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35931Y1 - 서류보관함프레임 - Google Patents

서류보관함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931Y1
KR200235931Y1 KR2019980010419U KR19980010419U KR200235931Y1 KR 200235931 Y1 KR200235931 Y1 KR 200235931Y1 KR 2019980010419 U KR2019980010419 U KR 2019980010419U KR 19980010419 U KR19980010419 U KR 19980010419U KR 200235931 Y1 KR200235931 Y1 KR 200235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panel
storage box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47U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2019980010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93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93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 보관함의 제작시 벤딩 및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 각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서로 조인트 조립하여 서류 보관함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서류 보관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 전방에 형성되어 측판넬의 외측판을 삽입하는 삽입부, 후방에 형성되어 내측판을 고정하는 걸림부 및 안착부와 돌출턱, 및 프레임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에 다수의 조립홀이 천공되고 미끄럼 방지턱을 갖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의 상,하측에는 손잡이의 조립홀과 상응되게 일편과 타편에 다수의 조립홀이 천공된 연결대의 일편을 삽입시켜 보울트로 고정하고; 상기 연결대의 타편은 상기 측판넬(4)의 조립과 동일하게 상,하부판넬을 이루는 프레임 손잡이의 내측에 삽입시켜 보울트로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서류 보관함 프레임(The frame to keep papers in safe)
본 고안은 서류 보관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 보관함의 제작시 벤딩 및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 각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서로 조인트 조립하여 서류 보관함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서류 보관함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서류 보관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50)의 양측판넬(52) 및 상, 하부판넬(54)(56)을 벤딩시켜 각기 제작한 후, 양 측판넬(52)의 상측과 상부판넬(54)의 양끝단을 용접하고, 상기 양 측판넬(52)의 하측은 하부판넬(56)의 양끝단과 용접하는 한편, 양측판넬(52) 사이에는 다수의 보관선반(58)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서류 보관함은 벤딩 및 용접의 과정을 통해 제작함으로서,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보관함(50)의 양 측판넬(52)은 보관선반(58)에 걸리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측판넬(52)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함에 따라 제작재료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양측판넬(52)의 두께가 커져 외관상 심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동일 출원인의 선 특허출원 제95-24371호의 "수평이동장치"에 적용되어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서류 보관함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은 프레임의 상하측에 장착되는 통상의 연결대가 프레임의 손잡이를 통해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서, 프레임의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본 서류 보관함의 제작시 용접 등의 연결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조인트 공정만으로 제품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작공정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서류 보관함 프레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양 측판넬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서, 재료의 낭비를 막고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전방에 형성되어 측판넬의 외측판을 삽입하는 삽입부, 후방에 형성되어 내측판을 고정하는 걸림부 및 안착부와 돌출턱, 및 프레임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에 다수의 조립홀이 천공되고 미끄럼 방지턱을 갖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의 상,하측에는 손잡이의 조립홀과 상응되게 일편과 타편에 다수의 조립홀이 천공된 연결대의 일편을 삽입시켜 보울트로 고정하고; 상기 연결대의 타편은 상기 측판넬(4)의 조립과 동일하게 상,하부판넬을 이루는 프레임 손잡이의 내측에 삽입시켜 보울트로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판넬 및 상, 하부판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상부판넬의 분해 개략도.
도 2b는 하부판넬의 분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임이 적용된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관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서류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보관함 2: 프레임 4: 측판넬
6: 상,하부판넬 8: 삽입홀 10: 탄성체
12: 삽입부 14: 외측판 16: 걸림부
18: 안착부 19: 접착제 20: 돌출턱
21: 리벳 22: 내측판 23: 손잡이
25: 미끄럼방지턱 26: 조립홀 30,31: 연결대
32: 조립홀 36: 조립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서류 보관함의 양측판넬(4;도2참조) 및 상,하부판넬(6: 도2참조)을 각기 제작하여 이들 판넬을 조인트 방식에 의해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2)을 나타낸 것이다.
