의 창출을 극대화 하고자 함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철근 결속구의 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도 1 의 철근 결속구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 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철근 결속구의 또 다른 단면 상태도
도 4 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철근 결속구 사시도
도 5 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도 4 의 일 실시예
도 6 은 본 고안인 철근 연결구의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및 좌측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철근 결속구의 C - C 선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위한 단면 A
도 11 은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위한 참고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 노브
5; 철근
7; 고정홈
8; 슬리브
10; 커플러
14; 외주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고안인 철근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및 좌측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고안의 철근 결속구의 C - C 선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위한 단면 A, 도 11 은 본 고안인 철근 결속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위한 참고 사시도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한쌍의 노브(3)와 슬리브(8)를 양방향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양측 슬리브(8)는 커플러(10)로 체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노브(3)의 외측면(6)은 슬리브(8)의 내측면(9)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내측면(2)에는 고정홈(7)을 형성하여 한쌍의 노브(3)로 철근(5)의 외측면에 형성된 마디(15)부분을 양측에서 압착하는 구조로서 좌,우측노브(3)을 구성한다.
상기 슬리브(8) 내측에는 경사면(9)이 형성되는 중공체의 구조이며, 외주면(14)에는 나사부(4)를 형성하는 좌측슬리브와 우측슬리브로 분리 구성한다.
상기 커플러(10)는 내주면(26)에는 나사체결부(18)를 형성하여,
슬리브(8)의 외주면(14)에 형성되는 나사부(4)에 체결되어 좌,우측슬리브(8)를 상호연결고정하는 것으로서 슬리브(8)의 외주면(14)에 체결되며,
상기 커플러(10)의 좌,우측면에 로커(LOCKER;12)를 체결함으로 커플러(1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슬리브(8)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하며, 상기 커플러(10)와 로커(12)의 외측면에는 체결의 용이성을 제공하기위한 요철(17)을 형성한다
상기하는 본 고안의 구성형태를 가지고 보다 구체적인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 에서와 같이 일직선상(H)에 놓인 철근(5)의 마디(15)부를 한쌍의 결합편(3)에 형성된 결합홈(7)을 치합시키는구조로서,
상기 한쌍의 노브(3)와 철근(5)의 치합구조에서는 철근(5)의 회전방향성 (A)및 철근의 직진성(B)과 관련하여서는 전혀 구속됨이 없는 상태로서 상호 체결이 가능하다.
이는 본원 고안인 한쌍의 결합편(3)이 슬리브내의 경사면(9)에서 독립적으로 자리 잡도록 하여 양측철근(5)이 상호거리(K)가 일정치 않거나 양측철근(5)의 마디(15)부가 상호일직선상에 놓여있지 않더라도 한쌍의 결합편(3)은 슬리브(8)내의 접촉면(9)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양방향의 철근을 연결하기위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는 철근연결구조로서 철근(5)의 방향성과 직진성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 고안으로서,
철근연결부의 처리상태에 따른 절단버(Burr:18) 혹은 휘어짐에도 양방향 철근의 연결에 전혀 영향받지 않는 관계로, 양방향의 철근 절단면(27)이 항상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되어 압축하중이 우수함은 물론이며 노브(3)와 슬리브(8)의 결합상태에서 보여지듯이 인장강도에도 상당히 강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노브(3)에 형성된 결합홈(7)의 형상변경을 통해 다양한 철근형태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커플러(10)와 로커면의 요철(12) 및 유선형의 본원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철근과의 결합력을 높여주게되어 본원 고안의 실사용시에는 철근의 체결력이 우수하여 철근의 상호 결속력이 강함은 물론 작업안전성 및 건축구조물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 철근연결구(1)에 있어서;상기 철근연결구(1)는 한쌍의 노브(3)와 슬리브(8) 및 커플러(10)를 구성하고,상기 노브(3)의 외측면(6)에는 슬리브(8)의 내측면(9)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내측면(2)에는 고정홈(7)이 구성하여 좌,우에 구비하고상기 슬리브(8)는 중공체로서 내측에는 경사면(9)을 형성하고;상기 슬리브(8) 외주면(14)에는 나사부(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러(10)의 내주면(26)에는 슬리브(8)의 나사부(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부(18)를 형성하며,외주면(23)에는 요철(17)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러(10)의 양측에는 로커(LOCKER;12)로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7398U KR200242782Y1 (ko) | 2001-03-19 | 2001-03-19 | 철근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7398U KR200242782Y1 (ko) | 2001-03-19 | 2001-03-19 | 철근 연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2782Y1 true KR200242782Y1 (ko) | 2001-10-08 |
Family
ID=7309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7398U KR200242782Y1 (ko) | 2001-03-19 | 2001-03-19 | 철근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278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6606A (ko) * | 2001-08-21 | 2003-03-03 | (주)기림테크 |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
KR101763856B1 (ko) * | 2017-02-21 | 2017-08-01 |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 윈치고정장치 |
KR101882358B1 (ko) * | 2017-07-06 | 2018-07-26 | (주)호창엠에프 | 마디 철근 커플러 |
-
2001
- 2001-03-19 KR KR2020010007398U patent/KR20024278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6606A (ko) * | 2001-08-21 | 2003-03-03 | (주)기림테크 |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
KR101763856B1 (ko) * | 2017-02-21 | 2017-08-01 |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 윈치고정장치 |
KR101882358B1 (ko) * | 2017-07-06 | 2018-07-26 | (주)호창엠에프 | 마디 철근 커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40099B1 (ko) | 철근 연결 구조 | |
KR200242782Y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285704B1 (ko) | 철근 연결용 커넥터 | |
KR19990064729A (ko) | 철근의 기계식 이음방법 및 그 이음구 | |
KR100309611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1033681B1 (ko) | 철근 커플러 | |
KR102105141B1 (ko) |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 |
KR20090009578A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0837113B1 (ko) | 철근 커플러 | |
KR100272745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 |
KR101807825B1 (ko) | 철근 커플러 | |
JP2002235381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その接合法 | |
KR200351043Y1 (ko) |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 |
KR100380411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0406140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200234943Y1 (ko) |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 |
KR19980020421U (ko) | 철근 연결 장치 | |
KR20050082131A (ko) |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 |
KR19990064730A (ko) | 철근의 기계식 이음구 | |
KR970004437Y1 (ko) | 조립식 구조물에서 각 부재의 접합용 반원봉강 | |
KR101566610B1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KR200210602Y1 (ko) |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 |
KR20040083355A (ko) | 철근 연결부 구조 | |
JP2006124976A (ja) | 鉄筋の機械式継手 | |
KR0116605Y1 (ko) | 철근이음용 슬리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40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