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200A -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57200A KR20020057200A KR1020000087475A KR20000087475A KR20020057200A KR 20020057200 A KR20020057200 A KR 20020057200A KR 1020000087475 A KR1020000087475 A KR 1020000087475A KR 20000087475 A KR20000087475 A KR 20000087475A KR 20020057200 A KR20020057200 A KR 20020057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lcd
- mobile phone
- keypad
- us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입력에 따라 음향 정보를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여 시각장애인들도 일반인들처럼 일상생활을 편리함과 아울러 안락함을 추구 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하부면에 장착되어 각종 부품으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터리의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레벨검출기와. 상기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키가 설치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발생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입력에 따라 음향 정보를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여 시각장애인들도 일반인들처럼 일상생활을 편리함과 아울러 안락함을 추구 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설비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휴대용 소형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부품이 점차 고감도 소형화에 따라 중량 및 부피가 감소한 휴대용 소형 단말기가 소형화되고 있으며 다기능화를 실현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소형 단말기라 함은 디지털 폰, 셀룰라 폰, 피씨에스 폰등의 휴대폰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폰은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현재 이러한 휴대용 소형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타입(bar-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 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타입(flip-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타입과 폴더타입(folder-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향후에는 폴더타입 휴대폰 또는 더욱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가 각광 받을 것이다.
통상적인 플립타입 휴대폰이나 폴더타입 휴대폰이 일반화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립타입 휴대폰은 플립이 다수개의 키들을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플립타입 휴대폰은 플립 요소에 마이크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본체 소형화에 유리하다.
폴더타입 휴대폰은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키패드를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폴더타입 휴대폰은 폴더에 스피커장치나 엘시디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소형화에 대단히 유리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폴더타입 휴대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타입 휴대폰은 본체(10)와, 폴더(20)와,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연결시키는 힌지장치(30)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장치(30)는 힌지 아암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20)는 상기 본체(10)에서 회전축(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개폐된다.
상기 본체(10)는 최상부에 폴더(20)와 결합되기 위한 사이드 아암(103)이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아암(103)의 하측으로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101)가 위치한다. 상기 키패드(101)는 번호키, 전원키, 기능키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키들의 입력동작으로 데이터가 원하는 대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101)에는 시각장애자가 원하는 키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인식부(213)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최하단에는 마이크장치(102)가 설치된다.
상기 폴더(20)는 최상단에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피스(201)가 위치하고, 상기 이어피스(201) 하측으로 데이터 출력수단인 엘시디(LCD)(202)가 위치한다. 상기 엘시디(202)상에 디스플레이된 표시정보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가 통화가능영역을 이탈한 경우, 휴대폰의 엘시디(202) 모서리에는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확인할 수 있는 안테나 바(Bar)가 디스플레이되는 바, 사용자가 통화가능영역을 이탈한 경우에 안테나 수신감도가 저하되고, 사용자가 통화가능영역에 위치할 때 안테나 수신감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도록 안테나 바가 표시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듀얼(dual) 엘시디가 구비된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는 바, 폴더를 클로즈(CLOSE)한 상태에서도 엘시디 상에 디스플레이가 됨으로써 기존의 싱글 엘시디 휴대폰에서보다 배터리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휴대폰의 키패드쪽 기구면에 시각장애자를 위한 인식부분이 있었으나 사용상의 불편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키 입력에 따라 음향 정보를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여 시각장애인들도 일반인들처럼 일상생활을 편리함과 아울러 안락함을 추구 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특징은, 본체 하부면에 장착되어 각종 부품으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터리의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레벨검출기와. 상기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키가 설치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발생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폴더타입 휴대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배터리, 510 : 제어부,
520 : 배터리레벨검출기, 540 : 키패드,
550 : 음향발생부, 570 : 태양열전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은 본체(100)와, 폴더(200)와,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연결시키는 힌지장치(300)와, 상기 폴더(20)의 외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는 태양열 전지(미도시)가 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제1엘시디(40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은 휴대폰의 본체 하부면에 장착되어 각종 부품으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500)와, 상기 배터리(5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510)와, 상기 제어부(5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터리(500)의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레벨검출기(520)와, 상기 휴대폰의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Key)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키가 설치된 키패드(540)와, 상기 키패드(540)의 키입력시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음향을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발생부(550)와, 상기 휴대폰의 폴더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주는 제1엘시디(400)와, 상기 제1엘시디(400)의 하측에 형성되어태양열을 인가받아 항상 상기 제1엘시디(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열전지(570)와, 상기 휴대폰의 폴더 하부면에 장착되어 휴대폰의 사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주는 제2엘시디(580)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발생부(550)는 키패드(540)에 설치된 각각의 키마다 다른 음향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의 폴더를 접었을 경우, 상기 휴대폰의 폴더 상부면에 형성된 제1엘시디(400)는 그 하측에 형성된 태양열전지(570)에 의해 항상 온상태가 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휴대폰의 폴더 하부면에 형성된 제2엘시디(580)는 디스플레이가 되지 않으므로 엘시디쪽 전원은 오프된다.
