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03661Y1 -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 Google Patents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61Y1
KR200203661Y1 KR2020000018626U KR20000018626U KR200203661Y1 KR 200203661 Y1 KR200203661 Y1 KR 200203661Y1 KR 2020000018626 U KR2020000018626 U KR 2020000018626U KR 20000018626 U KR20000018626 U KR 20000018626U KR 200203661 Y1 KR200203661 Y1 KR 200203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box
wire mesh
lower wire
b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to KR2020000018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6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36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 E04C5/064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the reinforcing elements in each plane being formed by, or forming a, mat of longitunal and transverse 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매립박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량한 배근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매립철근을 대신하여 그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를 확실하게 보강하여 줌으로써,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에 균열이 생성됨을 억제하여서 시공된 슬라브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주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상,하부에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격자형으로서 수평공간(A)들이 확보되도록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철망(10)(20)과,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수평공간(A)들 중 어느 하나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직공간(B)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덮개철망(30)과, 상기 하부철망(20) 하부의 일정위치마다 부착되어서 전체를 수평하게 지지하여 주는 복수의 스페이서(40)들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A Mesh for Preventing Cracks on Concrete Slab}
본고안은 매립박스가 매설된 주변의 슬라브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주어서 균열이 발생됨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건축물의 슬라브에는 옥내용 전선을 배선하기 위하여 전기박스를 매설하여 왔으며, 이러한 전기박스는 주변의 슬라브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전기박스(이하, 매립박스라 칭함)는 슬라브거푸집 위에 설치한 후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경화 양생된 슬라브의 단면내에 매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브의 단면내에 매립박스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도1의 도시와 같이, 작업자가 슬라브거푸집(2) 위에 미리 배근되어 있는 상부 매립철근(3)과 하부 매립철근(4)을 들어올리고 배근간격을 강제로 넓혀서 슬라브거푸집(2) 위에 매립박스(1)를 안치시키게 되고, 더욱이 슬라브거푸집(2)에 매립박스(1)를 안치시킨 후에는 그 매립박스(1) 위에 얹혀져서 있는 하부 매립철근(4)을 상향 굴곡시켜서 이격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매립박스 설치과정에 따른 결과로 그 매립박스(1) 주변의 슬라브(5) 단면내에 위치한 상부 매립철근(3)과 하부 매립철근(4)은 배근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었으며, 하부 매립철근(4)의 경우에는 슬라브(5) 단면내의 중간에 편중되게 위치되어서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필요이상 증가되므로, 매립박스(1) 주변의 슬라브(5)가 원래의 구조적강도 및 하중감당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에 인장응력이 작용되면 구조적강도 및 하중감당능력이 취약한 부위로부터 쉽게 균열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일단 발생된 균열은 매립박스에 연결 배관되는 전선관을 따라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서 슬라브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매립박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량한 배근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부 및 하부 매립철근을 대신하여 매립박스를 중심으로 주변의 슬라브를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에 균열이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주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매립박스 주변의 시공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고안의 균열방지용 보강망을 나타낸 사시도
도3는 본고안의 균열방지용 보강망을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4는 도2의 'C'부 확대단면도
도5는 본고안의 균열방지용 보강망의 시공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상부 및 하부철망 10a: 수직철근
11, 21: 종방향 철근 12, 22: 횡방향 철근
A: 수평공간 30: 덮개철망
31: 기둥철근 32: 연결철근
33: 결속선 B: 수직공간
40: 스페이서 41: 종측끼움홈
42: 횡측끼움홈 43: 접지부
본고안의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은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부에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격자형으로서 수평공간(A)들이 확보되도록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철망(10)(20)과,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수평공간(A)들 중 어느 하나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직공간(B)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덮개철망(30)과, 상기 하부철망(20) 하부의 일정위치마다 부착되어서 전체를 수평하게 지지하여 주는 복수의 스페이서(40)들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고안의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철망은 도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중구조로서 수평공간(A)이 확보되도록 조립된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을 기본골격으로하여, 내부에 수직공간(B)이 형성된 덮개철망(30)과 함께 상기 하부철망(20)을 떠받쳐주는 스페이서(40)들을 갖추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고안은 매립박스(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량한 배근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매립철근(3)(4)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매립박스(1) 주변의 슬라브(5)를 견고하게 보강하여 줌으로써, 매립박스(1) 주변의 슬라브(5)에 균열이 생성됨을 억제하여서 시공된 슬라브(5)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매립박스(1)를 중심으로 주변의 슬라브(5)를 수평방향으로 보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각각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 22)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되게 고정시켜서 격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 22)들 사이의 교차지점마다 수직철근(10a)을 고정시켜서 수평공간(A)들이 확보되도록 조립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매립박스(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매립박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향 절곡된 하부 매립철근(4)을 대신하여 슬라브(5)의 단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보강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평공간(A)은 슬라브거푸집(2)에 고정 설치된 매립박스(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서,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이 매립박스(1)를 중심으로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매립박스(1)의 크기를 감안하여 그 각각의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 22)들의 배치간격을 설정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중앙부에 매립박스(1)가 여유롭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수평공간(A)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덮개철망(30)은 매립박스(1)의 상부를 감싸서 슬라브(5)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보강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이 덮개철망(30)은 사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철근(31)들의 상단부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연결철근(32)들로서 박스형으로 조립된 내부에 수직공간(B)이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덮개철망(30)은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 중앙부의 수평공간(A)에 끼워져서 위치되는 매립박스(1)의 상부를 감싸서, 그 매립박스(1)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매립박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향 절곡된 하부 매립철근(4)을 대신하여 슬라브(5)의 단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보강하게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철망(30)은 사방의 기둥철근(31)들을 상기 수평공간(A) 내에 끼우고, 그 기둥철근(31)들과 맞닿아지는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수직철근(10a)들을 결속선(33)으로 결박시켜서 조립 설치되도록 한다.
