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26584Y1 -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84Y1
KR200226584Y1 KR2020000033777U KR20000033777U KR200226584Y1 KR 200226584 Y1 KR200226584 Y1 KR 200226584Y1 KR 2020000033777 U KR2020000033777 U KR 2020000033777U KR 20000033777 U KR20000033777 U KR 20000033777U KR 200226584 Y1 KR200226584 Y1 KR 200226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waist
fixed
angle adjustment
back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치호
Original Assignee
유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치호 filed Critical 유치호
Priority to KR2020000033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8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하측인 허리부위는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상측인 등부위는 후방으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의 허리부위를 확실하게 지지하면서도 착좌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염가로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작동상의 신뢰성 등은 일층 배가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 의자(1)에 설치되는 등받이(4)를 고정허리부(5)와 각도조절등받이부(6)로 분할구성하고, 이들의 내부에는 고정판넬(7,8)을 내입하여 힌지핀(10)으로 힌지연결한 후 비틀림스프링(11)으로 탄력설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의자(1)에 착좌시 허리부위는 고정허리부(5)에서 확실하게 지지하면서도 등부위는 후측으로 소정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허리건강에 일조하면서도 착좌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로 제조공급이 가능함은 물론, 장치작동상의 신뢰성 및 내구성도 동시에 보장받을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ack of the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등받이의 하측인 허리부위는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상측인 등부위는 후방으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신체의 허리부위를 확실하게 지지하면서도 착좌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염가로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작동상의 신뢰성은 일층 배가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는 전후로 일정각도 소정 텐션을 갖고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등받이와 시트부를 일체화 한 의자의 경우는 시트부 하측에 각도조절을 위하여 스프링과 각도조절브라켓을 힌지결합하여 의자에 앉아 등받이를 사용자가 후방으로 밀면 시트부와 등받이가 함께 후방으로 일정 각도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과, 등받이를 시트부와 탄성을 갖는 소재 등으로 연결하거나 등받이 자체를 탄성재 등으로 연결한 의자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등받이 각도조절수단을 갖는 의자의 경우 등받이에 접하는 신체 허리부위와 등부위가 동시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허리를 바른자세에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각도조절을 행하기 위한 구성부재가 복잡하여 원가앙등 요인으로 작용하여 대외 가격경쟁력이 낮다는 문제점도 동시에 지적이 되어 왔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허리부위는 확실하게 지지하면서 등부위는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되 그 구성을 지극히 간단히 하여 장치작동상의 신뢰성, 내구성 등을 배가하면서 동시에 염가로 양산공급할 수 있는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적용된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의자 2:다리부
3:시트부 4:등받이
5:고정허리부 6:각도조절등받이부
7,8:고정판넬 9:힌지편
10:힌지핀 11:비틀림스프링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등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통상의 각종 의자(1)와 같이 다리부(2)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3)의 후측에 설치되는 등받이(4)를 갖는 의자(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4)를 고정허리부(5)와 각도조절등받이부(6)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정허리부(5)와 각도조절등받이부(6) 상간에는 각각 고정판넬(7,8)을 내입고정시키되, 상기 상하 고정판넬(7,8)은 상호 힌지편(9)에 의해 힌지핀(10)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힌지핀(10)에는 비틀림스프링(11)을 개재시켜 비틀림스프링(11)의 양단이 각각 상하 고정판넬(7,8)에 탄력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판넬(7,8)이 내입되는 각도조절등받이부(6)는 일체로 구성하여 고정허리부(5)와 각도조절등받이부(6)의 연결부에 탄성을 갖는 신축재를 내장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각도조절등받이부(6)의 고정허리부(5)와 각도조절등받이부(6)를 완충성이 상이한 쿳션재를 사용하여 상호 고정판넬(7,8)에 의해 힌지핀(10)으로 힌지연결한 후 마감재를 탄성을 갖는 신축재로 마감처리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마감기술에 속하므로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도면중 부호 12는 팔걸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각종 의자(1)의 