반대로, 휴대폰의 폴더를 열었을 경우, 상기 제1,2엘시디(400)(580)는 배터리(5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 받아 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자하는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키패드(540)의 키를 눌러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540)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510)는 음향발생부(55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키에 맞는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123-4567을 눌렀을 경우 "일", "이", "삼", "사", "오", "육", "칠" 또는 "원", "투", "쓰리", "포".....와 같이 실제 음이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게 한다.
이상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열 전지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과 키패드의 키음을 스피커를 통해 내보냄으로써 시각장애자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 본체 하부면에 장착되어 각종 부품으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터리의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레벨검출기와;상기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Key)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키가 설치된 키패드와;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음향발생부는 키패드에 설치된 각각의 키마다 다른 음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87475A KR20020057200A (ko) | 2000-12-30 | 2000-12-30 |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87475A KR20020057200A (ko) | 2000-12-30 | 2000-12-30 |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7200A true KR20020057200A (ko) | 2002-07-11 |
Family
ID=2769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87475A KR20020057200A (ko) | 2000-12-30 | 2000-12-30 |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5720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9018B1 (ko) * | 2003-05-02 | 2007-08-1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
-
2000
- 2000-12-30 KR KR1020000087475A patent/KR200200572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9018B1 (ko) * | 2003-05-02 | 2007-08-1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모바일 전화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20022503A1 (en) | Mobile phone of du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the same | |
US20040082367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EP0802659A1 (en) | Portable telephone with pivotally mounted keypad | |
KR20010021133A (ko) | 정보단말기 | |
US20090088216A1 (en) | User attachable keypad | |
US20010044319A1 (en) | Portable folding communication unit | |
US7103395B2 (en) | Folding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while folded | |
KR20000039641A (ko) |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표시정보 확인장치 | |
KR20010091371A (ko) |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 |
KR20020057200A (ko) | 시각장애인용 휴대폰 | |
JP4269020B2 (ja) | 携帯通信端末機 | |
KR100186219B1 (ko) | 맹인용 휴대폰 | |
JP4269019B2 (ja) | 携帯通信端末機 | |
JP2000354094A (ja) | 携帯無線機 | |
JP3716251B2 (ja) |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操作方法 | |
EP1480417B1 (en) |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 |
JP4357205B2 (ja) | 折畳式通信装置 | |
JPH08181749A (ja) | 携帯形無線装置 | |
KR200293959Y1 (ko) |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통화 및 통화목록 검색이 가능한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전화기 | |
KR20020059146A (ko) | 외부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폴더형휴대전화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0350503B1 (ko) |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 |
KR20100006264U (ko) | 장애인용 핸드폰 키보드 | |
JP2002330201A (ja) |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 |
KR20020028353A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 |
JP4357204B2 (ja) | 折畳式通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