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18582Y1 -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582Y1
KR200218582Y1 KR2019970020554U KR19970020554U KR200218582Y1 KR 200218582 Y1 KR200218582 Y1 KR 200218582Y1 KR 2019970020554 U KR2019970020554 U KR 2019970020554U KR 19970020554 U KR19970020554 U KR 19970020554U KR 200218582 Y1 KR200218582 Y1 KR 200218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le
plate
outlet assembly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52U (ko
Inventor
손상철
Original Assignee
손상철
진흥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철, 진흥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상철
Priority to KR2019970020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58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58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을 설치함으로써, 콘센트 어셈블리의 사용상 안전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먼지의 유입을 차단하여 전기 스파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플러그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삽입홀(14)을 갖는 체결부(10)를 원형으로 함몰시켜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10)에는 상기 각 삽입홀(14)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향 돌출된 한 쌍의 탄성편(12)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 회전홀(11)이 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P)와; 상기 체결부(10)의 회전홀에 결합되는 회전축(21)이 저면 중앙에 돌설되고, 그 주연에는 상기 탄성편(12)에 걸려 회전이 규제되는 한 쌍의 걸림바(2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홀(14)과 일치되는 한 쌍의 관통홀(24)이 형성되는 개폐용 회전판(20);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의 관통홀(24)이 상기 체결부(10)의 삽입홀(14)과 어긋나는 위치로 상기 회전판(20)을 리턴시키는 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본 고안은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 어셈블리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어린이가 젓가락 등을 콘센트 어셈블리의 삽입홀에 끼울 수 없도록 한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Plug Socket Assembly Having Revolution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Plug Teminal Hole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20V용 콘센트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삽입홀(1a)(2a)이 각각 가공되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1) 및 베이스플레이트(2)와 안전부재(3), 그리고, 콘센트 몸체(4)및 콘센트 매입박스(5)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서, 상기 안전부재(3)는 플러그의 삽입동작을 안내하면서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여 콘센트 어셈블리의 전기적 인 쇼트(short)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한 220V용 콘센트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삽입되는 플러그를 안내하기 위한 안전부재가 내장되어 있지만, 어린이 등 누구나 용이하게 플러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거나 또는 사용상의 부주의가 발생될 경우에는 콘센트 어셈블리의 차단성이 약해짐과 동시에, 전기 스파크 현상에 의한 화재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러그를 삽입시키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에, 상기 삽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을 설치함으로써, 콘센트 어셈블리의 사용상 안전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먼지의 유입을 차단하여 콘센트 어셈블리의 외부차단성을 증대시켜 전기 스파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콘센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체결부, 11:회전홀, 12:탄성편, 12a:가이드 홈, 14:삽입홀, 15,25:결합돌기, 20:회전판, 21:회전축, 22:걸림바, 22a:돌기, 24:관통홀, 30:스프링, P:상부 플레이트, T:플러그 단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러그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삽입홀을 갖는 체결부를 원형으로 함몰시켜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각 삽입홀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향 돌출된 한 쌍의 탄성편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 회전홀이 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의 회전홀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저면 중앙에 돌설되고, 그 주연에는 상기 탄성편에 걸려 회전이 규제되는 한 쌍의 걸림바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홀과 일치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개폐용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관통홀이 상기 체결부의 삽입홀과 어긋나는 위치로 상기 회전판을 리턴시키는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체결부의 일부를 원주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되, 상기 탄성편의 단부가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탄성편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는 상기 각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각 제어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의 (가)(나)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체결부(10)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P), 회전판(20) 및 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10)는, 플러그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P)의 상면에 원형으로 함몰된 부분으로서, 이 체결부(10)에는 플러그 단자(T)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삽입홀(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0)의 중앙에는 원형으로 관통된 회전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홀(14)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각기 탄성편(12)이 형성된다.
