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11712Y1 - 공조기기용실내기 - Google Patents

공조기기용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712Y1
KR200211712Y1 KR2019980012138U KR19980012138U KR200211712Y1 KR 200211712 Y1 KR200211712 Y1 KR 200211712Y1 KR 2019980012138 U KR2019980012138 U KR 2019980012138U KR 19980012138 U KR19980012138 U KR 19980012138U KR 200211712 Y1 KR200211712 Y1 KR 200211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main body
indoor unit
air conditionin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48U (ko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2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71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7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본체 중 일측에는 좌우방향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본체 중 타측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식부재의 구조를 간단화하여 장식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조기기용 실내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 고안은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간단화하여 장식부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외기로부터의 냉매를 열교환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실내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조기기 중 본 건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공조기기는, 히터가 장착되어 냉난방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업장소나 사무실 등 넓은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대형 공조기기이다.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본체(51)내의 일영역에는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65)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51)는 분리판(65)에 의해 냉방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방열교환실(100)과, 난방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난방열교환실(90)로 분리되게 된다.
냉방열교환실(100)은 본체(51)의 하부에 구획되며, 냉방열교환실(100)내에는 도시않은 증발기가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고, 증발기의 상부 영역에는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도시않은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은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팬케이싱(63)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송풍팬케이싱(63)는 분리판(6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난방열교환실(90)은 본체(51)의 상부에 구획되며, 난방열교환실(90)내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히터(67)가 분리판(65)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체(51)는,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53)과, 외부케이싱(5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55)를 포함한다. 전면커버(55)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그릴(62)을 갖는 흡입커버(58)와, 조작패널부(57)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커버(56),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61)가 형성된 토출커버(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입커버(58)와 패널커버(56)는 냉방열교환실(100)의 전방에 결합되며, 토출커버(54)는 난방열교환실(90)의 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를 설치할 때, 실내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체(51)의 하부에는 장식부재(70)가 결합된다. 장식부재(70)는,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로 분할되어 좌측유니트(70a)와 우측유니트(70b)로 이루어진다. 각 유니트(70a,70b)는 본체(51)에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부(74)와, 장식부(74)의 내측에 소정의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본체(51)가 안착되는 안착부(75)를 가지며, 각 유니트를 향한 말단부에는 타 유니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돌기(72) 또는 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식부재(70)를 실내기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각 유니트(70a,70b)를 상호 결합시킨 다음, 본체(51)를 장식부재(70)의 상부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시, 중량이 큰 본체(51)를 장식부재(70)에 안착시키려면, 다수의 사람들이 본체(51)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장식부재(70)에 실내기를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부재의 구조를 간단화하여 장식부재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공조기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기용 실내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식부재 결합시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공조기기용 실내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외부케이싱
4 : 토출커버 5 : 전면커버
6 : 패널커버 8 : 흡입커버
9 : 장식부재수용부 13 : 슬라이딩돌기
20 : 장식부재 21 : 안내레일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본체 중 일측에는 좌우방향으로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본체 중 타측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재에는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대응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3)과, 외부케이싱(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5)를 포함한다. 전면커버(5)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복수의 흡입그릴(12)을 갖는 흡입커버(8)와, 조작패널부(7)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커버(6),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가 형성된 토출커버(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를 설치할 때, 실내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체(1)의 하부에는 장식부재(20)가 결합되며, 본체(1)의 전면커버(5)의 하단부는 판면이 후방으로 함몰되어 장식부재(20)가 결합되는 장식부재수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장식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가로방향 폭만큼의 길이를 가진 막대형상으로 속이 빈 압축성형물로 형성되며, 장식부재(20)내에는 장식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비드(23)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양측 말단부에는 마감재인 캡(25)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장식부재(20)는, 본체(1)에 결합시 전방을 향하는 장식부재(20)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장식부재(20)의 전면과 이웃하는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안내레일(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장식부재수용부(9)는,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부재(20)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장식부재(20)의 안내레일(21)에 대응하는 슬라이딩돌기(13)가 본체(1)의 가로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내기의 설치시, 실내기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고, 본체(1)의 측부에서 장식부재(20)의 안내레일(21)에 본체(1)의 슬라이딩돌기(13)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장식부재(20)를 본체(1)의 가로방향으로 가압하면 장식부재(20)가 간편하게 본체(1)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에서 처럼 장식부재(20)를 결합시키기 위해 본체(1)를 다시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였으며, 장식부재(20)와 본체(1)가 상호 맞물림결합되어 있으므로, 장식부재(20)가 견고하게 본체(1)에 결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부재의 구조를 간단화하여 장식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조기기용 실내기가 제공된다.

Claims (1)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외관을 향상시키는 장식부재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KR2019980012138U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1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38U KR200211712Y1 (ko)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38U KR200211712Y1 (ko)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48U KR20000002348U (ko) 2000-02-07
KR200211712Y1 true KR200211712Y1 (ko) 2001-11-22

Family

ID=6951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3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1712Y1 (ko)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7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4249A (zh) * 2020-01-19 2020-04-28 羿鹏轨道交通开发(上海)有限公司 一种化学镀制备折叠超材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48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9549A1 (en) Window room air conditioner
US6155065A (en) Evaporator coil support for a room air conditioner
KR200211712Y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US6604375B2 (en) One-unit type air conditioner
KR200228649Y1 (ko) 직립형공조기기용실내기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44100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00034097A (ko) 레크레이션어블 비이클용 공기 조화기의 스크롤하우징
KR100289123B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KR100255866B1 (ko) 공조기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KR200156396Y1 (ko) 슬라이딩 출입가능한 공기필터를 갖는 공조기기
KR200221819Y1 (ko) 공조기기
KR100564463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토출구조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KR1005771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56B1 (ko) 공기조화기
KR100318985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20020027835A (ko) 공기조화기의 히터 취부구조
KR200212340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안착구조
KR100714293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55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58B1 (ko) 공기조화기
KR10055304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7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6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11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