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155A - 조명 광학계 및 그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조명 광학계 및 그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84155A KR20020084155A KR1020027011207A KR20027011207A KR20020084155A KR 20020084155 A KR20020084155 A KR 20020084155A KR 1020027011207 A KR1020027011207 A KR 1020027011207A KR 20027011207 A KR20027011207 A KR 20027011207A KR 20020084155 A KR20020084155 A KR 200200841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optical system
- light
- illumination optical
- lens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02B27/102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for use with reflective spatial light modula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02B27/104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for use with transmissive spatial light modula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raction only
- G02B27/123—The splitting element being a lens or a system of lenses, including arrays and surfaces with refractive pow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5—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having sequential partially reflecting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9—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crossed beamsplitting surfaces, e.g. cross-dichroic cubes or X-cub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02B27/28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comprising arrays of elements, e.g. micropris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05—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all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프로젝터는 조명 광학계와, 광변조 장치와, 투사 광학계와, 조명 광학계로부터 투사 광학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는 기본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조명 광학계(300)는 광원(20)과, 렌즈 어레이(320)와, 중첩 렌즈계(3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본 프레임은 중첩 렌즈계(37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중첩 렌즈계(370)는 적어도 2개의 렌즈(371, 372)를 포함하고 있다. 광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렌즈(371)가 마련되어 있고,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렌즈(372)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도 11은 종래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이 프로젝터는 조명 광학계(520)와, 색광 분리 광학계(530)와, 릴레이 광학계(540)와, 3개의 액정 패널(550R, 550G, 550B)과,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560)과, 투사 광학계(570)를 구비하고 있다.
조명 광학계(520)는 광원 유닛(510)과, 제 1 및 제 2 렌즈 어레이(521, 522)와, 편광 변환 소자(523)와, 중첩 렌즈(52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521)는 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고 있고, 광원 유닛(510)으로부터의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한다. 제 2 렌즈 어레이(522) 및 중첩 렌즈(524)는 제 1 렌즈 어레이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 상에 결상시킨다. 또한, 중첩 렌즈(524)는 각 광 선속을 액정 패널(550R, 550G, 550B) 상에 중첩시킨다. 또, 편광 변환 소자(523)에 의해서, 조명 광학계(520)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편광 방향은한 종류의 편광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되어 있다.
조명 광학계(520)로부터 사출된 광 W는, 색광 분리 광학계(530)에서 빨강(R), 초록(G), 파랑(B)의 3개의 색광으로 분리된다. 각 색광 R, G, B는 각각 평행화 렌즈(534, 535, 536)를 거쳐서 3개의 액정 패널(550R, 550G, 550B)로 입사된다. 또한, 청색광 B는 릴레이 광학계(540)를 통하여 액정 패널(550B)로 입사된다. 액정 패널(550R, 550G, 550B)은 인가된 화상 정보에 따라서 각 색광 R, G, B를 변조한다. 변조된 각 색광은,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560)에 의해서 합성되며, 합성 광은, 투사 광학계(570)에 의해서 스크린 상에 투사된다.
프로젝터는 상기의 각 광학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광학 부품은 기본 프레임에 마련된 요부나 철부 등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젝터에서는 기종에 따라서 광학계나 기본 프레임이 변경되어 있다. 예컨대, 기종에 따라서 투사 광학계나 액정 패널 등이 변경되며, 이 변경에 따라 조명 광학계도 변경된다. 그리고, 프로젝터의 광학계의 변경에 따라 기본 프레임도 변경된다. 즉, 종래에는 광학계가 상이한 기종마다 전용의 기본 프레임이 준비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프로젝터의 설계 변경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문제는 프로젝터에 한하지 않고 조명 광학계를 구비한 장치에 공통이다.