스페이서(40)들은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을 슬라브(5) 단면내에 예정된 콘크리트 피복두께로서 정확하게 매립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이 스페이서(40)는 도4의 도시와 같이,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된 원통체의 상부 일정위치에 종측끼움홈(41)을 요입 형성하되, 그 종측끼움홈(41) 보다 약간 낮게 가로지르는 횡측끼움홈(42)을 요입 형성하여서, 상기 하부철망(20)의 종방향 철근(21)과 횡방향 철근(22)의 교차부위에 끼워져서 착설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40)는 상기 하부철망(20)의 하부에 착설되어서 그 하부철망과 함께 상부철망(10)을 동시에 슬라브거푸집(2)으로부터 소요 높이로 지지하여 주어서, 시공된 슬라브(5) 단면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이 예정된 콘크리트 피복두께로 매립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0)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곡률로서 만곡지게 접지부(43)를 형성하여, 슬라브거푸집(2)에 맞닿아지는 스페이서(40) 하단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시공된 슬라브(5)의 바닥면에 노출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매립박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불량한 배근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및 하부 매립철근을 대신하여 그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를 확실하게 보강하여 줌으로써,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에 균열이 생성됨을 억제하여서 시공된 슬라브 전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상,하부에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격자형으로서 수평공간(A)들이 확보되도록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철망(10)(20)과,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수평공간(A)들 중 어느 하나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수직공간(B)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덮개철망(30)과, 상기 하부철망(20) 하부의 일정위치마다 부착되어서 전체를 수평하게 지지하여 주는 복수의 스페이서(4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은 각각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 22)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되게 고정시켜서 격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 및 하부철망(10)(20)의 종방향 철근(11, 21)들 및 횡방향 철근(12, 22)들 사이의 교차지점마다 수직철근(10a)을 고정시켜서 수평공간(A)들이 확보되도록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철망(30)은 사방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철근(31)들의 상단부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연결철근(32)들로서 박스형으로 조립된 내부에 수직공간(B)이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0)는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된 원통체의 상부 일정위치에 종측끼움홈(41)을 요입 형성하되, 그 종측끼움홈(41) 보다 약간 낮게 가로지르는 횡측끼움홈(42)을 요입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KR2020000018626U 2000-06-29 2000-06-29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Expired - Fee Related KR200203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26U KR200203661Y1 (ko) 2000-06-29 2000-06-29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26U KR200203661Y1 (ko) 2000-06-29 2000-06-29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61Y1 true KR200203661Y1 (ko) 2000-11-15

Family

ID=1966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3661Y1 (ko) 2000-06-29 2000-06-29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6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37B1 (ko) * 2001-12-03 2005-07-25 이창남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KR100766381B1 (ko) 2006-04-07 2007-10-17 김근수 건축용 전선 유도관 보호 및 고정장치
KR200449970Y1 (ko) 2008-06-10 2010-08-30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전기매립박스
KR101315679B1 (ko) 2012-05-14 2013-10-14 대원전기 주식회사 박스 충진토를 이용한 배관공사가 생략된 케이블 배선공사의 무배관 콘크리트 직매 시공방법.
KR102672393B1 (ko) * 2024-02-07 2024-06-0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건축물 주차장 바닥의 균열제어 스패셔 설치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37B1 (ko) * 2001-12-03 2005-07-25 이창남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KR100766381B1 (ko) 2006-04-07 2007-10-17 김근수 건축용 전선 유도관 보호 및 고정장치
KR200449970Y1 (ko) 2008-06-10 2010-08-30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전기매립박스
KR101315679B1 (ko) 2012-05-14 2013-10-14 대원전기 주식회사 박스 충진토를 이용한 배관공사가 생략된 케이블 배선공사의 무배관 콘크리트 직매 시공방법.
KR102672393B1 (ko) * 2024-02-07 2024-06-0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건축물 주차장 바닥의 균열제어 스패셔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1048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보호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KR101765334B1 (ko) 이음 부분이 숨겨진 커플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KR102144400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용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7021763B2 (ja) スラブ施工方法
KR101480275B1 (ko) 입체형 수평전단 연결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KR100901766B1 (ko) 1방향 하프pc를 이용한 2방향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808058B1 (ko) 정착 강도를 증강시킨 병렬 전단벽 커플링 보
KR200203661Y1 (ko) 매립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KR101329443B1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133886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층간 슬래브 시공방법
KR101181160B1 (ko) 프리스트레싱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긴장 및 정착 구조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KR10161540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슬래브 요소
KR101044730B1 (ko) 상부 인장력과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을 포함하고, 배관, 전선 또는 통신선 등이 지나가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보
KR101041363B1 (ko)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3180681U (ja) 鉄筋構造及びその鉄筋構造によるプレキャスト板
KR10170794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8087B1 (ko) 강선재 매립형 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교량 설치방법
KR100403989B1 (ko)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피씨플레이트
KR101389821B1 (ko) 매립형 추가 긴장부가 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 및 보수공법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0619233B1 (ko)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KR102280675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중공pc 바닥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30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1051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