상기 각 탄성편(12)은, 체결부(10)의 일부를 ″ㄷ″자 형상으로 절개하고 그 단부를 상방향으로 절곡시킨 것으로서, 각 삽입홀(14)로부터 먼 쪽의 탄성편(12) 단부가 상부로 들려 올려져 돌출단부(12b)를 형성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각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가 들려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탄성편(12)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연통되는 가이드 홈(12a)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은 상기 체결부(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원판 형상으로서, 상기 체결부(10)의 회전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1)이 저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21)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회전축(21)이 상기 회전홀(11)에 클립 방식으로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기부를 갖는 한 쌍의 반원통 형상의 부재가, 회전판(20)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에는, 회전축(21)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삽입홀(14)과 동시에 일치하게 되는 한 쌍의 관통홀(24)이 형성되며, 또한, 각 회전홀(11)과 인접한 회전판(20) 저면에는, 한 쌍의 걸림바(2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걸림바(22)는 상기 각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에 동시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걸림바(22)가 상기 각 돌출단부(12b)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0)의 각 관통홀(24)은 각각 상기 탄성편(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각 관통홀(24)을 통과한 플러그 단자(T)에 의하여 각 탄성편(12)이 동시에 눌려졌을 때에만, 상기 각 걸림바(22)가 눌러진 각 탄성편(12)을 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각 탄성편(12) 상부에 위치하던 한 쌍의 관통홀(24)이 상기 체결부(10)의 각 삽입홀(14)까지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20)의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회전판(20)의 회전 각도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10)의 각 가이드 홈(1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회전각 제어용 돌기(22a)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의 바람직한 회전 각도는, 상기 회전판(20)의 각 걸림바(22)가 각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에 걸려 있을 때의 위치로부터, 각 탄성편(12)을 넘어 회전된 한 쌍의 관통홀(24)이 체결부(10)의 각 삽입홀(14)과 일치하게 되는 위치까지, 회전판(20)이 회전된 각도를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걸림바(22)는, 상기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에 의하여 규제되도록, 회전판(2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각 가이드 홈(1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각 돌기(22a)는, 상기 각 걸림바(22)의 테두리측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걸림바(22)가 각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에 걸려 있을 때에는, 각 관통홀(24)이 각 탄성편(1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체결부(10)의 각 삽입홀(14)과 회전판(20)의 각 관통홀(24)이 어긋난 상태, 즉 폐쇄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각 탄성편(12)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각 걸림바(22)가 탄성편(12)을 넘어 회전되어서 회전판(20)의 각 관통홀(24)과 체결부(10)의 각 삽입홀(14)이 일치하게 되면, 플러그 단자(T)가 체결부(10)의 삽입홀(14)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개방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회전판(20)을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회전축(21)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20) 저면과 상기 체결부(10) 상면에 각기 돌설되는 결합돌기(15)(25)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체결부(10)의 삽입홀(14)에 플러그 단자(T)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의 각 돌기(22a)가 체결부(10)의 각 가이드 홈(12a)에 의하여 회전 각도가 규제된 상태에서, 회전판(20)의 각 걸림바(22)가 각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20)의 각 관통홀(24)은, 상기 체결부(10)의 각 탄성편(12)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체결부(10)의 각 삽입홀(14)은 외부로부터 차단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삽입홀(14)을 통하여 콘센트 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 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린이가 젓가락 등을 하나의 관통홀(24)에 삽입시켜서 하나의 탄성편(12)을 누르게 될 경우, 이때 눌러진 하나의 걸림바(22)가 탄성편(12)을 넘어갈 수 있는 상태가 된다고 할 지라도, 다른 하나의 걸림바(22)가 다른 하나의 탄성편(12) 돌출단부(12b)에 걸려있는 상태는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회전판(2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한 쌍의 관통홀(24)을 통과한 플러그 단자(T)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편(12)이 동시에 눌러지지 않는 한, 상기 회전판(20)이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폐쇄상태에 있는 회전판(20)의 각 관통홀(24)에 플러그 단자(T)를 삽입시키면, 체결부(10)의 각 탄성편(12)이 플러그 단자(T)에 의하여 동시에 눌러지게 됨으로써, 회전판(20)의 각 걸림바(22)가 탄성편(12)을 넘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각 관통홀(24)에 삽입된 플러그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판(20)의 