본 발명은 조명 광학계 및 이것을 이용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젝터(투사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명 광학계(300)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제 1 렌즈 어레이(320)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제 1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제 1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차광판(350)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중첩 렌즈계(370)의 기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기본 프레임에 중첩 렌즈계(370)가 탑재되었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첩 렌즈계(370A)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유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2 렌즈(372)를 기본 프레임에 탑재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종래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젝터 등의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장치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장치는, 소정의 조명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광학계에 있어서, 광원과, 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광 선속을 상기 소정의 조명 영역 상에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와, 적어도 상기 렌즈 어레이로부터 상기 중첩 렌즈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으로서, 적어도 상기 중첩 렌즈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중첩 렌즈계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렌즈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렌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명 광학계에서는,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중첩 렌즈계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없이,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나 배율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기종 사이에서 공통의 기본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어, 이 결과, 조명 광학계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젝터 등의 장치가 이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종에 따른 장치의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첩 렌즈계는 2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중첩 렌즈계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중첩 렌즈계의 설계 변경이 용이해 진다. 또, 중첩 렌즈계는 3개 이상의 렌즈를 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렌즈의 사이에는 광의 진행 방향을 굴곡시키기 위한 미러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이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프로젝터 등의 장치를 조밀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혹은,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렌즈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상기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렌즈를 용이하게 기본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기본 프레임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기본 프레임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부와 제 2 안내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안내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프레임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는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조정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상기 광축의 방향의 위치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조명 영역과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에,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을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으로 정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을 거쳐서 상기 기본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상기 제 2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 마련된 제 2 렌즈는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의 형성 위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면,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을 소정의 조명 영역에 비교적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와 상기 중첩 렌즈계 사이에는 상기 조명 광학계에서 사출된 광의 편광 방향을 가지런하게 하기 위한 편광 변환 소자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조명 광학계에서 사출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갖출 수 있다.프로젝터가 이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장치는 프로젝터로서, 조명 광학계와, 상기 조명 광학계에서 인가된 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기 위한 광변조 장치와, 상기 변조된 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와, 상기 조명 광학계로부터 상기 투사 광학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는 기본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조명 광학계는 광원과, 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광 선속을 상기 광변조 장치 상으로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를 구비하며, 상기 기본 프레임은 적어도 상기 중첩 렌즈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첩 렌즈계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렌즈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렌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젝터는 본 발명의 제 1 장치인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종에 따른 프로젝터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광변조 장치는 액정 패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3 장치는 소정의 조명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광학계로서, 광원과, 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광 선속을 상기 소정의 조명 영역 상으로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를 구비하며, 상기 중첩 렌즈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는, 다른 초점 거리를 갖는 렌즈와 교환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명 광학계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장치와 같이,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가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종에 따른 조명 광학계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젝터 등의 장치가 이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종에 따른 장치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 제 1 실시예:
A-1.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로젝터(투사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프로젝터는 조명 광학계(300)와, 색광 분리 광학계(380)와, 릴레이 광학계(390)와, 3개의 액정 패널(41OR, 410G, 41OB)과,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420)과, 투사 광학계(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명 광학계(300)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조명 광학계(300)는 광원 유닛(20)과, 제 1 및 제 2 렌즈 어레이(320, 340)와, 차광판(350)과,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와, 중첩 렌즈계(370)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 유닛(20)은, 광원 램프(210)와 요면경(凹面鏡)(212)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 램프(210)로부터 방사상으로 사출된 광(방사광)은, 요면경(212)에 의해서 반사된다. 반사광은 거의 평행한 광 선속으로서, 제 1 렌즈 어레이(320)를 향해서 사출된다. 또, 광원 램프(210)로서는 할로겐 램프나,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요면경(212)으로서는 포물면 거울을 이용할수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320)는 광원 유닛(20)으로부터 사출된 거의 평행한 광 선속을 복수의 부분 광 선속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3은 제 1 렌즈 어레이(320)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정면도이며, 도 3(b)는 측면도이다. 제 1 렌즈 어레이(320)는 세로 방향으로 2×N 열(여기서는 N= 4), 가로 방향으로 M 행(여기서는 M= 10)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직사각형의 소형 렌즈(321)를 갖고 있다. 각 소형 렌즈(321)를 광의 진행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형 형상은 조명 영역(피조명체)으로서의 액정 패널(41OR, 410G , 410B)의 외형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화상 형성 영역)의 종횡비(가로와 세로의 치수 비)가 4:3의 경우에는, 각 소형 렌즈(321)의 종횡비도 4:3으로 설정된다.
제 2 렌즈 어레이(340)(도 2)는 중첩 렌즈계(370)와 같이, 제 1 렌즈 어레이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 상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 2 렌즈 어레이(340)는 제 1 렌즈 어레이(320)와 거의 동일하며, 제 1 렌즈 어레이(320)를 구성하는 소형 렌즈 수와 동일한 수의 소형 렌즈(341)를 갖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렌즈 어레이(320, 340)는 인테그레이터 렌즈라고도 한다.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도 2)는 2개의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1, 362)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이하, 단지 「부분 소자 어레이」라고도 한다)는 광축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제 1 부분 소자 어레이(361)에 주목하여 설명하지만, 제 2 부분 소자 어레이(36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제 1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부분 소자 어레이(361)는 편광 빔 스플리터 어레이(363)와, 편광 빔 스플리터 어레이(363)의 광 사출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λ/2 위상차판(364)(λ은 광의 파장)을 구비하고 있다. 편광 빔 스플리터 어레이(363)는 평행 사변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의 투광성 부재(365)가 복수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투광성 부재(365)의 계면에는 편광 분리막(366)과 반사막(367)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λ/2 위상차판(364)은 편광 분리막(366)에 대응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부분 소자 어레이(361)는 입사한 편향이 없는 광을 1 종류의 직선 편광광(s 편광광 또는 p 편광광)으로 변환하여 사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제 1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분 소자 어레이(361)의 광입사면에 입사한 s 편광 성분과 p 편광 성분을 포함하는 편향이 없는 광(랜덤인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편광 분리막(366)에 의해서 s 편광광과 p 편광광으로 분리된다. s 편광광은 편광 분리막(366)에 의해서 반사되며, 또한 반사막(367)에 의해서 반사된 후에 사출된다. 한편, p 편광광은 편광 분리막(366)을 투과하고, λ/2 위상차판(364)에 의해서 s 편광광으로 변환된 후에 사출된다. 따라서, 부분 소자 어레이(361)로부터는 s 편광광만이 사출된다. 또, 부분 소자 어레이(361)로부터 p 편광광만을 사출시키는 경우에는, λ/2 위상차판(364)을 반사막(367)에 대응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면 된다. 또,λ/2 위상차판 대신에 λ/4 위상차판을 이용하여 편광 방향을 가지런하게 해도 된다. 또한, 소망하는 위상차판을 p 편광광의 사출면과 s 편광광의 사출면의 쌍방에 마련하여 편광 방향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웃이 되는 1조의 편광 분리막(366) 및 반사막(367)과, 하나의 λ/2 위상차판(364)을 포함하는 블럭은 하나의 편광 변환 소자(368)로 간주할 수 있다. 제 1 부분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1)는 이 편광 변환 소자(368)가 광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차광판(350)(도 2)은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의 입사면 중, 편광 분리막(366)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광을 입사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6은 차광판(35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차광판(350)은 거의 직사각형의 판 형상체에 복수의 개구부(351)가 마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중첩 렌즈계(370)(도 2)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렌즈(371, 372)를 포함하고 있고,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로부터 사출된 복수의 부분 광 선속을 액정 패널(410R, 410G, 41OB) 상에 중첩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조명 광학계(300)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렌즈(371)와 제 2 렌즈(372) 사이에는 미러(379)가 배치되어 있다. 미러(379)는 제 1 렌즈(371)로부터 사출된 광을 거의 직각으로 굴곡시켜 색광 분리 광학계(380) 방향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미러(379)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미러(379)는 생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20)으로부터 사출된 거의 평행한 광 선속은 제 1 렌즈 어레이(320)에 의해서 복수의 부분 광 선속(202)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각 부분 광 선속(202)은 제 2 렌즈 어레이(340)를 거쳐서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의 편광 분리막(366)의 근방에서 집광된다.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에 입사한 복수의 부분 광 선속은 1종류의 직선 편광광으로 변환되어 사출된다. 그리고, 편광 변환 소자 어레이(360)로부터 사출된 복수의 부분 광 선속은, 중첩 렌즈계(370)에 의해서 액정 패널(41OR, 41OG, 41OB) 상에 중첩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광학계에서 사출되는 광은 1종류의 편광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에 있어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색광 분리 광학계(380)(도 1)는 2개의 다이클로익 미러(382, 386)와, 반사 미러(384)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명 광학계(300)로부터 사출된 광을, 빨강, 초록, 파랑의 3개의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 1 다이클로익 미러(382)는 조명 광학계(300)로부터 사출되는 광 중, 적색광 성분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청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을 반사시킨다. 제 1 다이클로익 미러(382)를 투과한 적색광은 반사 미러(384)에서 반사되며, 평행화 렌즈(400)를 통하여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410R)에 도달한다. 평행화 렌즈(400)는 조명 광학계(300)로부터 사출된 각 부분 광 선속을, 그 주 광선(중심의 광선)에 대하여 평행한 부분 광 선속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다른 액정 패널(410G, 410B)의 광입사면측에 마련된 평행화 렌즈(402, 40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다이클로익 미러(382)에서 반사된 청색광 성분 및 녹색광 성분을 포함하는 광 중, 제 2 다이클로익 미러(386)에 의해서 반사된 녹색광은, 평행화 렌즈(402)를 통하여 녹색광용의 액정 패널(410G)에 도달한다. 한편, 제 2 다이클로익 미러(386)를 투과한 청색광은 릴레이 광학계(390), 즉, 입사측 렌즈(392)와 제 1 반사 미러(394)와 릴레이 렌즈(396)와 제 2 반사 미러(398)를 지나며, 또한 평행화 렌즈(404)를 통하여 청색광용의 액정 패널(41OB)에 도달한다. 또, 릴레이 광학계는 광의 확산 등에 기인하는 청색광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3개의 액정 패널(410R, 410G, 410B)은, 인가된 화상 정보(화상 신호)에 따라서, 광을 변조하는 기능을 갖는 광변조 장치(광변조 소자)이다. 3개의 액정 패널에 입사한 각 색광은, 인가된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되어,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한다. 또, 각 액정 패널의 광입사면측 및 광사출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편광판이 마련되어 있다. 액정 패널과 2개의 편광판의 세트는 액정 라이트 밸브라고 한다.
3개의 액정 패널(410R, 410G, 410B)에서 사출된 3색의 변조광은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420)에 입사한다.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420)은 3색의 변조광을 합성하여, 컬러 화상을 나타내는 합성광을 생성한다. 즉,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420)은 색광 합성 프리즘으로서 기능한다. 합성광은 투사 광학계(40)의 입사 방향으로 사출된다.