즉, 프레임(2)의 전면에는 이동후 전,후방에 설치된 타 보관함과 충돌 될 경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체(10)가 삽입되는 삽입홀(8)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2)의 외측 후방에는 판넬의 외측판(14)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2)를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2)의 내측에는 판넬의 내측판(22)의 끝단을 잡아주는 걸림부(16)와 내측판(22)의 내면이 접착재(19)로 부착되는 안착부(18)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18) 일측에는 내측판(22)을 리벳(21)으로 고정하기 위한 돌출턱(2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중앙에는 보관함(1;도3참조)을 전후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내측에는 미끄럼방지턱(25)이 가공된 손잡이(23)를 형성한 것이다.
도 2는 프레임(2)의 상,하측판넬(4,6)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도로서, 상기 프레임(2)에 형성된 손잡이(23)에 형성된 양측격벽(24)의 상,하부에는 다수의 조립홀(26)을 천공하고, 손잡이(23)의 내측벽 상하부에는 연결대(30)(31)의 일편이 삽입되는 손잡이(2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3)의 상하부에는 손잡이(23)에 형성된 조립홀(32)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조립홀(32)이 천공된 연결대(30)(31)를 삽입하고, 프레임(2)의 조립홀(32)과 연결대(30)(31)의 조립홀(26,32)에는 상기 전,후측에 설치되는 프레임(2)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크로스보울트(33)가 설치되어 양끝단을 너트(34)로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내측에는 안착부(18)에 접착되어 있으며 돌출턱(20)에 리벳(21)를 통해 고정된 내측판(22)을 고정하고, 프레임(2)의 외측에는 접착제(19)가 유입된 삽입부(12)에 고정된 외측판(14)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하측판넬(6)을 이루는 프레임(2)과 내외측판(14)(20)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판넬(4)의 상하부의 전후에 연결대(30,31)를 통해 프레임(2)을 각각 삽입하고, 크로스보울트(33)를 전후 프레임(2) 및 연결대(30,31)의 타편에 형성된 조립홀(32)에 관통시켜 상기 크로스보울트의 양끝단을 너트로 체결한다. 그리고 내측판(22)은 리벳(21) 및 접착재(19)를 사용하여 프레임(2)의 내측에 설치하고, 외측판(14)은 프레임(2)의 외측에 삽입 고정한다. 특히 하부판넬(6)에 삽입되는 연결대(31)의 타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슬라이딩 장치(36)를 보울트(38)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32)을 구비된다. 또한, 이 조립홀(32)에는 필요에 따라서 수평 조절보울트 및 이동 바퀴등도 취부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프레임(2)의 적용되어 양 측판넬(4)과 상,하부판넬(6)을 제작한 후 서로 조립 완성한 보관함(1)을 나타낸 것으로, 측판넬(4)를 이루는 프레임(2)에 형성된 손잡이(23) 상하단에 장착된 연결대(30,31)를 통해 상,하측판넬(6)을 크로스 보울트(33;도2참조)로 고정하고, 양측판넬(4) 및 상,하부판넬(6)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다단의 보관 선반(40)을 양 측판넬(4)의 사이에 장착한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보관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서류 보관함(1)을 이루는 하부판넬(6)의 하면 양쪽에는 선 특허출원(제95-24371호)한 수평이동장치(42)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레임(2)을 사용한 보관함(1)의 제작과정은 측판넬(4)과 상,하부판넬(6)을 각기 분리가능한 부품으로 제작한후, 측판넬(4)과 상,하부판넬(6)을 이루는 프레임(2)의 각 끝단을 연결대(30,31)와 조인트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 완성 함으로서, 프레임(2)으로 보관선반(40)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하여 측판넬(4)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벤딩 및 용접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 공정만으로 보관함(1)을 제작하므로서 공수를 최소화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양 측판넬(4)은 프레임(2)이 전후로 세워져 보관선반(40)의 하중을 프레임(2)에서 흡수하므로서 측판넬(4)의 두께를 최소하 하여도 보관선반(40)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양 측판넬(4)의 프레임(2)에는 일체로 손잡이(23)를 형성하여 측판넬(4)에 별도의 손잡이 제작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전방에는 충격 완화용 탄성체(10)를 삽입하여 보관함(1)과 다른 보관함(1)의 이동하여 충돌시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보관함(1)을 이루는 프레임(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의 일측 후방에는 외측판(14)의 삽입부(12)를 형성하고, 프레임(2)의 내측에는 내측판(22)의 끝단을 잡아주는 걸림부(16)와 내측판(22) 내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8)를 형성하여 금속판의 벤딩작업을 생략 함으로서, 벤딩작업시 금속판이 휘어지거나 긁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이 깨끗한 보관함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관함(1)을 