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759Y1 - 개량바이스 - Google Patents
개량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0759Y1 KR200220759Y1 KR2020000032366U KR20000032366U KR200220759Y1 KR 200220759 Y1 KR200220759 Y1 KR 200220759Y1 KR 2020000032366 U KR2020000032366 U KR 2020000032366U KR 20000032366 U KR20000032366 U KR 20000032366U KR 200220759 Y1 KR200220759 Y1 KR 2002207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ixing
- workpiece
- base
- flow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의 종류와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시 유동 및 이탈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개량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31)의 전측에 고정되는 고정조(32)와 베이스(31)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37)과 결합되어 움직이는 유동조(33)로 구성되는 한쌍의 조(35); 상기 유동조(33)는 베이스(31)의 후측에 고정된 고정블럭(38)에 핸들(39)을 가지고 결합되는 스크류(40)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조(33)는 핸들(39)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스크류(40)에 베이스(31)의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조(32)와 유동조(33) 상간에 삽입되는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적인 바이스(30)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상부 내측에는 단턱(50)을 더 형성하고; 상기 단턱(50)의 중앙에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공작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요입부(5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내면(52)에는 작은원형, 특이한 형사 및 사각형상의 공작물을 모서리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턱(50)에서 바닥면까지 형성하는 고정홈(55)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듬질과 조립작업을 위한 공작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를 개량하여 종류와 규격 및 형상에 구애받지않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바이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바이스는 독립하여 공작물을 고정하거나 별도의 작업대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공작물을 고정하여 줄이나 핸드그라인더등을 이용한 다듬질 및 마감작업이나 드릴을 이용한 구멍천공작업 및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바이스는 상자바이스, 레그바이스 및 평바이스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중 평파이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평바이스(1)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2)의 전측에 공작물을 물어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조(3)와 유동조(4)로 구성되는 한쌍의 조(5)가 구비된다.
상기 조(5)의 고정조(3)는 베이스(2)와 볼팅고정되고 유동조(4)는 베이스(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6)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상기 유동조(4)는 베이스(2)의 후측에 고정된 고정블럭(6)에 핸들(7)을 가지고 결합되는 스크류(8)의 선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핸들(7)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스크류(8)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이스(1)는 가공할 공작물을 고정하는 조가 단순히 사각형상의 블럭으로만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공작물을 고정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을 가진다.
즉, 일반적인 사각형상의 공작물일 경우에는 조상간에 삽입한 후 유동조를 움직여 삽입된 공작물을 죄면 조의 면과 공작물의 면이 일치되면서 마찰면의 증대로 인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원형이나 타원형의 공작물을 고정할 경우나 사각형상의 공작물이라도 공작작업을 위하여 공작물의 모서리가 조와 연접되도록 고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고정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공작물 모서리가 조와 연접되도록 고정하였다 하더라도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고정력이 약하여 공작물이 이탈하거나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공작물의 유동이 있거나 이탈할 경우에는 공작물의 가공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특히 전동공구를 이용하는 과정에서는 공작물의 유동과 이탈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적인 손상이 우려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바이스의 조를 개선하여 공작물의 종류와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시 유동 및 이탈현상을 배제하여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하고 바이스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의 조부위를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가 적용된 도 2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바이스
32; 고정조
33; 유동조
40; 스크류
50; 단턱
51; 요입부
52; 내면
55; 고정홈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의 조부위를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바이스가 적용된 도 2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발췌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바이스(30)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1)의 전측에 공작물을 물어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조(32)와 유동조(33)로 구성되는 한쌍의 조(35)가 구비된다.
상기 조(35)의 고정조(32)는 베이스(31)와 볼트(36)로 고정하고, 상기 유동조(33)는 베이스(31)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37)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유동조(33)는 베이스(31)의 후측에 고정된 고정블럭(38)에 핸들(39)을 가지고 결합되는 스크류(40)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40)의 선단부는 유동조(33)의 내부에 개재되는 베어링(41)에 결합된다.
상기 유동조(33)는 핸들(39)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스크류(40)에 베이스(31)의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조(32)와 유동조(33) 상간에 삽입되는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조(32)와 유동조(33)로 구성되는 조(35)를 개선하여 공작물의 종류와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고정하여 유동 및 이탈현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조(35)는;
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상부 내측에는 단턱(50)을 형성하여 드릴작업시 드릴팁에 의한 베이스(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턱(50)의 중앙에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공작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호형상의 요입부(51)를 둔다.
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내면(52)에는 작은원형의 공작물이나 사각형상의 공작물을 모서리고정 및 특이한 형상의 공작물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턱(50)에서 바닥면까지 삼각형상의 고정홈(55)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이스(30)는;
공작물을 고정하여 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크류(40)에 구비되는 핸들(39)을 이용하여 유동조(33)를 베이스(31)의 후방으로 후퇴시킨 후 작업할 공작물을 고정조(32)와 유동조(33) 상간에 삽입시킨 후 다시 핸들(39)을 이용하여 유동조(33)를 전진시켜 죄면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종래의 바이스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조(35)를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상의 공작물을 고정할 경우에는 가공작업의 종류에 따라 고정위치를 달리하게 된다.
즉, 줄을 이용한 마감작업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내면(52)에 공작물을 삽입시킨 후 유동조(33)를 움직여 고정하면 되고, 특히 직경이 큰 원형의 공작물은 조(35)에 형성되는 단턱(50) 중앙에 더 형성되는 요입부(51)에 삽입시킨 후 고정시켜 사용하면된다.