투사 광학계(4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조립체이다. 투사 광학계(40)는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420)에서 얻어진 합성광을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 상에 컬러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는 복수의 광학 부품(광학 소자)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광 도파로(light guide)」라고도 한다)을 구비하고 있다. 각 광학 부품은 기본 프레임에 마련된 요부나 철부 등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기본 프레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A-2. 조명 광학계의 설계: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에서는 기종에 따라서 광학계가 변경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종에 따라서 투사 광학계나 액정 패널 등이 변경되어 있고, 이 변경에 따라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나 배율 등이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프로젝터의 광학계의 변경에 따라 기본 프레임도 변경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광학계가 상이한 기종마다 전용의 기본 프레임이 준비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전용의 기본 프레임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중첩 렌즈계가 하나의 중첩 렌즈(524)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나 배율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중첩 렌즈(524)의 곡률을 변경함과 동시에, 그 배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미 많은 광학 부품의 배치가 결정된 기본 프레임에 있어서, 중첩 렌즈(524)의 배치를, 다른 광학 부품과 간섭하는 일없이 변경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설계 변경의 자유도는 지극히 낮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로서는, 중첩 렌즈계를 2개의 렌즈(371, 372)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설계 변경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서,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나 배율 등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른 기종사이에서 공통의 기본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결과, 프로젝터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중첩 렌즈계(370)의 기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2개의 렌즈는 소정의 거리(D)를 두고 마련되어 있다.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는 거의 f0/(2·d)로 표시된다. 여기서, 「f0」은 중첩 렌즈계(370)의 주점(제 2 주점) H로부터 상측 초점(액정 패널(410R, 410G, 410B)까지의 거리이다. 「2·d」는, 광 선속의 치수(폭)이며, 광원 유닛(20)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2개의 렌즈(371, 372)로 구성되는 중첩 렌즈계(370)는 2개의 렌즈사이에 마련된 하나의 촛점거리 f0을 갖는 가상 렌즈(콘덴서 렌즈)와 등가이다.
예컨대, 제 2 렌즈(372)의 표면을 곡율이 0인 평면이라고 상정하면, 가상 렌즈의 위치는 제 1 렌즈(371)의 위치가 된다. 이 때,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는, 거의 f1/(2·d)로 표시된다. 또, 「f1」은, 제 1 렌즈(371)로부터 액정 패널(410R, 410G, 410B)까지의 거리이며, 이 상정예에 있어서의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이다. 반대로, 제 1 렌즈(371)의 표면을 곡율이 0인 평면이라고 상정하면, 가상 렌즈의 위치는, 제 2 렌즈(372)의 위치가 된다. 이 때,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는, 거의 f2/(2·d)로 표시된다. 또, 「f2」는, 제 2 렌즈(372)로부터 액정 패널(410R, 4l0G, 410B)까지의 거리이며, 이 상정예에 있어서의 제 2 렌즈(372)의 초점 거리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2개의 렌즈(371, 372)의 표면의 곡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가상 렌즈의 위치를 2개의 렌즈(371, 372) 사이의 소망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2개의 렌즈(371, 372)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2개의 렌즈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없이,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를 소망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부의 렌즈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가상 렌즈의 위치를 2개의 렌즈의 외측의 위치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기종에 따라서 투사 광학계나 액정 패널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기종에 따라서 투사 광학계(40)의 F 넘버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즉, 투사 광학계(40)의 F 넘버는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와 거의 동일하든지 또는 그 이하로 설정된다. 이 때, 투사 광학계(40)는 조명 광학계(300)와 거의 동등 이상의 밝기를 갖는다.
투사 광학계(40)의 F 넘버를 작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도 작게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가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 제 2 렌즈(372)의 초점거리는,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상 렌즈의 위치는 액정 패널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며,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렌즈의 초점 거리는 렌즈의 굴절률이나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예컨대,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비교적 작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렌즈의 굴절률을 크게 하던지, 렌즈의 곡률(= 1/반경)을 크게 하면 좋다.
(b) 기종에 따라서 액정 패널(410R, 410G, 410B)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액정 패널은 광의 통과량을 크게하기 위해서 내부에 마이크로 렌즈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있다.
액정 패널이 마이크로 렌즈를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는 비교적 크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가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 제 2 렌즈(372)의 초점 거리는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상 렌즈의 위치는 액정 패널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설정되어,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조명 광학계의 밝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마이크로 렌즈에 있어서 광의 확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패널이 매크로 렌즈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는 비교적 작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가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 제 2 렌즈(372)의 초점 거리는,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상 렌즈의 위치는 액정 패널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로 설정되어,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액정 패널은 조명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 기종에 따라서 액정 패널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배율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조명 광학계(300)의 배율이란 제 1 렌즈 어레이(320)의 각 소형 렌즈(321)의 사이즈에 대한 액정 패널(410R, 410G, 410B)의 사이즈의 비를 의미하고 있다. 배율은 제 1 렌즈 어레이(320)의 각 소형 렌즈(321)의 초점 거리를 fa 라고 하면, 거의 f0/fa 로 표시된다.