각 돌기(22a)가 상기 체결부(10)의 각 가이드 홈(12a)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20)이 회전되면서, 각 탄성편(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각 관통홀(24)이 체결부(10)의 각 삽입홀(14)과 일치되는 위치까지 선회되는 것이며, 이때, 각 관통홀(24)에 삽입되어 있던 플러그 단자(T)가 삽입홀(14)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플러그 단자(T)를 빼내게 되면, 상기 회전판(20)과 체결부(10)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각 걸림바(22)가 각 탄성편(12)의 돌출단부(12b)에 걸리게 되는 위치까지, 상기 회전판(20)이 회전되어 초기와 같은 폐쇄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의하여, 콘센트 어셈블리에 플러그가 결합되어 있지 않는 동안에는, 회전판에 의하여 각 삽입홀이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쇼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판의 각 관통홀에 플러그 단자에 의하여 탄성편이 동시에 눌러질 때에만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어 플러그 단자가 결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어린이의 장난에 의하여 콘센트 어셈블리에 젓가락 등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콘센트 어셈블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플러그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삽입홀을 갖는 체결부를 원형으로 함몰시켜 형성하되, 그 중앙에 회전홀이 천공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삽입홀과 일치되는 한 쌍의 관통홀을 천공하며, 저면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의 회전홀에 결합되도록 회전축을 하향 돌설하고 있는 개폐용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의 관통홀이 상기 첵려부의 삽입홀과 어긋나는 위치로 상기 회전판을 리턴시키는 스프링; 을 구비하는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원형으로 함몰된 상부 플레이트의 체결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홀과 이격된 위치에 호형 절개면을 이루며 그 단부가 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설치하되, 상기 각 탄성편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상기 개폐용 회전판의 주연에는 상기 탄성편의 돌출된 선단에 의해 규제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걸림바를 돌설하는 한편,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부상의 각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회전판을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KR2019970020554U 1997-07-30 1997-07-30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Expired - Lifetime KR200218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54U KR200218582Y1 (ko) 1997-07-30 1997-07-30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54U KR200218582Y1 (ko) 1997-07-30 1997-07-30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52U KR19990007052U (ko) 1999-02-25
KR200218582Y1 true KR200218582Y1 (ko) 2001-04-02

Family

ID=5389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554U Expired - Lifetime KR200218582Y1 (ko) 1997-07-30 1997-07-30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5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41A3 (ko) * 2009-07-29 2011-04-21 Chong Song-In 회전식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529B1 (ko) * 2000-01-27 2002-03-15 주용섭 매립형 콘센트
KR100367420B1 (ko) * 2000-01-27 2003-01-14 주식회사 신안이텍 매립형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41A3 (ko) * 2009-07-29 2011-04-21 Chong Song-In 회전식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52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83B1 (ko) 콘센트
US6767228B2 (en) Internal safety cover and method to prevent electrical shock
US5391085A (en) Electrical socket assembly including safety device
KR20050113133A (ko) 방수 안전 콘센트
KR200218582Y1 (ko)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KR200256742Y1 (ko) 콘센트
KR200218583Y1 (ko)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KR101929208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유닛
KR20010068857A (ko) 안전콘센트
KR102011012B1 (ko) 기능성 콘센트 커버
KR100920673B1 (ko) 안전 콘센트 장치
KR100389806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183052Y1 (ko) 220v용 콘센트 플레이트의 이중개폐장치
KR200490628Y1 (ko) 안전 회전자가 구비된 콘센트
KR0136803Y1 (ko) 안전용 콘센트
KR200194388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145523Y1 (ko) 200v 콘센트 내의 회전 안전 보호대
KR20210058385A (ko) 안전 멀티탭 콘센트
KR20130030166A (ko) 회전형 멀티 콘센트
JP2000123906A (ja) 栓刃差込口閉塞型プラグ抜止コンセント
KR200198488Y1 (ko) 안전 접속기
KR19990039173U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08963Y1 (ko) 밀폐용 도어핸들
KR200142700Y1 (ko) 콘센트 안전 장치
KR200291655Y1 (ko) 커버부재를 갖는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7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3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1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