그리고, 드릴링작업을 위해서는;
공작물을 단턱(50)에 삽입시켜 고정한 후 드릴링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공작물을 관통한 드릴팁이 베이스(31)를 손상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 각진 공작물을 모서리지게 고정하거나 직경이 작원 원형의 공작물과 같이 고정이 어려운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턱(50)의 중앙에서 바닥면 까지 형성한 삼각형상의 고정홈(55) 상간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용이하게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바이스(30)는;
상기 조(35)를 개선하여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공작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됨은 물론, 고정된 공작물이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공작물을 가공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신체적인 손상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바이스의 조를 개선하여 공작물의 종류와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시 유동 및 이탈현상을 배제하여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하고 바이스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31)의 전측에 공작물을 물어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조(32)와 유동조(33)로 구성되는 한쌍의 조(35);상기 고정조(32)는 베이스(31)와 볼트(36)로 고정하고;상기 유동조(33)는 베이스(31)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레일(37)과 결합하고;상기 유동조(33)는 베이스(31)의 후측에 고정된 고정블럭(38)에 핸들(39)을 가지고 결합되는 스크류(40)의 선단부와 연결되고;상기 유동조(33)는 핸들(39)의 조작으로 회전하는 스크류(40)에 베이스(31)의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조(32)와 유동조(33) 상간에 삽입되는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적인 바이스(30)에 있어서;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상부 내측에는 단턱(50)을 더 형성하고;상기 단턱(50)의 중앙에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공작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요입부(51)를 형성하고;상기 고정조(32)와 유동조(33)의 내면(52)에는 작은원형, 특이한 형사 및 사각형상의 공작물을 모서리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턱(50)에서 바닥면까지 형성하는 고정홈(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366U KR200220759Y1 (ko) | 2000-11-20 | 2000-11-20 | 개량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366U KR200220759Y1 (ko) | 2000-11-20 | 2000-11-20 | 개량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0759Y1 true KR200220759Y1 (ko) | 2001-04-16 |
Family
ID=7308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2366U KR200220759Y1 (ko) | 2000-11-20 | 2000-11-20 | 개량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0759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143Y1 (ko) | 2012-01-17 | 2014-02-07 | 이종환 | 범용 바이스 |
KR200471379Y1 (ko) * | 2012-06-07 | 2014-02-17 | 장금수 | 다중 바이스 |
KR101493678B1 (ko) | 2014-01-21 | 2015-02-16 | 이수영 | 이젝터 핀 선단부 가공용 바이스의 탭 위치 고정 장치 |
KR101505814B1 (ko) | 2013-10-18 | 2015-04-07 | 주식회사 지이엠 | 바이스장치 |
KR20180002176U (ko) * | 2017-01-05 | 2018-07-16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수평 유지용 지그장치 |
KR101947318B1 (ko) * | 2018-07-27 | 2019-02-12 | 김승식 | 스페셜 척을 구비한 절단장치 |
-
2000
- 2000-11-20 KR KR2020000032366U patent/KR2002207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143Y1 (ko) | 2012-01-17 | 2014-02-07 | 이종환 | 범용 바이스 |
KR200471379Y1 (ko) * | 2012-06-07 | 2014-02-17 | 장금수 | 다중 바이스 |
KR101505814B1 (ko) | 2013-10-18 | 2015-04-07 | 주식회사 지이엠 | 바이스장치 |
KR101493678B1 (ko) | 2014-01-21 | 2015-02-16 | 이수영 | 이젝터 핀 선단부 가공용 바이스의 탭 위치 고정 장치 |
KR20180002176U (ko) * | 2017-01-05 | 2018-07-16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수평 유지용 지그장치 |
KR101947318B1 (ko) * | 2018-07-27 | 2019-02-12 | 김승식 | 스페셜 척을 구비한 절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8770B1 (ko) | 공작기계용 바이스 | |
EP1291122A3 (de) | Fräs- und Bohrbearbeitungszentrum | |
EP0878260A3 (en) | Tool for grooving and par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CA2686670A1 (en) | Multi-application wood working knife and clamping assembly | |
KR200220759Y1 (ko) | 개량바이스 | |
US4153239A (en) | Adaptor for machine tool fixture | |
EP1013374A3 (de) | Werkzeugmaschine mit von unten arbeitender Werkzeugspindel | |
EP1163973A3 (de) | Maschinentisch für eine Bearbeitungsmachine | |
KR20110004069U (ko) | 다목적 평바이스 | |
CN215392661U (zh) | 一种带台钳的多角度钻孔引导装置 | |
US4410169A (en) | Work-holding clamp with double-acting hydraulically actuated jaw | |
DE3782755D1 (de) | Werkzeugspannvorrichtung fuer werkzeugmaschinen. | |
KR100811049B1 (ko) | 바이스 | |
DE50106678D1 (de) | Handwerkzeug zum Abheben von Material | |
US20020056955A1 (en) | Machine tool vise jaw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 |
CN219254172U (zh) | 防铁屑卡盘 | |
SE9903083D0 (sv) |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verktyg för skärande bearbetning | |
CN218017094U (zh) | 气动夹具 | |
US20050047886A1 (en) | Guide clamp system for fraise | |
DE50100122D1 (de) |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Fräsbearbeitungszentrum | |
CN210938211U (zh) | 一种机床夹具 | |
CN211162929U (zh) | 一种多功能钻床定位装置 | |
KR200436690Y1 (ko) | 바이스 | |
KR920004247Y1 (ko) | 공작기계의 분할죠 | |
KR19990026747U (ko) | 유리 가공용 다목적 편취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