액정 패널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배율도 크게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렌즈(372)의 초점 거리가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는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액정 패널의 사이즈를 작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300)의 배율도 작게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렌즈(372)의 초점 거리가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는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종에 따라 액정 패널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고, 또한 제 1 렌즈 어레이(320)의 각 소형 렌즈(321)의 사이즈나 초점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주로, 광원 유닛(20)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제 1 렌즈(371)의 초점 거리가 변경된다.또한, 조명 광학계(300)의 배율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주로 광원 유닛(20)에 비교적 먼 위치에 마련된 제 2 렌즈(372)의 초점 거리가 변경된다. 이것은, 제 1 렌즈(371)는 제 2 렌즈(372)보다도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를 변경하는 능력이 높고, 제 2 렌즈(372)는 제 1 렌즈(371)보다도 조명 광학계(300)의 배율을 변경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광원 유닛(20)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는 제 1 렌즈(371)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비교적 먼 위치에 마련되는 제 2 렌즈(372)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8은 기본 프레임에 중첩 렌즈계(370)가 탑재되었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의 본체 내부에 있어서,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2개의 렌즈(371, 372)는 기본 프레임(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본 프레임(100)에는 2개의 렌즈(371, 37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로서, 2개의 홈(l10, 130)과 2개의 입벽(120, 140)이 마련되어 있다. 또, 2개의 홈(110, 130) 사이의 거리 및 2개의 입벽(120, 140) 사이의 거리는 소정의 거리 D(도 7)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렌즈(371)는 입벽(120)과 제 1 렌즈(371) 사이를 유지하는 탄성 클립(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렌즈(372)는 입벽(140)과 제 2 렌즈(372) 사이를 유지하는 탄성 클립(1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입벽(120, 140)에는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121, 1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각 렌즈(371, 372)를, 탄성 부재의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본 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하는 것에 의해, 각 렌즈(371, 372)를 다른 초점 거리를 갖는 (다른 곡률을 갖는) 렌즈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는 조명 광학계(300)와, 조명 광학계에서 인가된 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기 위한 액정 패널(41OR, 410G, 410B)과, 변조된 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40)와, 조명 광학계에서 투사 광학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것에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는 기본 프레임(10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명 광학계(300)는 광원 유닛(20)과, 복수의 소형 렌즈(321)를 포함하고, 광원 유닛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에 분할하기 위한 제 1 렌즈 어레이(320)와, 복수의 광 선속을 액정 패널상에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370)를 구비하고 있다. 기본 프레임(100)은 중첩 렌즈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홈(110, 130)이나 입벽(120, 140) 등의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중첩 렌즈계(370)는 2개의 렌즈(371, 372)로 구성되어 있고, 광원 유닛(20)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는 제 1 렌즈(371)가 마련되어 있고, 광원 유닛(20)에 비교적 먼 위치에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는 제 2 렌즈(372)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 프레임(100)은 조명 광학계에서 투사 광학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조명 광학계만을 탑재하는 부분 기본 프레임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부분 기본 프레임은 적어도 제 1 렌즈 어레이로부터 중첩 렌즈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한다. 그리고, 부분 기본 프레임은 또한, 전체 기본 프레임에 탑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젝터에서는, 투사 광학계나 액정 패널의 변경에 따라서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중첩 렌즈계(370)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없이, 조명 광학계(300)의 F 넘버나 배율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기종 사이에서, 공통의 기본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결과, 프로젝터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광학계의 변경에 따라, 프로젝터 전체의 광학계의 사이즈가 변경되지 않고 완료되는 이점도 있다.