이루는 프레임(2)의 길이에 따라 보관함의 높이 및 폭이 결정되며, 측판넬(4)의 폭에 따라 보관함(1)의 깊이가 결정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보관함(1)은 조립품으로서 공간에 따라 보관함(1)의 양 측판넬(4)의 사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측판넬(4)의 폭도 조절이 가능함으로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관함을 슬라이딩식 보관함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책장 및 보관함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프레임의 상하측에 장착된 통상의 연결대가 손잡이를 통해 서로 연결되게 하여 프레임의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서류보관함의 제작시 서류 보관함의 제작시 조인트 공정만으로 제품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작공정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양 측판넬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서 재료의 낭비를 막고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보관함의 양 측판넬의 사이와 측판넬의 폭을 용이하게 조정함에 따라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 전방에 형성되어 측판넬(4)의 외측판(14)을 삽입하는 삽입부(12)와, 후방에 형성되어 내측판(22)을 고정하는 걸림부(16)와 안착부(18)와 돌출턱(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에는 연결대(30,31)가 삽입되는 통상의 서류 보관함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2) 내측중앙에는 상하부에 다수의 조립홀(32)이 천공되고 미끄럼 방지턱(24)을 갖는 손잡이(23)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의 전방에는 탄성체(10)가 삽입되는 삽입홀(8)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3)의 상,하측에는 손잡이(23)의 조립홀(32)과 상응되게 일편과 타편에 다수의 조립홀(32)이 천공되어 있는 상기 연결대(30)(31) 의 일편이 보울트를 통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연결대(30)의 타편은 상기 측판넬(4)의 조립과 동일하게 상,하부판넬(6)을 이루는 프레임(2) 손잡이(23)의 내측에 삽입시켜 보울트로 고정되며, 상기 하부 연결대(31)의 타편에는 수평이동장치(42)및 수평조절보울트,이동바퀴등을 조립할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조립홀(36)이 천공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보관함 프레임.
KR2019980010419U 1998-06-17 1998-06-17 서류보관함프레임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19U KR200235931Y1 (ko) 1998-06-17 1998-06-17 서류보관함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19U KR200235931Y1 (ko) 1998-06-17 1998-06-17 서류보관함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47U KR20000000847U (ko) 2000-01-15
KR200235931Y1 true KR200235931Y1 (ko) 2001-10-25

Family

ID=6950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1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931Y1 (ko) 1998-06-17 1998-06-17 서류보관함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9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2113A (zh) * 2017-12-28 2018-06-12 瑞华塑业(常州)有限公司 一种冻存盒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47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19B1 (ko) 스위칭 캐비넷용 래크골조(骨組)
US5378057A (en) Metal case
US5102210A (en) Low cost filing cabin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816594B1 (ko) 패턴교체가 용이한 테이블다리구조 및 그 구조에 따른 패턴보드
WO1994027469A1 (en) A cabinet of adhesively laminated sheet metal
WO1989011239A1 (en) Carcase for assemblable furniture
KR200235931Y1 (ko) 서류보관함프레임
JP6939356B2 (ja) 脚体と天板ブラケットの連結構造
JP2007289549A (ja) 棚装置
JP4515576B2 (ja) 移動棚
KR100221866B1 (ko) 주방용 가구 시스템
JP3696460B2 (ja) 机装置
US4114966A (en) Bathroom cabinet
JP5378739B2 (ja) 物品収納庫の組立構造
JPH0311A (ja) ワゴン
JP3021988B2 (ja) 安全柵
WO2012025402A2 (de) Befestigungsanordnung in einem kältegerät
JP4869689B2 (ja) 物品棚装置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NL2033141B1 (en) A box spring bed with attached bedside tables
JP2006280797A (ja) デスクシステム
KR100742355B1 (ko) 물품수납함
JP4177520B2 (ja) 支柱への脚の取付構造
JPH0659253B2 (ja) 多目的物品棚
RU2699352C1 (ru) Верстак автомобиль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6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6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