등받이(4)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허리부는 고정허리부(5)가 확실하게 지지하면서 등부위가 지지되는 각도조절등받이부(6)는 소정 각도 조절하여 착좌상의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의자(1)의 시트부(3)에 착좌하여 허리부위는 고정허리부(5)에 지지시키고, 등부위는 각도조절등받이부(6)에 위치시킨 후 기지개를 켜거나 오랜시간 한 자세로 앉아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등받이(4) 부위중 허리부위의 상부, 즉 등부위를 각도조절한 상태로 착좌하기 위해서 등부위를 각도조절등받이부 (6)에 연접시켜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등받이부(6)는 하부의 고정허리부(5)와 힌지핀(10)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하 각도조절등받이부(6)와 고정허리부(5)의 내부에는 고정판넬(7,8)이 내입되어 상호 비틀림스프링(11)으로 전방으로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도조절등받이부(6)를 등부위로 압을 가하여 밀게 되면 비틀림스프링(11)의 탄성을 극복하고 각도조절등받이부(6)가 후방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사용자가 각도조절등받이부 (6)부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비틀림스프링(11)의 복원탄성에 의하여 각도조절등받이부(6)는 힌지핀(10)을 기점으로 다시금 전방으로 복원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도조절등받이부(6)의 하측 고정허리부(5)는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허리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게 되어 허리부위에 발생하기 쉬운 척추만곡증이나 허리디스크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등 올바른 자세교정에 일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의자(1)에 설치되는 등받이(4)를 고정허리부(5)와 각도조절등받이부(6)로 분할구성하고, 이들의 내부에는 고정판넬(7,8)을 내입하여 힌지핀(10)으로 힌지연결한 후 비틀림스프링(11)으로 탄력설치함으로서, 사용자가 의자(1)에 착좌시 허리부위는 고정허리부(5)에서 확실하게 지지하면서도 등부위는 후측으로 소정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허리건강에 일조하면서도 착좌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로 제조공급이 가능함은 물론, 장치작동상의 신뢰성 및 내구성도 동시에 보장받을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다리부(2)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부(3)와, 상기 시트부(3)의 일측으로 연결설치되는 등받이(4)를 가진 통상의 의자(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4)는 하부의 고정허리부(5)와 이의 상부로 각도조절등받이부(6)로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등받이부(6)와 고정허리부(5)에는 고정판넬(7,8)을 각각 내입고정하여 힌지편(9)으로 힌지핀(10)을 결합하여 각도조절 가능하게 힌지연결하고,
    상기 힌지핀(10)에는 비틀림스프링(11)을 개재시켜 비틀림스프링(11)의 양단이 각각 상하 고정판넬(7,8)에 탄력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20000033777U 2000-12-01 2000-12-01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77U KR200226584Y1 (ko) 2000-12-01 2000-12-01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777U KR200226584Y1 (ko) 2000-12-01 2000-12-01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584Y1 true KR200226584Y1 (ko) 2001-06-15

Family

ID=7309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77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584Y1 (ko) 2000-12-01 2000-12-01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73B1 (ko) * 2013-06-14 2013-12-30 장계훈 척주 보호용 의자
KR20210152886A (ko) * 2020-06-09 2021-12-16 김주현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73B1 (ko) * 2013-06-14 2013-12-30 장계훈 척주 보호용 의자
KR20210152886A (ko) * 2020-06-09 2021-12-16 김주현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장치
KR102391758B1 (ko) * 2020-06-09 2022-04-29 김주현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9367A1 (en) Bucket seat with inclination-profile adjusting mechanism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200395903Y1 (ko) 의자용 등받이 틸팅장치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0226584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JP7307537B2 (ja) 椅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198578B1 (ko) 자세 교정의 용도 전환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101591947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KR100633346B1 (ko) 의자의 등판 설치구조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1009488B1 (ko)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N223095125U (zh) 一种符合人体工学的座椅
KR200264837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1052551B1 (ko) 의자
KR200427731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23861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2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