또,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중첩 렌즈계는 하나의 렌즈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렌즈의 두께는 커지는 경향이 있다. 렌즈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수차에 의해서, 표시되는 화상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첩 렌즈계는 비교적 얇은 2개의 렌즈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차를 작게 하여, 표시 화상의 변형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의 전역을 조사하도록 조명 광학계의 배율이 결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그 유효 표시 영역의 전역이 조사되지 않고서 소위 표시 그림자가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변경하여,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의 전역에 광이 조사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B. 제 2 실시예: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첩 렌즈계(370A)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중첩 렌즈계(370A)는 3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예의 2개의 렌즈(371, 372) 사이에, 제 3렌즈(오목 렌즈)(373)가 추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3개 이상의 렌즈로 중첩 렌즈계(370A)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중첩 렌즈계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또, 제 1 실시예와 같이, 중첩 렌즈계를 2개의 렌즈로 구성하면 구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중첩 렌즈계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중첩 렌즈계가 3개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광원 유닛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는 제 1 렌즈가 마련되고, 광원 유닛에 가장 먼 위치에는 주로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는 제 2 렌즈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는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기본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제 3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각 렌즈(371, 372)는 기본 프레임(100)에 직접 탑재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유지 프레임을 통하여 탑재되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유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 2 렌즈(372)를 기본 프레임에 탑재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렌즈(372)는 유지 프레임(70)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렌즈(372)는 그 주 둘레가 유지 프레임(70) 내에 끼워 넣어져 있고, 그 바닥부가 클리프(79)로 고정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70)의 양측면에는, 유지 프레임(70)을 기본 프레임(100A)으로 안내하기 위한 계합부(제 1 안내부)(7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기본 프레임(100A)에는, 유지 프레임(70)의 2개의 계합부(71)와 계합하는 2개의 피계합부(제 2 안내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피계합부(101)는 윗쪽으로 개구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71)는, 윗쪽으로부터 피계합부(101) 내에 삽입되며, 계합부(71)와 피계합부(101) 사이에는 틈(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부(71)와 피계합부(101) 사이에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즉,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계합부(71)와 피계합부(101) 사이에는, 전후 방향(즉,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틈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틈의 치수는, 좌우 방향으로 ±1mm 내지 ±2mm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프레임(70)의 하면에는, 2개의 원주형상의 철부(72)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기본 프레임(100A)의 저면에는, 유지 프레임(70)의 2개의 철부(72)와 계합하는 2개의 긴 구멍(l02)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긴 구멍(l02)의단변은 광축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긴 변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긴 구멍(102)의 단변의 치수는 원주형상의 철부(72)의 직경 치수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70)의 상면에는, 지그에 의한 유지 프레임의 취급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구멍(73)에는, 지그를 구성하는 한 쌍의 클로우(claw)(90)의 선단부가 각각 삽입된다. 지그는 한 쌍의 클로우(90)의 선단부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것에 의해, 유지 프레임(70)을 쥐거나 풀거나 할 수 있다.
유지 프레임(70)이 지그에 의해서 기본 프레임(100A)에 탑재되면, 유지 프레임(70)의 계합부(71)가 기본 프레임(100A)의 피계합부(101)에 계합되고, 유지 프레임(70)의 철부(72)가 기본 프레임(100A)의 긴 구멍(l02)에 계합된다. 이 때, 유지 프레임(70)(제 2 렌즈(372))은 기본 프레임(100A)에 대하여,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틈의 치수만큼 이동되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그리고, 유지 프레임(70)을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제 2 렌즈의 위치 조정이 행하여진다. 또, 이 위치 조정 작업은, 예컨대, 지그를 삼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제 2 렌즈의 위치 조정이 종료하면, 유지 프레임(70)은 기본 프레임(100A)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계합부(71)의 측면(피계합부(101)와 근접하는 측면)에는 접착제가 충전되는 요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요부(75)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계합부(71)와 피계합부(101)가 접착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렌즈(372)는 유지 프레임(70)을 통하여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를 용이하게 기본 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70)과 기본 프레임(100A)은 유지 프레임을 기본 프레임으로 안내하기 위한 2개의 계합부(71)와 2개의 피계합부(101)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계합부(71)와 피계합부(10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프레임(70)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는 소정의 간격 내에서 조정되어 있으며, 유지 프레임(70)의 광축 방향의 위치는 2개의 피계합부(101)와 2개의 긴 구멍(102)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렌즈(372)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과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벗어나는 것 같은 경우에,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을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으로 정합시킬 수 있으며, 이 결과,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프레임(70)은 중첩 렌즈계(370)를 구성하는 제 2 렌즈(372)에 적용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제 1 렌즈(371)에 적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렌즈(371)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기본 프레임(100)에 직접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유지 프레임은 적어도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 마련된 제 2 렌즈(372)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 마련된 제 2 렌즈(372)는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의 형성위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상기의 조명 광학계의 조사 영역을 액정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색광 합성 광학계로서, 4개의 삼각 기둥 형상의 직각프리즘의 접착면에 따라, 두 가지의 색 선택면이 형성된 다이클로익 프리즘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 대신에 1종류의 색 선택면이 형성된 다이클로익 프리즘이나, 편광 빔 스플리터 등을 복수 조합하여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거의 육면체의 투광성의 상자 안에 광 선택면을 마련하고, 상자 안에 액체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다이클로익 프리즘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투과형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프로젝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사형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프로젝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액정 패널 대신에 마이크로 미러형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광변조 장치는 조명 광학계에서 인가된 광을 화상정보에 따라서 변조하는 것이면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흑백사진 화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4) 프로젝터로서는, 투사상을 관찰하는 방향으로부터 투사를 행하는 전면 투사형 표시 장치와, 투사상을 관찰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에서 투사를 행하는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가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조명 광학계 및 이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등의 여러 가지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20)
- 소정의 조명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광학계에 있어서,광원과,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와,상기 복수의 광 선속을 상기 소정의 조명 영역 상에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와,적어도 상기 렌즈 어레이로부터 상기 중첩 렌즈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으로, 적어도 상기 중첩 렌즈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되,상기 중첩 렌즈계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렌즈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렌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는 2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2개의 렌즈의 사이에는 광의 진행 방향을 굴곡시키기 위한 미러가 배치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상기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프레임을 거쳐서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기본 프레임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기본 프레임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부와 제 2 안내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상기 2개의 안내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유지 프레임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는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조정되어 있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상기 광축의 방향의 위치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서 결정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 프레임을 거쳐서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상기 제 2 렌즈를 포함하는 조명 광학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와 상기 중첩 렌즈계 사이에는 상기 조명 광학계에서 사출된 광의 편광 방향을 갖추기 위한 편광 변환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조명 광학계.
- 프로젝터에 있어서,조명 광학계와,상기 조명 광학계로부터 인가된 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기 위한 광변조 장치와,상기 변조된 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와,상기 조명 광학계로부터 상기 투사 광학계까지의 광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부품을 탑재하는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며,상기 조명 광학계는,광원과,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와,상기 복수의 광 선속을 상기 광변조 장치 상에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를 구비하며,상기 기본 프레임은 적어도 상기 중첩 렌즈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고,상기 중첩 렌즈계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F 넘버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렌즈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원에 가장 먼 위치에는 주로 상기 조명 광학계의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렌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는 2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2개의 렌즈 사이에는 광의 진행 방향을 굴곡시키기 위한 미러가 배치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각 렌즈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중첩 렌즈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상기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 프레임과 상기 기본 프레임에는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기본 프레임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부와 제 2 안내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상기 2개의 안내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유지 프레임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는 상기 소정의 간격 내에서 조정되어 있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상기 광축의 방향의 위치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의해서 결정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 프레임을 거쳐서 상기 기본 프레임에 부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상기 제 2 렌즈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렌즈 어레이와 상기 중첩 렌즈계 사이에는 상기 조명 광학계에서 사출되는 광의 편광 방향을 갖추기 위한 편광 변환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프로젝터.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광변조 장치는 액정 패널인 프로젝터.
- 소정의 조명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광학계에 있어서,광원과,복수의 소형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복수의 광 선속으로 분할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와,상기 복수의 광 선속을 상기 소정의 조명 영역상에 중첩시키기 위한 중첩 렌즈계를 포함하며,상기 중첩 렌즈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이한 초점 거리를 갖는 렌즈와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052122 | 2001-02-27 | ||
JPJP-P-2001-00052122 | 2001-02-27 | ||
PCT/JP2002/001762 WO2002069018A1 (fr) | 2001-02-27 | 2002-02-26 | Systeme optique d'eclairage et projecteur utilisant ce dern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4155A true KR20020084155A (ko) | 2002-11-04 |
Family
ID=1891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1207A KR20020084155A (ko) | 2001-02-27 | 2002-02-26 | 조명 광학계 및 그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118229B2 (ko) |
EP (1) | EP1365273A4 (ko) |
JP (1) | JPWO2002069018A1 (ko) |
KR (1) | KR20020084155A (ko) |
CN (1) | CN1457446A (ko) |
TW (1) | TWI230805B (ko) |
WO (1) | WO200206901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99867A1 (en) * | 2003-05-12 | 2004-11-18 | Iljin Diamond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
KR20140008425A (ko) * | 2011-03-25 | 2014-01-21 |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34602B2 (ja) * | 2004-05-31 | 2010-09-0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投射型映像表示装置 |
EP1731955A1 (en) * | 2005-06-09 | 2006-12-13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Flash device for an electronic equip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lash device for an electronic equipment |
CN100405129C (zh) * | 2005-08-10 | 2008-07-23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投影仪及投影仪的制造方法 |
US8147070B2 (en) * | 2007-12-20 | 2012-04-03 | Seiko Epson Corporation | Projector |
JP2010088088A (ja) * | 2008-10-03 | 2010-04-15 | Fujifilm Corp | カメラモジュール |
US8284506B2 (en) * | 2008-10-21 | 2012-10-09 | Gentex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d assembling a multi-lens optical device |
US8422132B2 (en) * | 2008-12-02 | 2013-04-16 | Shanghai Lexvu Opto Micr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Integrated planar polarizing device |
JP5499618B2 (ja) * | 2009-04-22 | 2014-05-21 | ソニー株式会社 | 投射型液晶表示装置 |
JP5572355B2 (ja) | 2009-09-30 | 2014-08-1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レンズアレイ及びレンズアレイ積層体 |
JP5459092B2 (ja) * | 2010-06-17 | 2014-04-0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
CN102854721B (zh) * | 2011-06-30 | 2016-01-27 |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 投影装置及阵列透镜模组 |
JP6124653B2 (ja) * | 2013-04-04 | 2017-05-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照明光学系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
JP6252298B2 (ja) * | 2014-03-27 | 2017-12-2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照明装置 |
JP6369148B2 (ja) * | 2014-06-09 | 2018-08-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照明ユニット |
CN111505749B (zh) * | 2019-01-31 | 2023-08-15 |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 透镜阵列以及照明光学装置 |
CN211698995U (zh) * | 2019-08-26 | 2020-10-16 | 神盾股份有限公司 | 指纹感测模块与电子装置 |
JP2021189290A (ja) * | 2020-05-29 | 2021-12-1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113019C1 (de) * | 1981-04-01 | 1982-10-07 | Gebrüder Junghans GmbH, 7230 Schramberg | Stellwellen-Stellvorrichtung fuer Minuten- und Stundenzeiger einer elektronischen Armbanduhr |
JPH0638537Y2 (ja) * | 1988-10-06 | 1994-10-05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ピント合わせ装置 |
JPH07191248A (ja) | 1993-12-27 | 1995-07-28 | Chinon Ind Inc | レンズ構体 |
JPH0821938A (ja) * | 1994-07-05 | 1996-01-23 | Asahi Optical Co Ltd | レンズ構造およびレンズ枠 |
EP1063554B1 (en) * | 1994-12-28 | 2004-03-03 | Seiko Epson Corporation | Polarization luminaire and projector using it |
JP3473335B2 (ja) | 1996-08-19 | 2003-12-0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投写型表示装置 |
CN1188907A (zh) | 1996-08-19 | 1998-07-29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投影式显示装置 |
JP3791130B2 (ja) | 1996-08-19 | 2006-06-2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投写型表示装置 |
JPH1065605A (ja) | 1996-08-23 | 1998-03-06 | Sony Corp | 受信方法、タイミング検出装置及び受信装置 |
JPH10161120A (ja) | 1996-12-03 | 1998-06-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照明光学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
JP3326373B2 (ja) | 1997-10-29 | 2002-09-24 | 三洋電機株式会社 | 投写装置 |
JPH11212023A (ja) | 1997-11-18 | 1999-08-06 | Seiko Epson Corp | 照明光学系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
JP3610764B2 (ja) * | 1998-02-25 | 2005-01-1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投写型表示装置 |
TW357281B (en) * | 1998-09-02 | 1999-05-01 | Acer Peripherals Inc | Projection display device |
JP2000347153A (ja) | 1999-06-08 | 2000-12-15 | Hitachi Ltd | 投射型映像表示装置 |
DE19929403A1 (de) | 1999-06-26 | 2000-12-28 | Zeiss Carl Fa | Objektiv, insbesondere Objektiv für eine Halbleiter-Lithographie-Projektionsbelichtungsanlage und Herstellungverfahren |
JP3888039B2 (ja) | 2000-07-10 | 2007-02-2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タ |
-
2002
- 2002-02-26 KR KR1020027011207A patent/KR200200841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2-26 EP EP02700815A patent/EP136527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2-26 TW TW091103468A patent/TWI230805B/zh active
- 2002-02-26 US US10/343,939 patent/US7118229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2-26 JP JP2002568080A patent/JPWO2002069018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2-02-26 CN CN02800422A patent/CN1457446A/zh active Pending
- 2002-02-26 WO PCT/JP2002/001762 patent/WO2002069018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99867A1 (en) * | 2003-05-12 | 2004-11-18 | Iljin Diamond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
KR20140008425A (ko) * | 2011-03-25 | 2014-01-21 |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118229B2 (en) | 2006-10-10 |
JPWO2002069018A1 (ja) | 2004-07-02 |
EP1365273A4 (en) | 2006-05-31 |
WO2002069018A1 (fr) | 2002-09-06 |
TWI230805B (en) | 2005-04-11 |
US20030133078A1 (en) | 2003-07-17 |
CN1457446A (zh) | 2003-11-19 |
EP1365273A1 (en) | 2003-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0084155A (ko) | 조명 광학계 및 그것을 이용한 프로젝터 | |
EP2703886B1 (en) |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control device | |
US6669345B2 (en) | Illumination system and projector | |
JP2005070631A (ja) | 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 | |
JP4075303B2 (ja) | プロジェクタ | |
CN113631984A (zh) | 具有激光和磷光体的投影仪 | |
JP6836213B2 (ja) | 投射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 |
KR100811575B1 (ko) |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 및 투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
JP4144384B2 (ja) | プロジェクタ | |
JP6160116B2 (ja) |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 |
JP2007206567A (ja) |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製造方法 | |
JP2007025652A (ja) | 画像表示装置 | |
JP6323072B2 (ja) | 照明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 |
JP4992619B2 (ja) | 照明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 |
JP6578892B2 (ja) |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 |
JP2006276319A (ja) | 画像表示装置 | |
JP5830218B2 (ja) | 画像表示装置 | |
JP2003090981A (ja) | 照明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 |
JP2002031845A (ja) | プロジェクタ | |
JP2002139794A (ja) | 背面投射型表示装置 | |
JP6229929B2 (ja) | 照明装置および投射装置 | |
JP4487484B2 (ja) |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 |
JP2009063893A (ja) | プロジェクタ、光学素子及び光変調装置 | |
JP2001356302A (ja) | 照明光学系及びこれ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 |
JP6299207B2 (ja) | 照明装置、投射装置および光走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